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5

 

축산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축산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0]. 가경력(arability)이 있는 토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배수가 잘되는 토지

    ② 보수력이 강한 토지

    ❸ 암반과 자갈이 많은 토지

    ④ 경토가 깊고 심토가 좋은 토지

 

[1]. 생산여건은 변하지 않았는데 축산물 가격이 올라가고 사료 가격은 내려가게 되면 어떻게 되는가?

    ① 총(조)수입은 줄어들고 경영비는 늘어난다.

    ❷ 총(조)수입은 늘어나고 경영비는 줄어든다.

    ③ 총(조)수입과 경영비가 다 같이 줄어든다.

    ④ 총(조)수입과 경영비가 다 같이 늘어난다.

 

[2]. 경영계획에 대한 진단 중 이익계획에 대한 진단에 해당되는 것은?

    ❶ 손익분기점 산출상의 문제점

    ② 경영자본의 연도별 조달계획의 타당성

    ③ 총투자액 중 시설투자의 비율과 타당성

    ④ 장기계획과 단기계획 상호간 조화의 타당성

 

[3]. 노동에 대한 대가가 농업노임이 아니라 경영성과로 얻어지는 소득의 원친이 되는 노동력은?

    ❶ 자가 노동력 ② 연고 노동력

    ③ 일고 노동력 ④ 청부 노동력

 

[4]. 다음 중 고정자본재에 해당하는 것은?

    ① 사료 ❷ 산란계

    ③ 비육돈 ④ 브로일러

 

[5]. 양계경영의 주요 기술지표가 아닌 것은?

    ① 산란율 ❷ 사육 마리 수

    ③ 육성률 ④ 난중

 

[6]. 유사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❶ 유대에 대한 사료비의 비율

    ② 사료비에 대한 우유생산량의 비율

    ③ 유내에 대한 섭취조사료량의 비율

    ④ 우유생산량에 대한 사료비의 비율

 

[7]. 쇠고기의 수매단계 판매에서 의무적으로 등급표시를 해야 하는 부위가 아닌 것은?

    ① 양지 ❷ 우둔

    ③ 갈비 ④ 채끝

 

[8]. 축산경영 성과분석의 지표가 될 수 없는 것은?

    ❶ 생산비율 ② 축산순수익

    ③ 자기자본이자 ④ 가족노동보수

 

[9]. 자축의 도축 후에 나타나는 근육 내 사후 변화가 아닌 것은?

    ① pH 저하 ② 젖산 생성

    ❸ ATP 생성 ④ 사후 경직

 

[10]. HACCP에서 식융가공품 가공공정 중 ‘제조공정-위해요인-방지책’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① 원료육처리-병원성 미생물-미생물 검사

    ② 염지-이물질-염지액의 오염 방지

    ③ 포장과 보존-물리적 위해요인-금속탐지기 이용

    ❹ 세절-화학 물질-제품 보증서 확인

[11]. 아이스크림의 원료가 되는 성분이 아닌 것은?

    ① 지방 ② 무지유고형분

    ③ 유화제 ❹ 알부민

 

[12]. 독소형 식중독균으로 옳은 것은?

    ❶ staphylococcus aureus

    ② Escherlchia coli

    ③ Campylobacter

    ④ Yersinia enterocolitica

 

[13]. 근육의 연도를 증진시키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저온 숙성 ❷ 온도체 가공

    ③ 고온 숙성 ④ 전기자극법

 

[14]. 자연치즈 제조 시 단단한 커드 발생의 원인이 아닌 것은?

    ① 높은 칼슘 농도

    ② 낮은 pH

    ③ 단백질 함량을 과도하게 높인 표준화

    ❹ 응유 과정 중 낮은 벳트 온도

 

[15]. 축산경영자의 역할은 경제적 기능과 기술적 기능으로 나뉜다. 다음 중 경제저 기능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가축의 생산순서와 생산규모를 결정한다.

    ② 가축의 종류를 선택하고 결정한다.

    ❸ 경영에 채용할 생산기술를 결정한다.

    ④ 경영성과를 분석하고 경영계획을 세운다.

 

[16]. 축산경영 공동조직의 운영원칙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❶ 경쟁의 원칙 ② 인화의 원칙

    ③ 공평의 원칙 ④ 민주화의 원칙

 

[17]. 축산물 유통경로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경우에 나타나는 상품 및 수요 측면에서의 특성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❶ 고객이 지연적으로 넓게 분산되어 있다.

    ② 구매빈도가 낮고 비규칙적인 수요 특성이 있다.

    ③ 부패성이 큰 상품특성으 가지고 있다.

    ④ 기술적으로 복잡한 상품특성을 가지고 있다.

 

[18]. 가축자본재 중 유동자본재에 해당하는 것은?

    ① 젖소 경산우 ② 한우 번식우

    ❸ 한우 비육우 ④ 산란계

 

[19]. 육계농가의 경영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사료요구율 ❷ 유사비

    ③ 육성률 ④ 일당 증체량

 

[20]. 가족 노동비나 자가 토지에 대한 지대 등과 같이 현금지출 비용이 아닌 비목도 생산비에 포함되는데, 이들 비목을 생산비에 포함시키는 것은 비용의 어떤 개념 때문인가?

    ① 명시비용 ② 평균비용

    ❸ 기회비용 ④ 한계비용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5

 

축산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축산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21]. 일반적으로 브랜드는 유통과정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축산물 브랜드가 수행하는 일반적인 기능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상징기능 ② 광고기능

    ③ 재산보호기능 ❹ 모방기능

 

[22]. 우유의 단백질 중 카제인의 등전점은?

    ① pH 4.0 ❷ pH 4.6

    ③ pH 5.2 ④ pH 5.6

 

[23]. 원료육을 염지, 수세한 후 저온에서 장기간 훈연 또는 숙성·건조 처리한 것으로 가열처리를 하지 않는 햄은?

    ❶ 생햄 ② 본레스햄

    ③ 로인햄 ④ 프레스햄

 

[24]. 시유에서 균질처리공정의 목적과 거리가 먼 것은?

    ① 지방구를 미세화시킨다.

    ② 지방의 분리를 방지한다.

    ❸ 미생물 사멸 및 효소를 파괴한다.

    ④ 단백질의 소화율이 다소 향상된다.

 

[25]. 경질치즈 제조 시 부패균 오염이 되면 치즈 조직 내부에서 기체가 발생하여 과다한 기포를 형성하거나 심하면 표피의 균열이 생기는 현상은?

    ❶ 팽화(blowing) ② 우모화(feathering)

    ③ 농후화(age thickening) ④ 거품화(whipping)

 

[26]. 원료로써 돈두육, 돈심장 등을 이용하여 조직 중의 함유된 젤라틴의 작용으로 고형화 한 것은?

    ① 텅 소시지 ❷ 헤드 치즈

    ③ 블러드 소시지 ④ 리버 소시지

 

[27]. 근원섬유의 3번째 필라멘트로서 M-선에서부터 양쪽의 Z-선까지 세로방향으로 뻗어있는 단백질은?

    ① 트로포마이오시 ② 트로포닌

    ❸ 타이틴 ④ C-단백질

 

[28]. 돼지고기의 육색이 창백하고, 육조직이 무르고 연약하며, 육즙이 다량으로 삼출되어 이상육으로 분류되는 돈육은?

    ① 황지(黃脂)돈육 ② 연지(軟指)돈육

    ❸ PSE 돈육 ④ DFD 돈육

 

[29]. 15℃ 온도에서 시유의 일반적인 비중 범위는?

    ① 0.028 ~ 0.034 ② 0.182 ~ 0.234

    ❸ 1.028 ~ 1.034 ④ 2.128 ~ 2.134

 

[30]. 모돈을 사육하여 자돈을 생산하고 생산된 자돈을 비육하여 비육돈을 생산·판매하는 경영형태는?

    ① 종돈생산 경영 ❷ 일관경영

    ③ 번식돈 경영 ④ 비육돈 경영

[31]. 다음 중 축산경영 관련 공식이 틀린 것은?

    ① 조수익 = 주산물 평가액 + 부산물 평가액

    ② 단위당생산비 = (전체생산비 – 부산물평가액) ÷ 생산량

    ③ 단위당 순수익 = 단위당 조수익 – 단위당 생산비

    ❹ 가족노동보수 = 조수익 – 경영비

 

[32]. 생산비의 기본요건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① 생산비는 화폐가액으로 나타내야 한다.

    ② 생산물을 생산하기 위해서 소비된 것이어야 한다.

    ③ 정상적인 생산활동을 위해 소비된 것이어야 한다.

    ❹ 생산비는 투입요소들을 물량으로 나타내야 한다.

 

[33]. 경종농업과 비교할 때 축산 노동력의 특수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❶ 노동력의 계절성은 축산이 경종농업보다 크다.

    ② 노동력의 이동성은 축산이 경종농업보다 작다.

    ③ 노동력의 다양성은 축산이 경종농업보다 크다.

    ④ 노동력의 지휘곤란성은 축산경영이 경종농업보다 작다.

 

[34]. 다음 중 노동 생산성의 공식은?

    ① 총생산비용 / 투하노동량  ② 투하노동량 / 총생산비용

    ③ 투하노동량 / 총생산량    ❹ 총생산량 / 투하노동량

 

[35]. 다음 중 고정자본재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트랙터 ② 축사

    ❸ 비육돈 ④ 경산우

 

[36]. 양계경영의 기술진단지표가 아닌 것은?

    ① 육성률 ② 사료요구율

    ❸ 유사비 ④ 난중

 

[37]. 다음 주 대차대조표 등식은?

    ❶ 자산 = 부채 + 자본  ② 자본 = 부채 + 자산

    ③ 부채 = 자본 + 자산  ④ 순이익 = 기수자본 – 기말자본

 

[38]. 경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경영요소의 합리적인 조직이 요구되며, 경영방식의 선택, 노동력 구성과 노동생산성 향상을 위한 축산자본의 집약도가 높아질수록 수익과 비용의 차액이 감소하는 등 수익체감의 법칙이 작용하므로 적정규모의 선택이 필요하다. 다음 중 적정규모와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① 최고 평균생산비 ❷ 최저 평균생산비

    ③ 최저 총생산비 ④ 최고 한계생산비

 

[39]. 우유류 중 저지방제품의 유지방 함량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0.6% ② 1%

    ③ 2% ❹ 3%

 

[40]. 다음 중 Blue cheese 의 제조 시 첨가하는 것은?

    ① Aspergillus oryzae ② Mucor rouxii

    ❸ Penicillium roqueforti ④ Rhizipus stolonifer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5

 

축산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축산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41]. 사후근육이 숙성되는 과정에서 근원섬유의 구조가 약화되어 연해지는 이유가 아닌 것은?

    ① Z-line 의 약화    ② 경직결합(rigor linkage)의 약화

    ③ connectin의 약화  ❹ H대의 약화

 

[42]. 유가공품 중 가공육류의 유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❶ 산양유 ② 강화우유

    ③ 유산균첨가우유 ④ 유당분해우유

 

[43]. 다른 식육에 비하여 돼지고기에 특히 많이 함유된 비타민은?

    ① 비타민 A ❷ 비타민 B₁

    ③ 비타민 C ④ 비타민 E

 

[44]. 냉장상태에서 신선육을 호기 상태로 저장할 때 부패를 일으키는 그람음성간균 미생물이 아닌 것은?

    ① Acinetobacter 속 ② Moraxella 속

    ③ Pseudomonas 속 ❹ Lactobacillus 속

 

[45]. 버터의 제조 공정 중, 크림의 지방구들이 뭉쳐서 작은 입자를 형성하고, 버터밀크와 분리되도록 일정한 속도로 크림을 휘저어서 기계적으로 지방구에 충격을 주는 공정은?

    ① Aging ❷ Churning

    ③ Working ④ Salting

 

[46]. 계란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방법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산란율의 제고 ② 산란계 육성률의 제고

    ❸ 사료 투입량의 증대 ④ 산란계 사육 규모의 확대

 

[47]. 일반적인 계란 생산비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비목은 무엇인가?

    ① 가축비 ❷ 사료비

    ③ 자가노력비 ④ 감가상각비

 

[48]. 다음 중 축산경영의 안정성 분석을 위한 평가지표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고정비율 ② 부채비율

    ③ 유동비율 ❹ 자본회전율

 

[49]. 일정한 자원으로 두 종류 이상의 생산물을 생산할 때, 주어진 생산요소로 생산할 수 있는 최대의 생산물 조합을 연결한 선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등(等)생산곡선 ❷ 생산 가능곡선

    ③ 한계 생산곡선 ④ 무차별곡선

 

[50]. 가장 합리적으로 운영되는 표준모델농장에 기초하여 자가경영계획을 수립하는 방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예산법 ② 직접비교법

    ③ 목표계획법 ❹ 표준계획법

[51]. 한우농가가 벼 재배도 함께 하는 경우, 한우사육과정에서 생산된 구비를 논에 뿌려 비료구입비를 절약할 수 있다. 두 부문 사이의 이런 관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경합관계 ❷ 보완관계

    ③ 경쟁관계 ④ 결합관계

 

[52]. 선물시장에서 이루어지는 선물계약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❶ 선물계약은 거래조건이 표준화되어 있다.

    ② 선물계약은 만기일에만 결제된다.

    ③ 선물계약은 청산소에 증거금을 예치할 필요가 없다.

    ④ 선물계약은 당사자 간에 직접계약이 이루어진다.

 

[53]. 육제품의 가열처리 효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기호성 향상 ❷ 영양소 변성 촉진

    ③ 조직감 부여 ④ 저장성 증진

 

[54]. 조지방 또는 유지방 측정방법이 아닌 것은?

    ① Babcock법 ② Röse Gottlieb법

    ③ Gerber법 ❹ Lane-Eynon법

 

[55]. 근육의 사후경직 중 “산 경직(acid rigor)"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절식시킨 상태에서 도살된 동물의 근육에서 일어난다.

    ② 피로한 상태에서 도살된 동물의 근육에서 일어난다.

    ❸ 안정을 유지하면서 도살된 동물의 근육에서 일어난다.

    ④ 부득이한 이유로 절박도살된 동물의 근육에서 일어난다.

 

[56]. 아이스크림의 제조에 사용되는 감미료 중 단맛의 강도가 가장 높은 것은?

    ❶ 과당 ② 유당

    ③ 솔비톨 ④ 설탕

 

[57]. 염지 시 아질산염을 일산화질소로 분해하는 것을 촉진하여 발색을 촉진시키는 환원제로 사용되는 첨가제는?

    ① 설탕 ❷ 아스코르브산염

    ③ 인산염 ④ 식염

 

[58]. 시유 균질화의 주요 목적으로 거리가 먼 것은?

    ❶ 우유 성분의 분리 ② 소화율 증진

    ③ 크림층 형성의 방지 ④ 점도 향상

 

[59]. 근육의 미세구조와 그 설명이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근원섬유 - 근육수축에 관여

    ② 근초 - 근섬유를 싸고 있는 막

    ❸ 근주막 - 근육을 싸고 있는 막

    ④ 근장 - 근원섬유 사이의 교질용액

 

[60]. 유단백 카제인(casein)의 등전점으로 옳은 것은?

    ① pH 2.8 ② pH 3.7

    ❸ pH 4.6 ④ pH 5.6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5

 

축산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축산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61]. 경영형태가 동일한 농장 중 경영조직 및 경영성과 등이 모범적인 목장을 설정하고, 그 경영성과와 자가농장의 경영성과를 직접 비교하여 목장 경영상의 개선점을 찾아내어 경영계획을 수립하는 방법은?

    ① 표준계획법 ❷ 직접비교법

    ③ 예산법 ④ 적정이익법

 

[62]. 자돈을 생산 및 판매하기 위하여 모돈을 육성하고 번식하는 경영형태는?

    ① 종돈생산 경영 ② 비육돈 경영

    ❸ 번식돈 경영 ④ 일관 경영

 

[63]. 경영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부분예산법 활용이 불가능한 형태는?

    ① 생산부문의 일부 대체 ❷ 현금의 효율적 이용

    ③ 경영규모의 변화 ④ 생산요소의 대체

 

[64]. 축산경영의 가장 기본적인 생산의 3요소를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① 자본, 노동, 가축 ② 자본, 원료, 노동

    ③ 노동, 가축, 원료 ❹ 자본, 노동, 토지

 

[65]. 축산경영에 있어서 자본의 투자계획을 수립할 때 고려해야 할 외부적 요인이 아닌 것은?

    ① 축산물의 수요 및 가격조건

    ② 생산요소의 공급 및 가격조절

    ❸ 경영자의 능력

    ④ 농로, 관배수시설 등 경지정비 조건

 

[66]. 다음 축산경영 조직 결정조건 중 경제적조건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❶ 축산진흥정책 실시 유무

    ② 축산물과 사료의 가격 관계

    ③ 축산물 시장의 크기

    ④ 축산농가와 시장과의 경제적 거리

 

[67]. 축산물의 유통기능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❶ 축산물 다양화를 통한 생산위험 분산 기능

    ② 소유권 이전에 따른 교환기능

    ③ 축산물 시장의 크기

    ④ 축산농가와 시장과의 경제적 거리

 

[68]. 다음 중 도시근교형 낙농경영의 단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사료자급률이 낮다.

    ② 환경오염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❸ 원유운송이 용이하지 않다.

    ④ 기계화가 용이하지 않다.

 

[69]. 다음 중 축산경영 계획법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표준계획법 ❷ 간접비교법

    ③ 예산법 ④ 적정목표이익법

 

[70]. 다음 중 이윤극대화의 조건은?

    ① 한계수입 > 한계비용 ② 한계수입 < 한계비용

    ③ 한계수입 = 평균비용 ❹ 한계수입 = 한계비용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5

 

축산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축산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71]. 치즈 제조 시 단백질 응유효소에 의해 분해되는 단백질은?

    ① α-casein ❷ ĸ-casein

    ③ β-casein ④ β-lactoglobulin

 

[72]. 식육의 숙성 중 일어나는 식육의 변화로 틀린 것은?

    ① 연도개선 ② 자가소화

    ③ 풍미증진 ❹ 보수력 감소

 

[73]. 젖산으로서 우유류의 정상적인 산도 값 기준이 옳은 것은?

    ❶ 0.18% 이하              ② 0.18% 초과 0.24% 이하

    ③ 0.24% 초과 1.24% 이하  ④ 1.24% 이상

 

[74]. 육가공품 제조 시 훈연의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지방의 산화 방지 ❷ 보수력의 증진

    ③ 육제품의 보존성 부여 ④ 풍미와 육색 개선

 

[75]. 가당연유를 장기간 저장할 때 점도가 증가하고 젤리상의 응고물을 형성하는 품질결함은?

    ❶ 농후화 ② 갈변화

    ③ 호정화 ④ 우모화

 

[76]. 육제품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결착제 중 주성분이 globulin이며, 90% 이상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고 물과 기름의 결합능력이 좋지만 가열에 의해 암갈색으로 변하기 때문에 다량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① 우유단백질 ② 혈장단백질

    ③ 난백 ❹ 분리대두단백질

 

[77]. 식육의 맛을 결정하는 성분이 아닌 것은?

    ① 아미노산 ② 저분자 펩타이드

    ❸ 미오신 ④ 지방산

 

[78]. 유지방 함량이 30 ~ 40%인 크림은?

    ❶ 휘핑크림 ② 플라스틱크림

    ③ 라이트크림 ④ 발효크림

 

[79]. 근원섬유단백질 중 칼슘이온 수용단백질로서 근수축기작에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은?

    ❶ 트로포닌 ② 리소좀

    ③ 엘라스틴 ④ 네불린

 

[80]. 고정자본재인 토지에 대해서 감가상각을 하지 않는 이유는?

    ① 토지의 비이동성 ( 非移動性 )

    ❷ 토지의 불소모성 ( 不消耗性 )

    ③ 토지의 불가증성 ( 不加增性 )

    ④ 토지의 가경력 ( 可耕力 )

[81]. 축산 경영의 3대 요소가 아닌 것은?

    ❶ 기술 ② 토지

    ③ 노동 ④ 자본

 

[82]. 축산소득을 계산하는 공식으로 옳은 것은?

    ❶ 축산조수입 - 축산경영비

    ② 축산조수입 - 축산생산비

    ③ 축산조수입 - 축산경영비 + 농외소득

    ④ 축산조수입-축산생산비 + 농외소득

 

[83]. 다음 중 유동비율을 계산하는 공식은?

    ① (고정자산 / 자기자본 ) × 100

    ❷ (유동자산 / 유동부채 ) × 100

    ③ (유동부채 / 자기자본 ) × 100

    ④ (고정부채 / 자기자본 ) × 100

 

[84]. 다음 중 경영조직에 의한 낙농경영의 분류가 아닌 것은?

    ① 초지형 낙농 ② 복합경영형 낙농

    ❸ 도시원교형 낙농 ④ 착유형 낙농

 

[85]. 다음 중 고정자본재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축사 ② 트랙터

    ③ 착유우 ❹ 사료

 

[86]. 가족노동력의 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노동시간에 구애받지 않는다.

    ② 노동감독이 필요하지 않다.

    ③ 모든 일에 창의적으로 임한다.

    ❹ 노동에 대한 책임이 없다.

 

[87]. 다음 중 유동비용에 해당하는 것은?

    ① 지대 ② 조세공과

    ③ 감가상각비 ❹ 방역치료비

 

[88]. 다음 충 축산경영인이 가장 추구하는 경영목표로 옳은 것은?

    ① 농업총수입의 극대화

    ② 자기자본에 대한 수익의 최소화

    ❸ 농업소득의 극대화

    ④ 농업경영비의 최소화

 

[89]. 노동효율 증진을 위한 노동조직 체계화 방안이 아닌 것은?

    ① 작업의 관리 및 통제   ② 작업의 분업화

    ❸ 작업의 중복화   ④ 작업의 협업화

 

[90]. 비육된 소의 상강육(marbling)에서 지방이 잘 부착되는 제2차 근섬유속을 둘러싼 막은?

    ① 근내막 ❷ 근주막

    ③ 근상막 ④ 근섬막

 

[91]. 동물의 총 혈액량은 생체중의 몇 % 정도가 되는가?

    ① 5% ❷ 7%

    ③ 13% ④ 17%

 

[92]. 세절 및 혼합 공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고기 덩어리를 잘게 갈아 전체 입자를 균일하게 하는 공정은?

    ① 여과 ❷ 분쇄

    ③ 유화 ④ 혼합

 

[93]. 우유 단백질의 80% 차지하는 케이신(casein) 중 케이신 플라스틱 용도로 쓰이는 것은?

    ① 염산 케이신 ② 황산 케이신

    ③ 유산 케이신 ❹ 렌넷 케이신

 

[94]. 우유의 살균(LTLT또는HTST)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검사하는데 널리 쓰이는 시험법은?

    ❶ 포스파타아제 테스트     ② 알콜 테스트

    ③ 휘발성 지방산 측정 테스트 ④ 밥콕 테스트

 

[95]. 가당연유와 가당탈지연유에 첨가할 수 있는 첨가물이 아닌 것은?

    ① 설탕 ② 포도당

    ❸ 구연산 ④ 과당

 

[96]. 유가공 중 균질처리 공정의 목적 및 효과가 아닌 것은?

    ① 커드 연성화, 단백질 이용도 향상

    ② 지방 미세화, 크림라인 생성방지

    ❸ 우유 내 세균 및 미생물의 살균

    ④ 지방 소화흡수 향상

 

[97]. 식육의 숙성이 이루어지는 이유와 관련이 없는 것은?

    ① Z-선의 약화

    ② Connectin 단백질의 약화

    ❸ 새로운 거대 식육단백질의 합성

    ④ Actin 과 myosin 간의 결합력의 약화

 

[98]. 축산경영조직의 복합화에 따른 장점이 아닌 것은?

    ① 토지비용의 감소 ② 노동력의 효율적 이용

    ③ 위험의 분산 ❹ 규모의 경제성

 

[99]. 일반자본재와는 달리 토지가 가지는 특성을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사용으로 소멸되지 않는다.

    ❷ 감가상각을 한다.

    ③ 가동성이 없다.

    ④ 인위적으로 증가시킬 수 없다.

 

[100]. 가족노동력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❶ 성과가 소득과 직결된다.

    ② 노동 감독이 필요하다.

    ③ 노동시간에 구애받는다.

    ④ 노동의 일시적 수유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5

 

축산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축산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101]. 다음 중 경영입지에 따른 경영형태에 속하는 것은?

    ① 비육우경영 ❷ 도시근교형경영

    ③ 가족경영 ④ 복합경영

 

[102]. 토지의 기술적 성질로만 옳게 나열한 것은?

    ① 가동성, 가증성, 괴멸성    ② 가경력, 가동성, 괴멸성

    ③ 적재력, 배양력, 가동성    ❹ 적재력, 가경력, 배양력

 

[103]. 고정자본재에 대한 감가상각 방법이 아닌 것은?

    ① 정액법 ② 체감잔액법

    ❸ 예산법 ④ 급수법(연수합계법)

 

[104]. 다음 경영진단 지표 중 계산공식이 잘못된 것은?

    ① 유사비 = (구입사료비/유대) × 100

    ② 소득률 = (소득/조수입) × 100

    ③ 일당 증체량 = (판매시 체중 - 구입시 체중)/사육일수

    ❹ 사료 요구율 = 축산물 생산량/사료 급여량

 

[105]. 축산경영의 4대 요소에서 전통적인 경영요소 외에 새롭게 부각되는 것은?

    ❶ 경영능력 ② 가공

    ③ 생산물 ④ 홍보

 

[106]. 우유 단백질이 아닌 것은?

    ① casein ② β-lactoglobulin

    ③ α-lactalbumin ❹ zein

 

[107]. 훈연의 목적이 아닌 것은?

    ① 풍미의 증진 ② 저장성의 증진

    ③ 색택의 증진 ❹ 지방산화 촉진

 

[108]. 축산물등급제도에 따른 쇠고기의 등급표시 중 육질등급 표시만으로 이루어진 것은?

    ① 프라임, 레귤러, 엑설런트 등급   ② A, B, C 등급

    ❸ 1, 2, 3 등급       ④ 1A, 1B, 2C 등급

 

[109]. 발효유의 향미성분과 관계가 없는 것은?

    ① acetaldehyde ② acetoin

    ③ diacetyl ❹ lysozyme

 

[110]. 자연치즈 제조 시 염지(salting)의 목적과 거리가 먼 것은?

    ① 부패 미생물로부터의 보호 ② 유청 배제의 촉진

    ❸ 단백질의 용해도 감소   ④ 치즈에 향미 부여

[111]. 가축의 도축 후에 나타나는 사후변화가 아닌 것은?

    ① pH 저하 ② 젖산 생성

    ❸ ATP 생성 ④ 사후경직

 

[112]. 돼지고기 냉장 시 숙성 기간으로 적합한 것은?

    ① 6시간 ❷ 1 ~ 2일

    ③ 5 ~ 7일 ④ 7 ~ 14일

 

[113]. 원추식 크림분리기의 분리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와 거리가 먼 것은?

    ① 볼의 회전 속도 ❷ 인지질 함량

    ③ 우유의 온도 ④ 유지방구의 크기

 

[114]. 다음 중 유동자본재인 것은?

    ❶ 사료 ② 축사

    ③ 착유기 ④ 트랙터

 

[115]. 다음 중 토지의 경제적 성질이 아닌 것은?

    ❶ 불가경성 ② 불가증성

    ③ 불가동성 ④ 불소모성

 

[116]. 다음 중 단일경영에 대한 특징으로 틀린 것은?

    ① 기계 이용이 쉽다

    ❷ 자본의 회전이 원만하다.

    ③ 생산물의 동일성에 의하여 시장정보의 유리성이 있다.

    ④ 생산비의 저하가 가능하여 시장경쟁력이 증대된다.

 

[117]. 근원섬유단백질의 약 절반을 차지하며 ATP를 ADP와 무기인산으로 분해하는 근육의 수축을 주도하는 단백질은?

    ❶ myosin ② actin

    ③ tropomyosin ④ troponin

 

[118]. 저지방우유에서 원유의 유지방분 함량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0.6% ② 1%

    ③ 2% ❹ 3%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5

 

축산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축산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119]. 버터 제조 시 교동(churning)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아닌 것은?

    ① 크림의 양   ② 크림의 온도

    ③ 교동장치의 회전속도   ❹ 색소와 소금의 양

 

[120]. HACCP에서 식육가공품 가공공정 중 “제조공정 – 위해요인 –방지책”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① 원료육 처리 – 병원성 미생물 – 미생물 검사

    ② 염지 – 이물질 – 염지액의 오염방지

    ③ 포장과 보존 – 물리적 위해요인 – 금속탐지기 이용

    ❹ 세절- 화학물질 – 제품 보증서 확인

 

[121]. 냉장상태에서 신선육을 호기 상태로 저장할 때 부패를 일으키는 그람음성간균 미생물이 아닌 것은?

    ① Acinetobactor 속 ② Moraxella 속

    ③ Pseudomonas 속 ❹ Lactobacillus 속

 

[122]. 한우 비육경영의 조수입이 3000만원, 경영비가 2000만원, 비용합계가 2500만원이었다면 순수익은?

    ❶ 500만원 ② 1000만원

    ③ 2000만원 ④ 3000만원

 

[123]. 다음 중 축산 경영 성과에 대한 분석 지표가 아닌 것은?

    ❶ 생산비 율 ② 자본수익

    ③ 토지자본 수익 ④ 가족노동 보수

 

[124]. 다음 중 단기적으로 축산물의 판매가격으로는 평균가변 비용만 회수가 가능하다. 이 때의 생산에 대한 합리적인 의사결정으로 옳은 것은?

    ① 생산을 확대한다. ② 생산을 중단한다.

    ❸ 생산을 지속한다. ④ 생산을 감소한다.

 

[125]. 완전경쟁시장 조건하에서 이윤최대화의 조건은 무엇인가?

    ① 한계비용이 한계수익 보다 클 때

    ❷ 한계비용과 한계수익이 일치할 때

    ③ 한계비용이 한계수익 보다 작을 때

    ④ 평균생산비가 한계생산비와 일치할 때

 

[126]. 비육우를 사육하기 위해 투입된 가족노동력에 대한 비용 산출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최저임금을 적용

    ② 도시근로자 평균소득을 적용

    ❸ 가족의 기회비용을 고려하여 적용

    ④ 목표 소득을 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적용

 

[127]. 대규모 축산경영의 유리성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① 노동 생산성의 향상

    ② 자본 생산성의 향상

    ③ 단위당 고정자산액의 감소

    ❹ 대량구입에 의한 비용 증가

 

[128]. 경종농업에서 생산되는 유기물을 가축에 급여하여 축산물을 생산한다는 축산경영의 특징은?

    ① 생산물의 저장 ② 간접적 토지관계

    ③ 물량감소의 성격 ❹ 2차 생산의 성격

 

[129]. 다음 중 유동자본재에 해당하는 것은?

    ① 사일로 ② 경운기

    ③ 종모돈 ❹ 농후사료

 

[130]. 식육의 염지효과가 아닌 것은?

    ① 발색작용 ❷ 세균증식작용

    ③ 풍미 증진작용 ④ 항산화작용

 

[131]. 분유의 용해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분유의 용적밀도와 입자의 크기에 따라서 좌우 되는 것은?

    ① 습윤성(wettability)   ❷ 침강성(sinkability)

    ③ 분산성(dispersibility)   ④ 용해도(solubility)

 

[132]. 고기를 숙성시키는 가장 중요한 목적은?

    ① 육색의 증진 ② 보수성 증진

    ③ 위생안전성 증진 ❹ 맛과 연도의 개선

 

[133]. 고품질 소시시 생산을 위해 유화공정에서 특히 고려해야 할 요인이 아닌것은?

    ① 세절온도 ② 세절시간

    ③ 원료육의 보수력 ❹ 아질산염첨가량

 

[134]. 홀스타인 젖소에서 착유한 우유의 평균 비중(15℃)은?

    ① 1.638 ② 1.055

    ❸ 1.032 ④ 0.944

 

[135]. 스모크 소시지(smoked sausage)가 아닌 것은?

    ❶ fresh pork sausage   ② wiener sausage

    ③ frankfurt sausage   ④ bologna sausage

 

[136]. 건조소시지 제조에 쓰이며 15~30℃의 온도에서 훈연하는 방법은?

    ① 온훈법 ❷ 냉훈법

    ③ 액훈법 ④ 열훈법

 

[137]. 유가공품의 고온단시간 살균법 조건은?

    ① 63~65℃, 30분  ❷ 72~75℃, 15~20초

    ③ 85~90℃, 50~60초  ④ 128~138℃, 1~3초

 

[138]. 냉동유제품 성분 중 무지유고형분(milk solid-not-fat)의 기능과 한계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연유취, 소금맛 또는 가열취가 생기기 쉽다.

    ② 비교적 값이 싼 고형분이다..

    ❸ 거품을 방지하고 조직을 부드럽게 한다.

    ④ 과량 사용하면 “모래조직”의 결점이 생긴다.

 

[139]. 다음 중 경영소득을 산출하는 식은?

    ❶ 조수익-경영비 ② 조수익-생산비

    ③ 순수익-경영비/조수익 ④ 순수익-생산비/조수익

 

[140]. 다음 중 브로일러 양계경영의 일반적인 장점에 해당하는 것은?

    ① 가격변화가 적다. ② 출하조정이 쉽다.

    ❸ 자본회전율이 빠르다. ④ 수송과 보관이 쉽다.

 

[141]. 토지의 경제적 성질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❶ 적재력 ② 불가증성

    ③ 불가동성 ④ 불소모성

 

[142]. 다음 중 비육돈경영에서 노동생산성을 규제하는 요인이 아닌 것은?

    ❶ 모돈의 사고율            ② 육돈의 비육 회전율

    ③ 비육돈의 두당 판매수입   ④ 사육돈 두당 투입노동량

 

[143]. 축산경영의 발전요인 중 내부적 요인이 아닌 것은?

    ① 경영자 능력 ② 자원량 보유수준

    ❸ 축산물의 수요 ④ 기술수준

 

[144]. 다음 중 축산경영의 경제적 특징이 아닌 것은?

    ① 청예작물 재배를 통한 토지의 이용이 증진된다.

    ② 노동의 균둥한 투입으로 노동력 이용이 증진된다.

    ③ 경종농업 부산물을 이용한 농산물의 이용이 증진된다.

    ❹ 경종농업보다 자연적인 피해를 많이 받는다.

 

[145]. 가족노동의 장점이 아닌 것은?

    ① 노동시간에 구애받지 않는다.

    ② 노동감독이 필요하지 않다.

    ❸ 노동에 대한 책임이 없다.

    ④ 모든일에 창의적으로 임한다.

 

[146]. 생산비 중 유동비에 해당하는 것은?

    ① 지대 ❷ 사료비

    ③ 자본이자 ④ 감가상각비

 

[147]. 투입과 산출의 기술적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는?

    ① 수요함수 ② 이윤함수

    ❸ 생산함수 ④ 비용함수

 

[148]. 연유제조 시 사용되는 가장 효율이 높은 진공 농축기는?

    ❶ 박막 수직하강 관상형 ② 박막 수직상승 관상형

    ③ 원심분리식 ④ 진공펌프식

 

[149]. 신 맛과 청량감을 부여하고 염지반응을 촉진시켜 가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주로 생햄이나 살라미 제품에 이용되는 것은?

    ① 염미료 ② 감미료

    ❸ 산미료 ④ 지미료

 

[150]. 근육의 결합조직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교원섬유 ② 탄성섬유

    ③ 세망섬유 ❹ 근원섬유

 

[151]. 발효유 중 발효방법이 나머지 셋과 다른 하나는?

    ① 요구르트 ② 발효버터 우유

    ❸ 쿠미스 ④ 에시도필러스 우유

 

[152]. 육제품 제조 시 사용하는 아질산염의 주된 기능으로 틀린 것은?

    ① 미생물 성장 억제 ② 풍미증진

    ③ 염지육색 고정 ❹ 산화촉진

 

[153]. 식육의 가열처리 효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조직감 증진 ② 기호성 증진

    ❸ 다즙성 증진 ④ 저장성 증진

 

[154]. 우유 균질의 장점 또는 효과가 아닌 것은?

    ❶ 우유 성분의 분리 ② 소화 증진

    ③ 크림층 형성의 방지 ④ 산화의 민감성 감소

 

[155]. 근원섬유단백질 중 칼슘이온 수용단백질로서 근수축기작에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은?

    ❶ 트로포닌 ② 리소좀

    ③ 엘라스틴 ④ 네불린

 

[156]. 조수입이 5000만원, 변동비가 2500만원, 고정비가 1500만원일 때 손익분기점은 얼마인가?

    ① 1000만원 ② 2000만원

    ❸ 3000만원 ④ 5000만원

 

[157]. 축산경영에서 생산계획 수립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① 무엇을 생산할 것인가?

    ② 얼마나 생산할 것인가?

    ③ 어떤 방법으로 생산할 것인가?

    ❹ 판매가격은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

 

[158]. 축산경영에 있어서 생산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고정비는 어떻게 변하는가?

    ① 증가한다. ② 감소한다.

    ③ 증가하다 감소한다. ❹ 변화하지 않는다.

 

[159]. 비육우의 두당 생산비가 100만원, 순수익이 200만원, 소득이 60만원일 때 소득률은?

    ❶ 20% ② 30%

    ③ 60% ④ 80%

 

[160]. 다음생산요소 중 고정자본재가 아닌 것은?

    ① 축사 ② 종돈

    ❸ 비육돈 ④ 트랙터

 

[161]. 고정자본재에 대한 정상적인 감가원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사용 중 일부 파손

    ❷ 자연재해에 의한 일부 손실

    ③ 풍화, 산화 등 자연적인 소모

    ④ 과학 기술 발달에 따른 기존 자본재 진부화

 

[162]. 쇠고기의 소매단계 판매에서 의무적으로 등급표시를 해야 하는 부위가 아닌 것은?

    ① 양지 ❷ 우둔

    ③ 갈비 ④ 채끝

 

[163]. 비용함수에서 사용되는 비용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평균비용 = 총비용 ÷총생산량

    ② 총비용 = 총가변비용 + 총고정비용

    ③ 평균가변비용 = 총가변비용 ÷총생산량

    ❹ 한계비용 = 생산량 증가분 ÷총비용 증가분

 

[164]. 노동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❶ 작업의 다양화 ② 작업의 협업화

    ③ 작업방법의 표준화 ④ 노동수단의 고도화

 

[165]. 축산경영 분석을 위한 대차대조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대변에는 자산 항목을 기입한다.

    ② 차변에 비용과 순수익을 기입한다.

    ❸ 특정시점에서 경영의 재무상태를 나타낸 표이다.

    ④ 회계기간 중에 발생한 수익과 비용을 계산한 표이다.

 

[166]. 다음 중 근육의 미세구조와 그 설명이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근원섬유 - 근육수축에 관여

    ② 근초 - 근섬유를 싸고 있는 막

    ❸ 근주막 - 근육을 싸고 있는 막

    ④ 근장 - 근원섬유 사이의 교질용액

 

[167]. 유지방 함량이 30~40%인 크림은?

    ❶ 휘핑크림 ② 플라스틱크림

    ③ 라이트크림 ④ 발효크림

 

[168]. 젖산균 발효에 의해 pH를 저하시켜 가열처리한 후, 단기간의 건조로 수분 함량이 50% 전후가 되도록 만든 소시지에 해당하는 것은?

    ❶ 가열건조 소시지 ② 스모크 소시지

    ③ 비훈연 건조 소시지 ④ 프레쉬 소시지

 

[169]. 다음 중 염지의 효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발색 증진 ② 풍미 증진

    ❸ 건강성 증진 ④ 보수성 증진

 

[170]. 시유의 처리공정의 순서로 옳은 것은?

    ① 표준화 → 청정 → 살균 → 균질

    ② 살균 → 청정 → 균질 → 표준화

    ❸ 청정 → 표준화 → 균질 → 살균

    ④ 균질 → 청정 → 표준화 → 살균

 

[171]. 식육의 식중독 미생물 오염방지를 위한 대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철저한 위생관리 ❷ 20~25℃에서 보관

    ③ 충분한 조리 ④ 적절한 냉장

 

[172]. 다음 중 Blue cheese의 제조 시 첨가하는 것은?

    ① Aspergillus oryzae ② Mucor rouxii

    ❸ Penicillium roqueforti ④ Rhizopus stolonifer

 

[173]. 근육의 수축 기작이 일어나는 기본적인 단위는?

    ❶ 근절 ② 근형질

    ③ 핵 ④ 암대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5

 

축산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축산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5

 

축산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축산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0]. 다년생 복초 또는 재생을 하는 1년생 사료작물의 수확 후 재생을 위해 보유하여야 하는 주요 저장 양분은?

    ❶ 탄수화물 ② 지방

    ③ 비타민 ④ 무기율

 

[1]. 벼 대신 논에서 여름철 재배를 할 때 생산성 측면에서 가장 적합한 사료작물은?

    ① 율무

    ② 진주조

    ③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❹ 수수×수단 그라스 교잡종

 

[2]. 수단 그라스계 목초 종자를 파종한 사료작물포에 소를 방목시키려 한다. 청산 중독의 위험이 가장 큰 상황은?

    ① 비가 내린 뒤

    ❷ 질소비료 시비 직후

    ③ 기온이 따뜻할 때

    ④ 초장이 150m 이상 자랐을 때

 

[3]. 우리나라 산지 토양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산성 토양 ② 유기물의 부족

    ❸ 높은 유효인산 함량 ④ 낮은 양이온 교환용량

 

[4]. 알팔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뿌리의 버대가 좋고 근류를 갖는다.

    ❷ 줄기의 목질화가 심하고 건조에 약하다.

    ③ 잎이 부드럽고 기호성이 좋다.

    ④ 자색과 황색의 꽃을 피운다.

 

[5]. 초기 조성 시 불경운초지 개량이 경운초지 개량에 비해서 유리한 점이 아닌 것은?

    ① 조성 시 파종 비용이 적게 든다.

    ❷ 초저의 목양력 증가가 빠르다.

    ③ 토양 침식 위험이 작고 토양 유실량이 적다.

    ④ 1년생 잡초의 침입을 줄여 준다.

 

[6]. 종자 생산을 위한 수정이 트랩핑(tripping)현상에 의해 이루어지는 초종은?

    ① 레드 클로버 ② 매듭풀

    ③ 라디노 클로버 ❹ 알팔파

 

[7]. 다년생 화본과 및 다년생 콩과(두과) 작물로 옳게 짝지어진 것은?

    ① 톨페스큐, 매듭풀

    ② 수단 그라스, 자운영

    ❸ 오차드 그라스, 알팔파

    ④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스위트 클로버(Hubam종)

 

[8]. 중국에서 비래하는 해충으로 비래성충의 발생최성기는 5월 하순~6월 상순이며, 잎을 갉아 먹고 줄기만 남겨 화본과에 큰 피해를 주는 해충은?

    ① 애멸구 ② 검정풍뎅이

    ❸ 멸강나방 ④ 진딧물

 

[9]. 콩과(두과) 사료 작물들의 근류균주들이 상호 접종될 수 있는 조합은?

    ① 알팔파-헤어리 베치

    ② 화이트 클로버-청예대두

    ❸ 알팔파-스위트 클로버

    ④ 강낭콩-루핀

 

[10]. 십자화과로 분류되는 초종은?

    ① 수수 ② 호밀

    ❸ 유체 ④ 화이트 클로버

[11]. 제초지 작물 중 건초용으로 적합한 사료 작물은?

    ❶ 티모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② 켄터키 블루그라스, 달리스 그라스

    ③ 페레니얼 라이그라스, 콤먼 베치(common vetch)

    ④ 화이트 클로버, 메도우 페스큐(meadow fescue)

 

[12]. 사료 작물 선택 시 고려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① 기호성 ② 건물수량

    ③ 사료 가치 ❹ 부숙도

 

[13]. 일반적으로 오차드그라스를 채초용으로 단파할 때 ha당 가장 적절한 파종량은?

    ① 5~10kg 정도 ❷ 17~25kg 정도

    ③ 35~40kg 정도 ④ 45~50kg 정도

 

[14]. 다음 중 지하경을 갖는 목초는?

    ① 티모시 ❷ 켄터키블루그라스

    ③ 오차드그라스 ④ 화이트클로버

 

[15]. 다음 중 귀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① 추위에 강하며 우리나라 전역에서 월동이 가능하다.

    ② 출수 후에는 호밀보다 사료가치가 급격히 떨어진다.

    ❸ 봄, 가을 단경기 사료작물로 적합하다.

    ④ 뿌리가 얕아 수확 후 경운이 쉽다.

 

[16]. 다음 중 토양 산도 교정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재료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요소 ② 인산

    ③ 칼리 ❹ 석회

 

[17]. 청예용 옥수수의 생산량을 높이기 위하여 가장 많이 필요로 하는 영양소는?

    ① 칼슘 ② 인산

    ③ 칼륨 ❹ 질소

 

[18]. 작부조합을 만들 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❶ 품질보다는 양적으로 많은 사료작물

    ② 단위면적당 건물의 수량이 높은 사료작물

    ③ 생산과 이용작업이 쉬운 사료작물

    ④ 생산비용이 적게 드는 사료작물

 

[19]. 옥수수사일리지를 제조하려고 하는데 재료의 수분이 너무 많을 경우 수분 조절방안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벤 직후 바로 사일로에 충전한다.

    ② 재료의 절단길이를 짧게 한다.

    ❸ 재료 충전시 밀기울을 섞는다.

    ④ 요소를 첨가한다.

 

[20]. 오차드그라스 초지에 질소를 시비하려 할 때 가장 바람직하지 못한 시기는?

    ① 예취 직후 ② 파종시기

    ③ 월동 후 ❹ 하고직전

 

[21]. 레드클로버에 함유되어 있는 특징적인 물질은?

    ❶ 에스트로게 ② 쿠마린

    ③ 청산 ④ 질산염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5

 

축산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축산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22]. 불경운 초지조성 시 선점식생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강방목 ② 제초제

    ③ 인력에 의한 식생 제거 ❹ 시비

 

[23]. 사료작물을 3회 이상 예취하여 생초로 이용하는 것이 유리 한데 여름철 고온기하고현상을 예방하기 위한 오차드그라스의 예취 높이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2 ~ 5cm ② 6 ~ 8cm

    ❸ 9 ~ 13cm ④ 19 ~ 24cm

 

[24]. 다음 중 저수분 사일리지의 가장 적절한 수분함량은?

    ① 20 ~ 30% ❷ 40 ~ 60%

    ③ 70 ~ 80% ④ 80 ~ 100%

 

[25]. 목초에 가장 가까운 생육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잎이 많고 커서 가축의 기호성이 높은 사료작물은?

    ① 옥수수 ② 수수류

    ③ 호밀 ❹ 귀리

 

[26]. 잎이 떨어지기 쉬운 두과목초는 어떤 방법으로 건초를 제조하는 것이 영양분의 손실이 가장 적은가?

    ① 양건법 ❷ 화력 건조법

    ③ 음건법 ④ 발효 건조법

 

[27]. 다음 중 가을철 초지 조성 시 초기에 진압을 하면 나타나는 효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병충해 방제               ❷ 서릿발과 동해의 방지

    ③ 목초의 경합력을 증진시킴  ④ 초종의 구성을 조절시킴

 

[28]. 다음 중 일반적인 옥수수 사일리지 제조를 위한 재료의 적정 수분 함량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50 ~ 55% ② 56 ~ 60%

    ❸ 65 ~ 70% ④ 75 ~ 80%

 

[29]. 다음 중 뿌리가 얕아서 가뭄에 약하지만 추위에 강하여 고랭지에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오차드그라스 ② 톨페스큐

    ❸ 티머시 ④ 페레니얼라이그라스

 

[30]. 톨페스큐의 주요 병으로 감염되면 환경에 대한 저항성은 증가하나 가축에는 나쁜 영향을 주는 병은?

    ① 탄저병 ❷ 엔도파이트 진균병

    ③ 줄무늬마름병 ④ 맥각병

[31]. 다음 중 사일리지의 숙성에 필요한 적정 저장기간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3 ~ 4일 ② 2 ~ 3주

    ❸ 30 ~ 40일 ④ 3 ~ 4개월

 

[32]. 다음 중 북방형 목초의 하고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은?

    ❶ 고온건조 ② 생육기의 전환

    ③ 근류의 분해 ④ 바이러스 병의 발생

 

[33]. 다음 중 소화가 쉬운 성분들로만 구성된 것은?

    ① 단백질, 큐틴, 가용성 탄수화물

    ❷ 단백질, 가용설 탄수화물, 유기산

    ③ 펩틴, 전분, 실리카

    ④ 전분, 리그닌, 유기산

 

[34]. 답리작 사료작물 재배의 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❶ 토양 중의 유기물 함량을 감소시킨다.

    ② 토양침식을 감소시킨다.

    ③ 논에서 가축의 사료를 생산할 수 있다.

    ④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윤작체계를 확립시킬 수 있다.

 

[35]. 귀리의 생육에 가장 알맞은 토양의 pH는?

    ❶ 5.6 ~ 6.2 ② 6.8 ~ 7.5

    ③ 7.6 ~ 7.9 ④ 8.0 ~ 8.3

 

[36]. 다음 중 사일리지의 분석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유산함량이 높으면 암모니아태 질소함량도 높다.

    ② 사일리지의 pH가 높으면 낙산함량은 낮다.

    ❸ 사일리지의 pH가 낮으면 암모니아태 질소함량도 낮다.

    ④ 낙산함량이 높으면 기호성과 채식량도 증가한다.

 

[37]. 남방형이고 아프리카가 원산이며, 열대 및 아열대 지방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 사료작물은?

    ❶ 버뮤다그라스 ② 오차드그라스

    ③ 티머시 ④ 톨페스큐

 

[38]. 화본과목초에 비해 두과목초에 다량 함유된 양분은?

    ① 탄수화물 ② 지방

    ③ 회분 ❹ 단백질

 

[39]. 다음 중 작부체계 설정 시 고려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생산량 ② 사료가치

    ③ 노동력 ❹ 파종량

 

[40]. 수수나 수단그라스를 청예로 먹일 때 청산중독의 위험이 가장 큰 상황은?

    ① 비가 내린 뒤 수확하였을 때

    ❷ 가뭄이 계속되는 동안 수확하였을 때

    ③ 서리가 내린 뒤 열흘 후 수확하였을 때

    ④ 비료기가 소실한 뒤 수확하였을 때

 

[41]. 다음 중 건초의 품질평가 시 고려할 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❶ 발효상태 ② 이물질 혼입정도

    ③ 녹색도 ④ 잎의 비율

 

[42]. 건초조제 시 건조속도 개선을 위해 목초의 줄기를 눌러주며 수확하는 기계는?

    ① 테더 ② 스퀘어 베일러

    ③ 라운드 베일러 ❹ 모어 컨디셔너

 

[43]. 소의 사료 중 조사료를 필수적으로 급여해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① 소화율이 좋으므로

    ② 값이 싸고 저장하기 좋으므로

    ③ 영양가가 우수하므로

    ❹ 반추위의 정상적 생리기능을 유지시키므로

 

[44]. 두과목초 중 알팔파와 레드클로버의 채초이용시 예취적기는?

    ① 출뢰기 ❷ 개화초기

    ③ 종실의 유숙기 ④ 개화후기

 

[45]. 십자화과 사료작물이 아닌 것은?

    ① 순무 ❷ 돼지감자

    ③ 유채 ④ 양배추

 

[46]. 초지를 조성할 때 혼파의 장점으로 옳은 것은?

    ① 재배관리가 쉽다.

    ② 목초의 이용기간이 짧다.

    ③ 고도의 집약재배가 가능하다.

    ❹ 균형 잡힌 양질의 목초를 생산할 수 있다.

 

[47]. 사료작물용 호밀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❶ 맥류 중 내한성이 강하다.

    ② 배수가 안 되는 토양에서도 재배가 가능하다.

    ③ 사일리지로만 이용할 수 있다.

    ④ 답리작 재배가 불가능하다.

 

[48]. 다음 중 건초의 품질을 화학적으로 평가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것은?

    ① 녹색도 ② 수분함량

    ③ 곰팡이의 발생여부 ❹ pH

 

[49]. 사료작물 중 가소화 조단백질 함량이 가장 높은 것은?

    ① 티머시 ② 오차드그라스

    ❸ 레드 클로버 ④ 청예 옥수수

 

[50]. 옥수수 사일리지와 비교하여 수수 사일리지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① 가축의 기호성이 높다.

    ❷ 가소화 영양소 총량이 낮다.

    ③ 건물 소화율이 높다.

    ④ 산성세제 섬유소(ADF) 함량이 낮다.

[51]. 화본과에 속하는 오차드그라스의 학명은?

    ① Medicao sativa L. ❷ Dactulis glomerata L.

    ③ Lolium multiflorum Lam. ④ Vicia villosa Roth.

 

[52]. 파종시에 붕소를 시용해야 생육이 좋아지는 사료작물은?

    ① 라디노 클로버 ② 버즈풋 트레포일

    ❸ 알팔파 ④ 톨 페스큐

 

[53]. 조사료를 헤일리지로 제조 시 적당한 수분함량은?

    ① 20 ~ 30% ② 30 ~ 40%

    ❸ 40 ~ 60% ④ 60 ~ 80%

 

[54]. 양질의 사일리지 제조 방법으로 틀린 것은?

    ① 세절을 함으로써 젖산균의 번식을 더 좋게 해 준다.

    ② 수분함량이 적을수록 더 짧게 절단한다.

    ❸ 진압을 잘 하여 낙산균의 번식을 돕는다.

    ④ 사일리지 재료의 수분은 70% 정도로 한다.

 

[55]. 사일리지 제조 시 젖산발효 촉진을 위한 첨가물로 효과가 가장 좋은 것은?

    ❶ 당밀 ② 소금

    ③ 항생물질 ④ 요소

 

[56]. 목초 하고현상의 원인과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은?

    ① 병충해 발생 ② 고온

    ❸ 기계수확 ④ 한발(건조)

 

[57]. 화본과 사료작물의 형태적 특징이 아닌 것은?

    ① 뿌리는 수염모양으로 되어 있다.

    ❷ 잎은 그물맥으로 되어 있다.

    ③ 지면과 접하는 부위에서 곁눈이 생긴다.

    ④ 줄기는 대체로 비어있고 마디가 있다.

 

[58]. 목초 중 식물 분류학상 김의털(Festuceae)족에 속하는 종류는?

    ❶ 톨 페스큐 ② 톨오트 그라스

    ③ 티머시 ④ 리드 카나리그라스

 

[59]. 볏짚의 수거율을 높이고 제조기간을 단축시키며 노동력을 절감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고압증기 처리    ② 가성소다 사용

    ③ 암모니아 처리    ❹ 생볏짚 원형곤포 사일리지 제조

 

[60]. 사료용 옥수수의 건물수량 및 양분수량 면에서 가장 바람직한 이용방법은?

    ① 청예 이용 ② 건초 제조

    ❸ 사일리지 제조 ④ 방목 이용

 

[61]. 사료작물 중에는 생육단계에 따라 가축에게 유해한 청산이 함유되어 있는데 그 작물과 위험수준 이상이 되는 생육시기는?

    ① 옥수수의 유숙기 전후

    ❷ 수단그라스의 초고 40 ~ 50cm 정도일 때

    ③ 수수의 개화기~유숙기일 때

    ④ 펄밀렛이 초고 1m 이상일 때

 

[62]. 사료작물 중 단위면적당 생산성이 가장 높은 초종은?

    ① 호밀 ❷ 옥수수

    ③ 유채 ④ 귀리

 

[63]. 우수한 건초용 사료작물로 말 사료에 많이 이용되는 초종은?

    ❶ 귀리 ② 옥수수

    ③ 유채 ④ 트리티케일

 

[64]. 척박한 토양이고 산도가 강한 산지에 초지를 조성을 할 경우 적합하지 않은 초종은?

    ① 톨 페스큐 ② 리드 카나리그라스

    ③ 오차드그라스 ❹ 페레니얼 라이그라스

 

[65]. 내한성이 약하여 주로 남부지방에서 이용되는 사료작물로 사료가치가 높고 여러 번 수확할 수 있는 초종은?

    ① 호밀 ② 귀리

    ③ 사료용 피 ❹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66]. 사일리지 제조 시 품질을 높이기 위해 여러 가지 첨가물을 이용하는데 양분 보강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첨가물이 아닌 것은?

    ① 당밀 ❷ 개미산

    ③ 밀기울 ④ 요소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5

 

축산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축산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67]. 초지의 오차드그라스가 출수 개화하려면 어떠한 조건이 필요한가?

    ① 최소엽수의 확보만이 필요하다.

    ② 가을의 단일과 저온이 필요하다.

    ③ 고온에서 생육하고 단일이 필요하다.

    ❹ 저온단일을 경과하고 장일이 필요하다.

 

[68]. 사료작물을 청예로 이용할 때 장점이 아닌 것은?

    ① 사일리지나 건초 보다 노력과 비용이 절약된다.

    ② 영양가의 손실을 최대한 방지한다.

    ③ 가축에 의한 식생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❹ 장기간 저장하여 이용할 수 있다.

 

[69]. 목초의 수확적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❶ 화본과의 수확적기는 출수초기이다.

    ② 화본과의 수확적기는 개화기이다.

    ③ 두과의 수확적기는 출뢰기전이다.

    ④ 두과의 수확적기는 등숙기이다.

 

[70]. 콩과목초인 라디노 클로버(Ladino clover)가 속한 종의 학명은?

    ❶ Trifolium repens ② Glycine max

    ③ Lespedeza michx ④ Medicago sative

[71]. 북방형 목초의 하고 현상이 일어나는 시기는?

    ① 봄 ❷ 여름

    ③ 가을 ④ 겨울

 

[72]. 사일리지 제조과정에 관한 순서로 옳은 것은?

    ① 재료준비 → 가압 → 세절 → 충전 및 답압 → 밀봉

    ❷ 재료준비 → 세절 → 충전 및 답압 → 밀봉 → 가압

    ③ 재료준비 → 충전 및 답압 → 밀봉 → 가압 → 세절

    ④ 재료준비 → 밀봉 → 가압 → 세절 → 충전 및 답압

 

[73]. 목초를 채초하여 이용할 때 1번초의 수확적기로 옳은 것은?

    ① 세룰로오스와 리그닌 함량이 최고일 때

    ❷ 화본과 목초는 출수 직전이나 출수기

    ③ 화본과 목초의 재생 기간이 20일 정도일 때

    ④ 건물수량이 최고 일 때

 

[74]. 가축 중 조사료의 이용성이 높아 거친 풀도 잘 섭취하는 축종은?

    ① 육우 ❷ 산양

    ③ 말 ④ 젖소

 

[75]. 수분함량이 많은 두과목초를 가축이 다량 섭취하였을 때 발생하기 쉬운 질병으로 옳은 것은?

    ① 질산중독 ② 청산중독

    ③ 목초테타니병 ❹ 고창증

 

[76]. 초지의 혼파에 있어서 우점종의 조건이 아닌 것은?

    ① 화본과 목초 일 것

    ② 지역의 환경조건에 적응한 품종일 것

    ③ 생산성이 높을 것

    ❹ 재생력이 약할 것

 

[77]. 화본과 목초와 두과 목초의 청예용 수확적기는 각각 언제인가?

    ① 화본과 : 개화기, 두과 : 추뢰전기~출뢰기

    ❷ 화본과 : 출수기, 두과 : 개화초기

    ③ 화본과 : 출수전, 두과 : 출뢰기~개화초기

    ④ 화본과 : 개화기, 두과 : 개화초기~완숙기

 

[78]. 두과 사료작물에 속하는 것은?

    ① 옥수수 ② 티머시

    ❸ 알팔파 ④ 톨 페스큐

 

[79]. 작은 비가 내리거나 습기가 많을 때 가장 적당한 건초 제조방법으로만 나열된 것은?

    ❶ 발효건조법, 화력건조법    ② 자연건조법, 풍력건조법

    ③ 풍력건조법, 발효건조법    ④ 화력건조법, 자연건조법

 

[80]. 건물기준으로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TDN 함량으로 옳은 것은?

    ① 55 ~ 60% ❷ 65 ~ 70%

    ③ 75 ~ 80% ④ 85 ~ 90%

 

[81]. 사료용 옥수수에서 애멸구가 매개하여 발생되는 바이러스성 병해로 옳은 것은?

    ① 깨씨무늬병 ② 그을음무늬병

    ❸ 흑조위축병 ④ 조명나방

 

[82]. 사료작물을 생존년한에 따라 분류할 때 다년생에 속하는 초종은?

    ❶ 톨 페스큐 ② 호밀

    ③ 귀리 ④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83]. 수수나 수단그라스를 청예로 급여할 때 청산중독의 위험이 가장 큰 환경요인은?

    ① 균형 있는 질소 및 인산을 시비한다.

    ❷ 가뭄이 심할 때 수확한다.

    ③ 초고가 100cm 이상 생육하면 수확한다.

    ④ 서리가 오기 전에 수확한다.

 

[84]. 사료작물용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내한성이 약한 편이다

    ❷ 질소 고정능력이 있어 질소비료를 주지않아도 된다.

    ③ 답리작으로 재배가 가능하다.

    ④ 사료가치가 우수하다.

 

[85]. 가축분뇨를 토양에 밑거름으로 살포할 때 지켜야 할 사항으로 옳은 것은?

    ❶ 최소한 파종 15일 전에 살포한다.

    ② 한 번에 모두 살표한다.

    ③ 분뇨의 부숙기간은 2개월 이내로 한다.

    ④ 토양 검정을 하지 않고 반드시 많은 양을 살포한다.

 

[86]. 사일리지는 재료의 종류에 따라 품질이 좌우되는데 젖산발효가 가장 잘되는 사료작물로만 구성된 것은?

    ① 알팔파, 레드 클로버     ② 청예 유채, 배추 잎

    ③ 오차드그라스, 라디노 클로버 ❹ 옥수수, 귀리

 

[87]. 초지의 방목 이용방법으로 가장 효율적인 것은?

    ① 고정방목 ❷ 대상방목

    ③ 계목 ④ 윤환방목

 

[88]. 초지에 가축을 방목할 때 장점이 아닌 것은?

    ① 분뇨의 초지환원이 용이하다.

    ② 풀 섭취량 및 초지이용률이 증가한다.

    ❸ 선택 채식으로 초지식생이 좋아진다

    ④ 예취, 수확 등 노력절감이 가능하다.

 

[89]. 사료용 옥수수를 자가 체종한 종자로 이듬해 재배할 경우 발생하는 가장 큰 문제점은?

    ① 병해 발생이 적고 잘 자란다.

    ❷ 생육이 불량하고 수량이 감소한다.

    ③ 잎이 무성하여 충해가 많아진다.

    ④ 도복이 심하고 품질이 향상된다.

 

[90]. 사료작물의 표준 시비량이 ha당 N : P : K가 각각 200 : 150 : 150kg일 경우에, 옥수수 3ha를 재배하려면 소요되는 요소의 양은?

    ① 약 1000kg ❷ 약 1300kg

    ③ 약 1600kg ④ 약 1900kg

[91]. 고품질 곤포 사일리지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수분함량을 40% 이하로 한다.

    ② 압축은 중요하지 않으므로 느슨하게 곤포한다.

    ③ 비닐을 2겹으로 감는다.

    ❹ 곤포 후 바로 비닐을 감는다.

 

[92]. 사일리지 발효에 유익한 유기산으로 옳은 것은?

    ❶ 젖산 ② 초산

    ③ 낙산 ④ 프로피온산

 

[93]. 사일리지의 품질을 화학적 방법으로 평가했을 때 양질의 사일리지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암모니아태 질소함량이 낮은 것  ❷ 초산함량이 높은 것

    ③ 낙산함량이 낮은 것             ④ 젖산함량이 높은 것

 

[94]. 다년생 목초 또는 재생을 하는 일년생 사료작물의 수확 후 재생을 위한 주요 저장 양분은?

    ❶ 탄수화물 ② 지방

    ③ 비타민 ④ 무기물

 

[95]. 사료작물별 파종시기와 파종량이 잘못 짝지어진 것은?

    ①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 9월 중순 ~ 10월 중순, 40kg/ha

    ② 귀리 : 8월 중하순 또는 3월 상중순, 40kg/ha

    ❸ 청보리 : 10월 하순 ~ 11월 상순, 40kg/ha

    ④ 베치류 : 9월 하순 ~ 10월 상순, 40kg/ha

 

[96]. 가축을 방목할 때 초지의 관리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방목개시 적기는 초고가 25 ~3 0cm 정도일 때 이다.

    ② 방목 간격은 4 ~ 6주 간격을 두고 실시한다.

    ③ 방목 시 잔초의 높이가 5 ~ 6cm 정도일 때 끝낸다.

    ❹ 방목은 서리 내리는 시기에 맞추어 실시한다.

 

[97]. 임간초지의 개량 적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햇빛이 잘 드는 곳이 좋다.

    ② 토양 수분이 풍부한 곳이 좋다.

    ③ 큰 나무가 적당하게 있는 곳이 좋다.

    ❹ 북향의 경사면이 좋다.

 

[98]. 사료작물의 작부체계를 설정하기 위해 작물을 선택할 경우 고려할 사항이 아닌 것은?

    ① 지역의 기상조건    ② 재배작물의 수확시기와 파종시기

    ③ 연중 노동력의 안배 ❹ 만생종 품종의 선택

 

[99]. 초식가축에 조사료를 급여할 때 나타나는 주요 특징으로 옳은 것은?

    ① 반추 시간이 짧아진다.

    ② 초산의 생성 비율이 감소한다.

    ❸ 제 1위 내 침의 혼입이 증가한다.

    ④ 대사 장애가 많이 발생한다.

 

[100]. 초식가축을 사육하기 위하여 호밀을 재배하는 주된 이유가 아닌 것은?

    ① 답리작으로 재배가 용이하다.

    ② 가을 늦게 파종해도 비교적 월동이 가능하다.

    ❸ 늦게 수확하여도 품질이 우수하다.

    ④ 이듬해 봄에 일찍 수확을 할 수 있다.

 

[101]. 사료작물용 귀리의 특성으로 틀린 것은?

    ① 기호성이 좋다.

    ② 줄기에 비하여 잎이 많고 넓어 사료가치가 높다.

    ③ 재배가 쉽고 생육기간이 짧은 단 경기 작물이다.

    ❹ 내한성이 강하다.

 

[102]. 목초의 여왕으로 추위나 한발에 견디는 성질이 강하며, 사료 가치 및 생산성이 높은 두과 목초는?

    ① 버즈풋 트레포일 ② 크림손 클로버

    ③ 화이트 클로버 ❹ 알팔파

 

[103]. 경운초지 조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단기간에 초지 조성의 성과가 높다.

    ② 어린 목초의 정착이 잘된다.

    ③ 불경운초지에 비하여 파종 비용이 더 많이 든다.

    ❹ 목초의 수량 증가가 느리다.

 

[104]. 사료작물인 수단그라스계 교잡종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열대성 작물로 생육에 필요한 온도가 옥수수보다 높다.

    ❷ 다년생 사료작물이다.

    ③ 말에 방광염을 유발시킬 위험성이 있다.

    ④ 청예, 건초, 방목, 사일리지로 이용할 수 있다.

 

[105]. 옥수수 재배 시 질소시비량은 성분량기준으로 ha당 200kg 정도라 하고, 질소 비료로 요소를 사용할 경우 요소의 실제 시비량은? (단, 요소의 질소함량은 46%이다.)

    ① 250 ㎏/ha ② 336 ㎏/ha

    ❸ 435 ㎏/ha ④ 541 ㎏/ha

 

[106]. 목초의 하고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관리방법으로 틀린 것은?

    ① 기비로 퇴비, 석회, 인산의 시비

    ❷ 여름철 예취 후 질소 시비

    ③ 장마 전에 짧게 예취

    ④ 적절한 관계시설

 

[107]. 석회의 역할 중 틀린 것은?

    ① 토양 산도를 교정한다.

    ❷ 질소를 공급한다.

    ③ 토양미생물 활동을 촉진시킨다.

    ④ 칼슘의 공급원으로 이용된다.

 

[108]. 옥수수 파종 시 재식밀도를 지나치게 높게 하였을 때 나타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① 암 이삭의 발육이 미약하다.

    ② 도복이 되기 쉽다.

    ❸ 양분, 수량 면에서는 유리하다.

    ④ 이삭이 생기지 않는 그루가 생긴다.

 

[109]. 밤나방과 나비목에 속하는 해충으로 5월 하순과 6월 중순에 가장 많이 발생하며, 옥수수 등 화본과 목초에 피해를 주는 해충은?

    ① 진딧물 ❷ 멸강나방

    ③ 혹명나방 ④ 애멸구

 

[110]. 건초 조제 중에는 여러 가지 손실이 있으나 특히 두과 목초에서 양분손실이 가장 큰 것은?

    ❶ 잎의 탈락에 의한 손실

    ② 발효, 일광조사 및 공기 접촉에 의한 손실

    ③ 강우에 의한 손실

    ④ 식물의 호흡에 의한 손실

 

[111]. 다음 중 사일리지 발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아닌 것은?

    ① 수용성 탄수화물 ❷ 불용성 인산

    ③ 수분함량 ④ 재료의 절단 및 진압

 

[112]. 초지 조성 시 혼파의 장점이 아닌 것은?

    ① 영양분과 기호성이 높은 양질의 사료를 생산한다.

    ② 공간의 효과적 활용으로 광이용성이 향상된다.

    ❸ 파종하기가 쉬워진다.

    ④ 초종 간 경합을 경감시킨다.

 

[113]. 임간 초지의 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수분함량이 높아 발아와 정착이 양호하다.

    ② 여름철 하고의 피해를 줄일 수 있다.

    ③ 목책 설치비용이 절감된다.

    ❹ 광합성이 촉진되어 목초수량이 증가한다.

 

[114]. 초지가 환경개선에 기여하는 효과 중 가장 관계가 없는 것은?

    ① 수자원을 보호한다. ② 경관을 좋게 한다.

    ③ 공기를 정화시킨다. ❹ 병해충을 방제한다.

 

[115]. 사료작물 재배 시 바람직한 가축분뇨 이용방법이 아닌 것은?

    ❶ 화학비료와는 달리 많이 시용할수록 좋다.

    ② 잘 부숙된 퇴비나 액비를 사용하여야 한다.

    ③ 분뇨 시용 후 일정 기간이 지난 후 작물을 파종한다.

    ④ 악취로 인한 피해를 줄이는 사용방법을 택하여야 한다.

 

[116]. 초지에서 질소의 증가요인이 아닌 것은?

    ① 빗물에 용해되어 있는 질소

    ❷ 암모니아의 기화

    ③ 공생적 질소고정

    ④ 유기물 또는 질소비료의 시용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5

 

축산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축산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117]. 건초의 수분함량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❶ 15% 이하 ② 20 ~ 25%

    ③ 30 ~ 35% ④ 40 ~ 45%

 

[118]. 다음 목초 중 근계가 잘 발달되어 있기 때문에 가뭄에 잘 견디며, 습지에 생육이 강하고, 뿌리가 방석형 형태인 초종은?

    ❶ 리드카나리그라스 ② 오차드그라스

    ③ 티머시 ④ 퍼레니얼라이그라스

 

[119]. 일반 사일로에서 옥수수 사일리지를 만들 때 옥수수의 수확적기는?

    ① 유숙기 ❷ 황숙기

    ③ 완숙기 ④ 고숙기

 

[120]. 다음 중 건초의 품질 평가 기준이 아닌 것은?

    ① 녹색도 ② 잎의 비율

    ❸ 생산지 ④ 수분함량

 

[121]. 가을철 목초 파종적기로 가장 옳은 것은?

    ① 일평균기온이 0℃ 되는 날로부터 30~40일 전

    ❷ 일평균기온이 5℃ 되는 날로부터 60~80일 전

    ③ 일평균기온이 20℃ 되는 날로부터 60~80일 전

    ④ 일평균기온과 관계없다.

 

[122]. 목초의 여왕으로 불리며 생산력이 뛰어난 다년생 두과 목초로 단백질 함량이 높으며 건초, 생초, 사일리지, 방목 등 다양하게 이용되는 목초는?

    ① 화이트 클로버 ② 레드클로버

    ③ 크림슨클로버 ❹ 알팔파

 

[123]. 다음 중 옥수수의 사일리지 1차 수확적기는?

    ① 유숙기 ❷ 황숙기

    ③ 완숙기 ④ 고숙기

 

[124]. 2ha의 목구에서 500kg 홀스타인 착유우 20두와 300kg 육성우 10두가 방목 되었다면 이 목구의 ha당 가축단위(Animal Unit, AU)는 얼마인가?

    ① 10 AU ❷ 13 AU

    ③ 15 AU ④ 20 AU

 

[125]. 지형을 바꾸지 않고 경사대로 경운하는 경우조성 공법의 종류는?

    ① 발굽갈이법 ② 계단공법

    ③ 개량산성공법 ❹ 산성공법

 

[126]. 다음 중 가축의 답압에 가장 약한 축종은?

    ❶ 톨오트그라스 ② 화이트클로버

    ③ 페레니얼라이그라스 ④ 벤트그라스

 

[127]. 목초의 혼파재배 시 유리한 점이 아닌 것은?

    ❶ 목초관리가 쉽고 초종간 경합이 줄어든다.

    ② 토양의 비료성분을 더욱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③ 혼파 목야지의 산초량이 시기적으로 평준화 된다.

    ④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128]. 다음 중 화이트클로버 작물의 학명은?

    ① Loctus corniculatus L. ② Bromus inermis L.

    ③ Phleum pratense L. ❹ Trifolium repens L.

 

[129]. 다음 중 난지형에 영년생 사료작물로만 짝지어진 것은?

    ① 옥수수, 오차드그라스, 귀리

    ❷ 버뮤다그라스, 댈러스그라스, 기나그라스

    ③ 수단그라스, 티머시, 알팔파

    ④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페레니얼 라이그라스, 매듭풀

 

[130]. 다음 중 산성토양에서 가장 약한 작물은?

    ① 수단그라스 ❷ 알팔파

    ③ 레드톱 ④ 완두

 

[131]. 영양 생장기관에 의한 클로버의 식별요령으로 잎이 길쭉하며 흰무늬가 있고, 잔털이 많은 초종은?

    ❶ 레드 클로버(red clover)

    ② 크림손 클로버(crimson clover)

    ③ 화이트 클로버(white clover)

    ④ 알사이크 클로버(alsike clover)

 

[132]. 다음의 사일로 중에서 양분 이론적으로 손실이 가장 적은 사일로는?

    ① 벙커 사일로 ② 트렌치 사일로

    ❸ 기밀 사일로 ④ 스테그 사일로

 

[133]. 화본과 사료작물의 형태적 특징 중 “지상에 나와 수평으로 기어가는 줄기”를 의미하는 것은?

    ❶ 포복경 ② 지하경

    ③ 제1차근 ④ 분얼경

 

[134]. 다음 중 사일리지 옥수수의 수확 적기는?

    ① 옥수수 수염이 나오기 시작한 후부터 10~20일째

    ❷ 옥수수 수염이 나오기 시작한 후부터 50~55일째

    ③ 옥수수 수염이 나오기 시작한 후부터 70~80일째

    ④ 옥수수 수염이 나오기 시작한 시기

 

[135]. 다음 중 다년생 사료작물은?

    ❶ 티머시 ②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③ 옥수수 ④ 헤어리베치

 

[136]. 화본과 목초의 예취적기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❶ 화본과 목초는 출수초기가 예취적기이다.

    ② 2번초 이후의 예취적기는 황숙기이다.

    ③ 생육단계와 무관하게 30일 간격으로 예취한다.

    ④ 파종 후 90일 전후이다.

 

[137]. 다음 중 목초 및 사료작물의 이용에 따른 분류로 맞지 않는 것은?

    ❶ 수확용 ② 청예용

    ③ 방목용 ④ 사일리지용

 

[138]. 작물을 윤작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점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토지의 이용성을 높인다.

    ② 지력을 유지, 증진시킬 수 있다.

    ③ 노력을 합리적으로 분배할 수 있다.

    ❹ 잔비량이 감소한다.

 

[139]. 다음 중 목초 생육에 대한 칼륨비료의 역할로 옳은 것은?

    ① 목초의 초기생육을 촉진하며 단백질 합성에 필수적이다.

    ② 토양 중에서 유식되기 쉽고 많이 시비하면 도장을 한다.

    ③ 두과목초의 질소고정에 필요한 다량원소이다.

    ❹ 추위에 대한 내성을 높이며 가뭄에 대한 저항성을 준다.

 

[140]. 다음 중 경운용 작업기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도저 ❷ 쟁기

    ③ 해로우 ④ 레이크

 

[141]. 다음 사료작물 중에서 가장 짧은 기간에 재배이용이 가능한 작물은?

    ① 호밀 ② 총체보리(청보리)

    ❸ 귀리(연맥) ④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142]. 사료작물 중 사초용 수수잡종은 어떻게 이용하는 것이 사료로서 가장 적합한가?

    ① 방목 ② 건초

    ③ 청예 ❹ 사일리지

 

[143]. 옥수수 흑조위축병(검은줄오갈벼)의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서늘한 지역에서 황숙기에 발병

    ❷ 애멸구가 옮기는 바이러스병

    ③ 잎에 흑색반점이 발생하는 점균병

    ④ 멸강나방 가해 후 발생하는 검은 곰팜이병

 

[144]. 콩과목초인 라디노 클로버(Ladino clover)가 속한 종의 학명은?

    ❶ Trifolium repens ② Glycine max

    ③ Lespedeza michx ④ Medicago sative

 

[145]. 다음 중 우리나라 남부지방의 답리작에 알맞으며, 특히 기호성과 수량이 높은 사료 작물은?

    ① 연맥 ② 호밀

    ③ 보리 ❹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146]. 벼과(화본과) 목초의 생육시기와 수량 및 영양성분과의 관계 중 생육시기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만 구성된 것은?

    ① 조섬유, 단백질 ② 리그닌, 단백질

    ❸ 생산량, 조섬유 ④ 조지방, 단백질

 

[147]. 주로 가뭄이 지속되는 해 5~6월경 옥수수를 비롯한 벼과(화본과) 목초에 큰 피해를 줄 수 있는 해충은?

    ❶ 멸강나방 ② 검정풍뎅이

    ③ 애멸구 ④ 진딧물

 

[148]. 경운초지 조성 방법의 장점이 아닌 것은?

    ① 경운을 하여줌으로서 자연식생의 제거가 가능하다.

    ② 짧은 기간 동안에 생산성이 높은 초지조성이 가능하다.

    ❸ 갈아엎지 않기 때문에 토양침식의 위험이 적다.

    ④ 목초를 수확할 때 기계작업이 가능하다.

 

[149]. 생육 중에 있는 어린 수단그라스계 잡종을 청예(靑刈)나 방목용으로 이용할 때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① 아플라톡신 중독 ❷ 청산 중독

    ③ 고시폴(gossypol) 중독 ④ 셀레늄 중독

 

[150]. 사초는 생존년한에 따라 다년생, 2년생, 월년생, 1년생으로 구분한다. 다음 중 다년생 콩과(荳科) 목초는?

    ① red clover ② sweet clover

    ③ alsike clover ❹ white clover

 

[151]. 태양열을 이용하며 공기의 유통을 좋게 하는 건초 조제 방법으로 천일건조법이라고 하는 것은?

    ❶ 포장 건조법 ② 가상 건조법

    ③ 발표 건조법 ④ 반발효 건조법

 

[152]. 사료작물의 건초제조에 알맞은 시기가 부적합한 것은?

    ① 라디노클로버 : 10~50%의 꽃이 필 때

    ❷ 오차드그라스 : 열매 맺는 시기(결실기)

    ③ 레드클로버 : 첫 꽃~25% 꽃이 필 때

    ④ 호밀 ·연맥 : 유숙기~연호숙기

 

[153]. 방목지에서 가축의 목양력을 계산할 때 가축단위 방목일의 단위가 있다. 10ha에 착유우 젖소(약 500kg) 20두를 30일간 방목할 때 가축단위 방목일(LUGD)은 얼마인가?

    ① 30일 ❷ 60일

    ③ 120일 ④ 180일

 

[154]. 초지조성 시 산성 토양의 산도교정을 위해 주로 사용하는 토양 개량제 성분은?

    ① 질소 ② 인산

    ③ 칼리 ❹ 석회

 

[155]. 방목지 3ha에 500kg의 착유우 12두와 300kg의 육성우 10두를 방목시키면 이 목구의 방목밀도(放牧密度)는?

    ① 3 가축두수/ha ❷ 6 가축두수/ha

    ③ 9 가축두수/ha ④ 12가축두수/ha

 

[156]. 다음 중 낙농가에서 청예용으로 가장 많이 이용하는 사료작물은?

    ① 고구마 ② 호박

    ③ 무 ❹ 연맥

 

[157]. 콩과(荳科) 사료 작물의 형태적 특징으로 옳은 것은?

    ① 뿌리는 수염 모양의 섬유근이다.

    ② 잎은 잎집, 잎몸 및 잎혀 등으로 구성된다.

    ③ 화서는 수상화서, 원추화서 등이 있다.

    ❹ 잇몸의 엽맥은 그물 모양이다.

 

[158]. 다음 중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적절한 절단 길이는?

    ❶ 1~2cm ② 3~4cm

    ③ 5~6cm ④ 7~8cm

 

[159]. 초지는 방목 후 청소베기를 해주는 것이 좋다. 다음 중 청소베기 효과와 거리가 먼 것은?

    ① 잡초 발생을 줄인다.

    ② 기호성을 높일 수 있다.

    ③ 불식과번초(不食過繁草)를 줄인다.

    ❹ 벼과(科)의 비율을 감소시킨다.

 

[160]. 사료작물의 기상 생태학적 분류에서 난지형 작물로만 짝지어진 것은?

    ① 오처드그라스, 티머시, 톨 페스큐

    ② 호밀, 귀리, 보리

    ③ 자운영, 헤어리벳치,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❹ 수단그라스, 수수, 옥수수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5

 

축산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축산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5

 

축산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축산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0]. 필수 아미노산인 페닐알라닌을 대체할 수 있는 것은?

    ❶ 타이로신(tyrosine) ② 시스틴(cystine)

    ③ 프롤린(proline) ④ 알라닌(alaninr)

 

[1]. 수용성 비타민 중 쌀겨와 밀기울 같은 곡류부산물에 많이 있으며, 결핍 시 다발성 신경염인 각약증과 맥박 수 감소 증상 등이 나타나는 물질은?

    ❶ 티아민 ② 리보플라빈

    ③ 니코틴산 ④ 판토텐산

 

[2]. 일반 조성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조단백질 ② 가용무질소물

    ③ 조섬유 ❹ 세포벽물질(CWC)

 

[3]. 다음 자료 중 조단백질 함량이 가장 높은 것은?

    ① 채종박 ❷ 대두박

    ③ 아마박 ④ 이자박

 

[4]. 강정 사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❶ 교배하기 전에 에너지 섭취량을 증가시켜 주는 것

    ② 교미 전에 휴식시키는 것

    ③ 시장에 출하하기 직전에 비육하는 것

    ④ 도살 직전에 급여 및 급수를 중단하는 것

 

[5]. 지용성 비타민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비타민 A ❷ 비타민 B

    ③ 비타민 D ④ 비타민 E

 

[6]. 수용성 비타민이 체내에서 생합성되기 때문에 사료에 비타민을 필수적으로 공급해 줄 필요가 없는 동물은?

    ① 닭 ❷ 소

    ③ 개 ④ 돼지

 

[7]. 위에서 주로 분비되는 단백질 분해 효소는?

    ❶ 펩신(pepsin)

    ② 아밀라아제(amylase)

    ③ 트립신(trypsin)

    ④ 카르복시펩티다아제(carboxypeptidase)

 

[8]. 소의 복부 왼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내부는 근대에 의하여 배낭, 복낭으로 나뉘고 2개의 후맹낭으로 이루어진 위는?

    ❶ 제1위 ② 제2위

    ③ 제3위 ④ 제4위

 

[9]. 가축이 탄수화물을 소화하는 데 관여하는 요소는?

    ① 리파아제(lipase)

    ② 프로테아제(protease)

    ❸ 아밀라아제(amylase)

    ④ 펩티다아제(pepticdase)

 

[10]. 사료의 소화율을 간접 방법으로 평가할 때 외부 지시제(external marker)로 사용되는 물질은?

    ① 리그닌 ② 크로모겐

    ③ 실리카 ❹ 산화크롬

[11]. 유지율이 3.5%인 우유 40kg을 유지율보정유(FCM)로 환산한 값은?

    ① 33kg ② 35kg

    ❸ 37kg ④ 39kg

 

[12]. 70%의 총 TDN(가소화 영양분)을 함유한 대두박과, 84%의 TDN을 함유한 옥수수를 배합하여 TDN 함량이 78%인 사료를 만들고자 할 때, 대두박과 옥수수를 각각 몇 %씩 섞어야 하는가?

    ① 대두박:57.14%, 옥수수:42.86%

    ② 대두박:41.98%, 옥수수:58.02%

    ③ 대두박:58.02%, 옥수수:41.98%

    ❹ 대두박:42.86%, 옥수수:57.14%

 

[13]. 포유자돈을 조기 이유시키는 주원인은?

    ❶ 이유 후 모돈의 재발정이 빨리 오기 때문

    ② 자돈의 사료비가 절약되기 때문

    ③ 자돈의 관리가 쉬워지기 때문

    ④ 자돈의 설사병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

 

[14]. 돼지의 체중 범위 중 단백질 요구량이 가장 적은 것은?

    ① 5~10kg ② 10~20kg

    ③ 20~50kg ❹ 100~150kg

 

[15]. 육계의 체중이 1~2kg일 때 사료 요구율이 2.2라면, 체중이 1kg인 육계 100마리가 체중이 2kg까지 자라는 데 소요되는 사료의 양은?

    ① 100kg ② 150kg

    ③ 200kg ❹ 220kg

 

[16]. 영년생 화본과 목초가 아닌 것은?

    ❶ 이탈리안라이그라스 ② 오차드그라스

    ③ 티모시 ④ 톨페스큐

 

[17]. 영양소의 활성흡수(active transport)작용에 해당되는 것은?

    ① 농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

    ② 수소펌프의 작용에 의한 이동

    ❸ 포도당이나 L-아미노산의 흡수

    ④ 중간매개물(carrier)의 필요없이 직접 흡수

 

[18]. 사일리지의 질을 향상시키는 첨가제가 아닌 것은?

    ① 소금 ② 당밀

    ③ 요소 ❹ 실리카

 

[19]. 소의 생체 중에서 가장 늦게 성장하는 부위는?

    ① 머리 ② 목

    ③ 가슴 ❹ 허리

 

[20]. 면실박의 사료적 가치를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① 단백질 함량이 약 35% 정도이다.

    ② 면실박에는 고시폴이라는 성분이 있다.

    ❸ 닭사료에는 사용량의 제한이 없다.

    ④ 소사료에 면실박은 타가축사료보다 안전하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5

 

축산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축산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21]. 돼지는 뼈, 근육, 지방의 발육과정이 품종 간에 차이가 있으며 이를 베이컨형과 라드형으로 구분할 때 틀리게 연결된 것은?

    ① 라드형 - 듀록종         ② 베이컨형 – 대 요크셔종

    ❸ 라드형 - 랜드레이스종   ④ 라드형 – 버크셔종

 

[22]. 고능력 젖소에 있어서 건유기 사양관리의 중요성으로 틀린 것은?

    ❶ 비유기관의 활성유지

    ② 임신중인 태아의 성장

    ③ 비유기 모체 영양손실의 회복

    ④ 다음 착유기간을 위한 영양축적

 

[23]. 일반적인 사양조건에서 자돈이 빈혈에 걸리기 쉬운 이유는 어미젖 중에 특히 어느 미량 광물질이 부족하기 때문인가?

    ❶ 철분(Fe) ② 요오드(I)

    ③ 아연(Zn) ④ 셀레늄(Se)

 

[24]. 강피류가 아닌 것은?

    ① 소맥피 ② 대두피

    ③ 쌀겨 ❹ 옥수수글루텐

 

[25]. 채종박에 들어 있는 유해물질은?

    ① 리나마린(Linamarin)

    ② 고시폴(Gossypol)

    ❸ 글루코시놀레이츠(Glucosinolates)

    ④ 마이로시네이즈(Myrosinase)

 

[26]. 사료의 에너지 평가법과 관계가 없는 것은?

    ① 가소화총영양소(TDN) ② 대사에너지(ME)

    ③ 전분가(SV) ❹ 생물가(BV)

 

[27]. 제과제빵부산물을 이용하여 한육우의 섬유질배합사료를 제조할 때 과다함유로 인해 설사발생이 우려되는 성분으로만 나열된 것은?

    ① 비타민, 단백질 ② 단백질, 소금

    ❸ 소금, 지방 ④ 지방, 비타민

 

[28]. 사료 내 단백질의 영양적 특성을 결정짓는 것은?

    ❶ 아미노산 조성 ② 각 비타민 함량

    ③ 각 미네랑 함량 ④ 지방산 조성

 

[29]. 돼지사양에 있어 포유자돈의 3대 사양원칙은?

    ❶ 온난, 건조, 청결

    ② 철분, 단백질, 탄수화물

    ③ Ca과 P, Fe과 Cu, Vitamin

    ④ Choline, Carotene, Niacin

 

[30]. 단백질의 소화와 관련이 없는 효소는?

    ① 펩신 ② 트립신

    ③ 키모트립신 ❹ 아밀라아제

[31]. 수분 70%인 생고구마인 조단백질 함량이 2.0%이면, 이 생고구마의 수분을 10%로 건조시켰을 때의 조단백질 함량은?

    ① 5.5% ❷ 6.0%

    ③ 6.5% ④ 7.0%

 

[32]. 조단백질 함량이 9%인 옥수수와 조단백질 함량이 33%인 농후사료를 이용하여 조단백질 함량이 15%인 육성비육우 사료를 만들려고 한다면, 옥수수와 농축사료의 배합비율은?

    ① 33(옥수수) : 9(농축사료)  ② 9(옥수수) : 33(농축사료)

    ❸ 18(옥수수) : 6(농축사료)  ④ 6(옥수수) : 18(농축사료)

 

[33]. 초유가 일반 우유에 비하여 함유량이 낮은 성분은?

    ❶ 유당 ② 면역글로블린

    ③ 칼슘 ④ 단백질

 

[34]. 가축의 사료 중 비중이 가장 무거운 것은?

    ① 비육우 ② 착유우

    ③ 비육돈 ❹ 산란계

 

[35]. 육우의 산육능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사료섭취량 감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❶ 사료중 가소화에너지 농도가 낮을 때

    ② 환경온도가 너무 높을 때

    ③ 음수량이 부족할 때

    ④ 사료중 인(P)함량이 부족할 때

 

[36]. 육우사료에 결핍될 경우 그래스 테타니(grass tetany)를 유발하는 광물질은?

    ① 칼륨 ② 황

    ❸ 마그네슘 ④ 셀레늄

 

[37]. 결핍 시 산란계의 산란율과 부화율저하, 돼지의 피부각질화와 백내장 현상 등의 증세를 유발하는 수용성 비타민은?

    ① 티아민(Thiamine) ❷ 리보플라빈(Riboflavin)

    ③ 나이아신(Niacin) ④ 바이오틴(Biotin)

 

[38]. 다음 중 반추가축의 조단백질원으로 특성이 다른 하나는?

    ❶ 라이신 ② 요소

    ③ 뷰렛 ④ 암모닝아

 

[39]. 다음 중 육우의 비육밑소로 선발 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피부가 두꺼운 것

    ❷ 갈비뼈가 충분히 개장되고 간격이 넓은 것

    ③ 요각폭이 좁고 경사진 것

    ④ 엉덩이가 넓고 길며 경사가 심한 것

 

[40]. 사료로 섭취한 칼슘(Ca)과 인(P)이 흡수를 증가시키는데 관여하는 비타민은?

    ① 비타민 A ② 비타민 B

    ③ 비타민 C ❹ 비타민 D

 

[41]. 다음 주 반추가축에서 에너지가(價)가 가장 낮은 것은?

    ① 대사에너지 ❷ 정미에너지

    ③ 가소화에너지 ④ 총에너지

 

[42]. 동물복지문제가 대두되면서 수송아지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한다는 측면에서 권장되고 있는 거세방법은?

    ① 고무링법 ② 무혈거세법

    ③ 화학적 거세 ❹ 외과적 수술법

 

[43]. 단백질 원료 사료가 아닌 것은?

    ① 호마박 ② 어분

    ❸ 타피오카 ④ 대두박

 

[44]. 반추가축의 사료 내 탄수화물 성분 중에서 가장 소화되기 어려운 것은?

    ① 헤미셀룰로오스 ② 전분

    ❸ 리그닌 ④ 셀룰로오스

 

[45]. 다음 중 체내에서 완전 산화할 때 대사수 생성량이 가장 많은 것은?

    ① 1g의 glycerol ② 1g의 glucose

    ❸ 1g의 stearic acid ④ 1g의 glutamic acid

 

[46]. 모돈 사육 시 영양소 요구량이 가장 높은 시기는?

    ① 임신전기 ② 임신후기

    ❸ 포유기 ④ 종부기

 

[47]. 염산(HCl)을 분비하는 닭의 소화기관은?

    ① 소나 ❷ 선위

    ③ 근위 ④ 소장

 

[48]. 단백질 함량이 약 42~48%이며 참깨를 가공하고 남은 부산물은?

    ① 임자박 ② 채종박

    ❸ 호마박 ④ 아마박

 

[49]. 이상적인 육용형, 돼지의 체형이 아닌 것은?

    ① 체장이 길고 체심이 깊다.  ❷ 어깨가 좁고 흉폭이 얕다.

    ③ 발목이 짧고 탄력이 있다.  ④ 엉덩이가 넓고 깊다.

 

[50]. 돼지의 분만 전·후 주요 관리사항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① 분만 전까지 변비를 철저히 예방한다.

    ❷ 분만직후 사료급여량을 증대시켜 비유량을 향상시킨다.

    ③ 분만 전·후 신생자돈을 위한 청정관리를 해야 한다.

    ④ 분만 당일 절식 또는 감량이 바람직하다.

[51]. 젖소에 주로 발생하는 대사성질병으로 대부분 분만 시나 분만직후에 발생하며 혈액 내 칼슘 부족 등에 의한 순환장애, 전신마비, 의식불명 등의 증상을 보이는 질병은?

    ❶ 유열 ② 케톤증

    ③ 요소중독 ④ 산중독증

 

[52]. 갓 태어난 송아지의 초유급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초유급여기간은 3~5일 이다.

    ② 1일 2~3회 포유시킨다.

    ③ 체중의 8~10%를 급여한다.

    ❹ 초유 부족 시 일반우유를 보충 급여한다.

 

[53]. 유지율 4.5%인 우유 20kg을 4% FCM으로 보정하면 얼마인가?

    ① 15.5kg ② 18.5kg

    ❸ 21.5kg ④ 24.5kg

 

[54]. 곡류사료의 영양적 특성이 아닌 것은?

    ① 에너지 함량이 높다. ② 단백질 함량이 낮다.

    ③ 소화율이 높다. ❹ Ca, P 함량이 높다.

 

[55]. 산란계 사육 시 지방계 발생을 방지하는 요령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산란계 기별사양을 실시한다.

    ② 다산계를 선택한다.

    ③ 녹사료를 급여한다.

    ❹ 케이지 사양을 실시한다.

 

[56]. 다음 강피류사료 중 지방 함량이 가장 높은 것은?

    ① 밀기울 ❷ 미강

    ③ 맥강 ④ 옥수수겨

 

[57]. 단백질 함량이 가장 높은 사료는?

    ① 어분 ② 대두박

    ❸ 혈분 ④ 맥주박

 

[58]. 가용무질소물(NFE)에 해당되는 것은?

    ① 단백질 ② 지방

    ③ 섬유소 ❹ 전분

 

[59]. 콜레스테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모든 조직에서 합성된다.

    ② 담즙산의 전구물질이다.

    ③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전구물질이다.

    ❹ 지방을 많이 섭취할수록 콜레스테롤 합성이 감소한다.

 

[60]. 흡수된 단백질이 실제 동물 체내에서 축적된 비율을 표시하는 용어는?

    ① 단백질 대체가 ❷ 생물가

    ③ 가소화 조단백질 ④ 영양률

 

[61]. 일반적인 육계의 성장 및 사료섭취에 대한 특성이 아닌 것은?

    ❶ 다른 조류와 같이 닭의 성장률은 일정하다.

    ② 수컷은 암컷보다 성장률이 좋다.

    ③ 주령이 높을수록 사료섭취량이 늘어난다.

    ④ 주령이 높을수록 암.수의 체중차이가 커진다.

 

[62]. 젖소가 1일 조단백질 함량이 8%인 옥수수 사일리지를 25kg 먹고, 30kg의 분을 배설하였다. 배설분 중 조단백질 함량이 2%일 경우 이 사료의 조단백질 소화율은?

    ① 68% ❷ 70%

    ③ 72% ④ 74%

 

[63]. 옥수수로 전분 또는 포도당을 만들 때 부산물로 나오는 것은?

    ① 당밀 ② 전분박

    ❸ 글루텐피드 ④ 주정박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5

 

축산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축산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64]. 구제역(릉)dp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① 소, 돼지, 면양 등 우제류 가축에서 주로 발생한다.

    ② 혀, 입술, 발굽 등에 수포가 발생한다.

    ❸ 탈수, 패혈중 및 복부 팽만 증상을 보인다.

    ④ 법정 1종 전염병으로 구제역 바이러스가 병원체이다.

 

[65]. 체내에서 지방과 함께 흡수되는 비타민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비타민 A ❷ 비타민 B

    ③ 비타민 D ④ 비타민 E

 

[66]. 비타민의 종류와 주요기능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① 비타민 A – 항산화체

    ② 비타민 D – 야맹증 치료

    ③ 비타민 E – 칼슘과 인의 대사

    ❹ 비타민 K – 혈액응고

 

[67]. 반추동물이 섭취한 탄수화물은 반추위내 미생물에 의하여 대부분 휘발성지방산(VFA)으로 전변되는데 이 중에서 포도당합성에 이용되는 휘발성지방산은?

    ❶ 프로피온산 ② 초산

    ③ 낙산 ④ 젖산

 

[68]. 비육돈(50~110kg) 사료(풍건물 90% 기준)의 적정 단백질 함량은?

    ① 8 ~ 11% ❷ 12 ~ 16%

    ③ 17 ~ 20% ④ 21 ~ 24%

 

[69]. 가축의 필수아미노산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히스티딘(histidine) ② 발린(valine)

    ③ 아르기닌(arginine) ❹ 알라닌(alanine)

 

[70]. 닭의 소화기관 중 단단한 곡류사료를 기계적으로 부수고 섞는 역할을 하는 것은?

    ① 식도 ② 선위

    ❸ 근위 ④ 소낭

[71]. 곡류와 대두박 중심의 양돈 사료에 있어서 가장 결핍되기 쉬운 필수아미노산은?

    ① 류신(leucine) ② 발린(valine)

    ③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❹ 라이신(lysine)

 

[72]. 영양률(NR: Nutritive ratio)을 나타내는 공식으로 맞는 것은?

    ① (가소화단백질+가소화조섬유×2.25) / 가소화탄수화물

    ② (가소화조섬유+가소화지방×2.25) / 가소화탄수화물

    ③ (가소화단백질+가소화지방×2.25) / 가소화탄수화물

    ❹ (가소화탄수화물+가소화지방×2.25) / 가소화단백질

 

[73]. 옥수수와 대두박을 주로 배합한 사료를 급여할 경우 결핍되기 쉬운 제1제한 아미노산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1,2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❶ 메티오닌 ② 라이신

    ③ 이소루신 ④ 트레오닌

 

[74]. 한우 수소 거세의 목적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❶ 발육양호 ② 웅취제거

    ③ 성질온순 ④ 사양관리용이

 

[75]. 수분함량이 12%인 사료의 건물섭취량이 13kg이라면 실제 가축이 섭취한 양은?

    ❶ 약 14.8kg ② 약 15.8kg

    ③ 약 16.8kg ④ 약 17.8kg

 

[76]. 가축을 초지에 방목할 때 부족하면 초성강직성(grass tetany) 발생과 관련이 있는 무기물로만 나열된 것은?

    ① Ca, Fe ❷ Ca, Mg

    ③ Mg, Cu ④ Fe, Co

 

[77]. 반추가축의 제1위 내에서 소화된 탄수화물이 미생물의 체조직 합성에 이용되는 비율은?

    ① 3 ~ 6% ② 7 ~ 9%

    ❸ 10 ~ 20% ④ 55 ~ 65%

 

[78]. 가축에 있어서 사료의 소화율에 영향을 주는 일반적인 요인이 아닌 것은?

    ① 가축의 종류 및 연령

    ❷ 계절 ( 봄, 여름, 가을, 겨울)

    ③ 사료의 종류 및 급여량

    ④ 사료의 분쇄, 세절 가열 등 가공방법

 

[79]. 산란계의 강제환우 방법이 아닌 것은?

    ① 절식에 의한 방법

    ② 절수에 의한 방법

    ③ 일조시간 조절에 의한 방법

    ❹ 환경온도 조절에 의한 방법

 

[80]. 체종박에 들어있는 유해물질인 항영양인자는?

    ① Lectins ❷ Glucosinolates

    ③ Saponins ④ Trypsin inhibitors

 

[81]. 아미노산은 탄수화물 분해과정 TCA 회로의 여러 중간대사물질로 활용되는데 TCA 회로 중 acetoacetyl - CoA의 중간 대사물질이 아닌 아미노산은?

    ① 페닐알라닌(phenylanine) ② 라이신(lysine)

    ③ 트립토판(tryptopfan) ❹ 메치오닌(methionine)

 

[82]. 산란계의 산란 1기의 특징이 아닌 것은?

    ❶ 단백질요구량은 점점 감소한다.

    ② 체중은 고유한 체중으로 성숙한다.

    ③ 산란율이 85% ~ 90%로 증가하는 시기이다.

    ④ 계란의 무게도 40 ~ 56g 이상으로 증가하는 시기이다.

 

[83]. 가축 사료급여 시 비타민의 공급량이 증가해야 할 요인 중 틀린 것은?

    ① 사료의 에너지와 단백질함량이 너무 높을 때

    ② 자기분식성(自己糞食性)이 억제될 때

    ❸ 지방 함량이 낮거나 포화지방산의 비율이 높을 때

    ④ 밀집 사양 등에 의한 스트레스가 증가할 때

 

[84]. 면실박에 함유되어 많이 급여하면 가축의 건강에 나쁜 영향을 주는 물질은?

    ① 항트립신인자(trypsin inhibitor)     ❷ 고시풀(gossypol)

    ③ 글루코시로 네이트 (glucosinolate)  ④ 맥각균(ergot)

 

[85]. 젖을 뗀 어미돼지는 몸이 쇠약해져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영양소의 불균형을 해소하거나 보충하여 영양상태를 개선시키기 위한 사양관리 방법은?

    ① 제한사양 ② 자유채식

    ❸ 강정사양 ④ 계단사향

 

[86]. 지방산 합성에 필요한 기본단위와 영양물질은?

    ❶ 말로니코에이(malonyl-CoA), 바이오틴(biotin)

    ② β - 산화( β - oxidation), 바이오틴(biotin)

    ③ 말로니코에이(malonyl - CoA), 나이아신(niacin)

    ④ β - 산화( β - oxidation), 나이아신 (niacin)

 

[87]. 단백질의 소화흡수 과정에서 음세포작용(pinocytosis)에 의해서 흡수되는 영양소는?

    ① 에리트로스(erythrose)

    ② 아라반(araban)

    ③ 디옥시리보오스(deoxyribose)

    ❹ 면역글로불린(immunoglobulin)

 

[88]. 다음 중 단백질의 평균 질소 함유량으로 가장 옳은 것은?

    ❶ 16% ② 18%

    ③ 20% ④ 22%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5

 

축산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축산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89]. 한우 번식우에서 번식관리지표 중 옳은 것은?

    ① 평균 공태일수 120 ~ 130일

    ② 분만 후 첫 수정 평균일수 90 ~ 100일

    ❸ 평균 분만간격 12 ~ 13개월

    ④ 임신에 필요한 평균 수정횟수 4 ~ 5회

 

[90]. 산란계의 점등관리 방법이 아닌 것은?

    ❶ 인공간헐 점등법 ② 일정시기 점등법

    ③ 점감 점등법 ④ 자연일조 점등법

 

[91]. 번식돈의 평균 임신기간은?

    ① 90일 ② 102일

    ❸ 114일 ④ 150일

 

[92]. 청예로 급여 시 청산이 소량 함유되어 중독을 일으킬 수 있는 사료 작물은?

    ① 옥수수  ② 호밀

    ③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❹ 수단그라스

 

[93]. 산란계 사료의 적정한 칼슘 함량은?

    ① 1.5% ② 2.5%

    ❸ 3.5% ④ 4.5%

 

[94]. 육계사육에 있어서 5주령의 예상되는 평균 사료 요구율은 약 어느 정도인가?

    ① 1.0 ❷ 2.0

    ③ 3.0 ④ 4.0

 

[95]. 식육의 육색과 관련이 있는 성분은?

    ❶ 미오글로빈 ② 나트륨

    ③ 비타민 C ④ 나이아신

 

[96]. 포유자돈의 사양관리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① 분만 직후 초유를 충분히 급여한다.

    ② 견치 자르기와 꼬리 자르기를 실시한다.

    ③ 편안한 잠자리를 제공하고 샛바람 유입을 방지한다.

    ❹ 생후 4주 및 6주령에 철분주사를 한다.

 

[97]. 홀스타인 젖소는 분만 후 젖 생산량을 매일 증가되어 약 40 ~ 60일경 까지는 계속 증가하여 최고비유기에 도달하면 이후 점차 감소하는데 일반적으로 1주당 평균은 어느 정도 수준으로 감소하는가?

    ① 0.5 ~ 1.0% ❷ 2.0 ~ 2.5%

    ③ 3.5 ~ 4.0% ④ 4.5 ~ 5.0%

 

[98]. 섭취하는 사료에 들어있는 탄수화물이 체내 요구량에 비하여 충분하지 않을 때 탄수화물이 아닌 자원으로부터 탄수화물이 합성되는 작용은?

    ① glycolysis ② glycogenesis

    ③ TCA cycle ❹ gluconeogenesis

 

[99]. 지방이 에너지로 바뀌기 위해서 분해 대사 과정이 반드시 필요한 주요 작용은?

    ① α-산화(oxidation) ❷ β-산화(oxidation)

    ③ γ-산화(oxidation) ④ δ-산화(oxidation)

 

[100]. 산란계에서 강제환우가 필요한 때가 아닌 것은?

    ① 차기에 달걀 가격 상승이 기대될 때

    ② 현재 달걀 가격이 낮아서 유지가 곤란할 때

    ③ 햇닭으로 교체하는 비용이 많이 들 때

    ❹ 노계값이 비쌀 때

[101]. 췌장에서 분비되어 단백질을 아미노산으로 분해하여 흡수하게 하는 단백질 소화효소는?

    ① 트립신 ② 키모트립신

    ③ 아미노펩티다아제 ❹ 카르복시펩티다아제

 

[102]. 분만 후 젖소의 유열을 예방하기 위해 분만 전 건유기의 사양관리로 적합한 것은?

    ❶ 사료 중 칼슘(Ca) 함량을 줄인다.

    ② 사료 중 마그네슘(Mg) 함량을 높인다.

    ③ 사료 중 칼륨(K) 함량을 높인다.

    ④ 사료 중 인(P) 함량을 줄인다.

 

[103]. 소화기관이 소화해부학적으로 토끼와 가장 유사한 것으로 분류되는 동물은?

    ① 소 ❷ 말

    ③ 염소 ④ 돼지

 

[104]. 다음 박류사료 중 Gossypol 독성이 함유된 것은?

    ① 대두박 ② 고추씨박

    ❸ 면실박 ④ 아마박

 

[105]. 다음 중 비육돈의 지방축적 순서로 옳은 것은?

    ❶ 신장지방 → 근간지방 → 피하지방 → 근내지방

    ② 신장지방 → 피하지방 → 근간지방 → 근내지방

    ③ 근간지방 → 신장지방 → 피하지방 → 근내지방

    ④ 근간지방 → 피하지방 → 신장지방 → 근내지방

 

[106]. 소에서 영양분 우선공급의 순서로 옳은 것은? (단, 우선 공급되는 조직을 왼쪽부터 시작한다.)

    ① 지방 → 뼈 → 근육 → 뇌

    ② 지방 → 근육 → 뇌 → 지방

    ③ 근육 → 뇌 → 뼈 → 지방

    ❹ 뇌 → 뼈 → 근육 → 지방

 

[107]. 다음 영양소 중에서 수용성 비타민에 속하는 것은?

    ① 비타민 A ❷ 비타민 C

    ③ 비타민 E ④ 비타민 K

 

[108]. 다음 중 사료효율(FE)의 식으로 옳은 것은?

    ① (사료 섭취량 × 2.25) / 증체량

    ② 사료 섭취량 / 증체량

    ③ (증체량 × 2.25) / 사료 섭취량

    ❹ 증체량 / 사료 섭취량

 

[109]. 조류의 소화기관을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① 선위 → 근위 → 소낭 → 소장

    ② 선위 → 소낭 → 근위 → 소장

    ③ 근위 → 선위 → 소낭 → 소장

    ❹ 소낭 → 선위 → 근위 → 소장

 

[110]. 다음 중 핵산을 분해하는 효소는?

    ❶ 리보뉴클레아제 ② 레닌

    ③ 모노글리세리드 ④ 이소락타아제

 

[111]. 다음 중 반추동물의 침의 기능으로 틀린 것은?

    ① 사료를 삼키기 쉽도록 수분을 제공한다.

    ② 요소(urea)나 광물질의 재활용을 돕는다.

    ❸ 반추동물의 침 속에는 아밀라아제(amylase)가 있다.

    ④ 완충물질을 공급하여 반추위의 pH를 유지한다.

 

[112]. 다음 중 Se의 결핍증상은?

    ① 심장의 위축 ❷ 닭의 삼출성 소질

    ③ 전신마비 ④ 시야장애

 

[113]. 오메가-3 지방산에는 불포화지방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불포화지방산의 특성이 아닌 것은?

    ① 오존에 의해 분해된다.

    ② 요오드 원소들이 붙을 수 있다.

    ❸ 상온에서 모두 고체 상태로 존재한다.

    ④ 산소와의 이중결합반응으로 peroxide를 형성한다.

 

[114]. 돼지사료에 연지방 함량이 높으면 생축, 가공용으로 불리하다고 한다. 다음 사료 중 연지방 사료는?

    ① 야자박 ② 호밀

    ③ 탈지유 ❹ 아마인박

 

[115]. 위에서 주로 분비되는 단백질 분해 효소는?

    ① Trypsin ② Carboxypetidase

    ③ Amylase ❹ Pepsin

 

[116]. 사료를 펠렛(pellet)으로 가공할 때 이점이 아닌 것은?

    ① 사료 급여시 먼지 발생이 적다.

    ② 선택적 채식과 사료낭비가 적다.

    ③ 사료의 부피를 감소시킨다.

    ❹ 지방성분이 많은 사료가공에 적합하다.

 

[117]. 필수지방산이며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호르몬의 전구물질인 지방산은?

    ① Linoleic acid ② Linolenic acid

    ❸ Arachidonic acid ④ Stearic acid

 

[118]. 산란게 병아리 사양시 첫 모이급여 방법 중 가장 옳은 것은?

    ① 부화직후 바로 급여

    ② 병아리 도착 후 사료와 물을 함께 급여

    ❸ 병아리 도착 후 물을 먼저 먹인 후 사료 급여

    ④ 부화 후 3~4일 후 급여

 

[119]. 수용성 비타민이 체내에서 생합성 되기 때문에 사료에 필수적으로 공급해 줄 필요가 없는 동물은?

    ❶ 소 ② 돼지

    ③ 가금 ④ 개

 

[120]. 다음 중 젖소에 있어서 최대 산유량을 얻기 위하여 권장되는 건유 기간은?

    ① 30 ~ 40일 ❷ 50 ~ 60일

    ③ 70 ~ 80일 ④ 90 ~ 100일

 

[121]. 반추동물의 경우 반추위내 이상발효에 의한 과도한 가스생성과 트림 반사의 저하로 극도로 위가 팽창하는 대사성 질환이 발생하는데, 이를 무엇이라 하는가?

    ① 케톤증 ② 유열

    ❸ 고창증 ④ 그래스 테타니

 

[122]. 조사료의 양이 부족하면 우유성분 중 감소되는 성분은?

    ① 유단백질 ❷ 유지방

    ③ 유당 ④ 알부민

 

[123]. 대두박(44% 조단백질)과 옥수수(9% 조단백질)를 혼합하여 1000kg의 16% 조단백질 사료를 만들려면 대두박은 얼마나 필요한가?

    ❶ 200kg ② 250kg

    ③ 300kg ④ 400kg

 

[124]. 중성지방은 지방 분해효소인 리파아제(lipase)에 의해 어떤 물질로 분해되는가?

    ❶ 글리세롤(glycerol) + 지방산(fatty acid)

    ② 글리세롤(glycerol) + 콜레스테롤(cholesterol)

    ③ 지방산(fatty acid) + 콜레스테롤(cholesterol)

    ④ 레시틴(lecithin) + 지방산(fatty acid)

 

[125]. 일일 30kg 이상 산유하는 젖소의 사료(배합사료+조사료)에서 조섬유는 적어도 몇 %이상 함유해야 하는가?

    ① 56% ② 36%

    ❸ 17% ④ 6%

 

[126]. 체외 소화 시험시 지시제의 조건이 아닌 것은?

    ① 생리적으로 불활성 물질일 것

    ② 독성이 없을 것

    ❸ 소화관에서 흡수 또는 대사되는 물질일 것

    ④ 소화 내용물과 쉽게 섞이고 고르게 분포될 것

 

[127]. 반추동물의 위 중에서 단위동물과 같이 소화 효소가 분비되는 곳은?

    ① 1위 ② 2위

    ③ 3위 ❹ 4위

 

[128]. 다음 중 펠릿사료의 단점에 해당되는 것은?

    ① 사료섭취량이 증가한다.

    ② 지용성 비타민의 산화속도가 느리다.

    ❸ 음수량이 증가한다.

    ④ 유해한 박테리아나 바이러스를 파괴한다.

 

[129]. 다음 중 갑상선에서 생성되는 호르몬으로서 결핍 시 체단백질 합성을 감소시키며, 과잉 시 아미노산 산화를 촉진시키는 것은?

    ① growth hormone ❷ thyroxine

    ③ insulin ④ androgen

 

[130]. 다음 중 단백질 함량이 가장 높은 사료는?

    ❶ 대두박 ② 옥수수

    ③ 쌀겨 ④ 밀기울

 

[131]. 다음 중 가축에 있어 필수 지방산은?

    ① propionic acid ② acetic acid

    ❸ linolenic acid ④ stearic acid

 

[132]. 우리나라 돼지에서 가장 널리 쓰이고 잇는 사양표준은?

    ① ARC ② NRC

    ③ JRC ❹ KRC

 

[133]. 반추위에서 생성된 프로피온산이 체내에서 포도당으로 전환되는데 반드시 필요한 미량 원소는?

    ❶ 코발트 ② 구리

    ③ 아연 ④ 셀레늄

 

[134]. 산란계 사료는 난각 형성을 위해 Ca 함량이 다른 축종보다 높다. 적정 Ca함량(%)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0.5% 이내 ② 1.5% 이내

    ③ 2.0% 이내 ❹ 3,5% 이내

 

[135]. 반추동물의 위 중에서 단위동물의 위와 비슷한 기능을 가진 위는?

    ① 제1위 ② 제2위

    ③ 제3위 ❹ 제4위

 

[136]. 다음 중 필수아미노산이 아닌 것은?

    ❶ 알라닌(alanine) ② 라이신(lysine)

    ③ 루신(leucine) ④ 발린(valine)

 

[137]. 소의 복부 왼쪽에 위치되어 있으며, 내부는 근대에 의하여 배낭, 복낭, 2개의 후맹낭등으로 이루어진 것은?

    ❶ 제1위 ② 제2위

    ③ 제3위 ④ 제4위

 

[138]. 다음 중 개방우상식 우사의 특징이 아닌 것은?

    ❶ 젖소의 개체관리가 가장 용이하다.

    ② 건초를 자유롭게 채식시킬 수 있다.

    ③ 발굽의 손상이나 외상이 적다.

    ④ 관리하는 데 노동력이 적게 든다.

 

[139]. 다음 중 에너지 함량이 가장 높은 사료는?

    ① 옥수수 ❷ 우지

    ③ 대두박 ④ 어분

 

[140]. 위에서 주로 분비되는 단백질 분해효소는?

    ❶ Pepsin ② Trypsin

    ③ Carboxypeptidase ④ Amino peptidase

 

[141]. 어느 사료의 조단백질 함량이 20%이고, 조 단백질의 소화율이 80%이라면 가소화 단백질 함량은?

    ① 12% ② 14%

    ❸ 16% ④ 24%

 

[142]. 다음 중 백색지방을 만들어 고기의 맛이 좋아지게 하는 대표적인 비육의 사료는?

    ❶ 보리 ② 황색옥수수

    ③ 대두박 ④ 콩

 

[143]. 400kcal를 생성할 수 있는 전분과 같은 양의 지방을 가축에 급여하였다면 이 지방이 발생하는 에너지량은?

    ① 600kcal ② 900kcal

    ❸ 1300kcal ④ 1800kcal

 

[144]. 다음 중 다당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❶ glucose ② starch

    ③ glycogen ④ cellulose

 

[145]. 사일리지 제조에 적당하지 않은 조건은?

    ① 적당한 온도와 수분을 부여할 것

    ② 다져 넣을 때 공기를 배제할 것

    ③ 잡균의 번식을 방지할 것

    ❹ 단백질의 함량이 많은 재료를 사용할 것

 

[146]. 다음 미생물 중 전분을 분해 이용하는 반추미생물이 아닌 것은?

    ① Bacteroides ❷ Clostridium

    ③ Butyrlvibrio ④ Succinimonas

 

[147]. 가축은 섭취한 사료 중 탄수화물의 소화를 용이하게 하기위해서 다양한 종류의 탄수화물 소화효소를 분비하는데 다음 중 말타아제(maltase)는 말토오스(maltose)을 분해시키는 효소로 최종 분해 산물은?

    ❶ glucose + glucose ② glucose + fructose

    ③ glucose + galactose ④ glucose + glucoside

 

[148]. 자돈 전용사료인 입질사료(Prestarter)의 가장 중요한 주원료 사료는?

    ① 분쇄황색옥수수 ② 어분

    ❸ 탈지분유 ④ 설탕

 

[149]. 닭에 있어서 사료 내 첨가하는 항지방간 인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choline ② inositol

    ③ methionine ❹ glucose

 

[150]. 갓 태어난 젖소 송아지에게 초유는 언제 급여하는 것이 옳은가?

    ❶ 되도록 빨리(30분 이내) 급여한다.

    ② 생후 24시간 이후 급여한다.

    ③ 생후 48시간 이후 급여한다.

    ④ 3일 이내에 급여한다.

 

[151]. 다음 중 사료 원료(原料)의 품질관리를 위한 이화학적(理化學的) 방법에 해당하는 것은?

    ① 사별법(篩別法) ❷ 무기염(無機鹽)의 검출

    ③ 용적중(容積重) 칭량법 ④ 비중(比重) 선별법

 

[152]. 점감점증법은 산란계의 산란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최대 얼마까지의 점등시간을 연장해 점등 관리를 하는가? (단, 초산이 시작되는 20주령 이후부터로 한다.)

    ① 15시간 ❷ 17시간

    ③ 19시간 ④ 21시간

 

[153]. 옥수수와 대두박 위주의 산란계 사료에서 제 1 제한아미노산은 무엇인가?

    ❶ 메티오닌(methionine) ② 알라닌(alanine)

    ③ 글루타민(glutamine) ④ 티로신(tyrosine)

 

[154]. 조사료 분석을 위한 van Soest 방법 중 ADF(aciddetergent fiber)의 주성분이 아닌 것은?

    ① Cellulose ❷ Hemicellulose

    ③ Lignin ④ Silica

 

[155]. 최소가격배합표(least cost formula) 작성에 필요한 자료로써 필수적인 것이 아닌 것은?

    ① 영양소 요구량 ② 원료의 성분분석표

    ❸ 원료의 상대가치 ④ 원료의 사용가격

 

[156]. 반추동물인 소는 제1위내 미생물에 의하여 특유한 영양 작용을 한다. 다음 중 장내 미생물이 영위하는 영양작용과 관계가 있는 것은?

    ① 섬유소를 분해하여 리그닌을 생성한다.

    ❷ 요소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합성한다.

    ③ 전분을 이용하여 아미노산으로 분해한다.

    ④ 포화지방에 수소를 첨가하여 불포화지방산을 만든다.

 

[157]. 담즙산염(bile salt)의 기능이 아닌 것은?

    ❶ 소화효소를 분비한다.

    ② 지방의 소화를 촉진한다.

    ③ 리파아제(lipase)를 활성화시킨다.

    ④ 비타민 D의 흡수를 돕는다.

 

[158]. 다음 중 지용성(脂溶性) 비타민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비타민 A ❷ 비타민 B

    ③ 비타민 D ④ 비타민 E

 

[159]. 축산 선진국에서는 각기 고유의 가축사양표준을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한국사양표준'이 주요 축종별로 처음으로 제정된 연도는?

    ① 1998년 ② 2000년

    ❸ 2002년 ④ 2004년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5

 

축산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축산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5

 

축산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축산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0]. 번식 장해를 일으키는 원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영양 장해 ② 해부학적 결함

    ③ 유전적 원인 ❹ 젖소의 성질

 

[1]. 소에서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의 중요한 기능으로 옳은 것은?

    ① 황체 형성

    ② 임신 유지

    ❸ 자궁 근육 수축

    ④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 분비 촉진

 

[2]. 수소의 성성숙과 가장 관련성이 큰 호르몬은?

    ① 프로락틴(prolactin)

    ❷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③ 프로게스테로롤(progesterone)

    ④ 임마혈청 성선자극호르몬(PMSG)

 

[3]. 수정란 이식으로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장점은?

    ① 단위 가격당 가축 생산 두수 증대

    ② 단위 시간당 가축 생산 두수 증대

    ③ 종모축의 유전자 이용률 증대

    ❹ 우수 종빈축의 유전자 이용률 증대

 

[4]. 제1차 성숙분열이 완성되기 전에 배란이 일어나는 동물은?

    ❶ 개 ② 소

    ③ 닭 ④ 돼지

 

[5]. 젖소의 난소에 활체낭종이 발생하여 발정이 일어나지 않을 경우에 치료제로 가장 적합한 호르몬은?

    ① 임부융모성 성선자극호르몬(hCG)

    ②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

    ③ 황재형성호르몬(LH)

    ❹ 프로스타글란틴(prostaglandin F2a)

 

[6]. 소의 발정 주기에서 평균적으로 배란이 일어나는 시기는?

    ① 발정 개시 후 10~11시간

    ② 발정 개시 후 22~24시간

    ❸ 발정 종료 후 10~11시간

    ④ 발정 종류 후 22~24시간

 

[7]. 소의 잡종교배 시, 자손의 성성숙 도달일령은 어떻게 변하는가?

    ① 순종에 비하여 늦어진다.

    ❷ 순종에 비하여 빨라진다.

    ③ 순종과 큰 차이가 없다.

    ④ 번식계정과 온도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8]. 정자 발생 과정에서 감수분열이 일어나는 시기는?

    ① A1형 정원세포→A2형 정원세포

    ② A2형 정원세포→중간형 정원세포

    ③ B형 정원세포→제1차 정모세포

    ❹ 제1차 정모세포→제2차 정모세포

 

[9]. 정자에서 유전자(DNA)를 함유하고 있는 부위는?

    ❶ 두부(head) ② 경부(neck)

    ③ 종부(tail) ④ 중편부(middle piece)

 

[10]. 공란우의 수정란을 회수하는 외과적 방법으로 적합한 것은?

    ❶ 자궁관류법, 난관관류법

    ② 난관관류법, 전기자극법

    ③ 전기자극법, 자궁관류법

    ④ 난관관류법, 마사지법

[11].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은?

    ❶ 성장호르몬(GH)

    ② 성선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GnRH)

    ③ 프로락틴 억제인자(PRIF)

    ④ 임부융모성 성선자극호르몬(hCG)

 

[12]. 배반포 착상에 필요한 자궁 변화를 일으키며 자궁의 비대에 필요한 교원질을 공급해주는 기능을 하는 호르몬은?

    ① 프로락틴(prolactin)

    ② 소마토스타틴(somatostatin)

    ❸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

    ④ 성장호르몬(growth hormone)

 

[13]. 형태학적으로 궁부성 태반의 형태를 지닌 동물은?

    ① 돼지 ② 토끼

    ③ 개 ❹ 소

 

[14]. 다음 중 수란우의 선정조건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❶ 우수한 유전형질을 보유하고 있는 소

    ② 적절한 영양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소

    ③ 건강한 생식기를 보유하고 있는 소

    ④ 질병 및 대사장애가 없는 건강한 소

 

[15]. 웅성 호르몬(Androgen)의 기능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정자형성 촉진 ❷ 세포막 변화

    ③ 웅성생식기 분화 ④ 제2차 성징 발현

 

[16]. 다음 중 분만을 인위적으로 유도하는데 사용하는 호르몬으로 가장 옳은 것은?

    ❶ 프로스타글란딘(PGF₂α)

    ② 임마혈청성 성선자극호르몬(PMSG)

    ③ 임부융모성 성선자극호르몬(hCG)

    ④ 황체형성호르몬(LH)

 

[17]. 성호르몬의 생산부위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❶ 소장 ② 뇌하수체 전엽

    ③ 생식선 ④ 시상하부

 

[18]. 가축정액을 장기간 보존하기 위해서 동결정액제조 시 동해로부터 정자를 보호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첨가하는 동해방지제는?

    ① 구연사 ② 비타민 A

    ③ 젤라틴 ❹ 글리세롤

 

[19]. 다음 중 임신기간이 약 114일인 동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젖소 ② 말

    ❸ 돼지 ④ 양

 

[20]. 다음 중 수정 후 착상까지의 기간이 가장 긴 가축은?

    ① 산양 ② 면양

    ③ 돼지 ❹ 소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5

 

축산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축산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21]. 다음 중 젖소에서 배란이 일어나는 시기로 가장 옳은 것은?

    ① 발정개시 전 4~5시가 ② 발정종료 전 4~5시가

    ❸ 발정종료 후 10~12시가 ④ 발정종료 후 24시간

 

[22]. 다음 중 소의 분만 과정을 단계별로 가장 바르게 나타낸 것은?

    ① 진통기 → 산출기 → 태아만출기

    ② 준비기 → 태아만출기 → 진통기

    ❸ 진통기 → 만출기 → 후산기

    ④ 준비기 → 후산기 → 만출기

 

[23]. 교미자극에 의해서 배란하는 동물로만 나열된 것은?

    ① 토끼, 산양 ❷ 토끼, 밍크

    ③ 밍크, 면양 ④ 소, 돼지

 

[24]. 소에서 분만시 막이 파열되고 액체가 파수현상이 두 번 일어나는데 각각 파열되는 막은 무엇인가?

    ❶ 제1파수 – 요막, 제2파수 - 양막

    ② 제1파수 – 양막, 제2파수 - 요막

    ③ 제1파수 – 융모막, 제2파수 - 요막

    ④ 제1파수 – 요막, 제2파수 – 융모막

 

[25]. 뇌하수체 후엽 호르몬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티록신 ② 에스트로겐

    ❸ 옥시토신 ④ 프로락틴

 

[26]. 난소에서 난포를 완전히 발육시켜 배란이 일어나는 데 까지 필요한 호르몬으로만 나열된 것은?

    ① Progesterone, LH  ❷ FSH, LH

    ③ Progesterone, FSH  ④ Estrogen, Prolactin

 

[27]. 일조시간이 짧아지는 계절에 번식이 시작되는 동물은?

    ① 소 ② 말

    ③ 돼지 ❹ 면양

 

[28]. 말과 돼지에서 볼 수 있는 태반의 형태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궁부성 태반 ② 대상 태반

    ❸ 산재성 태반 ④ 반상 태반

 

[29]. 발정주기 단계에서 발정기에 배란이 되지 않는 동물은?

    ① 면양 ② 돼지

    ❸ 소 ④ 생쥐

 

[30]. 다음 중 소의 난자가 배란 후 정자와 수정할 수 있는 수정 능력 보유 시간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6~8시가 ② 8~10시간

    ❸ 20~24시간 ④ 30~40시간

[31]. 다음 중 임신을 유지시키는 호르몬으로 옳은 것은?

    ① 옥시토신 ② 안드로겐

    ③ 난포자극호르몬 ❹ 프로게스테론

 

[32]. 자궁의 형태가 쌍각자궁인 동물은?

    ① 소 ❷ 돼지

    ③ 토끼 ④ 말

 

[33]. 다음 중 돼지의 배란시기로 옳은 것은?

    ① 발정 개시 직후           ② 발정 개시 후 10~20시간

    ❸ 발정 개시 후 35~45시간  ④ 발정 종류 직후

 

[34]. 성선자극 호르몬인 난포자극호르몬(FSH)과 황체형성호르몬(LH)의 생리작용과 유사한 태반 호르몬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① FSH – GnRH, LH - hCG

    ② FSH – eCG, LH - GnRH

    ❸ FSH – eCG, LH - hCG

    ④ FSH – hCG, LH – eCG

 

[35]. 다음 중 계절 번식을 하는 동물은?

    ① 소 ❷ 양

    ③ 돼지 ④ 토끼

 

[36]. 황체형성 호르몬의 작용과 직접적 관계가 가장 적은 것은?

    ① 배란유발 ② 황체형성

    ③ 웅성 호르몬 분비 ❹ 분만

 

[37]. 복제동물 생산에 있어서 핵이식의 과정이 아닌 것은?

    ① 수핵난자와 공핵배의 준비  ② 핵이식과 세포융합

    ❸ 핵이식란의 비활성화       ④ 핵이식란의 배양과 이식

 

[38]. 유방의 실질조직인 유선 세포에서 분비된 유즙의 이동경로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❶ 유선포 → 유선엽 → 유선관 → 유두조 → 유두관

    ② 유선엽 → 유선질 → 유선관 → 유두조 → 유두관

    ③ 유선관 → 유선엽 → 유선조 → 유두조 → 유두관

    ④ 유선포 → 유선관 → 유선엽 → 유두조 → 유두관

 

[39]. 포유동물에서의 수정과정 중 난자의 활성화에 관련이 없는 것은?

    ❶ 난세포질내 칼슘농도의 감소

    ② 표층과립의 세포외유출과 다정자침입의 방지

    ③ 제2감수분열의 재개

    ④ 세포골격의 변화

 

[40]. 포유동물에서 난자와 정자가 만나서 수정이 이루어지는 부위와 수정란이 발달하여 착상하는 부위는?

    ① 수정부위 – 난관, 착상부위 - 자궁경관

    ② 수정부위 – 자궁각, 착상부위 - 난관

    ③ 수정부위 – 자궁경관, 착상부위 - 난관

    ❹ 수정부위 – 난관, 착상부위 – 자궁각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5

 

축산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축산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41]. 다음 중 성성숙이 가장 느린 품종은?

    ❶ Ayrshire ② Holstein

    ③ Guernsey ④ Jersey

 

[42]. 돼지에 있어서 난자가 배란에서부터 난관으로 수송되는 시간은 얼마인가?

    ① 24시간 ❷ 48시간

    ③ 66시간 ④ 72시간

 

[43]. 다음 중 동물종에서 공통적으로 발현되는 외부적 발정징후가 아닌 것은?

    ① 정서 불안 ❷ 식욕 증가

    ③ 외음부 종창 ④ 승가 허용

 

[44]. 소에 있어서 난자의 수정능 보유시간은 배란 후 몇 시간인가?

    ① 1시간 이내 ② 10시간 이내

    ❸ 20 ~ 24 시간 ④ 48 시간 이후

 

[45]. 유선의 분비상피세포에서 합성된 유즙성분이 유선포강내로 방출되는 경로가 아닌 것은?

    ① 세포외유출 및 이출분비   ❷ 원형질막통과 차단

    ③ 경세퐁운반               ④ 측세포운반

 

[46]. 다음 중 비유 유지와 관련이 없는 호르몬은?

    ❶ 바소프레신 ② 프롤락틴

    ③ 성장호르몬 ④ 부신피질자극호르몬

 

[47]. 소의 분만과정에서 태반만출기에 소요되는 평균시간은?

    ① 1시간 ② 2 ~ 4시간

    ❸ 6 ~ 12시간 ④ 18 ~ 24시간

 

[48]. 다음 중 가축에서 모자(母子)간 일어나는 흡유 행동의 자극들로만 나열된 것은?

    ❶ 청각, 시각, 촉각, 후각   ② 시각, 촉각, 후각, 미각

    ③ 청각, 촉각, 후각, 미각   ④ 청각, 시각, 촉각, 미각

 

[49]. 수가축의 부생식선 중 카우퍼선이라고 불리는 것은?

    ① 정낭성 ② 전립선

    ❸ 요도구선 ④ 요도선

 

[50]. 성선자극호르몬(FSH, LH)의 수용체는 표적기관의 어느 곳에 분포되어 있는가?

    ① 표적세포의 핵     ② 표적세포의 세포질

    ❸ 표적세포의 세포막 ④ 표적세포의 미토콘드리아

[51]. 난소에서 분비되는 에스트로겐이 시상하부의 배란 전 방출조절 중추를 자극하여 GnRH 분비를 유발시킴으로써 뇌하수체로부터 LH를 급격하게 방출시키는 조절기전을 무엇이라 하는가?

    ❶ 정(正)의 피드백(Positive feedback)

    ② 부(負)의 피드백(Negative feedback)

    ③ 신경 - 체액의 조절기전

    ④ 단경로 피드백(Short loop feedback)

 

[52]. 태아의 생식도관의 분화와 발달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웅성생식도관의 발생원기는?

    ❶ 볼프관 ② 뮐러관

    ③ 난관 ④ 정관

 

[53]. 소의 난자가 배란되는 단계는?

    ① 난조세포 ② 난모세포

    ❸ 제1극체 방출 후 ④ 제2극제 방출 후

 

[54]. 다음 중 난소난종의 증상이 아닌 것은?

    ① 무발정 ② 사모광증

    ③ 수소와 같은 체형 ❹ 배아사망

 

[55]. 다음 중 요도구선이 가장 잘 발달된 가축은?

    ① 소 ② 말

    ③ 면양 ❹ 돼지

 

[56]. 포유동물 산자의 성비를 조절하기 위하여 X-Y정자를 분리하는데 유효현 생명공학 기법은?

    ① 초자화 동결법(vitrification)

    ② 핵이식법(nuclear transplantation)

    ❸ 관류세포계수기(flow cytometer) 분리법

    ④ 유전자 클로닝법(gene cloning)

 

[57]. 성선자극호르몬(gonadotropin, GTH)의 생리적 기능이 아닌 것은?

    ① 난포성숙 ❷ 2차성징

    ③ 배란 ④ 황체형성

 

[58]. 가축의 암컷생식기내에 주입된 정자가 난관을 통과하면서 나타나는 첨체반응(acrosome reaction)에 의해서 분비되는 첨체효소들로만 나열된 것은?

    ① lipase, acrosin ② lipase, hyaluronidase

    ③ protease, lipase ❹ hyaluronidase, acrosin

 

[59]. 한우의 수정란 이식을 위해 공란우의 자궁에서 수정란을 채취하는 적기는?

    ① 교배 후 1~2일 ② 교배 후 3~4일

    ❸ 교배 후 6~8일 ④ 교배 후 12~13일

 

[60]. 다음 중 성 성숙이 지난 가축에서 일어나는 무발정의 일반적인 원인으로만 나열된 것은?

    ① 성선자극호르몬 과다, 난소형성, 난포의 발달

    ② 성선자극호르몬 부족, 난소형성, 난포의 발달

    ③ 성선자극호르몬 과다, 프리마틴, 난포의 발달

    ❹ 성선자극호르몬 부족, 프리마틴, 황체 잔류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5

 

축산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축산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61]. 다음 중 수컷의 구애동작으로 플레멘(flehmen) 동작을 보이지 않는 동물은?

    ① 소 ❷ 돼지

    ③ 면양 ④ 말

 

[62]. 유선발육에 관여하지 않는 호르몬은?

    ① 난포호르몬 ② 황체호르몬

    ③ 프로락틴 ❹ 옥시토신

 

[63]. 임신 1개월의 소 생식기의 직장검사에 의한 소견이 아닌 것은?

    ① 한쪽의 자궁각이 반대쪽보다 크다.

    ❷ 질은 습윤하고 끈적끈적하다.

    ③ 농축된 점액이 자궁외구부를 밀폐한다.

    ④ 황체는 21일 전에 배란이 일어났던 난소에 존재한다.

 

[64]. 정자의 완성과정과 관계가 없는 것은?

    ① 골지기 ❷ 접합기

    ③ 첨체기 ④ 두모기

 

[65]. 방목하고 있는 암소가 발정이 왔는지 알 수 있는 실제적인 방법은?

    ① 질구검사법     ❷ 친볼마커(Chin-ball marker)

    ③ 보수계 부착     ④ 스테로이드호르몬 측정

 

[66]. 정소상체의 기능이 아닌 것은?

    ① 정자의 생멸 유지와 보호     ② 정자의 성숙

    ❸ 정자의 생산     ④ 정자의 운반

 

[67]. 정자의 운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합성하는 부위는?

    ① 두부(head) ② 경부(neck)

    ③ 주부(main piece) ❹ 중편부(middle piece)

 

[68]. 임상적 임신진단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외진법(NR법) ❷ 성선자극호르몬검출법

    ③ 직장검사법 ④ 자궁경관점액검사법

 

[69]. 포유동물에서 유선의 분비상피세포를 자극하여 유즙의 합성능력을 획득시키는 호르몬은?

    ① oxytocin ❷ prolactin

    ③ testosterone ④ androgen

 

[70]. 태아기 유선의 발생이 시작되는 시기는?

    ① 유선능 발생 후 ❷ 체지아기의 후기

    ③ 유선선 발생 후 ④ 유선조 발생 후

[71]. 난자가 난관을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가장 긴 것은? (단, 난관의 길이와는 상관관계가 없다.)

    ① 소 ② 말

    ③ 면양 ❹ 개

 

[72]. 정자형성과 난포발육에 관계하는 호르몬은?

    ① 프로락틴(prolactin)

    ②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

    ③ 임부융모성 성선자극 호르몬(HCG)

    ❹ 난포자극 호르몬(FSH)

 

[73]. 호르몬 중 유선관계(dict system)의 발달에 가장 중요한 것은?

    ① Progesterone ❷ Estrogen

    ③ Androgen ④ Prostaglandin F2ɑ

 

[74]. 교배적기를 결정할 때 고려되어야 할 요인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배란시기

    ❷ 정자의 운동성

    ③ 정자의 수정능 보유시간

    ④ 배란된 난자의 수정능 보유시간

 

[75]. 정소에서 정자가 만들어질 때 발생중인 생식세포에 영양 물질을 공급하고 아울러 대사산물을 배설하는 세포는?

    ❶ 지지세포 ② 간질세포

    ③ 기저막세포 ④ 배아상피세포

 

[76]. 난자의 발달과정에서 제 1극체가 나타나 방출되는 곳은?

    ① 제1차 난모세포 ❷ 제2차 난모세포

    ③ 성숙난자 ④ 접합체

 

[77]. 축산분야의 응용에서 분만이 지연될 때 분만을 촉진하기 위하여 또는 유즙의 유하를 유도하기 위하여 사용되기도 하는 호르몬은?

    ❶ Oxytocin ② PGF₂α

    ③ PGF₁α ④ ADH

 

[78]. 소에 있어서 인공수정 적기는?

    ① 발정 개시 직후           ❷ 발정이 끝날 무렵

    ③ 발정이 끝난지 24시간 후  ④ 발정이 끝난지 36시간 후

 

[79]. 소에 있어서 자궁내 출혈 혹은 발정에 의한 출혈이 외부로 나타나는 때는 발정주기 중 어느 시기에 해당하는가?

    ① 발정전기 ② 발정기

    ❸ 발정후기 ④ 발정휴지기

 

[80]. 쌍각자궁(bicornuate uterus)의 형태를 가진 동물은?

    ① 말 ❷ 돼지

    ③ 토끼 ④ 영장류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5

 

축산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축산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81]. 발생학적으로 볼 때 유선(mammary gland)은?

    ① 내배엽에서 유래된 외분비 기관이다.

    ② 중배엽에서 유래된 내분비 기관이다.

    ❸ 외배엽에서 유래된 외분비 기관이다.

    ④ 내배엽에서 유래된 내분비 기관이다.

 

[82]. 성숙한 수컷 포유동물의 부생식선이 아닌 것은?

    ❶ 랑게르 한스선 ② 정낭선

    ③ 정립선 ④ 카우퍼선

 

[83]. 다음 중 과배란처리 된 공란우에서 수정란이식에 가장 적합한 수정란의 채란 시기는?

    ① 수정 후 1 ~ 2일 ② 수정 후 3 ~ 4일

    ❸ 수정 후 6 ~ 8일 ④ 수정 후 9 ~ 11일

 

[84]. 홀스타인 암소의 번식 적령기 평균 체중은?

    ① 100 ~ 200kg ② 200 ~ 300kg

    ❸ 300 ~ 400kg ④ 400 ~ 500kg

 

[85]. 포유동물의 정자 형태번화 과정 순서가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

    ① 두모기 - 골지기 - 첨체기 - 성숙기

    ❷ 골지기 - 두모기 - 첨체기 - 성숙기

    ③ 두모기 - 첨체기 - 골지기 - 성숙기

    ④ 골지기 - 첨체기 - 두모기 - 성숙기

 

[86]. 다음 중 배란을 유기하는 호르몬으로 옳은 것은?

    ① 난포자극호르몬(FSH)   ❷ 황체형성호르몬(LH)

    ③ 프롤락틴(prolactin)   ④ 성장호르몬(GH)

 

[87]. 유즙의 배출은 신경배분비적 반사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다음 중 유즙의 배출관정에 관련이 없는 것은?

    ① 유듀에 가해지는 착유 자극

    ② 시상하부의 시삭상핵과 실방핵으로 전달

    ❸ 뇌하수체의 황체형성호르몬(LH)방출 촉진

    ④ 유선포의 근상피세포 수축

 

[88]. 정자 형성과 난포발육에 관여하는 호르몬은?

    ① 임모융모성 성선자극호르몬(hCG)

    ② 임마융모성 성선자극호르몬(eCG)

    ③ 프롤락틴(Prolactin)

    ❹ 난포자극호르몬(FSH)

 

[89]. 수정란 이식을 위한 다배란을 유기시키기 위해서 다음 중 제일 먼저 사용할 수 있는 호르몬은?

    ① 에스트로겐(estrogen)  ❷ 난포자극호르몬(FSH)

    ③ 황체형성호르몬(LH)    ④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

 

[90]. 가축 번식에 직접 관여하는 호르몬들을 분비 하는 기관들로만 나열된 것은?

    ① 뇌하수체, 사구체, 정소  ② 사구체, 정소, 난소

    ❸ 정소, 뇌하수체, 난소    ④ 난소, 뇌하수체, 사구체

[91]. 정자의 형성 관정 중 X-정자와 Y-정자는 어느 과정에서 형성되는가?

    ① 정원세포의 증식과정   ❷ 제1감수분열

    ③ 제2감수분열   ④ 형태변화과정

 

[92]. 가축에서 배란 직전의 성숙난포가 배란에 이르기가지 일어나는 과정이 아닌 것은?

    ❶ 제2 극체의 방출

    ② 세포외벽의 파열

    ③ 과립막 세포사이에 존재하는 세포결합의 손실

    ④ 난모세포의 세포질과 핵의 성숙

 

[93]. 다음 중 비유기능의 유지에 필요한 호르몬은?

    ① 옥시토신(oxytocin) ❷ 프롤락틴(prolactin)

    ③ 인슐린(iosulin) ④ 싸이록신(thyroxin)

 

[94]. 임신을 유지시키는 성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① 에스트론겐(estrogen)

    ❷ 프로게스트론(progesterone)

    ③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④ 황체형성호르몬(LH)

 

[95]. 소에서 수정 후 7일경에 수정란을 채란하려고 한다면 어느 부위에서 어떤 발육단계의 수정란이 주로 채란되는가?

    ❶ 자궁, 배반포기 ② 난관, 4-16세포기

    ③ 자궁, 4-16세포기 ④ 난관, 배반포기

 

[96]. 가축에서 임신이 인지되지 않으면 자궁에서 분비되고 황체퇴행에 관여하는 호르몬은?

    ① 에스트로겐(estrogen)        ❷ 프로스타글란딘(PGF2a)

    ③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  ④ 난포자극호르몬(FSH)

 

[97]. 소의 임신진단 시 직장검사법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이 아닌 것은?

    ① 임신황체의 유무

    ❷ 자궁축농증, 자궁내막염 진단

    ③ 태막과 태아의 존재 여부

    ④ 중자궁동맥의 확장 및 진동 정도

 

[98]. 다음 중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은?

    ① 난포자극호르몬(FSH)   ② 황체형성호르몬(LH)

    ③ 프롤락틴(prolactin)   ❹ 옥시토신(oxytocin)

 

[99]. 다음 호르몬 중 난소에서 분비되지 않는 것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1,2,4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❶ 난포자극호르몬(HSH) ② 황체형성호르몬(LH)

    ③ 인히빈(iohibin) ④ 프롤락틴(prolactin)

 

[100]. 소에서 가장 명확한 발정 징후라고 볼수 있는 것은?

    ① 식욕증가                 ② 행동의 안정상태 유지

    ③ 착유소의 경우 유량 증가  ❹ 암소나 수소의 승가 허용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5

 

축산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축산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101]. 난소에서 난포가 발육되어 난자를 배출시키기 위한 준비와 교미를 위한 준비기간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발정기 ② 발정후기

    ❸ 발정전기 ④ 발정휴지기

 

[102]. 다음 중 전염성 번식장해를 일으키는 질병은?

    ① 자궁축농증 ② 난소낭종

    ③ 영구황체 ❹ 브루셀라병

 

[103]. 복제동물 생산 방법으로만 나열된 것은?

    ① 분할구의 분리, DNA 증폭, 유전자 이식

    ❷ 분할구의 분리. 핵이식, 수정란 절단

    ③ 수정란 절단, 유전자 이식, 호르몬 처리

    ④ 호르몬 처리, 핵이식, 유전자 이식

 

[104]. 소의 발정주기에서 배란이 일어나는 시기는?

    ① 발정개시 후 10 ~ 11시간

    ② 발정개시 후 22 ~ 24시간

    ❸ 발정종료 후 10 ~ 11시간

    ④ 발정종료 후 22 ~ 24시간

 

[105]. 다음 중 난포 호르몬으로서 생리적 활성이 가장 큰 것은?

    ❶ 에스트라디올(estradiol-17β)

    ②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

    ③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④ 에스트론(estrone)

 

[106]. 일조 시간이 길어지는 봄~여름에 번식이 개시되는 동물은?

    ① 면양 ② 소

    ③ 돼지 ❹ 말

 

[107]. 말의 임신 후반기에 황체가 없어도 임신이 유지되는 것은 어느 호르몬 작용에 의한 것인가?

    ❶ 임마융모성 성선자극호르몬(eCG)

    ② 임부융모성 성선자극호르몬(hCG)

    ③ 성장호르몬(GH)

    ④ 성선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GnRH)

 

[108]. 성성숙이 발현되는 과정에서 성성숙의 개시와 생식활성의 개시에 영향을 미치는 호르몬은?

    ① 난포자극호르몬(FSH)

    ② 황체형성호르몬(LH)

    ❸ 성선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GnRH)

    ④ 에스트로겐(estrogen)

 

[109]. 임신 중인 포유동물의 태반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노폐물 모체로 전달     ❷ 각종 장기로의 분화

    ③ 모체로부터 영양소 흡수 ④ 호르몬 생성

 

[110]. 유방으로부터 유즙의 방출을 유도하는 호르몬은?

    ❶ 옥시토신(oxytocin)     ②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

    ③ 에스트로겐(estrogen)  ④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111]. 다음 중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서의 비유 유지에 필요한 호르몬은?

    ① 황체형성호르몬(LH)

    ② 성선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GnRH)

    ❸ 프로락틴(prolactin)

    ④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

 

[112]. 다음 중 돼지의 정액 채취 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① 전기 자극법 ❷ 수압법

    ③ 인공질법 ④ 콘돔법

 

[113]. 다음 중 소의 평균 임신기간으로 옳은 것은?

    ① 210일 ❷ 279일

    ③ 320일 ④ 346일

 

[114]. 소의 유선관계의 발달을 촉진하는 호르몬은?

    ①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  ❷ 에스트로겐(estrogen)

    ③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④ 옥시토신(oxytocin)

 

[115]. 다음 중 분만 후 모체가 정상적인 상태로 회복되는 산욕기에 일어나는 생리적 변화가 아닌 것은?

    ❶ 황체퇴행 ② 자궁의 퇴축

    ③ 자궁내막의 재생 ④ 발정재귀

 

[116]. 자궁근의 강력한 수축운동을 유발하여 분만을 유기하는 호르몬이 아닌 것은?

    ① 프로스타글란딘(PGF2∂)      ② 옥시토신(oxytocin)

    ❸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  ④ 에스트로겐(estrogen)

 

[117]. 정자 발생 과정에서 감수분열이 일어나는 시기는?

    ① A1형 정원세포 – A2형 정원세포

    ② A4형 정원세포 – 중간형 정원세포

    ③ B형 정원세포 – 제 1차 정모세포

    ❹ 제 1차 정모세포 – 제 2차 정모세포

 

[118]. 다음 중 난포자극호르몬(FSH) 작용으로만 나열된 것은?

    ① 자궁수축, 분만촉진 ❷ 난포발육, 정자형성

    ③ 임신유지, 태아발달 ④ 유선자극, 유즙분비

 

[119]. 웅성생식기관 중 정소상체의 기능이 아닌 것은?

    ❶ 정자의 생산 ② 정자의 운반

    ③ 정자의 성숙 ④ 정자의 저장

 

[120]. 다음 발정주기 중 소에 있어 교배 적기는?

    ① 발정전기 ❷ 발정기

    ③ 발정후기 ④ 발정휴지기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5

 

축산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축산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121]. 다음 중 저수태우의 예방대책이 아닌 것은?

    ① 수정 시 세균오염 방지 ② 수정적기에 수정

    ③ 영양개선 ❹ 난포호르몬 투여

 

[122]. 소의 난자가 배란된 후 수정능력을 유지할 수 있는 최대의 시간은?

    ① 6시간 이내 ❷ 12~24시간

    ③ 22~27개월 ④ 29~34개월

 

[123]. 젖소(홀스타인)의 성성숙 월령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❶ 8 ~ 13개월 ② 15 ~ 20개월

    ③ 22 ~ 27개월 ④ 29 ~ 34개월

 

[124]. 다음 중 포유가축 수컷에서 정자생성 기능이 완성되고 부생식선이 발달하여 교미와 사정이 가능하게 되어 암컷을 임신시킬 수 있는 상태에 도달한 시기는?

    ① 태아기 ② 유아기

    ❸ 성성숙기 ④ 유년기

 

[125]. 다음 중 성숙한 포유가축의 난소에서 혈관, 림프관 및 신경이 분포되어 있는 곳은?

    ① 난소 피질 ❷ 난소 수질

    ③ 그라피안 난포 ④ 원시 난포

 

[126]. 가축에게 프로스타글란딘(PGF2α)을 투여했을 때 가장 현저하게 감소하는 혈중 호르몬은?

    ❶ 프로게스테론 ② 에스트로겐

    ③ 테스토스테론 ④ 바소프레신

 

[127]. 다음 중 임신 중인 포유가축의 태반이 수행하는 생리적 기능이 아닌 것은?

    ① 태아의 호흡조절 ❷ 태아의 온도조절

    ③ 호르몬 생산 ④ 영양분 흡수

 

[128]. 다음 중 정자형성에 있어서 장해 요인이 아닌 것은?

    ① 기후 ② 잠복정소

    ❸ 교미장해 ④ 정소의 퇴화

 

[129]. 다음에서 prostaglandin은 주로 어디에서 분비되는가?

    ❶ 정낭선 ② 중추신경계

    ③ 정소상체 ④ 카우퍼선

 

[130]. 다음의 정액채취방법 중 소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은?

    ① 전기 자극법 ② 마사지법

    ❸ 인공질법 ④ 콘돔법

 

[131]. 다음 중 계절번식을 하는 동물은?

    ① 소 ② 돼지

    ③ 토끼 ❹ 말

 

[132]. 다음 중 가축인공수정의 장점이 아닌 것은?

    ① 우수 씨가축의 이용범위가 확대된다.

    ② 전염병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③ 정액의 원거리 수송이 가능하다.

    ❹ 방목하는 집단에서 활용이 용이하다.

 

[133]. 하나의 난모세포는 몇 개의 난자로 발달하는가?

    ❶ 1개 ② 2개

    ③ 3개 ④ 4개

 

[134]. 다음 중 소와 돼지에서 황체가 퇴행하기 시작하는 시기부터 배란이 일어나기까지의 기간에 해당하는 난포기(follicular phase)는?

    ① 1 ~ 2일 ❷ 4 ~ 5일

    ③ 7 ~ 8일 ④ 10 ~ 11일

 

[135]. 젖소의 난소에서 난포가 발육되지 않아 무발정이 계속될 때 치료제로서 가장 적합한 호르몬은?

    ① Progesterone ② Prostaglandin F2α

    ③ Prolactin ❹ PMSG

 

[136]. 자궁을 형태적으로 분류할 때 쌍각자궁에 해당하는 동물은?

    ① 집토끼 ❷ 돼지

    ③ 소 ④ 원숭이

 

[137]. 다음 중 유즙의 배출 경로를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① 유선포→유선관→유선소관→유두조→유두관→유선조

    ② 유선관→유두조→유선소관→유선포→유선조→유두관

    ❸ 유선포→유선소관→유선관→유선조→유두조→유두관

    ④ 유선포→유선소관→유선관→유두조→유선조→유두관

 

[138]. 다음 중 소에서 배란이 일어나는 시기로 옳은 것은?

    ❶ 발정 종료 후 8~11시간 ② 발정 전기

    ③ 발정기 ④ 발정 종료 직후

 

[139]. 가축별 수정적기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소 : 발정 종료 전후

    ② 돼지 : 수퇘지 허용시작 후 10~25시간 사이

    ③ 면양 : 발정 개시 후 20~25시간

    ❹ 산양 : 발정 종료 직후

 

[140]. 돼지의 발정 징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외음부과 충혈되고 부어 오른다.

    ❷ 사료 섭취량이 증가한다.

    ③ 질 밖으로 점액을 분비한다.

    ④ 다른 돼지의 승가를 허용한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5

 

축산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축산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141]. 태반을 형태학적으로 분류할 때 돼지의 태반으로 옳은 것은?

    ① 궁부성 태반 ② 대상 태반

    ③ 반상 태반 ❹ 산재성 태반

 

[142]. 다음 중 가축별 평균 임신기간으로 옳은 것은?

    ① 소 : 237일 ② 돼지 : 144일

    ❸ 면양 : 148일 ④ 토끼 : 62일

 

[143]. 다음 중 비유(泌乳) 유지(維持)에 필요한 호르몬이 아닌 것은?

    ① 프로락틴(Prolactin)  ② 부신피질자극호르몬(ACTH)

    ③ 코르티솔(Cortisol)  ❹ 난포자극호르몬(FSH)

 

[144]. 다음 중 성스테로이드 호르몬에 해당하는 것은?

    ① 갑상선자극호르몬 ❷ 프로게스테론

    ③ 프로락틴 ④ 부신피질자극호르몬

 

[145]. 다음 중 암가축의 발정징후와 직결되는 호르몬은?

    ❶ 에스트로겐 ② 테스토스테론

    ③ 릴랙신 ④ 옥시토신

 

[146]. 다음 중 염색체가 들어 있는 정자의 부위는?

    ① 종부 ② 주부

    ❸ 두부 ④ 경부

 

[147]. 다음 중 젖소 착유 시 유즙 분비를 촉진시키는 뇌하수체 후엽 호르몬은?

    ① 에스트로젠 ② 프로게스테론

    ③ 프로락틴 ❹ 옥시토신

 

[148]. 다음 중 발정지속기간이 가장 긴 가축은?

    ① 소 ② 돼지

    ❸ 말 ④ 면양

 

[149]. 가축의 발생과정에서 내배엽에서 분화되는 것은?

    ❶ 간 ② 신경계

    ③ 뼈 ④ 심장

 

[150]. 다음 중 수정란 이식의 최적 부위는?

    ❶ 자궁각 선단 ② 자궁체 하단

    ③ 자궁 경관 내 ④ 질심부

 

[151]. 닭의경우 계란의 형성 시 난각이 형성되는 생식 기관은?

    ① 난관 누두부 ② 난백 분비부

    ③ 난관 협부 ❹ 자궁

 

[152]. 다음 중 후산정체 발생 율이 가장 높은 동물은?

    ① 돼지 ② 말

    ③ 토끼 ❹ 소

 

[153]. 성숙한 포유동물에서 배란 직전에 호르몬의 혈중농도가 급상승하여 배란을 유도하는 정(positive)의 피드백작용을 하는 뇌하수체호르몬과 난소 호르몬을 올바르게 연결한 것은?

    ① 난포자극호르몬(FSH)-에스트로겐(estrogen)

    ❷ 황체형서호르몬(LH)-에스트로겐(estrogen)

    ③ 난포자극호르몬(FSH)-프로게스테론(progesteron)

    ④ 황체형성호르몬(LH)-프로게스테론(progesteron)

 

[154]. 다음 가축별 자궁의 형태를 올바르게 연결한 것은?

    ① 말-쌍각자궁 ② 소-중복자궁

    ❸ 돼지-쌍각자궁 ④ 양-중복자궁

 

[155]. 다음 중 일반적인 돼지의 평균 번식 적령기는 언제인가?

    ① 수컷 : 7개월경, 암컷 : 10개월경

    ❷ 수컷 : 10개월경, 암컷 : 10개월경

    ③ 수컷 : 15개월경, 암컷 : 15개월경

    ④ 수컷 : 20개월경, 암컷 : 20개월경

 

[156]. 젖소의 교배적기(수정적기)는?

    ① 발정 개시 전 ② 발정 개시 직후

    ❸ 발정 종료 전후 ④ 발정 종료 후 2일째

 

[157]. 다음 중 가축의 성성숙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만 나열한 것은?

    ① 습도, 계절               ② 영양, 습도

    ❸ 유전적 요인, 계절, 영양  ④ 습도, 유전적 요인, 영양

 

[158]. 소나 돼지에서 과배란을 유기시키기 위해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호르몬은?

    ❶ 난포자극호르몬(FSH)

    ② 황체형성호르몬(LH)

    ③ 임부태반 융모성 성선자극호르몬(HCG)

    ④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

 

[159]. 소에서 비외과적인 방법으로 수정란을 이식 할 때 수정란을 이식하는 부위는?

    ① 난관 ❷ 자궁

    ③ 자궁경부 ④ 질

 

[160]. 정자가 수정능력을 최종적으로 획득하는 부위는?

    ① 정소 ② 정소상체

    ③ 정관 ❹ 암컷의 생식기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5

 

축산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축산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161]. 성숙한 암컷의 포유가축에서 난자가 제2차 성숙 분열하여 제2극체를 방출하는 시기는 언제인가?

    ① 배란 직전 ② 배란 직후

    ③ 수정 직전 ❹ 수정 직후

 

[162]. 소의 황체낭종을 치료하는 약제는?

    ① 성선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GnRH))

    ❷ 프로스타글란딘(PGF2α)

    ③ 황체형성호르몬(LH)

    ④ 임부융모성 성선자극호르몬(HCG)

 

[163]. 발정주기 동기화의 이점에 해당하는 것은?

    ① 분만관리 및 자돈관리가 어렵다.

    ❷ 수정란 이식기술의 발전을 돕는다.

    ③ 인공수정의 실시가 용이하나, 그 이용효율이 낮아진다.

    ④ 가축개량과 능력검정사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없다.

 

[164]. 다음 중 각 가축의 발정지속시간을 나타낸 것으로 틀린 것은?

    ① 소 : 18~19시간 ❷ 돼지 : 2~3시간

    ③ 산양 : 32~40시간 ④ 말 : 4~7일

 

[165]. 다음 중 소의 발정기 행동이 아닌 것은?

    ① 오줌을 소량씩 자주 눈다.

    ② 다른 소의 승가를 허용한다.

    ③ 다른 소의 주위를 배회하는 경우가 많다.

    ❹ 주변의 다른 소리에 우둔하고 안정된다.

 

[166]. 젖소에서 수정란 이식에 필요한 다수의 수정란을 확보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다배란 유기에 사용되는 호르몬이 아닌 것은?

    ① 임마혈청성 성선자극호르몬(PMSG)

    ② 난포자극호르몬(FSH)

    ③ 프로스타글란딘(PGF2α)

    ❹ 성장호르몬(GH)

 

[167]. 난자의 구조 중 정자의 인지작용이 최초로 일어나는 장소는?

    ① 난자 세포막 ❷ 투명대

    ③ 난구세포 ④ 난포막

 

[168]. 다음 중 돼지의 인공수정용 액상정액을 보관하기 위해 보존 적온과 실용상 보존가능 기간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10~12℃, 1~2일 ❷ 16~17℃, 2~3일

    ③ 20~21℃, 4~5일 ④ 23~24℃, 6~7일

 

[169]. 다음 중 소, 돼지의 임신을 확인하기 위해여 실시하는 임신진단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❶ 체온 측정법     ② 직장 검사법

    ③ 초음파 검사법     ④ 발정무재귀관찰(Non-return)법

 

[170]. 임신기에 있는 포유가축의 유방의 유선관계와 유선포계의 발달을 촉진시키는 호르몬들을 올바르게 연결한 것은?

    ❶ 유선관계 - estrogen 유선포계 - progesterone

    ② 유선관계 - progesterone 유선포계 - estrogen

    ③ 유선관계 - LH 유선포계 - FSH

    ④ 유선관계 - FSH 유선포계 - LH

 

[171]. 정자가 수정능력 획득에 의하여 정자두부에서 방출되는 효소 중 난자의 투명대를 용해하는 효소는?

    ① 카테콜아민(catecholamine)

    ② 하이포 타우린(hypotaurine)

    ③ 히알루로니다아제(hualuronidase)

    ❹ 아크로신(Asrosin)

 

[172]. 성숙한 젖소에서 인공수정하기 위한 최적의 정액주입시기, 즉 교배적기는 언제인가?

    ① 발정개시 전후의 4시간      ❷ 발정종료 전후의 4시간

    ③ 발정개시부터 발정종료까지  ④ 배란전후의 4시간

 

[173]. 설치류 동물의 황체를 유지하는 호르몬은?

    ① 안드로겐 ❷ 프로락틴

    ③ 옥시토신 ④ 인슐린

 

[174]. 성숙한 가축에서 채취한 직후 신선한 정액의 평균 pH값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pH 5.0 이하 ② pH5.5~6.4

    ❸ pH 6.5~7.5 ④ pH 8.0 이상

 

[175]. 정상적인 가축에서 수정란의 착상이 일어나는 장소는?

    ① 난관 ❷ 자궁

    ③ 자궁경 ④ 질

 

[176]. 소에서 배반포기에 도달한 수정란을 이식하기에 적합한 시기는? (단, 수란우 발정 후를 기준으로 한다.)

    ① 2~3일 ② 4~5일

    ❸ 7~8일 ④ 10~12일

 

[177]. 한우의 평균 임신기간은?

    ① 150일 ❷ 285일

    ③ 300일 ④ 325일

 

[178]. 돼지의 경우 발정동기화를 하면 얻어지는 이로운 점이 아닌 것은?

    ❶ 출하일령 단축 ② 인공수정실시 용이

    ③ 분만 및 자축관리 용이 ④ all-in, all-out 용이

 

[179]. 화학적 구조에 따른 호르몬의 분류 중 스테로이드계에 해당되는 것은?

    ① dopamine ❷ cortisol

    ③ relaxin ④ oxytocin

 

[180]. 다음 중 시상하부에서 주로 분비되는 호르몬은?

    ① LTH ② FSH

    ❸ LHRH ④ ACTH

 

[181]. 태아의 만출 후부터 태반이 정상적으로 만출 될 때까지의 시간을 가축별로 바르게 연결된 것은?

    ① 말 : 5시간 ❷ 소 : 4~5시간

    ③ 면양 : 10~12시간 ④ 돼지 : 6~10시간

 

[182]. 난소의 황체에서 주로 분비되는 호르몬은?

    ① 옥시토신(oxytocin)

    ② 프로락틴(prolactin)

    ❸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

    ④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183]. 다음 중 소에서 분만 후 자궁이 비임신 상태의 크기로 환원되는 자궁퇴축이 완료되는 시기는?

    ① 분만 후 1~15일 ② 분만 후 15~30일

    ❸ 분만 후 30~45일 ④ 분만 후 90~100일

 

[184]. 다음 중 가축의 평균 임신기간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① 토끼 : 60일 ② 면양 : 180일

    ❸ 젖소 : 280일 ④ 돼지 : 150일

 

[185]. 가축의 번식계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일조시간의 장단 ② 온도

    ③ 내분비학적 기구 ❹ 수분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5

 

축산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축산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