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4]. 정당성 아래에 있는 좌사정이 충·인·의 3부를, 우사정이 지·예·신 3부를 각각 나누어 관할하는 이원적인 통치체제를 구성하였다 ?
❶ 발해
② 고구려
③ 신라
④ 통일신라
[165]. 10년 경자(庚子)에 왕이 보병과 기병 5만 명을 보내어 신라를 구원하게 하였다. 그 결과는?
❶ 고구려가 신라 내정간섭을 강화하였다.
② 백제가 고구려의 평양성을 공격하였다.
③ 신라가 관산성 전투에서 백제 성왕을 살해하였다.
④ 금관가야가 가야 지역의 중심 세력으로 대두하였다.
[166]. ‘신라촌락(민정)문서’를 통해서 알 수 있는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인구를 중시하여 소아의 수까지 파악했다.
② 내시령과 같은 관료에게 토지가 지급되었다.
③ 촌락의 경제력을 파악할 때 유실수의 상황을 반영했다.
❹ 촌락을 통제하기 위해서 지방관으로 촌주가 파견되었다.
[167]. 왕 30년, 달솔 노리사치계를 왜에 보내 석가여래상과 불경을 전했다. 이 왕은?
① 불교를 공인하였다.
❷ 국호를 남부여로 고쳤다.
③ 평양성까지 진군하여 고국원왕을 전사시켰다.
④ 북위에 국서를 보내 고구려를 공격해줄 것을 요청했다.
[168]. 발해의 통치 체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사정부를 두어 관리를 감찰하였다.
② 중앙의 핵심 군단으로 9서당이 있었다.
❸ 정당성 아래에 있는 6부가 정책을 집행하였다.
④ 중앙과 지방에 각각 6부와 9주를 두어 다스렸다.
[169]. 다은중 진골귀족은?
① 관등 승진의 상한은 아찬까지였다.
② 도당 유학생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③ 돌무지덧널무덤을 묘제로 사용하였다.
❹ 식읍․전장 등을 경제적 기반으로 하였다.
[170]. (그들의) 집에는 녹(祿)이 끊이지 않았다. 노동(奴僮)이 3천 명이며, 비슷한 수의 갑병(甲兵)이 있다. 소, 말, 돼지는 바다 가운데 섬에서 기르다가 필요할 때 활로 쏘아 잡아 먹는다. 곡식을 남에게 빌려 주어 늘리는데, 기간 안에 갚지 못하면 노비로 삼아 부린다. 그들은 누구인가?
① 6두품
② 3두품
③ 1두품
❹ 진골
[171]. 통일신라시대가 아닌것은?
① 관료에게는 관료전을, 백성에게는 정전을 지급하였다.
② 인구는 남녀 모두 연령에 따라 6등급으로 나누어 파악하였다.
③ 전국을 9주로 나누고, 주 아래에는 군이나 현을 두어 지방관을 파견하였다.
❹ 국가에 봉사하는 대가로 관료에게 토지를 나누어 주는 전시과 제도를 운영하였다.
[172]. 십문화쟁론을 저술하여 종파 간의 사상적 대립을 조화시키고자 하였다. 이 인물은?
❶ 원효
② 의상
③ 지눌
④ 의천
[173]. 부석사를 창건하고 화엄 사상을 선양하였다. 이 인물은?
① 원효
❷ 의상
③ 지눌
④ 의천
[174]. 다음 무덤 주인은?
1971년 7월, 공주시 송산리 고분군 배수로 공사 도중 벽돌무덤 하나가 우연히 발견되었다. 무덤 입구를 열자, 무덤 주인을 알려주는 지석이 놓여 있었으며, 백제는 물론 중국의 남조와 왜에서 만들어진 갖가지 유물들이 고스란히 남아 있었다.
① 성왕
② 비유왕
❸ 무령왕
④ 근초고왕
[175]. 지방에 22개의 담로를 두고 왕족을 파견하여 지방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였다. 이 왕은?
① 성왕
② 비유왕
❸ 무령왕
④ 근초고왕
[176]. 중앙에는 22부 관청을 두고 지방에는 5방을 설치하였다. 이 왕은?
❶ 성왕
② 비유왕
③ 무령왕
④ 근초고왕
[177]. 고구려의 남진 정책에 맞서 나제동맹을 처음 결성하였다. 이 왕은?
① 성왕
❷ 비유왕
③ 무령왕
④ 근초고왕
[178]. 활발한 대외 정복 전쟁으로 한강 유역을 차지하고 가야를 완전히 정복하였다. 이 왕은?
[54]. 왕후장상이 어찌 원래부터 씨가 있겠는가! 때가 오면 누구든지 다 할 수 있는 것이다 우리들은 주인의 매질 밑에서 근골의 고통만을 당할 수는 없다 최충헌을 비롯하여 각기 자기 상전을 죽이고 노예의 문적을 불질러, 우리 나라로 하여금 노예가 없는 곳으로 만들면 우리도 공경대부 같은 높은 벼슬자리를 차지할 수 있다 ?
① 망이,망소의 난
② 김사미의 난
③ 이자겸의 난
❹ 만적의 난
[55]. 정방폐지, 소금 전매제 실시 ?
① 충렬왕
② 충정왕
③ 공민왕
❹ 충선왕
[56]. 철령 이북의 영토 귀속 문제를 계기로 요동 정벌을 단행하였다. 이 왕은 ?
① 충렬왕
② 충정왕
❸ 공민왕
④ 충선왕
[57]. 기철을 비롯한 부원 세력을 숙청하고 자주적 반원 개혁을 추진하였다. 이 왕은 ?
① 충렬왕
② 충정왕
❸ 공민왕
④ 충선왕
[58]. 만권당을 통해 고려와 원나라 학자들의 문화 교류에 힘썼다. 이 왕은 ?
① 충렬왕
② 충정왕
③ 공민왕
❹ 충선왕
[59]. 도병마사를 도평의사사로 개편하여 국정을 총괄하게 하였다. 이 왕은 ?
❶ 충렬왕
② 충정왕
③ 공민왕
④ 충선왕
[60]. 정방을 폐지하고 사림원을 설치하는 등의 관제 개혁을 추진하는 한편, 권세가들의 농장을 견제하고 소금 전매제를 실시하여 국가 재정을 확충하고자 하였다. 이 왕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