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6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0]. 지형지물의 체계적인 관리와 효과적인 검색 및 활용을 위하여 다른 데이터베이스와의 연계 또는 지형지물 간의 상호참조가 가능하도록 수치지도의 지형지물에 부여되는 고유 코드로, 사람의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은?

    ① 지형코드 ② ASCⅡ 코드

    ❸ 유일식별자(UFID) ④ DB 레코드

 

[1].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자료구조 형태가 다른 것은?

    ① 비트맵 형태의 수치표고모델(DEM)

    ❷ CAD 형태의 수치지형도

    ③ TIFF 형태의 항공사진

    ④ JPEG 형태의 위성영상

 

[2].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일반적인 자료처리 단계를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① 자료의 수치화 → 응용분석 → 출력 → 자료조작 및 관리

    ② 자료조작 및 관리 → 자료의 수치화 → 응용분석 → 출력

    ③ 자료조작 및 관리 → 응용분석 → 출력 → 자료의 수치화

    ❹ 자료의 수치화 → 자료조작 및 관리 → 응용분석 → 출력

 

[3]. 지형을 3차원으로 수치화하여 표현하는 다양한 방법 중 지표면뿐만 아니라 식생, 인공지물 등의 형상을 일정한 평면좌표 간격으로 표현하는 방법은?

    ① DEM(Digital Elevation Model)

    ❷ DSM(Digital Surface Model)

    ③ TIN(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④ DTM(Digital Terrain Model)

 

[4]. 공간 관계를 명시적으로 정의하는 것으로서, 인접, 연결, 포함, 근접으로 표현되는 지리적 도형 간 관계를 나타내는 것은?

    ① location ② attribute

    ❸ topology ④ database

 

[5].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주요 구성요소와 거리가 먼 것은?

    ① 자료(data)

    ② 인력(human)

    ❸ 공공 기관(public institution)

    ④ 기술(sotfware 와 hardware)

 

[6]. 메타데이터의 참조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제작시기와 연락처정보 ② 공간자료의 구성정보

    ❸ 데이터 활용정보 ④ 공간좌표정보

 

[7]. 관계형 자료모델(Relation Data Model)의 기본 구조요소와 거리가 가장 먼 것은?

    ❶ Sort(소트) ② Record(레코드)

    ③ Attribute(속성) ④ Table(테이블)

 

[8].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자료입력 방식 중 스캐너를 이용한 자료값이 8비트 형태를 가질 때 기록되는 수치값의 범위는?

    ① 1 ~ 256 ❷ 0 ~ 255

    ③ 1 ~ 2048 ④ 0 ~ 2047

 

[9]. 구축된 GIS 데이터를 현장에서 확인하려고 한다. 둘레가 8km인 호수의 현황을 A, B 두 명이 확인하는데 소요되는 최소 시간은? (단, A는 1분이 550m, B는 1분에 450m의 거리를 이동하며, 중복하여 확인하지 않는다.)

    ① 6분 ❷ 8분

    ③ 10분 ④ 12분

 

[10]. 수치표고모델(DEM)로부터 얻을 수 있는 자료들로만 짝지어진 것은?

    ❶ 경사면의 방향분석도, 경사도에 대한 분석도

    ② 수계도, 토지피복도

    ③ 가시권에 대한 분석도, 도로망도

    ④ 표고분석도, 역세권분석도

[11]. 공간분석 기능 중 하나인 네트워크 분석(network analysis)을 이용한 분석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❶ 지형 분석 ② 자원할당 분석

    ③ 접근성 분석 ④ 최단경로 분석

 

[12]. 지도를 일반화 하는 개념 중 대상물들을 속성과 속성값에 따라 순서를 정하고, 비교하여 같은 종류끼리 묶는 작업에 대한 정의로 옳은 것은?

    ① 단순화(simplification) ② 과장(exaggeration)

    ③ 기호화(symbolization) ❹ 분류(classification)

 

[13]. 지리정보시스템(GIS) 자료구조 중 실세계를 규칙적인 모양으로 공간분할 하여 나타내는 것은?

    ① 외부 데이터 ❷ 래스터 데이터

    ③ 내부 데이터 ④ 벡터 데이터

 

[14]. 보간법 중 입력 격자상에서 가장 가까운 영상소의 값을 이용하여 출력 격자로 변환시키는 방법은?

    ❶ 최근린보간법 ② 공일차보간법

    ③ 공이차보간법 ④ 공삼차보간법

 

[15]. 지리정보시스템(GIS)에서 도로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때, 도로포장 일자, 포장종류, 차로 수, 보수 일자와 같은 정보를 무엇이라 하는가?

    ① 위상 정보 ② 지리적 위치

    ③ 공간적 관계 ❹ 속성 정보

 

[16]. 다음 중 지리정보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지역별 연평균 강우량 정보

    ② 행정구역별 인구밀도 정보

    ❸ 직업군별 평균소득 정보

    ④ 대상지역의 경사도 분포 정보

 

[17]. 우리나라에서 구축 및 운영 중인 다양한 공간정보시스템과 관련된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❶ KLIS : 한국국토유지관리시스템

    ② NSDI : 국가공간정보포털

    ③ VWORLD :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④ UPIS : 도시계획 통합 정보서비스

 

[18]. 어떤 위치의 속성을 그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지점의 값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구역을 설정하는 점대면 보간방법으로, 강우량 자료보간에 많이 쓰이는 방법은?

    ① 역거리경증법 ② Kriging

    ❸ Thiessen polygon ④ TIN

 

[19]. 부정확한 디지타이징 때문에 발생하는 위상오차로 한쪽 끝이 다른 연결점이나 절점(Node)에 완전히 연결되지 않은 상태의 연결선을 무엇이라 하는가?

    ❶ Dangle ② Loop

    ③ Spike ④ Topology

 

[20]. 지리정보시스템(GIS) 분석 방법 중 유클리디언 거리 공식을 이용하는 방법은?

    ① 면 사상 중첩 분석 ❷ 버퍼 분석

    ③ 선 사상 중첩 분석 ④ 인접성 분석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6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21]. 기하학적 객체를 생생하게 묘사하는 과정으로 추상적 현상의 표현들을 시각화할 때, 보는 사람의 관점에서 어떤 것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이해하기 위해 실세계를 단순화시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① searching ② conversing

    ③ printing ❹ modeling

 

[22].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영상이나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 정보에 좌표를 부여하는 과정을 의미하는 것은?

    ① composition ② coordinates linkage

    ❸ georeferencing ④ geoprocessing

 

[23]. 데이터베이스 설계의 시작점인 개념적 데이터모델링에서 가장 널리 이용하는 방법으로 객체-관계 모형(E-R model)이 있다. 다음 중에 E-R model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❶ 보호(protection) ② 관계(relation)

    ③ 속성(attrivutes) ④ 개체(entity)

 

[24].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의 데이터 조작문(DML)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❶ DROP ② UPDATE

    ③ INSERT ④ SELECT

 

[25]. 수치표고모델(DEM)만을 이요하여 얻을 수 있는 자료들로만 짝지어진 것은?

    ① 표고분석도, 역세권 분석도

    ❷ 사면방향도, 경사도에 대한 분석도

    ③ 수계도, 토지피복도

    ④ 가시권에 대한 분석도, 도로망도

 

[26]. 데이터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 위상구조를 가진 형태로 구성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연속편집 ② 정위치편집

    ❸ 구조화편집 ④ 공간정보편집

 

[27]. 지리정보시스템(GIS)이 CAD 시스템과 차별화되는 주요 기능은?

    ① 대용량의 그래픽 정보를 다룬다.

    ② 필요한 도형정보만을 추출할 수 있다.

    ③ 다양한 축척으로 자료를 출력할 수 있다.

    ❹ 위상구조를 바탕으로 공간분석 능력을 갖추었다.

 

[28]. 벡터구조로서 지형데이터의 표현을 위한 위상을 갖추고 있는 수치표고자료의 표현방식은?

    ❶ 불규칙삼각망(TIN) ② 수치고도모형(DEM)

    ③ 수치표면모형(DSM) ④ 수치선형그래프(DLG)

 

[29]. 두 격자 자료의 입력 값이 각각 0과 1일 때, 각 논리연산자 OR, XOR, AND, NAND의 결과를 순서대로 옳게 표현한 것은? (단, 참일 때 1, 거짓일 때 0)

    ① 0-1-0-1 ❷ 1-1-0-1

    ③ 1-0-0-1 ④ 0-1-1-1

 

[30]. 지리정보시스템(GIS)이 운영되기 위해서는 위치, 시간, 속성 등의 요소가 고려되어야 하며, 그 중 시간은 부가적인 요소이지만 위치는 필수 불가결한 요소이다. 다음 중 정보에 위치를 할당하는 작업을 지칭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는?

    ① Geomatics ② Geo-Science

    ③ Matching ❹ Georeferenece

[31]. 수치지형모형(DTM)으로부터 추출할 수 있는 정보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경사분석도 ② 가시권 분석도

    ③ 사면방향도 ❹ 토지이용현황도

 

[32].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중첩분석방법 중 교통로와 도시팽창지역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폴리곤 간의 중첩 ② 폴리곤과 점의 중첩

    ③ 점과 점의 중첩 ❹ 폴리곤과 선의 중첩

 

[33]. GIS소프트웨어 중에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에 해당되는 것은?

    ① ArcGIS Desktop ② AutoCAD Map 3D

    ❸ GRASS GIS ④ GeoMedia

 

[34]. 지리정보시스템(GIS)의 데이터베이스 구조와 거리가 먼 것은?

    ① 관망(Netwoek)구조

    ② 관계(Relational)구조

    ③ 계층(Hierarchcal)구조

    ❹ 3차원(3-Dimensional)구조

 

[35]. 지리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도구로써 DBMS의 특징과 거리가 먼 것은?

    ① 중앙제어기능

    ❷ 시스템의 단순성

    ③ 효율적인 자료호환

    ④ 다양한 양식의 자료제공

 

[36]. 지리정보시스템(GIS) 자료를 도형자료와 속성재료로 구분할 때, 도형자료에 해당되는 것은?

    ① 관거 재질 ❷ 관거 형상

    ③ 관거 매설 년도 ④ 관거 관리 이력

 

[37]. 다음 중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데이터의 검색, 삽입, 삭제 및 갱신 등과 같은 조작을 하는 데 사용되는 데이터 언어는?

    ① DCL(Date Control Language)

    ② DDL(Date Definition Language)

    ③ DDL(Date Link Language)

    ❹ DML(Date Manipulation Language)

 

[38]. 지리정보시스템(GIS)에서 지형의 상태를 나타내는 수치표고자료 형태로서 맞지 않는 것은?

    ① DEM(Digital Elevation Model)

    ❷ DLM(Digital Line-graph Model)

    ③ DSM(Digital Surface Model)

    ④ DTM(Digital Terrain Model)

 

[39]. 필지간의 위상관계 중 주어진 연속지적도에서 본인의 대지와 접해있는 이웃 대지들의 정보를 얻기 위해 사용하는 위상관계는?

    ❶ 인접성(adjacency) ② 연결성(connectivity)

    ③ 방향성(direction) ④ 포함성(containment)

 

[40]. 지리정보자료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❶ 신뢰도가 높은 자료와 낮은 자료의 혼합사용

    ② 품질관리 규정의 마련 및 준수

    ③ 속성정보 수집의 객관성 확보

    ④ 정확도 검증과정의 채택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6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41]. 벡터자료처리 중에서 발생되며 두 입력지도의 경계가 불일치할 때 경계부근에서 주로 생성되는 의미 없는 작은 polygon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small polygon ❷ sliver polygon

    ③ section polygon ④ error polygon

 

[42]. 지리정보시스템(GIS)을 구현하기 위해 입력, 저장되는 공간자료의 형태로 적절치 않은 것은?

    ① Point ❷ Code

    ③ Line ④ Polygon

 

[43]. 지리정보시스템(GIS) 구축의 의의(목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공간정보의 효율적 관리 수단

    ② 객관적 분석을 통한 공간의사 결정

    ❸ 공간정보 구축 및 활용 시장의 축소

    ④ 공간정보 이용자의 범위 확대

 

[44]. 점 자료에 대한 공간분석방법으로 적합한 것은?

    ❶ 최근린방법(nearest neighbour method)

    ② 플랙탈 차원(fractal dimenssion)

    ③ 망분석 도표이론방법(network and graph theoretic method)

    ④ 형상관측(shape measures)

 

[45]. 연속수치지형도를 제작할 경우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❶ 지도투영구역(zone)의 설정

    ② 단일 투영원점의 결정

    ③ 점, 선, 면형 객체 레이어의 통합

    ④ 연속된 도형에 대한 속성 부여

 

[46]. 공간좌표 변환에 사용되는 Affine 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미지수가 6개이다.

    ❷ 등각 상사변환이다.

    ③ 좌표계의 회전이 포함된다.

    ④ 원점의 이동이 포함된다.

 

[47]. 대상물에 대한 공간정보 구축 시 일반적인 도형 정보 표현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행정구역 –면(Polygon) ② 저수지 –면(Polygon)

    ❸ 소화전 –면((Polygon) ④ 교량 - 면((Polygon)

 

[48]. 공간자료와 자료처리의 개방성과 상호운용성을 목적으로 1994년 결성되었고 GIS 시장 확대를 위해 GIS 소프트웨어 공급자 중심의 국제 표준을 마련하는 기관은?

    ❶ OGC(Open Geospatial Consortium)

    ②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③ W3C(World Wide Web Consortium)

    ④ 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49]. 조직 내 많은 부서가 공동으로 필요로 하는 다양한 지리정보를 손쉽게 취급할 수 있도록 클라이언트-서버기술을 바탕으로 시스템을 통합시기는 GIS 환경은?

    ① Component GIS ❷ Enterprise GIS

    ③ Internet GIS ④ Professional GIS

 

[50]. 지리정보시스템(GIS) 자료의 출력을 위한 하드웨어가 아닌 것은?

    ① 모니터 ❷ 디지타이저

    ③ 프린터 ④ 플로터

[51]. 부울연산(Boolean)을 이용한 지리 속성정보의 추출 방법이 아닌 것은?

    ① A and B ② A not B

    ③ A xor B ❹ A xnot B

 

[52]. 지리정보시스템(GIS)에서 분산처리시스템의 장점과 거리가 먼 것은?

    ① 연산속도 향상 ② 자원공유

    ③ 효율성 ❹ 창조성

 

[53]. 지형도,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대상지의 3차원의 좌표를 취득하여 불규칙한 지형을 기하학적으로 재현하고 수치적으로 해석하므로 토공량 산정, 노선선정, 택지조성 등에 이용되는 것은?

    ① 원격탐사 ② 도시정보체계

    ③ 정사사진 ❹ 수치표고모형

 

[54].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자료 형태 중 래스터 데이터 모델에 대한 특징이 아닌 것은?

    ① 데이터 구조가 단순하다.

    ② 저장 용량이 크고, 공간적 정확성이 떨어진다.

    ③ 중첩분석을 간단히 할 수 있다.

    ❹ 위상구조를 가질 수 있다.

 

[55]. 지리정보시스템(GIS)에서 래스터자료의 압축기법이 아닌 것은?

    ① quadtree 기법 ② block code 기법

    ❸ DBMS 기법 ④ run-length code 기법

 

[56]. 공간 및 속성 정보의 시공간적인 변화에 대한 질의, 분석, 시각화와 이를 통한 시공간 변화 추정 및 활용이 가능한 지리정보시구템(GPS) 분야는?

    ① Web GIS ② Business GIS

    ❸ Temporal GIS ④ Enterprise GIS

 

[57]. 수치지도의 등고선 레이어를 이용하여 수치표고모델(DEM)을 생성할 경우 필요한 방법은?

    ❶ 보간법 ② 일반화 기법

    ③ 분류법 ④ 자료압축법

 

[58]. 도형자료의 점, 선, 면, 위치 등에 대하여 양이나 크기와 관계없이 형상이나 공간적 위치관계를 규정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❶ 위상설정 ② 위치설정

    ③ 종속설정 ④ 도형설정

 

[59]. 지리정보시스템(GIS)의 공간분석 기능 중 속성이 같을 때 폴리곤의 경계선을 제거하여 하나의 폴리곤으로 생성시켜주는 것은?

    ① Merge ② CliP

    ❸ Dissolve ④ Intersect

 

[60]. 특정 목적을 위해 특정한 속성의 크기를 관측단위로 하며 면적, 거리 및 방향의 왜곡은 고려하지 않고 제작하는 지도는?

    ① 기복도(Relief map)

    ❷ 통계지도(Cartogram)

    ③ 유선도(Flow map)

   ④ 지형도(Topographic map)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6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61]. 위성영상의 전반에 걸쳐 불규칙한 잡음(speckle noise)이 발생하여 이를 보정하고자 할때, 다음 중 가장 적합한 방법은?

    ① 밴드간 비연산처리 ❷ 공간 필터링

    ③ 히스토그램 확장 ④ 주성분 분석 변환

 

[62]. 토지 이용, 개발, 행정, 다목적 지적 등 토지자원에 관련된 문제 해결을 위한 정보 분석체계는?

    ① 환경정보체계(EIS) ❷ 토지정보체계(LIS)

    ③ 위성측위체계(GNSS) ④ 시설물관리체계(FM)

 

[63]. 사용자의 특정 요구에 적합하도록 지도를 디자인하는 과정과 거리가 먼 것은?

    ① selection(취사선택) ② classification(분류)

    ❸ globalization(세계화) ④ symbolization(부호화)

 

[64]. 지리정보시스템(GIS)의 가장 기본적인 구성요소와 거리가 먼 것은?

    ① 데이터베이스 ② 소프트웨어

    ③ 하드웨어 ❹ 네트워크

 

[65]. 지리정보데이터 파일 형식(format) 중 나머지 파일 형식과 성격이 다른 하나는?

    ❶ Shape 포맷 ② GIF 포맷

    ③ TIFF 포맷 ④ JPEG 포맷

 

[66]. 인터넷을 기반으로 모든 사물을 연결하여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의 정보를 상호 소통하는 지능형 기술 및 서비스는?

    ① web GIS

    ② mobile internet

    ❸ IoT(Internet of Things)

    ④ UIS(Urban Information System)

 

[67]. 지리정보시스템(GIS) 자료를 공간자료와 속성자료로 구분할 때 공간자료에 해당되는 것은?

    ① 관거 재질 ② 관거 매설 년도

    ③ 관거 관리 이력 ❹ 관거 위치

 

[68]. 건축, 전기, 설비, 통신 등 도면 자동화를 통해 구축된 수치지도를 바탕으로 지상 및 지하의 각종 시설물을 시스템 상에 구축하여 지원하는 시스템은?

    ① AM(Automated Mapping)

    ② TIS(Transportation Information System)

    ❸ FM(Facility Management)

    ④ KML(Keyhole Markup Language)

 

[69]. 지리정보시스템(GIS)에 활용되는 데이터 구조 중 코드화하기 쉬우며 열과 행으로 저장되는 데이터 구조는?

    ① 외부 데이터 ❷ 래스터 데이터

    ③ 내부 데이터 ④ 벡터 데이터

 

[70]. 수치표고모형(DEM)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자료로 거리가 먼 것은?

    ① 경사도 ❷ 교통량 분포

    ③ 향(aspect) 계산 ④ 등고선

[71]. 메타데이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❶ 공간자료 호환을 위한 표준 포맷을 의미한다.

    ② 데이터에 대한 특성과 내용을 설명한다.

    ③ 데이터의 검색을 위한 참조자료로 이용된다.

    ④ GIS 자료의 원활한 공급과 활용을 위해 필요하다.

 

[72]. 다음 중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주요 기능이 아닌 것은?

    ① 자료처리 ② 자료출력

    ❸ 자료복원 ④ 자료관리

 

[73]. 공간정보 데이터는 객체들의 위치뿐만 아니라 객체상호간의 상호인접성, 연결성, 근접성 등 간적 상호관계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정의 되는 과정은?

    ① 객체설정 ② 공간설정

    ❸ 위상설정 ④ 참조설정

 

[74]. 다음의 도형 정보 중 공간사상이 다른 것은?

    ❶ 절대 표고를 표시한 점 ② 소방차의 출동 경로

    ③ 전력선로 ④ 도로의 중심선

 

[75]. 조직 내 많은 부서가 공동으로 필요로 하는 다양한 지리정보를 손쉽게 취급할 수 있도록 클라이언트-서버 기술을 바탕으로 시스템을 통합시키는 GIS 기술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Professional GIS ② Internet GIS

    ③ Component GIS ❹ Enterprise GIS

 

[76]. 폴리곤 레이어를 대상으로 전체 범위 중 공통 지역의 도형과 속성을 추출하는 중첩분석 기능은?

    ❶ Intersection ② Difference

    ③ Identity ④ Merge

 

[77]. 보다 적은 자료량으로 지형지물의 특성을 간편하게 표현하기 위해 선형의 특징 점을 남기고 불필요한 버텍스(vertex)를 삭제하는 일반화 기법은?

    ❶ 단순화 ② 완만화

    ③ 축약처리 ④ 정리처리

 

[78]. 종이지도를 수치지도와 벡터 기반의 중첩분석을 실시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스캐닝 후 영상 도면으로 사용

    ❷ 스캐닝 후 벡터라이징 작업으로 선형 입력

    ③ 컴퓨터 마우스를 이용하여 수동적으로 입력

    ④ 도면을 디지털 촬영 후 사진측량방법으로 취득

 

[79]. 지리정보시스템(GIS) 데이터의 유통과 변환이 가능하도록 데이터의 포맷 등 형식을 동일한 방식으로 규정하는 것은?

    ① 데이터의 계통화 ❷ 데이터의 표준화

    ③ 데이터의 정렬 ④ 데이터의 객관화

 

[80]. 구축한 지리정보시스템(GIS) 데이터의 품질을 검사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를 샘플링 하여야 한다. 모집단을 보다 동질적인 몇 개의 층으로 나누고 이러한 각층으로부터 단순 무작위표본추출을 하는 방법은?

    ① 단순무작위샘플링(simple random sampling)

    ② 계통샘플링(systematic sampling)

    ③ 층화계통비정렬샘플링(stratified systematic unaligned sampling)

    ❹ 층화무작위샘플링(stratified random sampling)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6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81]. 선형 벡터 데이터 구조가 아닌 것은?

    ① 아크(arc) ❷ 노드(node)

    ③ 체인(chain) ④ 폴리라인(polyline)

 

[82]. 격자자료를 압축저장 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① Run-Length code ② Chain code

    ③ Block code ❹ Spaghetti code

 

[83]. 종이도면을 디지타이징할 때 발생하는 오류 중 지적필지가 아니면서 경계부분에서 조각부분이 발생하여 필지로 오인되는 형태의 오류는?

    ① Overshoot ❷ Sliver ploygon

    ③ Undershoot ④ Label 입력오류

 

[84]. 도형의 위상관계 성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포함성 ② 연결성

    ❸ 동질성 ④ 인접성

 

[85]. 토지의 이용, 개발, 행정, 다목적 지적 등 토지자원에 관련된 문제 해결을 위한 정보 분석체계는?

    ① 환경정보체계(EIS) ❷ 토지정보체계(LIS)

    ③ 위성측위체계(GNSS) ④ 시설물정보체계(FMS)

 

[86]. 지리정보시스템(GIS) 데이터 입력에 사용할 수 있는 장치가 아닌 것은?

    ① 드럼 스캐너 ② 디지타이저

    ③ 터치 스크린 ❹ 잉크젯 플로터

 

[87]. 이미 알고 있는 값을 이용하여 알려지지 않은 지점에 대한 속성값을 추정하는 Spline, Kriging 등의 방식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추이분석(trend) ❷ 내삽(interpolation)

    ③ 외삽(extrapolation) ④ 회귀분석(regression)

 

[88]. 크기가 다른 삼각형들로 망을 구성하여 지형을 표현하는 모델은?

    ❶ TIN ② DTM

    ③ DSM ④ DEM

 

[89]. 내비게이션의 최적경로를 계산하거나 상하수도 관망 등과 같은 선형 개체의 부하 예측을 위해 필요한 지리정보시스템(GIS)의 분석 기법은?

    ① 버퍼링 분석 ❷ 네트워크 분석

    ③ 공간질의 ④ 입지 분석

 

[90]. 유사한 특징이 너무 많거나 축척에 따라 표현이 곤란할 정도로 작은 지역에서 면적이나 길이를 비교하여 기준 이하의 공간정보를 삭제하는 일반화 기법은?

    ① 단선(merging) 처리

    ❷ 정리(refinement) 처리

    ③ 과장(exaggeration) 처리

    ④ 단순화(simplification) 처리

[91]. 벡터 데이터 모델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공간해상도에 좌우되지 않는다.

    ② 속성정보의 입력, 검색, 갱신이 용이하다.

    ③ 실세계의 이산적 현상의 표현에 효과적이다.

    ❹ 항공영상, 위성영상 등 디지털 자료를 저장할 때 사용한다.

 

[92]. 공간정보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복잡한 공간정보를 약속된 형태로 단순화하여 표현하는 방법은?

    ❶ 심볼화 ② 체계화

    ③ 수치화 ④ 최소화

 

[93]. 우리나라에서는 ISO(국제표준화기구)와 연계하여 국가 GIS 표준을 제정하고 있는데 ISO에서 GIS 및 관련 기술의 표준을 담당하고 있는 위원회는?

    ① ISO/TC 162 ② ISO/TC 207

    ❸ ISO/TC 211 ④ ISO/TC 224

 

[94]. 지리정보시스템(GIS) 구성요소 중 전체 구축비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항목으로 실세계를 컴퓨터상에 구현해 놓은 것이라 할 수 있는 것은?

    ① 네트워크 ❷ 데이터베이스

    ③ 하드웨어 ④ 소프트웨어

 

[95]. 지리정보시스템(GIS)에서 도로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때, 도로포장 일자, 포장 종류, 차선수, 보수일자와 같은 정보를 무엇이라 하는가?

    ① 위상 정보 ② 지리적 위치

    ③ 공간적 관계 ❹ 속성 정보

 

[96]. 공간연산방법 중 공간연산 후 연산에 참여한 모든 데이터들이 결과파일에 나타나는 것은?

    ❶ Union ② Overlay

    ③ Difference ④ Intersection

 

[97]. 규칙적인 셀(cell)의 격자에 의하여 형상을 묘사하는 자료구조는?

    ❶ 래스터자료구조 ② 벡터자료구조

    ③ 속성자료구조 ④ 필지자료구조

 

[98]. 기존의 도면을 스캐닝하여 얻어진 격자형태의 자료에 대하여 적당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입력된 도면의 선을 수동, 반자동 또는 자동방식으로 추적하여 벡터자료를 획득하는 방법은?

    ① 래스터라이징 ❷ 벡터라이징

    ③ 디지타이징 ④ 커스터마이징

 

[99]. 지리정보시스템의 일반적인 자료처리단계를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① 자료의 수치화 - 응용분석 - 출력 - 자료조작 및 관리

    ② 자료조작 및 관리 - 자료의 수치화 - 응용분석 - 출력

    ③ 자료조작 및 관리 - 응용분석 - 출력 - 자료의 수치화

    ❹ 자료의 수치화 - 자료조작 및 관리 - 응용분석 - 출력

 

[100]. 종이지도를 수치화하기 위하여 왜곡을 보정하고 좌표를 부여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벡터라이징(vectorizing) ❷ 와핑(warping)

    ③ 디지타이징(digitizing) ④ 포지셔닝(positioning)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6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101]. 벡터편집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 유형 중 하나의 선으로 입력되어야 할 곳에서 두 개의 선으로 약간 어긋나게 입력되는 오류는?

    ① 스파이크(spike)

    ❷ 슬리버폴리곤(sliver polygon)

    ③ 오버슈트(over shoot)

    ④ 오버랩핑(over lapping)

 

[102]. GIS와 관련된 모든 종류의 공간자료들을 서로 호환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만들어진 대표적인 교환표준은?

    ❶ SDTS ② DWG

    ③ IMG ④ SPSS

 

[103]. 지리정보시스템(GIS) 자료를 8bit의 래스터 자료로 구성하려고 하는 경우 8bit로 표현할 수 있는 정보의 수는?

    ① 64 ② 128

    ❸ 256 ④ 512

 

[104]. 위상 모형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공간분석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중첩 분석 ② 인접성 분석

    ③ 네트워크 분석 ❹ 주성분 분석

 

[105]. 부서 및 응용프로그램 단위 등으로 흩어져 있는 정보들을 하나의 저장창고에 통합, 저장함으로써 자료의 가치와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은?

    ① 데이터베이스(Database)

    ②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

    ❸ 데이터웨어하우스(Data Warehouse)

    ④ 스트리밍기술(Streaming)

 

[106]. GIS DB구축 및 활용이 개인컴퓨팅 환경에 얽매이지 않고 웹(web)을 통해 사회 다수의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GIS환경은?

    ① LIS ❷ Internet GIS

    ③ GNSS ④ Enterprise GIS

 

[107]. 수치표고모형(DEM)만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는 자료들로 짝지어진 것은?

    ① 표고분석도, 역세권 분석도

    ❷ 사면방향도, 경사도에 대한 분석도

    ③ 수계도, 토지피복도

    ④ 가시권에 대한 분석도, 도로망도

 

[108]. 공간분석의 하나인 중첩분석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식생도와 도시계획도를 합하는 과정

    ② 수치지형도와 하천도를 합하는 과정

    ❸ 동일 시기의 종이지도와 수치지도를 합하는 과정

    ④ 서로 다른 시기의 수치지도 레이어를 합하는 과정

 

[109]. 지리정보시스템(GIS) 자료를 위치자료와 속성자료로 구분할 때, 다음 중 속성자료를 취득하는 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❶ GNSS를 이용한 측량 ② 원격탐사 데이터 분석

    ③ 지리조사 ④ 문헌조사

 

[110]. 공간정보 파일 포맷 중에서 벡터 데이터 형식(Vector Data Format)이 아닌 것은?

    ① geofile.dxf ② geofile.shp

    ③ geofile.ngi ❹ geofile.tif

 

[111]. 지적도(parcels)에서 면적(area, m²)이 100을 초과하는 대지의 소유자(owner)를 알려고 할 때,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질의문으로 옳은 것은?

    ① SELECT owner FROM area GT 100 WHERE parcels

    ② SELECT area GT 100 FROM owner WHERE parcels

    ❸ SELECT owner FROM parcels WHERE area > 100

    ④ SELECT parcels FROM owner WHERE area > 100

 

[112]. 다음 중 지리정보자료와 거리가 먼 것은?

    ① 지역별 연평균 강우량 정보

    ② 행정구역별 인구밀도 정보

    ③ 대상지역의 경사도분포 정보

    ❹ 직업군별 평균소득 정보

 

[113]. 메타데이터(metadata)에 속하는 항목들로 이루어진 것은?

    ① 도로명, 건물명

    ❷ 데이터 품질정보, 데이터 연혁정보

    ③ 레이어코드, 지형코드

    ④ 지물(地物)의 X, Y 좌표

 

[114]. 지리정보로 거리가 먼 것은?

    ① 지역별 연강수량 정보

    ② 행정구역별 인구밀도 정보

    ❸ 직업군별 평균소득 정보

    ④ 대상지역의 경사도분포 정보

 

[115]. 실세계에 존재하고 있는 개체(feature)를 지리정보시스템 (GIS)에서 활용 가능한 객체(object)로 변환하는 과정은?

    ❶ 추상화(abstraction) ② 일반화(generalization)

    ③ 세분화(segmentation) ④ 통합화(integration)

 

[116]. 지형데이터 분석에 있어서 지형을 일정한 격자로 나누어 높이 값을 기록하는 방식은?

    ❶ DEM ② Thiessen Polygon

    ③ TIN ④ TIGER

 

[117]. 수치지형도의 수시수정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준공도면을 이용한 방법

    ② 차량기반 멀티센서 측량시스템(MMS)을 이용한 방법

    ③ 현황측량을 이용한 방법

    ❹ 연속지적도를 이용한 방법

 

[118]. 지리정보시스템(GIS)의 공간 및 속성자료 분석기능 중 여러 가지 다른 종류의 객체를 합쳐서 상위수준의 클래스로 만드는 기능으로써 대축척 지도로부터 소축척 지도를 만드는 과정에도 적용되는 기능은?

    ❶ 일반화(generalization) ② 추출(retrieval)

    ③ 분류(classification) ④ 중첩(overlay)

 

[119]. 네트워크 및 인터넷의 발전과 활용에 힘입어 Web GIS 및 Open GIS가 각광을 받고 있다. 우리나라 국토교통부에서는 2012년부터 다양한 공간정보 데이터를 오픈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Open API) 방식으로 일반인에게 제공하여 활용하게 하고 있는데 이러한 서비스 시스템의 명칭은?

    ① 케이오픈맵(K-OpenMap)

    ② 구글맵(Google Map)

    ❸ 브이월드(V-WORLD)

 ④ 오픈비아이엠(Open BIM)

 

[120]. 수치표고모델(DEM)로부터 얻을 수 있는 자료들로만 짝지어진 것은?

    ❶ 경사면의 방향분석도, 경사도에 대한 분석도

    ② 수계도, 토지피복도

    ③ 가시권에 대한 분석도, 도로망도

    ④ 표고분석도, 역세권분석도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6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121]. 지리정보시스템(GIS)의 관망(Network) 분석기능을 이용하는 사례로 거리가 먼 것은?

    ① 경찰서의 적정 위치 선정

    ❷ 도로공사의 토공량 계산

    ③ 항공기의 운항 경로

    ④ 하천의 흐름

 

[122]. Open Geospatial Consortium(OGC)에서 제정한 웹 GIS 표준이 아닌 것은?

    ① WMS ② WFS

    ③ WCS ❹ WSDL

 

[123]. 조사되지 않은 점에 대한 속성값을 주변의 기지점으로부터 예측하는 작업을 무엇이라 하는가?

    ❶ 보간 ② 디지타이징

    ③ 정합 ④ 모형화

 

[124]. 지리정보시스템(GIS)의 분석방법 중 교통로와 시가지 확장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점사상과 선사상의 중첩

    ❷ 선사상과 면사상의 중첩

    ③ 면사상과 점사상의 중첩

    ④ 면사상과 면사상의 중첩

 

[125].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일반적인 자료처리 단계를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❶ 자료의 수치화 – 자료조작 및 관리 – 응용⋅분석 - 출력

    ② 자료조작 및 관리 – 자료의 수치화 – 응용⋅분석 – 출력

    ③ 자료의 수치화 – 응용⋅분석 – 자료조작 및 관리 – 출력

    ④ 자료조작 및 관리 – 응용⋅분석 – 자료의 수치화 – 출력

 

[126]. 지리정보시스템(GIS)을 구축하고 활용하기 위한 기본적인 구성요소를 세 가지로 구분할 때 거리가 먼 것은?

    ❶ 공간분석기술 ② 공간데이터베이스

    ③ 소프트웨어 ④ 하드웨어

 

[127].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지형분석에서 불규칙하게 분포된 위치에서의 표고를 추출하여 이들 위치관계를 삼각형 형태로 연결하여 지형을 표현하는 방식은?

    ① Overlay 방식 ② Grid 방식

    ❸ TIN 방식 ④ Buffer 방식

 

[128]. 원활한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해서 발생가능 환자 수, 지원가능 의사 및 병동의 수 등을 고려하여 각각의 병원에 지원 지역을 지정하고자 할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GIS 분석 방법은?

    ① 근접 계산 ② 최적경로 탐색

    ③ 영향권 생성 ❹ 네트워크 할당

 

[129]. 수치화된 공간정보 데이터의 관리 및 활용 편의를 위해 제공되는 데이터의 제작, 정의 및 이력과 관련된 정보를 무엇이라 하는가?

    ① 헤더 데이터(header data)

    ② 오픈 데이터(open data)

    ③ 이력 데이터(history data)

    ❹ 메타 데이터(meta data)

 

[130]. 국토교통부에서 다양한 공간정보를 서비스하는 오픈 플랫폼을 무엇이라 하는가?

    ❶ 브이월드 ② 위성기준점서비스

    ③ 항공사진서비스 ④ 구글 3D

 

[131]. 격자(Raster)구조에 비해 벡터(Vector)구조가 갖는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❶ 자료구조가 단순하다.

    ② 다양한 공간분석이 가능하다.

    ③ 속성정보의 갱신이 용이하다.

    ④ 지형의 세세한 표현에 효과적이다.

 

[132]. 대상물에 대한 공간정보 구축 시 일반적인 도형정보 표현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행정구역 – 면(Polygon) ② 저수지 – 면(Polygon)

    ❸ 소화전 – 면(Polygon) ④ 교량 – 면(Polygon)

 

[133]. 공간정보 자료 형식 중 하나인 벡터데이터에서 연결선(polyline)으로 체인에서 방향이 바뀌는 지점을 나타내는 용어로서 체인상에서 좌표 라벨을 부여받는 점은?

    ① 레이어(Layer) ② 커버리지(Coverage)

    ③ 노드(Node) ❹ 버텍스(Vertex)

 

[134]. 지리정보시스템(GIS) 분석 방법 중 유클리디언 거리 공식을 이용하는 방법은?

    ① 면사상 중첩 분석 ❷ 버퍼 분석

    ③ 선사상 중첩 분석 ④ 인접성 분석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6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6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0]. 일반적 원격탐사 영상의 해상도 중에 센서가 기록 가능한 전자기 스펙트럼의 파장범위를 의미하는 것은?
    ❶ 분광해상도(spectral resolution)
    ② 방사해상도(radiometric resolution)
    ③ 공간해상도(spatial resolution)
    ④ 주기해상도(temporal resolution)

[1]. 공간을 크기와 모양이 다양한 삼각형으로 분할하여 생성된 공간자료구조의 일종으로 경사와 경사방향을 설정하고, 효율적으로 지형의 높낮이와 음영을 표한할 수 있는 방법은?
    ① DEM(Digital Elevation Model)
    ② DGM(Digital Geographic Model)
    ❸ TIN(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④ TRN(Triangulated Regular Network)

[2]. 절대표정에 필요한 최소 기준점의 조합으로 옳은 것은?
    ① 3점의 (x, y, z)좌표 및 2점의 z좌표
    ❷ 2점의 (x, y, z)좌표 및 1점의 z좌표
    ③ 3점의 (x, y)좌표 및 2점의 z좌표
    ④ 2점의 (x, y)좌표 및 2점의 z좌표

[3]. 편위수정기로 항공사진을 해석적인 방법에 의하여 편위수정을 할 때 필요한 최소 평면기준점의 개수는?
    ① 1 ❷ 4
    ③ 6 ④ 9

[4]. 해석적 항공삼각측량 방법이 아닌 것은?
    ① 광속조정법 ❷ 멀티플렉스법
    ③ 다항식조정법 ④ 독립모형조정법

[5]. 항공사진측량에서 정의하는 산악지역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산이 차지하는 면적이 한 사진의 60% 이상인 지역
    ② 산이 차지하는 면적이 한 사진의 70% 이상인 지역
    ③ 사진에서 지형의 고저차가 촬영고도의 5% 이상인 지역
    ❹ 사진에서 지형의 고저차가 촬영고도의 10% 이상인 지역

[6]. 식물의 성장 상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가장 적합한 사진은?
    ① 팬크로사진 ❷ 적외선사진
    ③ 천연색사진 ④ 레이더사진

[7]. 아날로그 항공사진에서 주점의 위치를 알기 위해 필요한 것은?
    ① 주점거리 ❷ 사진지표
    ③ 수준기 ④ 촬영고도

[8]. 항공사진의 표정을 위한 2차원 좌표변환식 중 등각사상변환식의 종류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회전변환 ❷ 보간변환
    ③ 축척변환 ④ 평행이동변환

[9]. 입체도화기에서 항공사진을 절대표정(absolute orientation)을 할 때의 동일한 직선상에 위치하지 않은 최소 기준점의 수는?
    ❶ 2점의 평면좌표 및 3점의 표고좌표
    ② 3점의 평면좌표 및 3점의 표고좌표
    ③ 2점의 평면좌표 및 2점의 표고좌표
    ④ 3점의 평면좌표 및 4점의 표고좌표

[10]. 항공사진의 기복변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기복변위는 중심투영으로 인하여 생긴다.
    ❷ 변위량은 촬영고도에 비례한다.
    ③ 변위량은 지형지물의 비고에 비례한다.
    ④ 변위량은 연직점에서 상이 생기는 거리에 비례한다.

[11]. 숲 지역에서 수치표고모형(DEM)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 중 가장 정확도가 높은 방법은?
    ① 항공사진측량 ❷ 항공레이저측량
    ③ 기존수치지도이용 ④ 위성영상자료이용

[12]. 원격탐사 센서 중 센서 자체에서 발사한 신호의 반사강도와 위상을 관측하여 지표면의 2차원 영상을 얻는 방식은?
    ① TM(thematic mapper)
    ② RVB(return beam vidicon)
    ③ MSS(multi spectral scanner)
    ❹ SAR(synthetic aperture radar)

[13]. 사진의 편위수정을 통하여 제거되는 것은?
    ❶ 경사변위 ② 기복변위
    ③ 대상물 비고 ④ 시차

[14]. 다음의 전자파 파장 중에서 가시광선 영역에 속하는 것은?
    ① 0.3㎛ ~ 0.4㎛ ② 0.3mm ~ 0.4mm
    ❸ 0.4㎛ ~ 0.7㎛ ④ 0.4mm ~ 0.7mm

[15]. 원격탐사의 자료변환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하학적인 오차나 왜곡의 원인이 아닌 것은?
    ① 센서의 가하학적 특성에 기인한 오차
    ❷ 인공위성의 크기에 기인한 오차
    ③ 플랫폼의 자세에 기인한 오차
    ④ 지표의 기복에 기인한 오차

[16]. 표고 570m의 지점을 초점거리가 210mm의 카메라로 기준면으로부터 고도 5,820m에서 촬영된 사진의 축척은?
    ① 1 : 15000 ② 1 : 19000
    ③ 1 : 20000 ❹ 1 : 25000

[17]. 항공사진측량용 광각 카메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❶ 렌즈 피사각이 120°정도이다.
    ② 초점거리가 152mm정도이다.
    ③ 사진크기가 23cm×23cm이다.
    ④ 일반도화 및 판독에 적합하다.

[18]. 항공삼각측량에서 조정방법에 따라 정확도가 높은 것부터 낮은 순서로 나열된 것은?
    ① 기계법 - 도해법 - 해석적 방법
    ② 도해법 - 기계법 - 해석적 방법
    ③ 해석적 방법 - 도해법 - 기계법
    ❹ 해석적 방법 - 기계법 - 도해법

[19]. 상호표정요소를 계산하기 위하여 측정하여야 할 공액점의 최소 개수는?
    ① 2개 ② 3개
    ③ 4개 ❹ 5개

[20]. 항공사진측량의 사진축척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아닌 것은?
    ① 초점거리 ② 촬영고도
    ③ 평균표고 ❹ 사진크기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6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21]. 항공사진측량시 지상기준점(또는 표정기준점)의 선정 조건으로 틀린 것은?
    ① 사진 상의 명료한 점
    ② 상공에서 보이는 점
    ③ 시간적인 변화가 없는 점
    ❹ 경사변환선 상의 점 또는 가상점

[22]. 길이가 23km인 1개 촬영경로(코스)를 촬영하는데 필요한 모델의 수는? (단, 사진축척 : 1 : 10000, 종종복도 : 60%, 사진크기 : 23cm×23cm이다.)
    ❶ 25 ② 30
    ③ 50 ④ 51

[23]. 항공삼각측량 조정법 중 정확도가 가장 높은 것은?
    ① 독립모델(모형)법 ② 스트립법(다항식법)
    ❸ 번들조정법(광속법) ④ 도해법

[24]. 표고 1000m에서 촬용한 축척 1:5000의 편위수정 사진이 있다. 지상연직점으로부터 400m 떨어진 곳에 있는 표고 100m의 산정(山頂)을 찍었을 경우 사진상의 기복변위는?
    ① 5mm ② 6mm
    ③ 7mm ❹ 8mm

[25]. 항공사진을 입체시 할 경우에 발생하는 과고감과 관련이 없는 요소는?
    ① 기선길이 ② 중복도
    ③ 초점거리 ❹ 지구곡률

[26]. 항공사진 또는 위성영상의 기하보정 과정에서 최종 결과영상을 제작하는데 필요한 재배열(resampling)방법 중 원천영상자료의 화소값의 변경을 방지할 수 있고 가장 계산이 빠른 방법은?
    ① Non-linear Interpolation
    ② Bilinear Interpolation
    ③ Bicubic Interpolation
    ❹ Nearest-neighbor Interpolation

[27]. 위성영상의 특성을 나타내기 위한 해상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분광해상도(spectral resolution)
    ② 복사해상도(radiometric resolution)
    ❸ 위상해상도(topology resolution)
    ④ 주기해상도(temporal resolution)

[28]. 위성영상 중 지표면의 온도분포를 분석할 수 있는 것은?
    ❶ Landsat 위성의 TM 영상
    ② Landsat 위성의 RBV영상
    ③ SPOT 위성의 HRV 영상
    ④ 아리랑 위성의 EOC영상

[29]. 수치사진측량기법으로 DEM(Digital Elevation Model)을 자동으로 생성하려고 할 때, 다음 중 가장 적합한 영상은?
    ① 팬크로매틱 영상 ❷ 에피폴라 영상
    ③ 경사영상 ④ 모자이크 영상

[30]. 원격탐사 플랫폼에서 지상물체의 특성을 탐지하고 기록하기 위해 이용하는 전자기복사에너지 중 파장이 긴 것부터 짧은 것의 순서로 옳게 나열된 것은?
    ① Visble Blue -Visible Red - Visible Green
    ❷ Visible Red - Visible Green - Visible Blue
    ③ Visible Blue - Mid Infrared - Thermal Infrared
    ④ Visible Red - Mid Infrared - Thermal Infrared

[31]. 사람이 두 눈으로 물체를 볼 때 멀리 볼 수 있는 수렴각의 최소한계를 20“, 안기성장(eye base)을 65mm라 하면 원근감을 느낄 수 있는 최대한 거리는?
    ❶ 670m ② 560m
    ③ 450m ④ 185m

[32]. 일반사진기와 비교하여 항공측량용 사진기의 특성으로 옳은 것은?
    ① 렌지지름이 작다. ❷ 왜곡이 적다.
    ③ 초점길이가 짧다. ④ 화각(피사각)이 작다.

[33]. 평탄한 초지를 활용한 연직사진의 주점을 지나는 직선 위에 두 점 A, B가 있고, 두 점의 사진상 거리가 10cm, 지상수평거리가 500m이었다면 이 사진이 축척은?
    ① 1:500 ② 1:1000
    ③ 1:2000 ❹ 1:5000

[34]. GNSS 수신기를 탐재하여 항공삼각측량을 수행할 경우의 장점으로 옳은 것은?
    ① 내부표정을 생략할 수 있다.
    ② 사진의 중복도를 작게 할 수 있다.
    ③ 야간에도 항공사진측량이 가능하다.
    ❹ 지상기준점의 수를 줄일 수 있다.

[35]. 편위수정을 거친 사진을 집성하여 만든 사진지도는?
    ① 중심투영 사진지도 ② 약조정집성 사진지도
    ③ 반조정집성 사진지도 ❹ 조정집성 사진지도

[36]. 인공위성에서 촬영된 다중분광센서(MSS) 영상의 활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입체 시각화에 의한 지형분석
    ❷ 영상분류에 의한 토지이용 분석
    ③ 대축척 수치지도 제작
    ④ 야간이나 악천후 중 재해 모니터링

[37]. 우리나라 위성 중 정자궤도를 채택하면서 최초로 기상관측 목적의 센서를 탑재한 위성은?
    ① 아리랑 위성 ② 무궁화 위성
    ❸ 천리안 위성 ④ 우리별 위성

[38]. 스트립 조정법으로 항공사진측량을 수행할 경우 필요한 최소의 3차원 지상기준점 개수는?
    ① 1개 ❷ 3개
    ③ 6개 ④ 9개

[39]. 사진측량에서의 모델(Model)에 대한 정의로 가장 알맞은 것은?
    ❶ 1쌍의 중복된 사진으로 입체시 되는 부분이다.
    ② 어느 지역을 대표할 만한 사진이다.
    ③ 편위수정(偏位修正)을 한 사진이다.
    ④ 촬영된 1장의 사진이다.

[40]. 다음 중 병충해 조사 및 삼림조사, 홍수지역의 판독 등에 가장 적합한 사진은?
    ① 팬크로 사진 ❷ 적외선 사진
    ③ 자외선 사진 ④ 흑백 사진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6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41]. 다음 중 공간해상도가 가장 좋은 센서를 탑재한 것은?
    ❶ IKONOS ② LANDSA-7
    ③ KOMPSAT-1 ④ JERS-1

[42]. 사진측량으로 도심지역의 수치지도를 작성할 경우 사진의 해상도를 읿정하게 유지시키면서 고층건물에 의해 발생하는 폐색지역(occlusion area)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은?
    ① 촬영고도를 높게 한다.
    ② 촬영고도를 낮게 한다.
    ❸ 동일한 촬영고도에서 사진의 중복도를 크게 한다.
    ④ 동일한 촬영고도에서 사진의 중복도를 작게 한다.

[43]. 상호표정 요소를 해석적인 방법으로 구할 때 종시차 방정식의 관측값으로 필요한 자료는?
    ❶ 공액점의 y 좌표 ② 공액점의 x 좌표
    ③ 연직점의 z 좌표 ④ 연직점의 x 좌표

[44]. 항공사진의 기본변위와 관계없는 것은?
    ❶ 정사투영 ② 촬영고도
    ③ 중심투영 ④ 지형지물의 비고

[45]. 다음 중 원격탐사 영상을 이용하여 토지피복도를 제작 할 때 가장 활용도가 높은 영상은?
    ① 적외선 영상(Infrared Image)
    ❷ 초미세분광 영상(Hyper-Spectral Image)
    ③ 열적외선 영상(Thermal Infrared Image)
    ④ 레이더 영상(Radar Image)

[46]. 사진측량에서 모델의 의미로 옳은 것은?
    ① 편위 수정된 사진이다.
    ② 촬영된 한 장의 사진이다.
    ❸ 한 쌍의 사진으로 실체시 되는 부분이다.
    ④ 어느 지역을 대표할 만한 사진이다.

[47]. 위성영상 구매 시 메타데이터(Meta Data)에 포함되지 않는 정보는?
    ① 위성영상의 공간해상도 ❷ 위성영상의 UTM 좌표
    ③ 위성영상의 촬영범위 ④ 위성영상의 촬영날짜

[48]. SAR(Synthetic Aperture Radar)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야간에도 데이터 획득이 가능하다.
    ② 측면방향으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③ DEM 생성이 가능하다.
    ❹ 수동적 광학센서를 사용한다.

[49]. 수치정상영상(digital ortho image)을 제작하기 위해 직접적으로 필요한 자료가 아닌 것은?
    ① 수치표고모델(DEM) ② 촬영된 원래 영상
    ③ 외부표정요소 ❹ 수치지도

[50].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자료 입력과정에서 다른 수치지도와 벡터기반의 중첩분석을 위해 기존 인쇄된 지도를 입력하는 가장 적당한 방법은?
    ❶ 스캐닝 후 벡터라이징 작업으로 선형 입력
    ② 스캐닝 후 영상 도면으로 사용
    ③ 컴퓨터 마우스를 이용하여 수동적으로 입력
    ④ 도면을 디지털 촬영 후 사신측량 방법으로 취득

[51]. 항공 라이다시스템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항공레이저스캐너와 GPS/INS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② 지표면에 대한 3차원 좌표정보를 취득하는 시스템이다.
    ③ 항공사진측량보다 기상조건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
    ❹ 극초단파를 사용하는 수동적 센서 시스템이다.

[52]. 조정집성 영상지도 제작에 사용되는 사진은?
    ① 수렴사진 ② 경사사진
    ❸ 정사사진 ④ 광각사진

[53]. 감독분류 알고리즘 중 하나로 확률을 기초로 각 밴드 내의 클래스에 대한 훈련자료 통계가 정규분포를 이룬다고 가정하고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은?
    ① 최근린 분류(nearest-neighbor classifer)
    ② 최단거리 분류(minimum distance classifier)
    ❸ 최대우도 분류(maximum likelihood classifier)
    ④ 거리가중 분류(distance weighted classifier)

[54]. 번들조정법(광속조정법)에서 적용하는 기본 수학모형식은?
    ❶ 공선조건식 ② 공면조건식
    ③ 공액조건식 ④ 공간조건식

[55]. 상호표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평면(x, z)방향 시차를 소거하는 것
    ② 높이(z)방향 시차를 소거하는 것
    ③ 횡(x)방향 시차를 소거하는 것
    ❹ 종(y)방향 시차를 소거하는 것

[56]. 수동적 감지기(passive sensor) 중 지표로부터 반사되는 전자기파를 렌즈와 반사경으로 집광하여 필터를 통해 분광한 다음 파장별로 구분하여 각각의 영상을 기록하는 감지기는?
    ① INS ② PAN
    ❸ MSS ④ SAR

[57]. 지형적 조건이 동일하고 항공사진의 축척이 같을 때 기복변위량이 가장 작게 나타나는 사진은?
    ❶ 보통각사진 ② 광각사진
    ③ 초광각사진 ④ 경사사진

[58]. 사진측량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❶ 지상측량보다 정확도가 월등히 높다.
    ② 정량적 및 정성적 측정이 가능하다.
    ③ 축척이 작을수록 경제적이다.
    ④ 분업화에 따라 능률적이다.

[59]. 항공사진의 수치영상을 이용한 상호표정시 입체영상에서 공액점을 자동으로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법은?
    ① 영상 모자이크 ❷ 영상접합
    ③ 보간법 ④ 편위수정

[60]. 촬영스트립의 길이가 4km라고 하면 몇 매의 사진을 촬영해야 하는가? (단, 사진축척 1:10000, 종중복도 60%, 사진크기 21cm× 21cm)
    ① 4매 ❷ 5매
    ③ 6매 ④ 7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6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61]. 초점거리 150mm, 사진의 크기 23cm×23cm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촬영고도 4,500m에서 촬영된 평지의 연직사진이 있다. 1:25000 지형도 상에서 서로 이웃하는 두 사진의 주점간 거리가 96.6mm이었다면 사진의 종중복도는?
    ① 55% ② 60%
    ❸ 65% ④ 70%

[62]. 항공삼각측량의 조정방법으로 사진을 기본단위로 하며 정확도가 가장 높은 것은?
    ① 다항식조정법(Polynomial Adjustment)
    ❷ 광속조정법(Bundle Adjustment)
    ③ 독립모형법(Independent Model Triangu- lation)
    ④ 부등각사상변환법(Affine Transformation)

[63]. 항공사진과 지도의 투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❶ 항공사진은 중심투영, 지도는 정사투영이다.
    ② 항공사진은 정사투영, 지도는 중심투영이다.
    ③ 항공사진과 지도는 모두 중심투영이다.
    ④ 항공사진과 지도는 모두 정사투영이다.

[64]. 초점거리 152mm인 카메라를 이용하여 2°의 경사로 평지를 촬영한 항공사진이 있다. 이 항공사진의 최대 경사선 상에서 등각점과 연직점 간의 깊이는?
    ① 2.0mm ② 2.4mm
    ❸ 2.7mm ④ 4.8mm

[65]. 다음의 측량기법(장비) 중 야간에는 자료획득이 불가능한 것은?
    ① LIDAR ② GPS
    ❸ MSS ④ SAR

[66]. 카메라 중 동일한 촬영고도에서 촬영했을 때 가장 많은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 카메라는?
    ① 협각카메라 ② 보통각카메라
    ③ 광각카메라 ❹ 초광각카메라

[67]. 원격탐사의 일반적인 영상처리 순서로 옳게 나열된 것은?
    ① 데이터 입력→변환처리→전처리→분류처리→출력
    ❷ 데이터 입력→전처리→변환처리→분류처리→출력
    ③ 데이터 입력→분류처리→변환처리→전처리→출력
    ④ 데이터 입력→분류처리→전처리→변환처리→출력

[68]. 시간에 대한 함수를 주파수에 대한 함수로 변환하는 선형변환의 일종으로 널리 사용되는 영상변환 방법은?
    ❶ 푸리에(Fourier) 변환 ② 호텔링(Hotelling) 변환
    ③ 특성(Character) 변환 ④ 월쉬(Walsh) 변환

[69]. 고도 1,000m에서 축척 1:20000으로 촬영된 편위수정 사진이 있다. 지상 연직점으로부터 600m 떨어진 곳에 있는 비고(比高) 100m인 산 정상의 기복 변위는?
    ① 2mm ❷ 3mm
    ③ 6mm ④ 10mm

[70]. 수치영상을 1개 화소(pixel)의 지상면적을 뜻하는 용어로 1개 화소의 실제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❶ 공간 해상도 ② 주기 해상도
    ③ 방사 해상도 ④ 분광 해상도

[71]. 다음 중 절대표정요소를 구할 수 있는 경우는?
    ① 동일 직선상에 위치한 5개의 수직기준점
    ② 동일 직선상에 위치한 3개의 수평기준점
    ③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지 않은 5개의 수직기준점
    ❹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지 않은 4개의 3차원 지상기준점

[72]. 사진지표가 없는 일반 사진기로 쵤영된 사진에 대하여 해석적 사진측량을 수행할 경우 정밀좌표측정기의 기계좌표와 지상좌표 간의 변환식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투영 변환식 ❷ 직접선형 변환식
    ③ 부등각사상 변환식 ④ 선형등각사상 변환식

[73]. 비행고도 3000m에서 수직으로 촬영된 사진에서 표고 120m인 지점이 주점으로부터 5cm 되는 곳에 위치하여 있다면 고저차에 의한 상(像)의 편위량은?
    ① 1mm ❷ 2mm
    ③ 3mm ④ 4mm

[74]. 카메라의 검정 데이터(calibration data)에 해당되는 것은?
    ❶ 사진지표의 좌표값 ② 연직점의 좌표
    ③ 대기 보정량 ④ 사진축척

[75]. 다중 해상도 수치표고모형(DEM) 생성이 가능한 표고점 추출 방법은?
    ① 격자 표고점 추출 ② 무작위 표고점 추출
    ③ 동적 표고점 추출 ❹ 점진적 표고점 추출

[76]. 축척 1:10000 으로 촬영한 연직사진에 대하여 촬영에 사용한 사진기의 초점거리 153mm, 사진크기 23cm×23cm, 종중복도 70%일 때의 기선 고도비는?
    ❶ 0.45 ② 0.85
    ③ 1.40 ④ 2.85

[77]. 항공사진 측량에 의한 지형도 제작 시 필수적인 공정이 아닌 것은?
    ① 기준점 측량 ② 사진촬영
    ③ 세부도화 ❹ 지자기 측량

[78]. 원경탐사 센서의 분류 중에 수동방식의 센서가 아닌 것은?
    ❶ Radar ② MSS
    ③ Camera ④ Hyper spectral

[79]. 다음 중 원격탐사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LANDSAT ② HRV
    ❸ VRS ④ SPOT

[80]. 사진측량에서 모델(model)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한 장의 사진을 의미한다.
    ② 편위수정된 사진을 의미한다.
    ③ 어느 지역을 대표할 만한 사진을 의미한다.
    ❹ 한 쌍의 중복된 사진으로 입체시 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6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81]. 한 코스에 대하여 한 개의 촬영점으로부터 다음 촬영점까지의 종방향 실거리를 의미하는 것은?
    ❶ 촬영기선길이 ② 종중복도
    ③ 촬영코스길이 ④ 주점기선길이

[82]. 전자기파의 파장대를 파장이 짧은 것부터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❶ 자외선⇒청색⇒녹색⇒적색
    ② 적색⇒자외선⇒청색⇒녹색
    ③ 자외선⇒적색⇒녹색⇒청색
    ④ 적색⇒녹색⇒청색⇒자외선

[83]. 다음 중 탑재된 센서로 경사관측이 불가능한 위성은?
    ① SPOT 위성 ② KOMPSAT 위성
    ③ IRS 위성 ❹ Landsat 위성

[84]. 고해상도 전정색(흑백) 공간영상자료와 저해상도 다중분광(컬러) 공간영상자료를 배합하여 고해상도 컬러영상을 제작하는 해상도병합(Resolution Fusion)기법이 아닌 것은?
    ① 색상공간모델 변환(IHS Transform)
    ② 주성분분석 변환(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ransform)
    ③ 브로비 변환(brovey Transform)
    ❹ 퓨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

[85]. 사진의 표정을 위해서 인위적인 기준점인 대공표지를 지상에 설치할 때 사진상에서 대공표지의 일반적인 크기는?
    ① 약 0.1m ② 약 1m
    ❸ 약 30m ④ 약 100m

[86]. 격자형(Raster) 지리공간자료의 저장 포맷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① Tiff ② JPG
    ③ DXF ❹ Geotiff

[87]. 광속조정법(Bundle Adjustment)을 이용하여 항공삼각측량을 수행할 경우, 사진 3장이 중복된 부분에서 2점에 대한 지상좌표와 각각의 사진좌표를 측정할 경우 생성되는 공선조건식의 수는?
    ① 4개 ② 6개
    ❸ 12개 ④ 24개

[88]. 초점거리 15.0cm의 사진기로 지표면으로부터 촬영고도 3600m에서 촬영한 연직사진의 축척은?
    ① 1:12000 ❷ 1:24000
    ③ 1:30000 ④ 1:54000

[89]. 원격탐사에서 SAR와 같은 능동형 센서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❶ 취득된 영상에는 다중분광영상 자료가 포함된다.
    ② 날씨의 영향을 비교적 적게 받는다.
    ③ 밤에도 촬영이 가능하다.
    ④ 위성체의 에너지 소모가 수동형 센서보다 많다.

[90]. 편위수정에 있어서 만족해야 할 3가지 조건이 아닌 것은?
    ① 기하학적 조건 ② 광학적 조건
    ③ 샤임프러그 조건 ❹ 템플릿 조건

[91]. 입체시를 할 때 계곡이 솟아오른 능선으로 보이고, 산봉우리가 폭 꺼진 분지로 보이는 경우는?
    ① 기선길이가 너무 짧은 경우
    ② 음화와 양화가 섞여 있는 경우
    ❸ 입체시 되는 사진의 좌우가 바뀐 경우
    ④ 좌우 사진의 심한 축척 차이가 있는 경우

[92]. 항공사진을 스캐닝 하여 영상을 만들고자 한다. 축척 1:25000의 항공사진을 스캐닝하여 영상화소(pixel)하나의 공간해상력이 26.5cm가 되도록 하려면 스캐닝 해상력(dpi)은 얼마로 설정하여야 하는가?
    ① 600dpi ② 1200dpi
    ❸ 2400dpi ④ 4800dpi

[93]. 정사투영사진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기복변위가 없다.
    ❷ 편광입체시가 가장 잘 된다.
    ③ 지도의 등고선을 중첩할 수 있다.
    ④ 지표면의 비고에 관계없이 축척이 동일하다.

[94]. 항공사진측량을 통한 정밀지형도 작성을 위하여 필수적인 자료가 아닌 것은?
    ① 지상기준점측량 성과 ❷ 토지이용 정보
    ③ 내부표정요소 ④ 항공사진

[95]. 카메라의 초점거리 153mm, 촬영경사 3grade로 평지를 촬영한 항공사진이 있다. 이 사진에서 주점으로부터 최대 경사선 상의 등각점까지의 길이는?
    ① 1.8mm ❷ 3.6mm
    ③ 5.8mm ④ 6.4mm

[96]. 다음 중 공간을 불규칙한 삼각형으로 분할하여 생성된 공간자료구조의 일종으로 경사와 경사 방향을 설정하고, 효율적으로 지형의 높낮이와 음영을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은?
    ① DEM(Digital Elevation Model)
    ② DGM(Digital Geographic Model)
    ❸ TIN(Triangulation Irregular Network)
    ④ TRN(Triangulation Regular Network)

[97]. 평균해수면으로부터의 고도가 2850m인 항공기에서, 초점거리가 153mm의 카메라로, 평균해수면으로부터의 고도 500m인 평지를 촬영했을 때 이 사진의 축척은?
    ① 1:18627 ❷ 1:15360
    ③ 1:1736 ④ 1:1536

[98]. 입체모델을 구성하는 두 사진의 투영중심과 임의의 지상점, 그리고 지상점에 대한 각 사진의 공액점이 동일 평면상에 존재해야 한다는 조건은?
    ① 공선조건 ❷ 공면조건
    ③ 수렴조건 ④ 회전변환조건

[99]. 영상분류(image classification)에서 감독분류(supervised classification)기법을 위해 필수적인 사항은?
    ❶ 표본영상 자료 ② 좌표변환식
    ③ 지상측량 성과 ④ 수치지도

[100]. 촬영고도 6350m, 사진(Ⅰ)의 주점기선길이가 67mm, 사진(Ⅱ)의 주점기선길이가 70mm일 때 시차차가 1.37mm인 댐의 높이는?
    ① 147m ② 137m
    ❸ 127m ④ 107m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6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101]. 자동 상호표정을 위하여 영상에서 특징선을 검색하고자 할 때 영상처리기법으로 가장 적절한 방법은?
    ① 선형스트레치 기법
    ② 히스토그램 평활화 기법
    ❸ 쇼벨(Sobel) 경계선 필터 기법
    ④ 로우패스(Low pass) 필터 기법

[102]. 다음의 항공촬영된 사진 중 지평선이 나타나는 사진은?
    ① 저각도 경사사진 ② 수직사진
    ③ 엄밀 수직사진 ❹ 고각도 경사사진

[103]. 해석적 절대표정에서 결정되는 것으로 옳은 것은?
    ❶ 축척, 수준면, 위치
    ② 촬영점의 위치, 회전각, 주점
    ③ 초점거리, 렌즈왜곡, 대기보정
    ④ 입체사진의 기선길이, 회전각, 중복도

[104]. 항공사진의 기복변위와 관계가 없는 것은?
    ① 중심투영 ❷ 정사투영
    ③ 지형지물의 비고 ④ 지형지물의 높이에 비례

[105]. 주점과 등각점의 거리가 6.55mm이고, 경사각이 5°, 축척이 1:10000일 경우에 촬영고도는?
    ❶ 1500m ② 2000m
    ③ 4000m ④ 5000m

[106]. 공간 해상력이 상이한 두 종류 이상의 영상을 합성하여 상대적으로 고해상도인 종합 정보를 포함한 영상을 제작하는 과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영상 강조(image enhancement)
    ② 영상 분류(image classification)
    ③ 영상 전처리(image preprocessing)
    ❹ 영상 융합(image fusion)

[107]. 축척 1:20000 항공사진을 180km/h의 속도로 촬영할 경우 사진상 허용 흔들림량을 0.01mm로 한다면 최장 노출시간은?
    ① 1/200초 ❷ 1/250초
    ③ 1/300초 ④ 1/500초

[108]. 영상을 모자이크할 경우에 모자이크된 영상 내에서 경계선이 보이게 된다. 이 경계선을 중심으로 일정한 폭을 설정하여 영상을 부드럽게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은?
    ① 영상 와핑(image warping)
    ❷ 영상 페더링(image feathering)
    ③ 영상 스트레칭(image stretching)
    ④ 히스토그램 평활화(histogram equalization)

[109]. 정확하게 분별할 수 있는 자연점이 없는 지역에서 연속으로 사진을 결합시킬 경우에 표정점 등의 위치를 인접 사진에 옮긴 점을 무엇이라 하는가?
    ❶ 자침점 ② 부점
    ③ 접합점 ④ 주점

[110]. 위성영상의 기하보정 시 사용하는 재배열 방법으로서, 내삽점 주위 4점의 화소값을 이용하여 가중평균값으로 내삽하는 방법은?
    ① 들로네 삼각법(delaunay triangulation)
    ❷ 공일차 내삽법(bilinear interpolation)
    ③ 최근린 내삽법(nearest neighbor)
    ④ 3차 회선법(cubic convolution)

[111]. 수치사진측량에서 자동 내부표정을 위해 사진지표(fiducial mark)의 좌표를 자동으로 검색하기 위해 필요한 방법은?
    ① 입체시 ② 보간법
    ③ 영상 재배열 ❹ 영상정합

[112]. 라이다(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의 활용분야와 거리가 먼 것은?
    ① 문화재에 대한 3차원 모델 생성
    ❷ 토양의 수분 함량 측정
    ③ 송전선의 3차원 경로 측정
    ④ 터널 내부의 3차원 형상 측량

[113]. 입체사진 촬영 시 중복지역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이 아닌 것은?
    ① 보통각 렌즈 대신 광각 렌즈를 사용한다.
    ② 촬영 간격을 짧게 한다.
    ③ 비행속도를 느리게 한다.
    ❹ 촬영고도를 낮춘다.

[114]. 시차(parallax)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종시차는 주점기선의 차를 반영한다.
    ② 종시차는 물체의 수평위치 차를 반영한다.
    ❸ 횡시차는 물체의 고저 차를 반영한다.
    ④ 횡시차가 없어야 입체시가 된다.

[115]. 사진기 검정자료(calibration data)로부터 직접 얻을 수 없는 정보는?
    ① 초점거리 ② 렌즈의 왜곡량
    ❸ 등각점 ④ 주점

[116]. 다음 중 능동형센서(SAR)가 장착된 위성은?
    ① IKONOS-2 ② LANDSAT-5
    ❸ KOMPSAT-5 ④ WORLD VIEW-2

[117]. 한쌍의 입체사진에 있어서 사진의 좌우를 바꾸어 놓거나, 색안경의 적색과 청색을 좌우로 바꾸어서 볼 때 생기는 입체시는?
    ❶ 역입체시 ② 육안입체시
    ③ 여색입체시 ④ 편광입체시

[118]. 항공라이다 측량시 취득할 수 있는 정보가 아닌 것은?
    ① Laser 펄스가 반사된 지점에 대한 X, Y, Z 좌표값
    ② Laser 펄스가 반사된 지점의 반사강도
    ❸ 대상지역에 대한 Radar 영상
    ④ 반사된 Laser 펄스의 파형

[119]. 2010년에 우리나라에서 개발하여 발사한 천리안위성(COMS)의 임무로 거리가 먼 것은?
    ① 통신중계 ② 해양관측
    ❸ 선박감시 ④ 기상관측

[120]. 비행기의 운항속도 180km/h, 촬영고도 3000m, 렌즈의 초점거리 210mm, 허용 흔들림 0.02mm로 촬영 계획을 할 때 최장 노출시간은?
    ① 1/150초 ❷ 1/175초
    ③ 1/200초 ④ 1/225초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6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121]. 영상의 재배열 방법 중 주위 16개의 화소값을 이용하여 보간하는 방법은?
    ① nearest-neighbor interpolation
    ❷ cubic convolution interpolation
    ③ bilinear interpolation
    ④ proximal interpolation

[122]. SAR(Synthetic Aperture Radar) 영상에서 반사강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가 아닌 것은?
    ① 관측기하 ② 지표면의 거칠기
    ③ 유전상수 ❹ 태양빛

[123]. 항공사진을 입체시 할 경우 발생하는 과고감과 관련이 없는 요소는?
    ① 기선길이 ② 중복도
    ③ 초점거리 ❹ 지구곡률

[124]. 해석적 절대표정을 수행할 때 필요한 최소한의 관측방정식 개수는?
    ① 5 ② 6
    ❸ 7 ④ 8

[125]. 원격탐사 영향을 이용한 분류에서 비교적 성질이 유사한 특징을 가진 자료를 그룹화하는 방법은?
    ① 영상융합(image fusion)
    ② 자료변환(data handing)
    ❸ 클러스터링(clustering)
    ④ 자료필터링(data filtering)

[126]. 사진측량에서 Z좌표의 정확도를 높이는 방법과 거리가 먼 것은?
    ① 축척이 큰 사진을 사용한다.
    ② 사진좌표의 정확도를 높인다.
    ❸ 촬영고도가 높은 사진을 사용한다.
    ④ 기선고도비가 큰 모델을 사용한다.

[127]. 항공사진측량에서 지상기준점을 선정할 때의 유의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상공에서 보여야 한다.
    ② 시간적으로 변화하지 않아야 한다.
    ③ 급한 경사의 지표면이나 경사변환선 상의 점은 피한다.
    ❹ 불리한 조건하에서는 측선을 연장한 가상점을 택한다.

[128]. 항공영상 촬영 시 도심지에 발생하는 폐색지역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은?
    ① 비행고도를 낮게 촬영한다.
    ❷ 중복도를 크게 한다.
    ③ 사진촬영 간격을 길게 한다.
    ④ 비행기의 속도를 증가한다.

[129]. 편위수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❶ 경사 및 축척의 수정 ② 기복변위의 수정
    ③ 시차의 수정 ④ 비고의 수정

[130]. 항공사진과 지도의 투영방법으로 옳은 것은?
    ❶ 항공사진-중심투영, 지도-정사투영
    ② 항공사진-정사투영, 지도-중심투영
    ③ 항공사진-정사투영, 지도-외사투영
    ④ 항공사진-외사투영, 지도-정사투영

[131]. 축척 1:5000 항공사진을 1200dpi로 스캔한다면 지상해상도의 크기는?
    ❶ 0.11m ② 0.22m
    ③ 0.33m ④ 0.44m

[132]. 항공라이다시스템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항공레이저 스캐너와 GPS/INS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② 지표면에 대한 3차원 좌표정보를 취득하는 시스템이다.
    ③ 항공사진측량보다 기상조건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
    ❹ 극초단파를 사용하는 수동적 센서 시스템이다.

[133]. 항공사진 도화작업에서 표정(orientation)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내부표정 – 초점거리의 조정 및 주점의 일치
    ❷ 상호표정 – 7개의 표정인자(λ, ø, Ω, K, CX, CY, CZ)
    ③ 절대표정 – 축척, 경사의 조정 및 위치의 결정
    ④ 접합표정 – 모델 간, Strip 간의 접합요소

[134]. 숲 지역에서 수치표고모형(DEM)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 중 가장 정확도가 높은 방법은?
    ① 항공사진측량 ❷ 항공레이저측량
    ③ 기존수치지도이용 ④ 위성영상자료이용

[135]. 디지털 카메라로 취득된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수치지도를 제작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도화기로 적합한 것은?
    ① 기계식 도화기 ② 전자식 도화기
    ③ 해석도화기 ❹ 수치도화기

[136]. 보통각 항공카메라의 사용 목적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❶ 삼림 조사용 ② 소축척 도화용
    ③ 일반도화, 판독용 ④ 토지이용현황도 도화용

[137]. 상호표정을 수행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① 공면조건을 이용하는 방법
    ② 종시차를 소거하는 방법
    ③ 그루버의 기계적 방법
    ❹ 지상기준점을 이용하는 방법

[138]. 센서에 대한 해상도 중 관측된 에너지를 얼마나 자세히 정량화하는가를 나타내는 용어로, 기록 bit 수에 의해 평가하는 해상도는?
    ① 공간해상도(spatial resolution)
    ② 분광해상도(spectral resolution)
    ❸ 방사해상도(radiometric resolution)
    ④ 주기해상도(temporal resolution)

[139]. 레이더영상에서 대상지역이 완전히 평탄하고 지구곡률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부각(depression angle)이 50°일 때 입사각(incident angle)은?
    ① 30° ② 35°
    ❸ 40° ④ 45°

[140]. 한 쌍의 입체모델에서 왼쪽 사진에 찍힌 도로 위의 어느 차량이 오른쪽 사진에서는 주점기선에 대해 위쪽으로 이동한 상태로 촬영되었다. 이 모델을 입체시하면 차량은 어떻게 보이는가?
    ① 도로에 안착한 상태로 보인다.
    ② 도로 위에 떠 있는 상태로 보인다.
    ③ 도로 아래로 가라앉아 있는 상태로 보인다.
    ❹ 입체시가 되지 않고 두 개의 차량으로 보인다.

[141]. 위성영상에서 취득하여 보정 처리된 개별 영상을 하나의 영상으로 합치는 과정을 설명한 용어로 옳은 것은?
    ❶ 영상 모자이크(Image Mosaic)
    ② 영상 융합(Image Fusion)
    ③ 공간 필터링(Spatial Filtering)
    ④ 영상 해상도 융합(Image Resolution Merge)

[142]. 사진기준점 측량에서 입체모형좌표값을 계산하는 과정은?
    ① 내부표정 ❷ 상호표정
    ③ 절대표정 ④ 외부표정

[143]. 센서의 순간시야각(IFOV : Instantaneous Field Of View)이 2.5mrad(milli-radian)이고 비행고도(AGL)가 16,000m일 때 화소 크기는?
    ❶ 40m×40m ② 64m×64m
    ③ 400m×400m ④ 640m×640m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6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6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0]. 하천측량에서 저수위란 1년을 통하여 며칠간 이보다 내려가지 않는 수위를 의미하는가?

    ① 95일 ② 135일

    ③ 185일 ❹ 275일

 

[1]. 대축척인 지적도를 작성하는 데에는 일반적으로 기존의 삼각점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이때 필요한 기준점 설치를 위한 기초측량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지적도근측량 ❷ 세부측량

    ③ 지적삼각보조측량 ④ 지적삼각측량

 

[2]. 클로소이드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클로소이드는 곡률이 곡선의 길이에 비례하는 곡선이다.

    ❷ 클로소이드는 주로 철도의 완화곡선으로 사용된다.

    ③ 클로소이드는 나선의 일종이다.

    ④ 모든 클로소이드는 닮은꼴이다.

 

[3]. 터널측량 중 지상측량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지표중심선측량 ② 터널 외 기준점측량

    ③ 지상 수준측량 ❹ 터널 내 중심선측량

 

[4]. 우리나라에서 바다의 수심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준면은?

    ① 평균해면 ❷ 기준수준면

    ③ 약최고고조면 ④ 평균저조면

 

[5]. 단곡선 설치 방법 중 접선과 현이 이루는 각을 이용하여 곡선을 설치하는 방법은?

    ① 지거법 ❷ 편각법

    ③ 중앙종거법 ④ 종거에 의한 설치법

 

[6]. 다음 곡선 중 수평곡선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단곡선 ② 복곡선

    ❸ 종단곡선 ④ 완화곡선

 

[7]. 수로측량의 한 종류로 수롲솨 성과심사의 대상에 해당되는 측량은?

    ① 터널측량 ② 지적측량

    ❸ 해안선측량 ④ 노선측량

 

[8]. 노선측량에서 단곡선의 곡선반지름 R=100m, 교각 I=60°라면 옳지 않은 것은?

    ❶ 장현(L)=120m ② 외할(E)=15.5m

    ③ 중앙종거(M)=13.4m ④ 접선장(T.L)=57.7m

 

[9]. 노선측량 중 시공측량에 속하지 않는 것은?

    ❶ 용지측량 ② 중심점 인조측량

    ③ 시공기준틀 설치측량 ④ 준공검사 조사측량

 

[10]. 곡선반지름 R=100m 되는 원곡선을 속도 100km/h로 주행할 떄의 캔트(cant)는? (단, 궤간은 1.067m이다.)

    ① 약 110mm ② 약 740mm

    ❸ 약 840mm ④ 약 940mm

[11]. 전자파의 반사 성질을 이용하여 지하의 각종 현상을 밝히는 측량방법은?

    ① 음파측량기법 ② GNSS 측량기법

    ③ 전자유도 측량기법 ❹ 지중 레이다 측량기법

 

[12]. 다음 중 터널측량 작업순서로 옳은 것은?

    ① 예측→지표설치→답사→지하설치

    ❷ 답사→예측→지표설치→지하설치

    ③ 예측→답사→지하설치→지표설치

    ④ 답사→지표설치→예측→지하설치

 

[13]. 제방의 축조, 교량의 건설, 배수공사 등 주로 치수(治水) 목적에 이용되는 수위는?

    ① 평균최저수위 ② 평균수위

    ❸ 평균최고수위 ④ 경계수위

 

[14]. 어떤 지점에서 조석관측을 수행하였을 경우 연이은 두 고조 또는 두 저조의 높이가 다르게 나타나게 되는데 이런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평균고조간격 ② 평균저조간격

    ③ 반일주조 ❹ 일조부등

 

[15]. 수로측량 기간 동안 실시하는 30일 이상부터 1년 미만까지의 조석관측은?

    ❶ 단기조석관측 ② 장기조석관측

    ③ 연속조석관측 ④ 상시조석관측

 

[16]. 터널공사에서 터널 내의 기준점설치에 사용되는 방법으로만 연결된 것은?

    ① 삼각측량, 평판측량

    ② 평판측량, 트래버스측량

    ❸ 트래버스측량, 수준측량

    ④ 수준측량, 삼각측량

 

[17]. 하천수위 중 갈수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1년을 통하여 275일간은 이보다 내려가지 않는 수위

    ② 수년간 저수위 및 고수위 평균한 수위

    ③ 어느 기간 중 가장 많이 일어난 수위

    ❹ 1년을 통하여 355일간은 이보다 내려가지 않는 수위

 

[18]. 하천의 수위 중 저수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1년을 통하여 355일, 이것보다 내려가지 않는 수위

    ❷ 1년을 통하여 275일, 이것보다 내려가지 않는 수위

    ③ 1년을 통하여 185일, 이것보다 내려가지 않는 수위

    ④ 1년을 통하여 125일, 이것보다 내려가지 않는 수위

 

[19]. 터널측량에서 지상 측점과 터널 내부의 측점이 일치하도록 하는 측량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지하수준 측량 ② 지하 측량

    ❸ 터널 내의 연결측량 ④ 지상 측량

 

[20]. 해안선 측량을 위한 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토탈스테이션 측량 ② GNSS 측량

    ③ 항공레이저 측량 ❹ 해저면영상조사 측량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6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21]. 도로 종단측량에 의한 종단면도 작성에서 기입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① 측점간의 수평거리

    ② 각 측점의 지반고 및 B.M.점의 높이

    ❸ 횡단방향 지반고 및 중심말뚝간의 거리

    ④ 측점에서의 계획고

 

[22]. 다음 중 수로기준점이 아닌 것은?

    ① 수로측량기준점 ② 해안선기준점

    ③ 기본수준점 ❹ 영해기준점

 

[23]. 노선측량에 곡선을 설치할 떄 가장 먼저 결정하여야 할 것은?

    ① T.L.(접선길이) ② C.L.(곡선길이)

    ③ B.C.(곡선시점) ❹ R(곡선반지름)

 

[24]. 하천측량에서 2점법으로 평균유속을 구할 때 선택해야 할 지점을 알맞은 것은?

    ❶ 수심(H)의 0.2H, 0.8H인 지점

    ② 수심(H)의 0.4H, 0.6H인 지점

    ③ 수심(H)의 0.3H, 0.7H인 지점

    ④ 수심(H)의 0.5H, 0.9H인 지점

 

[25]. 완화곡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곡선반지름은 완화곡선이 시점에서 무한대이다.

    ② 완화곡선의 접선은 시점에서 직선에 접한다.

    ③ 완화곡선의 접선은 종점에서 원호에 접한다.

    ❹ 완화곡선 종점의 캔트는 원곡선의 캔트와 역수관계이다.

 

[26]. 음향측심기를 사용하여 수심측량을 실시한 결과, 송신음파와 수신음파의 도달시간차가 4초이고 수중음속이 1000m/s이면 수심은?

    ① 1800m ❷ 2000m

    ③ 2200m ④ 4000m

 

[27]. 상ㆍ하수도, 가스 통신 등의 건설 및 유지관리를 위한 자료제공의 역할을 하는 측량은?

    ① 초구장측량 ② 관계배수측량

    ③ 건축측량 ❹ 지하시설물측량

 

[28]. 철도의 곡선부에서 뒷바퀴보다 안쪽을 지나게 되므로 직선부보다 넓은 폭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 넓히는 양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캔트(cant) ❷ 슬랙(slack)

    ③ 전도 ④ 횡거

 

[29]. 국제수로기구(IHO)에서 안전항해를 위한 기준 중의 하나로써 수심측량 등급분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특등급 ② 1a등급

    ③ 2등급 ❹ 기초등급

 

[30]. 클로소이드 곡선에서 곡선길(L)=40m, 매개변수(A)=100m일 경우 접선각은?

    ❶ 4° 35‘ 01“ ② 4° 55‘ 01“

    ③ 5° 15‘ 01“ ④ 5° 35‘ 01“

[31]. 곡선반지름 R=400m, 곡선길이 L=100m인 클로소이드 곡선의 매개변수(A)는?

    ① 100 m ❷ 200 m

    ③ 400 m ④ 800 m

 

[32]. 넓은 지역의 정지나 매립과 같은 경우의 토공량 산정 시 많이 이용하는 방법으로, 대상지역을 일정한 크기의 삼각형 또는 사각형으로 구분하여 각 꼭지점 지반고에서 계획고 사이의 높이차를 구하여 체적을 구하는 방법은?

    ① 양단면 평균법 ② 중앙단면법

    ③ 등고선법 ❹ 점고법

 

[33]. 수로측량 원도의 작성에 이용되는 도법은?

    ① TM도법 ❷ UTM도법

    ③ 점장도법 ④ 원뿔도법

 

[34]. 종단곡선의 설치에서 상향기울기가 10/1000, 하향기울기가 30/1000, 반지름 3000m인 원곡선을 설치할 때 교점에서 곡선시점까지의 거리는?

    ① 30 m ② 40 m

    ③ 50 m ❹ 60 m

 

[35]. 면적계산방법 중 도상거리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❶ 방한법 ② 삼사법

    ③ 지거법 ④ 삼변법

 

[36]. 토탈스테이션(total station)을 이용한 단곡선 설치에 있어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편리한 방법은?

    ① 종거에 의한 설치법 ② 중앙종거법

    ③ 지거설치법 ❹ 좌표법

 

[37]. 지하에 설치된 상·하수도시설, 가스시설, 통신시설 등의 건설 및 유지관리를 위한 자료 제공의 역할을 하는 측량은?

    ① 초구장측량 ② 관계배수측량

    ③ 건축측량 ❹ 지하시설물측량

 

[38]. 노선측량의 순서로 옳은 것은?

    ① 답사→예측→실측→공사측량→도상계획

    ② 도상계획→실측→예측→답사→공사측량

    ❸ 도상계획→답사→예측→실측→공사측량

    ④ 답사→도상계획→실측→예측→공사측량

 

[39]. 터널의 준공을 위한 변형조사측량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중심측량 ② 고저측량

    ③ 단면측량 ❹ 삼각측량

 

[40]. 터널측량의 순서로 옳은 것은?

    ① 예측 - 답사 - 지표설치 - 지하설치

    ② 예측 - 지하설치 - 지표설치 – 답사

    ③ 답사 - 지표설치 - 지하설치 - 예측

    ❹ 답사 - 예측 - 지표설치 - 지하설치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6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41]. 해저면 영상조사(Side San Sonar)의 활용분야가 아닌 것은?

    ❶ 심부 지층 조사 ② 인공 어초 조사

    ③ 해저 케이블 조사 ④ 수중 이상체 조사

 

[42]. 설계도나 시방서에 따라 시공에 필요한 점의 위치나 경사를 현지에 측설하는 측량작업은?

    ❶ 공사측량 ② 계획조사측량

    ③ 실시설계측량 ④ 준공측량

 

[43]. 어떤 기간 동안의 수위 중 이것보다 높은 수위와 낮은 수위의 관측횟수가 같은 수위를 나타내는 것은?

    ❶ 평수위 ② 평균수위

    ③ 평균고수위 ④ 평균저수위

 

[44]. 지적측량 중에서 도시계획, 농지개량 등에 의해 토지를 구획 정리하기 위해 실시되는 측량으로 세부측량에서도 정확하게 실시되는 측량은?

    ❶ 지적 확정 측량 ② 경계 정정 측량

    ③ 경계 감정 측량 ④ 분할 측량

 

[45]. 면적산정법을 계산 방법에 따라 수치계산법과 도해법으로 구분할 때 수치계산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심사법 ② 단면법

    ❸ 방안법 ④ 좌표법

 

[46]. 해저지질구조해석을 위한 음파탐사의 기록정확도에 기인하는 잡음(noise)의 종류가 아닌 것은?

    ❶ 송파기의 잡음 ② 전기적 잡음

    ③ 수파기의 잡음 ④ 선체의 잡음

 

[47]. 노선의 종단면도에 계획선을 계획할 때 고려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계획경사는 요구에 맞도록 설치한다.

    ② 절토는 성토와 대략 같게 되도록 한다.

    ❸ 경사와 곡선은 가능한 병설하도록 한다.

    ④ 절토는 성토로 유용할 수 있도록 운반거리를 고려한다.

 

[48]. 다음 중 노선측량에서 구조물의 장소에 대해서 지형도와 종단면도를 작성하는 측량은?

    ❶ 세부측량 ② 조사측량

    ③ 설계측량 ④ 공사측량

 

[49]. 하천의 유속측정에서 수면으로부터 0.2h, 0.6h, 0.8h 깊이의 유속(m/s)이 각각 0.562, 0.497, 0.364 이었다. 계산된 평균유속이 0.463m/s 이었다면 계산방법은? (단, h : 하천의 수심)

    ① 1점법 ❷ 2점법

    ③ 3점법 ④ 4점법

 

[50]. 다음 중 도면이 곡선으로 둘러싸인 면적을 계산하는데 적당한 방법은?

    ① 삼변법 ② 좌표법

    ❸ 구적기법 ④ 삼사법에 의한 방법

[51]. 다음 중 지하매설물의 측량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전자 유도 측량 ② 지중레이더 측량

    ③ 음파 측량 ❹ 관성 측량

 

[52]. 클로소이드의 매개변수 A=150m, 곡선 반지름 R=250m일 때, 곡선 길이는?

    ① 60m ② 70m

    ③ 80m ❹ 90m

 

[53]. 해양에서 수심측량을 할 경우 높이 측정의 기준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조석관측을 기초로 정한 국가기준점은?

    ❶ 기본수준점 ② 영해기준점

    ③ 중력점 ④ 위성기준점

 

[54]. 도로 기점으로부터 1500m 지점에 교점이 있고, 반지름 R=100m, 교각 I=90°인 단곡선을 설치할 때, 곡선 시점까지의 추가거리는?

    ① 800m ② 1000m

    ③ 1200m ❹ 1400m

 

[55]. 터널 내에서 기준점으로 사용되는 중심말뚝으로 차량 등에 파손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설치하는 것은?

    ① 스터럽(stirrup) ❷ 다보(dowel)

    ③ 쇼란(shoran) ④ 양수표(water gauge)

 

[56]. 지하시설물 측량의 대상이 아닌 것은?

    ❶ 도시기준점 ② 상수도

    ③ 가스관 ④ 하수도

 

[57]. 하천측량에서 수준측량작업과 거리가 먼 것은?

    ① 거리표설치 ② 종단 및 횡단측량

    ③ 심천측량 ❹ 유속측량

 

[58]. 터널측량의 순서 중 중심선을 현지의 지표에 정확히 설치하고 터널 입구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① 답사 ② 예측

    ❸ 지표설치 ④ 지하설치

 

[59]. 달, 태양 등의 기조력과 기압, 바람 등에 의해서 일어나는 해수면의 주기적 승강현상을 연속 관측하는 것은?

    ❶ 조석관측 ② 조류관측

    ③ 대기관측 ④ 해양관측

 

[60]. 클로소이드 곡선의 중심에서 주접선에 내린 수선의 길이와 접속되는 원곡선의 반지름의 차이를 의미하는 것은?

    ❶ 이정량(shift) ② 접선편거

    ③ 현편거 ④ 캔트(cant)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6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61]. 다음 중 원곡선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단곡선 ❷ 렘니스케이트

    ③ 머리핀곡선 ④ 반향곡선

 

[62]. 설계속도 70km/h, 곡선반지름 530m인 곡선을 설계할 때, 필요한 편경사는?

    ① 5% ② 6%

    ❸ 7% ④ 8%

 

[63]. 하천측량의 수위관측에서 양수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❶ 영(0) 눈금은 최저수위보다 높다.

    ② 양수표의 최고수위는 최대 홍수위보다 높다.

    ③ 검조장의 평균해면 표고로 측정한다.

    ④ 홍수 뒤에는 부근 수준점과 연결하여 표고를 확인한다.

 

[64]. 하천측량의 수애선(水涯線) 및 수애선 측량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수애선은 수면과 하안의 경계선이다.

    ② 수애선은 하천수위의 변화에 따라 변동한다.

    ❸ 수애선은 하천의 최저수위에 의해 정해진다.

    ④ 수애선 측량은 동시 관측에 의한 방법이 있다.

 

[65]. 다음 중 경관구성요소에 의한 분류(시점과 대상과의 관계에 의한 분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대상계(對象系) ② 경관장계(景觀場系)

    ③ 상호성계(相互性系) ❹ 인공계(人工系)

 

[66]. 고속도로에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완화곡선은?

    ① 3차 포물선 ② 렘니스케이트곡선

    ③ 3차 나선 ❹ 클로소이드곡선

 

[67]. 캔트(cant)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직선과 곡선의 연결부분을 의미한다.

    ② 토량을 계산하는 방법의 일종이다.

    ❸ 곡선부의 안쪽과 바깥쪽의 높이 차이다.

    ④ 완화곡선의 일종이다.

 

[68]. 노선의 종단경사가 급격히 변하는 곳에서 차량의 충격을 제거하고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은?

    ① 수평곡선 ② 캔트

    ❸ 종단곡선 ④ 슬랙

 

[69]. 음향측심기를 이용하여 수심을 측정하였을 경우 수심측정값으로 옳은 것은? (단, 수중음속1510m/s, 음파송수신시간 0.2초)

    ① 150m ❷ 151m

    ③ 300m ④ 302m

 

[70]. 단곡선 설치 시 곡선반지름 R=350m, 교각 I=70°일 때 접선길이(T.L)는?

    ① 275.7m ② 265.1m

    ③ 250.7m ❹ 245.1m

[71]. 경관측량에서 인식대상의 주체에 대하여 경관을 자연경관, 인공경관, 생태경관으로 분류할 때 자연경관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산 ❷ 정원

    ③ 하천 ④ 바다

 

[72]. 터널 내 수준측량에서 지형이 급경사인 경우 가장 적당한 방법은?

    ① 레벨을 사용하는 방법

    ② 클리노미터에 의한 방법

    ③ 기압계를 사용하는 방법

    ❹ 토털스테이션을 사용하는 방법

 

[73]. 하천의 폭이 200~500m일 때 하천종단측량의 간격 표준은?

    ① 50m 내외 ② 100m 내외

    ❸ 200m 내외 ④ 500m 내외

 

[74]. 터널측량에서 지표 중심선 측량방법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것은?

    ① 토털스테이션에 의한 직접 측량법

    ② 트래버스 측량에 의한 측설법

    ③ 삼각 측량에 의한 측설법

    ❹ 레벨에 의한 측설법

 

[75]. 계산된 완화곡선의 편경사(cant)가 C일 때, 계산시 사용한 속도와 반지름을 모두 2배로 하면 캔트는 몇 배가 되는가?

    ❶ 2배 ② 4배

    ③ 6배 ④ 8배

[76]. 사각형 형태의 부지에 대하여 동일한 간격으로 나누어 그 지점의 표고를 관측한 결과를 이용하여 토공량을 산출하기 위한 방법은?

    ① 양단면평균법 ② 중앙단면법

    ❸ 점고법 ④ 등고선법

 

[77]. 하천의 유량관측방법이 아닌 것은?

    ① 월류부에 의한 방법

    ② 유량곡선에 의한 방법

    ③ 하천기울기에 의한 방법

    ❹ 유출계수와 강우강도에 의한 방법

 

[78]. 노선측량의 기점에서 교점(I.P)까지의 추가거리가 308.15m이고, 곡선반지름이 300m, 교각(I)이 50°일 때 시단현의 길이는? (단, 중심말뚝 간격은 20m이다.)

    ① 8.26m ② 8.55m

    ③ 11.25m ❹ 11.74m

 

[79]. 터널의 지상측량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지표중심선 측량

    ② 전 구간에 걸친 지형측량

    ③ 지상수준측량

    ❹ 터널 내 중심선측량

 

[80]. 다음의 경관 중에서 인식대상의 주체에 관한 분류로 거리가 먼 것은?

    ① 자연 경관 ② 인공 경관

    ③ 생태 경관 ❹ 터널 경관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6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81]. 철도의 곡선부에서 뒷바퀴가 앞바퀴보다 안쪽을 지나게 되므로 직선부보다 넓은 폭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 넓히는 양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캔트(cant) ❷ 슬랙(slack)

    ③ 전도 ④ 횡거

 

[82]. 어떤 지점에서 조석관측을 수행하였을 경우 연이은 두 고조 또는 두 저조의 높이가 다르게 나타나게 되는데 이런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❶ 일조부등 ② 평균고조간격

    ③ 평균저조간격 ④ 반일주조

 

[83]. 다음 중 일반철도에 주로 쓰이는 완화곡선은?

    ① 클로소이드 ❷ 3차 포물선

    ③ 렘니스케이트 ④ 2차 포물선

 

[84]. 하천측량에 있어서 심천측량을 실시하는 단계는?

    ① 평면측량 ② 종단측량

    ❸ 횡단측량 ④ 골조측량

 

[85]. 지하시설물 관측방법에서 원래 누수를 찾기 위한 기술로 수도관로 중 PVC 또는 플라스틱관을 찾는 데 이용되는 관측방법은?

    ❶ 음파관측법 ② 전기관측법

    ③ 자장관측법 ④ 탄성파관측법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6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6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0]. 다음 중 GPS 신호가 아닌 것은?

   ① L1 반송파 ② P 코드

   ③ C/A 코드 ❹ K 반송파

 

[1]. 연속적으로 측정한 일련의 GNSS 관측(또는 관측단위)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단독측위 ❷ session

   ③ DGPS ④ PDOP

 

[2]. 지구의 질량을 계산하기 위하여 지구의 반지름, 중력가속도 외에 필요한 요소는? (단, 지구는 자전하지 않는 완전구체로 가정)

   ① 지구의 부피 ❷ 만유인력 상수

   ③ 지구 자전 각속도 ④ 지구 원심력의 크기

 

[3]. UTM 좌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중앙자오선에서의 축척계수는 0.9996 이다.

   ② 우리나라는 51S와 52S의 지역대에 속한다.

   ❸ 경도는 8°, 위도는 6°로 분할하여 나타낸다.

   ④ 위도 80°S부터 84°N까지의 지역을 나타낸다.

 

[4]. 특정 지점의 지오이드고가 –10m이고 타원체고가 10m 일 때 정표고는? (단, 연직선편차는 0으로 가정한다.)

   ① -20m ② 0m

   ③ 10m ❹ 20m

 

[5]. 깊은 곳의 광물탐사를 하기 위한 탄성파 측정방법은?

   ① 굴절법 ② 굴착법

   ③ 충격법 ❹ 반사법

 

[6]. 지구의 공전으로 인하여 생기는 현상은?

    ① 운동하는 물체에 전향력이 생긴다.

    ❷ 1 태양일과 1 항성일이 차이가 난다.

    ③ 조석이 하루에 2번씩 일어난다.

    ④ 인공위성의 궤도가 서편한다.

 

[7]. GPS 코드 신호의 이중차분(Double Differencing)을 이용하여 정지측위를 실시하는 경우 필요한 위성의 최소 개수는?

    ① 2개 ② 3개

    ❸ 4개 ④ 5개

 

[8]. 다음 중 위성의 케플러 궤도요소가 아닌 것은?

    ① 궤도의 장반경 ② 이심률

    ❸ 위성의 질량 ④ 궤도 경사각

 

[9]. 모호정수(cycle ambiguity)를 결정하여 고정해(fixing solution)를 산출하는 이유는?

    ❶ 측위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② 대기효과를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③ 사이클슬립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④ 수신기의 갑작스러운 이동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10]. 수십 억 광년 떨어져 있는 준성(Quasar)에서 방사되는 전파를 지구상 복수의 전파망원경(안테나)으로 동시에 수신하여 관측점의 위치좌표를 고정밀로 구하는 방법은?

    ❶ VLBI ② SLR

    ③ GPS ④ LiDAR

[11]. 지구면 위의 두 점간 최단거리선으로 지심과 지표상의 두 점을 포함하는 평면과 지표면의 교선은?

    ❶ 측지선 ② 자오선

    ③ 측량선 ④ 항정선

 

[12]. 중력이상의 주된 원인은?

    ① 화산폭발 ② 태양과 달의 인력

    ③ 지구의 자전 및 공전 ❹ 지구내부의 물질분포

 

[13]. 측지좌표계를 정의하는 데 필요한 요소가 아닌 것은?

    ① 좌표 원점 ② 좌표축 방향

    ③ 타원체 형상 ❹ 지오이드

 

[14]. 현재 우리나라 측량에서 채택하고 있는 지구타원체는?

    ① 베셀타원체 ❷ GRS타원체

    ③ WGS84타원체 ④ 헤이포드타원체

 

[15]. 지구의 자전축이 황도면의 수직방향에 대하여 약 23.5° 기울기를 가지고 약 26000년을 주기로 회전하는 현상은?

   ① 장동(natation)

   ❷ 세차(precession)

   ③ 균시차(equation of time)

   ④ 일주운동(diurnal motion)

 

[16]. 극심입체투영법에 의해 위도 80°이상 양극지역의 지도 좌표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은?

   ❶ UPS좌표 ② 3차원극좌표

   ③ UTM좌표 ④ 가우스그뤼거좌표

 

[17]. 항공 및 해상 중력관측의 경우 이동 중 관측을 실시하게 되므로 관측기기의 속도에 의한 영향을 보정하기 위한 것은?

   ① 아이소스타시 보정 ② 프리에어 보정

   ❸ 에트뵈스 보정 ④ 부게 보정

 

[18]. GNSS 반송파 위상추적회로에서 반송파 위상관측값에 순간적인 손실이 발생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AS ❷ Cycle Slip

   ③ SA ④ VRS

 

[19]. 위성 측위 시스템이 아닌 것은?

   ① GPS ② GLONASS

   ❸ EDM ④ Galileo

 

[20]. UTM(Universal Transverse Mercator Projection)좌표계에서 사용하는 원점의 축척계수는?

   ① 1.0000 ② 1.0001

   ③ 0.9999 ❹ 0.9996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6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21]. 기종이 서로 다른 GNSS 수신기를 혼합하여 관측하였을 경우 수집된 GNSS 데이터의 기선 해석이 용이하도록 고안된 세계 표준의 GNSS 데이터의 자료형식은?

    ❶ RINEX ② DXF

    ③ DWG ④ RTCM

 

[22]. 중력관측점과 지오이드면 사이의 질량을 고려한 중력이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❶ 부게이상 ② 프리에어이상

    ③ 지각균형이상 ④ 지구자기이상

 

[23]. 통합기준점을 GNSS측량을 통해 관측을 실시할 경우에 준수하여야 할 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GNSS측량은 정적간섭측위방식으로 실시한다.

    ② 위성 고도각은 15°이상의 것을 사용한다.

    ③ 관측시간은 연속으로 8시간을 표준으로 한다.

    ❹ 동시 수신 위성은 최소 6개 이상이 되도록 한다.

 

[24]. 지구 자기의 북반부에서는 북극으로 갈수록 자침이 남극 쪽을 무겁게 하거나 길게 하는데 그 이유로 가장 알맞은 것은?

    ① 북으로 갈수록 편각이 작아지므로

    ② 북으로 갈수록 편각이 커지므로

    ③ 북으로 갈수록 복각이 작아지므로

    ❹ 북으로 갈수록 복각이 커지므로

 

[25]. 천문좌표계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지평좌표 ② 적도좌표

    ❸ 경위도좌표 ④ 황도좌표

 

[26]. 자석으로 진북을 결정할 때 필요한 지구자기의 요소는?

    ① 복각 ❷ 편각

    ③ 수평자기력 ④ 연직자기력

 

[27]. 다음 중 물리학적 측지학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지오이드 모델 결정 ② 중력측정

    ❸ 시각의 결정 ④ 지구내부 물질조사

 

[28]. 극에서 적도 지방으로 갈수록 중력의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❶ 적도 지방으로 갈수록 감소한다.

   ② 적도 지방으로 갈수록 증가한다.

   ③ 중위도까지는 감소하다가 이후 증가한다.

   ④ 중위도까지는 증가하다가 이후 감소한다.

 

[29]. GNSS측량에서 이중주파수(dual frequency)를 채택하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① 다중경로(multipath)오파를 제거할 수 있다.

   ❷ 전리충지연 효과를 제거할 수 있다.

   ③ 대기 온도의 영향을 제거할 수 있다.

   ④ 전파방해에 대응할 수 있다.

 

[30]. 표고를 결정하기 위해 수행하여야 하는 측량으로 짝지어진 것은?

   ① 다각측량, 중력측량 ❷ 수준측량, 증력측량

   ③ 수준측량, 지자기측량 ④ 다각측량, 지자기측량

[31]. 다음 중 위상의 궤도 요소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궤도 경사각 ② 승교점 적경

   ③ 궤도타원의 장반경 ❹ 위성과 수신기 사이의 의사거리

 

[32]. 반송파(carrier)의 모호정수(ambiguity)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관측치는?

   ① 단일차분위상차 ② 이중차분위상차

   ❸ 삼중차분위상차 ④ 무차분 위상

 

[33]. 지오이드와 타원체면과의 거리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표고 ② 정표고

   ③ 타원체고 ❹ 지오이드고

 

[34]. 지자기 측량에서 수평면 내에 작용하는 지자기력의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① 편각 ② 복각

   ❸ 수평분력 ④ 수직분력

 

[35]. GNSS측량에서 위성으로부터 송신되어 측위에 이용되는 신호는?

    ❶ 전파 ② 음파

    ③ 가시광선 ④ 적외선

 

[36]. 중력관측점과 지오이드면 사이의 질량을 고려한 중력이상은?

    ① 고도이상 ❷ 부게이상

    ③ 프리에어이상 ④ 위도이상

 

[37]. 지구의 물리적 형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평균해수면을 육지까지 연장한 곡면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GRS80 타원체 ② WGS84 타원체

    ❸ 지오이드 ④ 물리적 지표면

 

[38]. 지진파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❶ S파는 고체와 액체 상태를 모두 통과한다.

    ② 지진파에는 P파, S파, L파가 있다.

    ③ P파는 지진파 중 가장 빠르다.

    ④ L파는 지표면을 따라 전파하는 표면파이다.

 

[39]. 구면삼각형에서 내각의 합이 180°을 넘게 되는데 그 차를 무엇이라 하는가?

    ① 세차 ② 균시차

    ❸ 구과량 ④ 연직선편차

 

[40]. 물리학적 측지학에 속하지 않은 것은?

    ① 탄성파 측정 ② 지자기 측정

    ③ 중력 측정 ❹ 사진 측정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6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41]. GNSS측량방법 중 가장 정밀한 위치결정방법으로 기준점측량이나 학술목적으로 주로 사용되는 방법은?

    ❶ 정지(Static)측량

    ② 이동(Kinematic)측량

    ③ 네트워크 RTK(Real Time Kinematic)측량

    ④ RTK(Real Time Kinematic)측량

 

[42]. 석유탐사의 주요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지표면으로부터 깊은 곳의 탐사에 적합한 탄성과 측정방법은?

   ① 굴절법 ❷ 반사법

   ③ 굴착법 ④ 충격법

 

[43]. 지구의 단면도를 그릴 때, 적도 반지름을 200cm로 그린다면 극 반지름은? (단, 지구의 편평율은 1/299로 한다.)

   ① 199.67cm ② 199.56cm

   ③ 199.45cm ❹ 199.33cm

 

[44]. GNSS 측량에서 전리층의 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반송파의 경우 전리층 지연이 음수(축소)가 된다.

   ② 코드 신호의 경우 전리층 지연이 양수(연장)가 된다.

   ❸ 전리층 지연효과는 선형조합으로 소거할 수 없다.

   ④ 태양활동, 지역, 계절, 주야에 따라 달라진다.

 

[45]. 전파망원경을 이용하여 지구표면의 위치를 수 mm 정도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 지구자전, 대륙이동의 측정 및 측지원점 결정 등에 활용되는 것은?

   ❶ VLBI ② GPS

   ③ GLONASS ④ SLR

 

[46]. GNSS에 의한 위치결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관측요소로 옳은 것은?

   ❶ 위성과 수신기 사이의 거리

   ② 위성신호의 전송데이터 량

   ③ 위성과 수신기 사이의 각

   ④ 위성과 수신기의 안테나 길이

 

[47]. GNSS(Global Navigational Satellite System) 위성과 관련 없는 것은?

   ① GPS ❷ KH-11

   ③ GLONASS ④ Galileo

 

[48]. GNSS 측량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24시간 측량이 가능하다.

   ② 날씨, 기상에 관계없이 위치결정이 가능하다.

   ❸ EDM과 같은 TWO-WAY 시스템이다.

   ④ 기선결정의 경우, 두 측점 간 시통 여부와는 무관하다.

 

[49]. 지구상 한 점에서 지오이드에 대한 연직선이 천구의 적도면과 이루는 각으로 지오이드를 기준으로 한 위도는?

    ① 측지위도 ❷ 천문위도

    ③ 지심위도 ④ 화성위도

 

[50]. 다음 중 모호정수(ambiguity)를 제거하기 위한 GPS 측위 관측신호는?

    ① 차분되지 않은 반송파 ② 단일차분된 반송파

    ③ 이중차분된 반송파 ❹ 삼중차분된 반송파

[51]. GPS의 여러 오차 중 DGPS 기법으로 제거되지 않는 것은?

    ❶ 의사거리 측정오차 ② 위성의 궤도정보 오차

    ③ 전리층에 의한 지연 ④ 대류권에 의한 지연

 

[52]. 우리나라 평면 직각좌표의 원점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① 서해, 내륙, 중부, 동해 원점

    ② 동부, 서부, 내부, 중부 원점

    ❸ 동부, 서부, 중부, 동해 원점

    ④ 동해, 남부, 북부, 중부 원점

 

[53]. 도심지와 같이 장애물이 많은 경우 특히 증대되는 GNSS 관측오차는?

    ① 궤도 오차 ❷ 다중경로 오차

    ③ 대기 굴절 오차 ④ 전리층 지연 오차

 

[54]. 중력이상의 주된 원인이 되는 것은?

    ❶ 지하물질의 밀도 분포 ② 대기의 대류 현상

    ③ 태양과 달의 인력 ④ 지구의 공전 운동

 

[55]. 다음 중 중력의 보정 요소가 아닌 것은?

    ① 지형보정 ② 고도보정

    ③ 부게보정 ❹ 연직각 보정

 

[56]. 지구의 자장과 거의 일치하는 쌍극자(막대자석)를 지구 중심에 위치시킬 때 쌍극자의 연장선이 지표와 만나는 점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천극 ❷ 지자기극

    ③ 황극 ④ 적도

 

[57]. 타원체 상에서 같은 경도의 점을 연결한 선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❶ 자오선 ② 평행선

    ③ 위도선 ④ 측지선

 

[58]. 지구의 자기장 변화와 거리가 먼 것은?

   ① 영년변화 ❷ 세차변화

   ③ 일변화 ④ 자기폭풍

 

[59]. GNSS 측량시 시계오차가 소거된 3차원 위치 결정을 위해 필요로 하는 최소 위성의 수는?

   ❶ 4대 ② 5대

   ③ 6대 ④ 7대

 

[60]. 지자기의 3요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복각 ② 편각

   ③ 수평분력 ❹ 연직분력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6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61]. 위도 80°이상의 양극지역의 좌표를 표시하는데 쓰이며 극심 입체 투영법에 의한 좌표는?

    ① UTM 좌표 ❷ UPS 좌표

    ③ TM 좌표 ④ 3차원 직교좌표

 

[62]. UTM좌표계에 우리나라가 속해 있는 UTM도엽 중 52S 구역의 원점은?

    ① 중앙자오선 동경 125°와 적도

    ② 중앙자오선 동경 127°와 적도

    ❸ 중앙자오선 동경 129°와 적도

    ④ 중앙자오선 동경 135°와 적도

 

[63]. 측량의 분류 중 측량 구역이 상대적으로 협소하고 필요로 하는 정밀도에 따라 지구의 곡률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측량을 무슨 측량이라고 하는가?

    ① 삼각측량 ❷ 평면측량

    ③ 측지측량 ④ 천문측량

 

[64]. 지구상의 어느 한 점에서 타원체의 법선과 지오이드의 법선은 일치하지 않게 되는데 이 두 법선의 차이를 무엇이라 하는가?

    ① 중력 편차 ② 지오이드 편차

    ③ 중력 이상 ❹ 연직선 편차

 

[65]. 물리학적 측지학에 해당 되는 것은?

    ① 3차원 위치 결정 ❷ 중력 측정

    ③ 사진 측정 ④ 위성 측지

 

[66]. 균시차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① 균시차 = 세계시 - 태양시

    ② 균시차 = 평균태양시 - 표준시

    ❸ 균시차 = 시태양시 - 평균태양시

    ④ 균시차 = 항성시 - 세계시

 

[67]. 중력의 영년변화(secular variation) 원인과 거리가 먼 것은?

   ❶ 대기 물질의 변화

   ② 만유인력상수의 변동

   ③ 지구의 형상과 질량의 변화

   ④ 지구 전체적인 질량분포의 일반적인 변동

 

[68]. 탄성파를 이용하여 파악하는 주요 사항으로 옳은 것은?

   ① 지표상 두 점간 거리의 정밀 측정

   ② 인공위성을 이용한 지구상 점의 좌표 측정

   ❸ 지질구조의 파악

   ④ 파고의 측정

 

[69]. GNSS 자료처리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성과가 아닌 것은?

   ① 기선장 ② 경도

   ③ 위도 ❹ 정표고

 

[70]. GNSS 측량에 있어 기준점 선점을 위한 고려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❶ 인접 기준점과 시통이 잘되는 지점 선정

   ② 전파의 다중경로 발생 예상지점 회피

   ③ 임계 고도각 유지 가능 지역 선정

   ④ 주파수 단절 예상지점 회피

[71]. 실측된 중력값을 기준면의 값으로 보정하는 중력보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지형보정 ❷ 방사보정

   ③ 고도보정 ④ 부게보정

 

[72]. GNSS 측량에서 수평 측위 정밀도와 관련되는 위성의 정도 저하율(DOP)은?

   ① PDOP ② TDOP

   ❸ HDOP ④ VDOP

 

[73]. GNSS 측위의 계통적 오차(정오차) 요인이 아닌 것은?

   ① 위성의 시계오차 ② 위성의 궤도오차

   ③ 전리층 지연오차 ❹ 관측 잡음오차

 

[74]. 지구좌표계에서 위성의 위치와 속도를 결정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이용하는 제도력이 아닌 것은?

   ① 천체력(또는 개략력) ② 정밀력

   ❸ 율리우스력 ④ 방송궤도력

 

[75]. 자기 폭풍의 주요 원인으로 옳은 것은?

    ① 달의 공전 ❷ 태양면의 폭발

    ③ 해양 지각 변동 ④ 지구 내부 물질의 분포

 

[76]. 지구 전체를 하나의 단일 좌표계로 표시하고자 할 때 매우 편리한 좌표계로서 인공위성에 의한 지구상의 위치 결정에 사용되는 좌표계는?

    ① 국제평면직각좌표 ❷ 3차원 직각좌표

    ③ 평면직각좌표 ④ 극좌표

 

[77]. GPS 위성신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GPS의 반송파에는 L1 반송파와 L2 반송파가 있다.

    ② 모든 GPS 위성은 똑같은 주파수로 전파를 송신한다.

    ③ L1 반송파에는 C/A코드와 P코드가 탑재되어 있다.

    ❹ L2 반송파에는 정밀궤도력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78]. 나침반의 침로를 일정하게 유지하였을 때 항적은 그 선내의 어느 곳에서든 항상 자오선에 대해 일정한 방위각을 갖는 선형이 되는데 이를 무엇이라 하는가?

    ① 측지선 ② 묘유선

    ❸ 항정선 ④ 연직선

 

[79]. 지역타원체와 세계타원체 간와 3차원 좌표변환과 관련이 없는 것은?

    ❶ Transverse Mercator 방법

    ② 표준 Molodensky 변환방법

    ③ Molodensky-Badekas 모델에 의한 7변수

    ④ Bursa-Wolf 모델에 의한 7변수

 

[80]. 지구자기의 변화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일변화 ❷ 부게이상

   ③ 영년변화 ④ 자기폭풍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6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81]. GNSS 관측 도중 장애물 등으로 인하여 GNSS 신호의 수신이 일시적으로 단절되는 현상은?

   ❶ 사이클 슬립(cycle slip)

   ② SA(Selective Availability)

   ③ AS(Anti Spoofing)

   ④ 모호 정수(Ambiguity)

 

[82]. RINEX 형식이 포함할 수 있는 내용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GPS 위성의 C/A코드 의사거리

   ② GLONASS 위성의 항법 메시지

   ③ GEO(Geostationary) 위성의 항법 메시지

   ❹ IKONOS 위성의 항법 메시지

 

[83]. GNSS 단독측위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아닌 것은?

   ① 위성 궤도정보의 정확성

   ② 관측 위성의 배치

   ③ 전리층과 대류권의 영향

   ❹ 위성의 의사 잡음 부호

 

[84]. 측지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자오선과 항상 일정한 방위각을 갖는 지표상의 선

   ❷ 지구면(곡면)상의 두 점을 지나는 최단거리인 곡선

   ③ 지구중심을 포함하는 임의의 평면과 지평선의 교선

   ④ 적도와 나란한 평면과 지표면의 교선

 

[85]. GNSS에 의한 위치결정 시 사용되는 위성 관측법은?

   ❶ 전파 관측법 ② 카메라 관측법

   ③ 음파 관측법 ④ 레이저 관측법

 

[86]. 위성 측량에서 위성의 케플러 궤도요소의 개수는?

    ① 3개 ② 4개

    ③ 5개 ❹ 6개

 

[87]. 우리나라 지도제작을 위해 사용하는 횡축메르카토르(TM) 도법에서 채택하고 있는 각 좌표계에 대한 좌표원점에서의 축척계수는?

    ① 0.9996 ② 0.9999

    ❸ 1.0000 ④ 1.0005

 

[88]. 한 변의 길이가 10km인 구면 정삼각형에 대한 구과량은? (단, 구의 반지름은 6370km로 가정)

    ① 0.1″ ❷ 0.2″

    ③ 1.0″ ④ 2.0″

 

[89]. 다음 중 DGPS에 의해서 보정되지 않는 오차는?

    ① 전리층 지연 오차 ② 위성시계오차

    ❸ 사이클 슬립 ④ 위성궤도오차

 

[90]. GPS에서 사용하고 있는 좌표계는?

    ① NDA84 ② PZ30

    ❸ WGS84 ④ BESSEL

[91]. 다음 중 지리좌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측지위도 ② 경도

   ❸ 시간 ④ 높이

 

[92]. 다음의 GNSS 측위 중 가장 높은 정확도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은?

   ❶ 정지 측위 ② 키네마틱 측위

   ③ RTK 측위 ④ 단독 측위

 

[93]. 모호정수(cycle ambiguity)를 결정하여 고정해(fixing solution)를 산출하는 이유는?

   ❶ 측위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② 대기효과를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③ 사이클슬립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④ 수신기의 갑작스러운 이동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94]. GNSS 수신기의 기종은 달라도 수신된 관측 자료를 기종에 관계없이 공통의 형식(format)으로 변환시켜 사용하는 자료 형식은?

   ① IONEX ❷ RINEX

   ③ SINEX ④ RTCM

 

[95]. 관측점 사이의 고도차에 존재하는 물질의 인력이 중력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는 보정은?

   ① 자유고도(free-air)보정 ② 위도 보정

   ❸ 부게(Bouguer) 보정 ④ 계기 보정

 

[96]. 다음 중 위치기반서비스(LBS)를 위한 실시간 위치결정과 거리가 먼 것은?

   ① GPS ② GLONASS

   ③ GALILEO ❹ LANDSAT

 

[97]. 항공측량부분의 GNSS 응용에서 GNSS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장치로서 촬영비행기의 위치를 구하는 데 많이 활용되고 있는 것은?

   ① 레이저스캐너(LIDAR) ❷ 관성항법장치(INS)

   ③ HRV 센서 ④ MSS 센서

 

[98]. DGPS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DGPS에서는 2개의 수신기에 관측된 자료를 사용한다.

    ❷ DGPS 측량은 실시간 위치결정이 불가능하다.

    ③ 기선의 길이가 길수록 DGPS의 정확도는 낮다.

    ④ 일반적으로 DGPS가 단독측위보다 정확하다.

 

[99]. 양극(남극, 북극)의 좌표를 표시하기 위해 고안된 독립된 좌표계는?

    ① 극좌표 ② UTM좌표

    ③ 3차원 직각좌표 ❹ UPS좌표

 

[100]. 지구 표면의 거리(지름) 100km 까지를 평면으로 간주했다면 허용 정밀도는 약 얼마인가? (단, 지구의 반지름은 6370km이다.)

    ❶ 1/50000 ② 1/100000

    ③ 1/500000 ④ 1/1000000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6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101]. GNSS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날씨와 무관하게 측정이 가능하다.

    ② 24시간 연속적으로 측정이 가능하다.

    ❸ 실내외에서 모두 측정이 가능하다.

    ④ 전 지구적으로 측정이 가능하다.

 

[102]. 우리나라에 설치된 수준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❶ 평균해수면으로부터의 높이를 나타낸다.

    ② 도로의 시점을 기준으로 나타낸다.

    ③ 만조면 으로부터의 높이를 나타낸다.

    ④ 삼각점으로부터의 높이를 나타낸다.

 

[103]. 자기장(H)의 단위와 관계가 없는 것은?

    ① tesla ② oersted

    ③ gauss ❹ gal

 

[104]. GNSS에서 두 개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주된 이유는?

    ❶ 전리층의 효과를 제거(보정)하기 위해

    ② 수신기 오차를 제거(보정)하기 위해

    ③ 시계오차를 제거(보정)하기 위해

    ④ 다중 반사를 제거(보정)하기 위해

 

[105]. 지자기측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지자기는 그 방향과 크기를 구함으로써 결정된다.

    ② 지자기의 3요소란 수평분력, 편각 및 복각을 말한다.

    ❸ 북반구에서 복각은 음(-)의 값으로 나타난다.

    ④ 편각이란 진북과 수평분력이 이루는 각을 말한다.

 

[106]. 해안선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면으로 사용되는 것은?

    ① 평균해수면 ② 평균최저간조면

    ❸ 약최고고조면 ④ 텔루로이드면

 

[107]. GNSS 신호 관측 시 발생하는 대류층 지연과 관련된 대기의 요소가 아닌 것은?

   ① 온도 ❷ 색조

   ③ 습도 ④ 압력

 

[108]. GNSS 활용 분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❶ 수심해저 지형도 판독 기기로 활용

   ② 차량용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활용

   ③ 등산, 캠핑 등의 여가선용에 활용

   ④ 유도무기, 정밀폭격, 정찰 등 군사용으로 활용

 

[109]. 다음 중 지자기 보정과 관계없는 것은?

   ① 위도보정 ② 온도보정

   ③ 기준점보정 ❹ 부게보정

 

[110]. 천구 상에서 천정과 동점 및 서점을 잇는 대원으로 자오선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교선은?

   ① 항정선(loxodrome) ② 측지선(geodesic line)

   ❸ 묘유선(prime vertical) ④ 평행선(parallel lines)

 

[111]. 우리나라에서 해안선을 결정하기 위하여 채택하고 있는 기준면은?

    ① 평균해수면 ❷ 약최고고조면

    ③ 약최저저조면 ④ 지오이드면

 

[112]. 중력값이 지구상의 지점에 따라 차이가 나는 원인이나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위도에 따라 원심력이 다르다.

    ② 위도에 따라 중력의 크기가 다르다.

    ❸ 높은 산 위의 관측점에서는 중력이 크다.

    ④ 관측점 지하의 밀도가 크면 중력이 크다.

 

[113]. 지리학적 경위도, 높이 및 중력측정 등 3차원의 기준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설치된 국가기준점은?

    ❶ 통합기준점 ② 위성기준점

    ③ 삼각점 ④ 수준점

 

[114]. GNSS 위성전파가 장해물 등으로 인해 차단되거나 일순간 신호가 단절되어 위상측정이 중단되는 현상은?

    ① SA(selective availability) ② AS(anti-spoofing)

    ❸ 사이클 슬립(cycle slip) ④ 멀티패스(multipath)

 

[115]. 지구의 질량을 계산하기 위하여 지구의 반지름, 중력가속도 외에 필요한 요소는? (단, 지구는 자전하지 않는 완전구체로 가정)

    ① 지구의 부피 ② 지구 원심력의 크기

    ❸ 만유인력 상수 ④ 지구 자전 각속도

 

[116]. GNSS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① 우주 부문 ② 제어 부문

    ③ 사용자 부문 ❹ 대기 부문

 

[117]. GPS 신호해석을 통해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없는 성과는?

    ❶ 지오이드고 ② 타원체고

    ③ 경도 ④ 위도

 

[118]. 지구의 적도 반지름이 6377km, 극반지름이 6356km일 때 타원체의 편평률은?

    ❶ 0.003 ② 0.018

    ③ 0.033 ④ 0.081

 

[119]. GNSS단독측위에서의 정확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대류권의 수증기 양이 적을수록 정확도가 높다.

    ② 전리층의 전하량이 적을수록 정확도가 높다.

    ③ 위성의 궤도가 정확할수록 정확도가 높다.

    ❹ 위성의 배치가 천정방향에서 집중될수록 정확도가 높다.

 

[120]. GNSS로부터 획득할 수 있는 정보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공간상 한 점의 위치 ② 지각의 변동

   ❸ 해수면의 온도 ④ 정확한 시간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6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121]. 기준국과 이동국간의 거리가 짧을 경우 상대측위를 수행하면 절대측위에 비해 정확도가 현격히 향상되는 이유로 거리가 먼 것은?

   ① 위성궤도오차가 제거된다.

   ❷ 다중경로오차(multipath)가 제거된다.

   ③ 전리층에 의한 신호지연효과가 제거된다.

   ④ 위성시계오차가 제거된다.

 

[122]. 중력이상의 주된 원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❶ 지하에 물질밀도가 고르게 분포되어 있지 않다.

   ② 대기의 분포가 수시로 변화되고 있다.

   ③ 태양과 달의 인력이 작용한다.

   ④ 화산의 폭발이 있다.

 

[123]. GPS는 원래 군에서 사용할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이에 따라 일반인들이 정확한 신호를 얻지 못하도록 원래 신호를 암호화하여 전송하게 되는데 이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시계 오차 ② 궤도 오차

   ❸ AS(Anti-Spoofing) ④ SA(Selective Availability)

 

[124]. GPS 위성의 궤도정보와 관계가 먼 것은?

   ① 알마낙(Almanac)

   ② IGS의 정밀궤도력

   ③ 방송궤도력(Broadcast ephemerides)

   ❹ IONEX(The IONosphere map EXchange)정보

 

[125]. GPS의 오차요인 중에서 DGPS기법으로 상쇄되는 오차가 아닌 것은?

    ① 위성의 궤도 정보 오차

    ② 전리층에 의한 신호지연

    ③ 대류권에 의한 신호지연

    ❹ 전파의 혼신

 

[126]. 어떤 지점에서 GNSS 측량을 실시한 결과 타원체고가 153.8m, 정표고가 53.7m이었다면 이 지점의 지오이드고는?

    ❶ 100.1m ② 160.2m

    ③ 207.5m ④ 241.3m

 

[127]. 깊은 곳의 광물탐사를 하기 위한 탄성파 측정 방법은?

    ① 굴절법 ② 굴착법

    ③ 충격법 ❹ 반사법

 

[128]. 삼각망을 구성하는 데 있어 기준이 되는 지구의 형상은?

    ① 수준면이 연장된 평면 ❷ 준거(기준)타원체

    ③ 지오이드 ④ 기준 구

 

[129]. 다음 중 지자기를 나타내는 단위는?

    ① mGal ❷ Gauss

    ③ Newton ④ Watt

 

[130]. 중력의 보정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고도보정 ② 부게보정

    ③ 지형보정 ❹ 연직각보정

 

[131]. 지구 자기장의 3요소가 아닌 것은?

   ❶ 앙각 ② 편각

   ③ 복각 ④ 수평분력

 

[132]. 중력변화의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만류인력 상수의 변화   ② 지구의 형상과 질량의 변화

   ③ 지질학적 변동

   ❹ 대기물질분포의 변화

 

[133]. GPS 측위의 계통적 오차(정오차) 요인이 아닌 것은?

   ① 위성의 시계오차 ② 위성의 궤도오차

   ③ 전리층 지연오차 ❹ 관측 잡음오차

 

[134]. 지구를 회전타원체로 보고 적도를 횡축, 자오선을 종축으로 하며 경도를 6°씩 60개의 종대로 나누고, 위도는 8°씩 20개의 횡대로 나누어 표시하는 좌표계는?

   ① 물리적 지표 좌표계 ❷ 국제횡메르카토르 좌표계

   ③ 평면직교 좌표계 ④ 횡메르카토르 좌표계

 

[135]. 위성의 고도각이 낮아지면서 증대되는 오차는?

   ① Anti-Spoofing ② Selective Availability

   ③ 시계오차 ❹ 대기오차

 

[136]. L2 주파수는 기준 주파수(10.23 MHz)의 몇 배인가?

   ① 100배 ② 110배

   ❸ 120배 ④ 154배

 

[137]. 지오이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지오이드는 평균해수면에 가까운 등포텐셜면이다.

   ❷ 지오이드는 평면위치의 기준면이 된다.

   ③ 지오이드는 중력으로부터 결정할 수 있다.

   ④ 지오이드로부터 지구 내부물질의 밀도를 추정할 수 있다.

 

[138]. GPS의 정확도가 1ppm이라면 기선의 길이가 20km일 때 GPS를 이용하여 어느 정도로 정확하게 위치를 알아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가? (단, 상수오차(Constant error)는 0임)

    ① 2mm ❷ 2cm

    ③ 2m ④ 2km

 

[139]. GPS 수신기에 의해 구해지는 높이 값은?

    ① 지오이드고 ② 정표고

    ③ 역표고 ❹ 타원체고

 

[140]. 중력보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❶ 도플러 보정 ② 프리-에어 보정

    ③ 지각평형 보정 ④ 단순 부게 보정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6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141]. DGPS 측량방법을 사용하는 이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단독(절대)측위보다 빠른 계산을 위하여

    ② 단독(절대)측위보다 연속적인 위치 계산을 위하여

    ❸ 단독(절대)측위보다 정확한 위치를 계산하기 위하여

    ④ 단독(절대)측위보다 실내측위 적용성 향상을 위하여

 

[142]. 관측자가 이동국 GPS만을 운용하며, GPS 상시관측소들로부터 생성된 관측오차보정 데이터를 무선인터넷으로 수신 받아 실시간 정밀위치 측정을 수행하는 GPS 측량 방식은?

    ① 정지측량 ② 이동측량

    ❸ VRS측량 ④ Fast-static측량

 

[143]. 다음 중 위성항법시스템이 아닌 것은?

    ① GPS ② Galileo

    ❸ GOCE ④ GLONASS

 

[144]. GPS 관측계획 수립 시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틀린 것은?

    ① 보유 수신기 대수 ② 동원 가능한 인원

    ③ 관측시간 ❹ 사이클 슬립 양

 

[145]. 우리나라 측지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❶ GRS80 타원체를 사용한다.

    ② 동경측지계를 사용한다.

    ③ 수준망은 GPS 관측에 의해 구축되었다.

    ④ 1등 삼각점은 최상위 등급의 측지기준점이다.

 

[146]. 균시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항성시와 평균태양시의 편차

    ② 최대태양시와 항성시의 편차

    ❸ 시태양시와 평균태양시의 편차

    ④ 시태양시와 항성시의 편차

 

[147]. 극심입체투영법에 의해 위도 80° 이상 양극지역의 지도좌표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은?

   ❶ UPS 좌표 ② 3차원 극좌표

   ③ UTM 좌표 ④ 가우스크뤼거 좌표

 

[148]. 지구 내부의 원인에 의하여 자기장이 오랜 세월을 두고 변화하는 것을 가리키는 용어는?

   ① 일변화 ❷ 영년변화

   ③ 자기변화 ④ 월변화

 

[149]. GPS 신호에 포함된 항법메시지에서 제공되는 정보가 아닌 것은?

   ① 궤도정보 ② 위성시계보정계수

   ③ 위성상태 ❹ 전리층 지연량

 

[150]. 북 자기극에서의 복각은?

   ❶ 90° ② 45°

   ③ 30° ④ 0°

 

[151]. 지상의 고정된 위치에서 중력측정을 할 때 측정결과를 보정할 사항이 아닌 것은?

   ① 고도 보정 ② 지형 보정

   ❸ 에트베스 보정 ④ 아이소스타시 보정

 

[152]. 지구타원체면상에서 위도가 적도에 가까워짐에 따른 중력의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일반적으로 증가한다.

    ❷ 일반적으로 감소한다.

    ③ 위도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④ 경도에 따라 증가하기도 하고 감소하기도 한다.

 

[153]. GPS 코드 신호의 이중 차분(Double Differencing)을 이용하여 정지측위를 실시하는 경우 필요한 위성의 최소 개수는?

    ① 2개 ❷ 4개

    ③ 6개 ④ 8개

 

[154]. 다음 중 천문좌표계가 아닌 것은?

    ① 지평좌표계 ② 적도좌표계

    ③ 황도좌표계 ❹ 3차원 직각좌표계

 

[155]. GPS의 여러 오차 중 DGPS 기법으로 제거되지 않는 것은?

    ❶ 의사거리 측정오차 ② 위성의 궤도정보 오차

    ③ 전리층에 의한 지연 ④ 대류권에 의한 지연

 

[156]. 지평좌표계에서 어떤 시각의 별의 위치를 결정하는 요소는?

    ❶ 방위각, 고저각 ② 적위, 방위각

    ③ 적경, 적위 ④ 적경, 고저각

 

[157]. 경도 0°인 그리니치(Greenwich) 자오선에 대한 평균태양시인 세계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UT0 ② UT1

    ③ UT2 ❹ UT3

 

[158]. GPS의 활용분야와 가장 관계가 먼 것은?

    ① 지각변동 관측

    ❷ 실내 건축인테리어

    ③ 측지기준망의 설정

    ④ 지형공간정보 획득 및 시설물 유지관리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6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