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3

 

용접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용접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0]. 일반적인 탈황반응(desulfurization reaction)에서 탈황을 촉진시키기 위한 조건으로 옳은 것은?

    ① 비교적 저온에서 실시한다.

    ② 슬래그 중의 SiO₂의 함량을 높인다.

    ❸ 용융 슬래그의 염기도가 높을수록 진행하기 쉽다.

    ④ 형석을 제거하여 슬래그의 유동성을 느리게 한다.

 

[1]. 다음 금속 조직 중 공정반응으로 인해 정출되는 것은?

    ① 펄라이트 ② 트루스타이트

    ③ 오스테나이트 ❹ 레데부라이트

 

[2]. 배관용 탄소 강관을 KS규격에 의한 기호로 나타낸 것은?

    ❶ SPP ② SS235

    ③ SGT550 ④ SM275A

 

[3]. TTT 곡선의 nose time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합금원소 ❷ 인장성질

    ③ 탄소함량 ④ 결정입도

 

[4]. 400℃ 이상에서 탄화물의 입계석출로 인하여 입계부식을 일으키는 스테인리스강은?

    ① 펄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②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③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강

    ❹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5]. 0.5% Si, 0.43% Mg이 함유된 알루미늄 합금으로, 내식성 및 전기 전도율이 우수하여 송정선에 많이 사용되는 것은?

    ① 알민 ❷ 알드리

    ③ 알클래드 ④ 하이드로날륨

 

[6]. 탄소강에 함유된 구리의 영향이 아닌 것은?

    ❶ 인장강도를 저하시킨다.

    ② 탄성한도를 증가시킨다.

    ③ 열간 가공성을 저하시킨다.

    ④ 부식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킨다.

 

[7]. 금속재료의 강화 방법이 아닌 것은?

    ① 고용강화 ❷ 풀림처리

    ③ 가공경화처리 ④ 입자분산강화

 

[8]. Fe-C 평형상태도에서 순철의 A3 변태점의 온도는?

    ① 723℃ ② 768℃

    ❸ 910℃ ④ 1400℃

 

[9]. 용착금속에 인장강도는 증가시키나 연신율과 충격치를 저하시키며 뜨임취성의 원인이 되는 것은?

    ❶ N ② O

    ③ H ④ S

 

[10]. 다음 금속 조직 중 경도가 가장 높은 것은?

    ① 페라이트 ② 펄라이트

    ❸ 마텐자이트 ④ 트루스타이트

[11]. 가공한 금속을 가열할 때 결정입계의 이동에 의해서 형성되는 쌍정은?

    ① 변형쌍정 ❷ 풀림쌍정

    ③ 소성쌍정 ④ 기계적쌍정

 

[12]. 강의 열처리에서 A1 변태점 이하로 가열하여 소정시간 유지한 다음 냉각하는 방법으로, 인성을 증가시키고 경도를 감소시키는 열처리는?

    ① 퀜칭 ❷ 템퍼링

    ③ 어닐링 ④ 노멀라이징

 

[13]. 강재의 용접성은 강의 열 영향부의 최고경도에 대한 탄소당량에 관계되는데 그 탄소당량은 얼마 이하에서 양호한 용접성을 가질 수 있는가?

    ❶ 0.4% ② 0.7%

    ③ 0.9% ④ 1.1%

 

[14]. 다음 중 용융점이 가장 낮은 금속은?

    ① Cu ② Fe

    ❸ Mg ④ Ni

 

[15]. 용접부의 저온 균열이 아닌 것은?

    ① 토우 균열 ② 루트 균열

    ③ 비드 및 균열 ❹ 크레이터 균열

 

[16]. 용융금속이 응고할 때 응고 온도차에 따라 농도차이를 일으키는 현상은?

    ❶ 편석 ② 공석

    ③ 포석 ④ 편정

 

[17]. S-N 곡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탄소당량을 도시한 곡선이다.

    ② 항온변태 속도를 나타내는 곡선이다.

    ③ 인장시험에서 인장력과 연신율을 나타내는 곡선이다.

    ❹ 피로시험에서 응력과 반복횟수를 나타내는 곡선이다.

 

[18].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용접에서 예열은 몇 ℃ 정도가 가장 적합한가?

    ① 50~100℃ ❷ 200~400℃

    ③ 800~850℃ ④ 900~950℃

 

[19]. 스테인리스강의 종류에서 내식성, 가공성 및 용접성이 가장 우수한 것은?

    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② 펄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③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강

    ❹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20]. 구리 및 구리 합금의 현미경 조직 시험에서 부식제로 적당한 것은?

    ① 질산 알코올 ② 피크린산 알코올

    ❸ 염화 제2철 용액 ④ 수산화나트륨 용액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3

 

용접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용접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21]. 압력 배관용 탄소 강관 재료를 나타내는 기호는?

    ❶ SPPS 250 ② SGT 275

    ③ SPLT 390 ④ STKM 14C

 

[22]. 용접품 후열처리의 주된 목적이 아닌 것은?

    ① 열영향 경화부의 연화

    ❷ 용접부의 부식성 향상

    ③ 용접부의 수소 방출 효과

    ④ 용접부의 고온 성능의 향상

 

[23]. 다음 균열 중 저온균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힐 균열(heel crack)    ② 토 균열(toe crack)

    ③ 루트 균열(root crack)  ❹ 크레이터 균열(crater crack)

 

[24]. 용접 금속에서 은점, 미세 균열, 선상 조직은 다음 중 어느 원소의 영향으로 생기는가?

    ① 산소 ② 질소

    ❸ 수소 ④ 규소

 

[25]. 큰 강재를 열처리할 때 표면에서 내부 중심부까지의 열처리효과의 차이가 생기는 것은?

    ① 시효효과 ② 취성효과

    ❸ 질량효과 ④ 코트렐효과

 

[26]. 다음 중 면심입방격자로만 조합된 것은?

    ❶ Al, Ni, Cu ② Pt, Pb, V

    ③ Ag, Au, W ④ Mg, Zn, Cd

 

[27]. 금속의 조직에서 페라이트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γ+Fe3C 합금이다.

    ② 6.67% C를 함유한 탄화철이다.

    ❸ 체심입방격자의 α철이며, C를 약 0.025%까지 고용한다.

    ④ 면심입방격자에 탄소를 고용한 상으로 정사방정이다.

 

[28]. 강을 담금질할 때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마텐자이트화하기 위하여 0℃이하로 냉각 처리하는 것은?

    ① 표준화처리 ② 고용화처리

    ③ 구상화처리 ❹ 서브제로처리

 

[29]. 표면 냉간가공의 일종으로, 금속 재료의 표면에 강이나 주철의 작은 입자들을 고속으로 분사시켜, 가공 경화로 표면층의 경도를 높이는 경화법은?

    ① 화염 경화법 ❷ 숏 피닝법

    ③ 고주파 경화법 ④ 하드 페이싱 법

 

[30]. 저탄소강을 0~500℃ 사이에서 인장시험하면 200~300℃의 온도 범위에서 인장 강도가 매우 크게 되고 연성이 매우 작아져 취성을 나타낸다. 이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연성취성 ❷ 정열취성

    ③ 풀림취성 ④ 적열취성

[31]. 용접부의 용융금속에 산소가 혼합 되었을 때의 영향으로 옳은 것은?

    ① 강도저하, 취성 저하, 용접성 향상

    ② 강도 증가, 용접성 향상, 취성 저하

    ③ 비금속 개재물 제거, 취성 증가, 강도 증가

    ❹ 합금원소의 소모, 비금속 개재물 생성, 취성 증가

 

[32]. 금속의 공통적인 특성으로 틀린 것은?

    ① 열과 전기의 양도체이다.

    ② 비중이 크고 광택을 갖는다.

    ❸ 소성 변형 및 가공성이 없다.

    ④ 수은을 제외하고는 상온에서 고체이며 결정체이다.

 

[33]. Fe-C 평형 상태도에서 나타나는 반응 중 탄소함유량이 약 0.8%, 온도가 723℃일 때 나타나는 것은?

    ❶ 공석 반응 ② 포정 반응

    ③ 공정 반응 ④ 공동 반응

 

[34]. 금속재료를 연화시키며, 조직의 균일화, 미세화, 표준화를 목적으로 그 성질을 개선하기 위해 일정 온도에서 일정 시간 가열 후 비교적 느린 속도로 냉각시키는 열처리는?

    ❶ 풀림 ② 침탄

    ③ 담금질 ④ 표면경화

 

[35]. 철강 표면에 Cr을 확산 침투 시키는 것으로 내식, 내열, 내마모성을 목적으로 하는 표면경화 방법은?

    ① 세라다이징 ❷ 크로마이징

    ③ 칼로라이징 ④ 실리코나이징

 

[36]. 4.3%C의 용융철이 1148℃이하로 냉각될 때 오스테나이트와 시멘타이트로 정출되어 생긴 공정주철의 조직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Perarlite ② Austenite

    ❸ Ledeburite ④ Dendrite

 

[37]. 다음 중 탈인을 촉진하기 위한 조건으로 틀린 것은?

    ① 강욕 온도가 낮을 것

    ② 슬래그의 유동성이 좋을 것

    ❸ 슬래그의 산화력이 낮을 것

    ④ 슬래그의 염기도가 높을 것

 

[38]. 다음 알루미늄 합금 중 강도가 높은 것으로 항공기, 철도 차량, 스포츠 용품, 스키 스톡 등에 사용되는 Al-Zn-Mg-Cu계 합금은?

    ① A 2000계 ② A 3000계

    ③ A 5000계 ❹ A 7000계

 

[39]. 용접에 쓰이는 피복제의 종류 중 탄산칼슘, 불화칼슘 등을 주성분으로 하며 아크는 약간 불안정하나, 균열에 대한 감수성이 높은 것은?

    ❶ 저소수계 ② 일미나이트계

    ③ 고산화 티탄계 ④ 고셀룰로오스계

 

[40]. Fe-C 평형 상태도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액상 철로부터 오스테나이트와 시멘타이트가 동시에 정출되는 반응은?

    ① 공석반응 ❷ 공정반응

    ③ 전율반응 ④ 포정반응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3

 

용접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용접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41]. 강을 오스테나이트의 상태에서 물 또는 기름등으로 담금질하면 어떤 조직으로 변하는가?

    ① 페라이트 ② 펄라이트

    ❸ 마텐자이트 ④ 트루스타이트

 

[42]. 다음 중 면심입방격자(FCC)에 속하는 금속은?

    ① Nb ② Mo

    ③ Zn ❹ aL

 

[43]. 금속의 조직 중 시멘타이트 조직이란 무엇인가?

    ① Fe와 Si의 화합물 ❷ Fe와 C의 화합물

    ③ Fe와 O의 화합물 ④ Fe와 Mn의 화합물

 

[44]. 강을 열처리할 때 어떤 온도에서 냉각을 정지하고 그 온도에서 변태를 시켜 변태 개시온도와 변태 완료온도를 온도-시간 곡선으로 나타내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❶ 항온변태곡선 ② 항온뜨임곡선

    ③ 항온풀림곡선 ④ 항온불림곡선

 

[45]. 오스테나이트 상태로부터 Ms점 이상인 적당한 온도의 염욕으로 담금질하여 과랭오스테나이트가 염욕 중에서 항온 변태가 종료할 때까지 항온을 유지하고, 공기 중으로 냉각하는 과정에서 베이나이트 조직을 얻는 열처리 방법은?

    ① 마템퍼링 ② 서브제로

    ❸ 오스템퍼링 ④ 시간 담금질

 

[46]. 다음 중 좋은 슬래그를 만들기 위하여 용제가 지녀야 할 조건으로 틀린 것은?

    ① 용융점이 낮을 것

    ❷ 조금속과 비중차가 작을 것

    ③ 점성이 낮고 좋은 유동성을 지닐 것

    ④ 불순물의 용해도가 크고, 목적 금속의 용해도가 작을 것

 

[47]. 다음 중 강의 내마멸성과 경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실시하는 열처리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불림 ② 연화

    ③ 풀림 ❹ 담금질

 

[48]. 주철의 조직에 큰 영향을 미치는 원소끼리 짝지어진 것은?

    ① Al, Cu ❷ C, Si

    ③ C, N ④ Mn, Zn

 

[49]. 금속을 구부리거나 두들겨서 변형을가하거나 늘려서 금속을 단단하게 하는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❶ 가공경화 ② 고용강화

    ③ 복합강화 ④ 분산경화

 

[50]. 철-탄소의 합금으로 된 공석강의 탄소함유량은 약 몇 % 인가?

    ① 0.2 ❷ 0.8

    ③ 1.6 ④ 20.

 

[51]. 모재의 결함에 기인되는 것으로 모재 내에 기포가 압연되어 발생되는 유황 밴드와 같이 층상으로 편재해 강재의 내부적 노치를 형성한 것으로 불순물과 수소원을 포함하는 균열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힐 균열 ② 유황 균열

    ③ 크레이터 균열 ❹ 라미네이션 균열

 

[52]. 다음 중 강의 적열취성에 주원인이 되는 원소는?

    ① P ❷ S

    ③ Cu ④ Mn

 

[53]. 다음 금속 침투법 중 철강표면에 알루미늄을 확산 침투시키는 방법은?

    ❶ 칼로라이징 ② 세라다이징

    ③ 크로마이징 ④ 실리코나이징

 

[54]. 다음 용접 균열 중 고온 균열에 속하는 것은?

    ① 힐 균열 ② 루트 균열

    ③ 토우 균열 ❹ 크레이터 균열

 

[55]. 가단주철의 종류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백심 가단주철 ② 흑심 가단주철

    ❸ 페라이트 가단주철 ④ 펄라이트 가단주철

 

[56]. 다음 중 저온균열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수소의 존재

    ② 높은 잔류응력

    ❸ 양질 처리된 용접봉의 사용

    ④ 균열 감수성이 있는 미세조직

 

[57]. 다음 금속 중 융점이 가장 높은 것은?

    ① Cu ❷ Ti

    ③ Mg ④ Al

 

[58]. 다음 중 표면 경화 열처리 방법이 아닌 것은?

    ① 침탄법 ❷ 오스포밍법

    ③ 화염 경화법 ④ 방전 경화법

 

[59]. Ni 36%를 함유하는 Fe-Ni 합금으로, 온도에 따라 길이가 불변하여 표준자, 바이메탈용으로 쓰이는 것은?

    ❶ 인바 ② 인코넬

    ③ 모넬메탈 ④ 히스텔로이

 

[60]. 알루미늄 합근이나 구리 합금의 예열온도로 가장 적당한 온도범위는?

    ① 40~75℃ ② 80~150℃

    ❸ 200~300℃ ④ 400~550℃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3

 

용접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용접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61]. 주철의 성장 원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❶ 균일한 가열에 의한 팽창

    ② 시멘타이트릐 흑연화에 의한 팽창

    ③ Al변태에서 부피 변화로 인한 팽창

    ④ 페라이트 중에 고용되어 있는 Si의 산화에 의한 팽창

 

[62]. 황이 층상으로 존재하는 강을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할 때 발생하는 고온 균열은?

    ① toe crack ② hill crack

    ❸ sulfur crack ④ under bead crack

 

[63]. 체심입방격자(BCC)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원자충진율은 68%이다.

    ② 배위수는 8, 격자내 원자수는 2개이다.

    ❸ Mg, Zn, Ti, Cd, Zr은 BCC 결정구조이다.

    ④ 면심입방격자보다 전연성은 작으나 강한 성질을 가진다.

 

[64]. 두 금속의 원자 크기가 비슷한 금속들을 합금하는 경우 어떤 금속성분의 결정격자의 원자가 다른 성분의 결정격자 원소와 위치가 바뀌어져 고용되는 것은?

    ① 전율 고용체 ② 침입형 고용체

    ❸ 치환형 고용체 ④ 규칙격자형 고용체

 

[65]. X선에 의한 결정구조 해석 사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희절법 ② 반사법

    ③ 투과법 ❹ 진공법

 

[66]. 다음 중 적열취성의 주원인이 되는 원소는?

    ① P ② C

    ❸ S ④ Si

 

[67]. 강의 충격치가 온도의 강하와 더불어 어떤 한계온도에 도달하면 급격히 감소하여 취성이 발생하는 온도를 무엇이라 하는가?

    ❶ 천이온도 ② 취성온도

    ③ 저온온도 ④ 급감온도

 

[68]. 일반적인 금속 결정 구조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① 면심입방격자와 금속은 연성이 크다.

    ② 체심입방격자의 금속은 강도가 크다.

    ③ 조밀육방격자의 금속은 소성 가공성이 나쁘다.

    ❹ 조밀육방격자의 금속은 알루미늄, 니켈, 구리이다.

 

[69]. 다음 중 비드 밑 균열의 방지 대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예열과 후열을 실시한다.

    ② 과도한 수소 흡습을 방지한다.

    ③ 저수소계의 용접봉을 사용한다.

    ❹ 용착 금속 속의 확산성 수소를 많이 발생시킨다.

 

[70]. 과포화 고용체를 상온 또는 고온에서 유지함으로써 시간의 경과에 따라 랍금의 성질이 변화하여 경화하는 현상은?

    ① 상호경화 ❷ 시효경화

    ③ 석출경화 ④ 층상경화

[71]. 다음 금속 중 선팽창 계수가 가장 큰 금속은?

    ① 주철 ② 인바

    ③ Pt-Ir ❹ 알루미늄

 

[72]. 다음 금속침투법 중 철과 아연을 접촉시켜 내식성이 좋은 표면층을 형성하는 것은?

    ① 크로마이징 ② 칼로라이징

    ❸ 세라다이징 ④ 실리코나이징

 

[73]. 구리에 5~20%의 아연을 첨가한 합금으로, 색이 아름답고 연성이 커서 장식품, 금박 대용으로 쓰이는 것은?

    ① 포듬 ❷ 톰백

    ③ 문쯔메탈 ④ 콘스탄탄

 

[74]. 냉간 가공한 금속 재료를 가열하여 풀림을 하면 가공에 의하여 변화한 금속의 성질이 가공 전의 상태로 되돌아가는데, 이 과정과 관련이 없는 것은?

    ❶ 슬립 ② 회복

    ③ 재결정 ④ 결정입자의 성장

 

[75]. Y합금의 일종으로 Ti과 Cu를 0.2%정도씩 첨가한 것으로 피스톤에 사용하는 알루미늄 합금은?

    ① 실루민 ② 라우탈

    ❸ 코비탈륨 ④ 하이드로날륨

 

[76]. 다음 중 상온에서 강자성체이며 조직이 매우 연하며, 체심입방격자의 구조를 가지는 것은?

    ① 페라이트 ② 필라이트

    ③ 시멘타이트 ❹ 오스테나이트

 

[77]. Fe-C 상태도에서 나타나는 오스테나이트 조직의 결정구조로 옳은 것은?

    ① SC ② BCC

    ❸ FCC ④ HCP

 

[78]. 일반적인 주괴의 단면조직에서 나타나지 않는 조직은?

    ① 질층 ❷ 탈탄층

    ③ 주상정 ④ 등축정

 

[79]. 다음 중 표면경화 열처리법이 아닌 것은?

    ① 침탄법 ② 질화법

    ③ 화염경화법 ❹ 심냉처리법

 

[80]. 금속의 소성변형에 의하여 전위밀도가 증가하여 전위 상호간의 작용에 의한 결정격자의 뒤엉킴으로 전위를 전진시키지 못하여 금속이 단단해지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❶ 가공강화 ② 분산강화

    ③ 석출강화 ④ 고용강화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3

 

용접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용접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81]. 일반적으로 강의 항온변태곡선인 C곡선의 nose부 이상의 온도에서 생성되는 조직은?

    ❶ 펄라이트 ② 소르바이트

    ③ 베이나이트 ④ 마텐자이트

 

[82]. 400℃ 이상에서 탄화물의 입계석출로 인하여 입계부식을 일으키는 스테인리스강은?

    ① 펄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②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③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강

    ❹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83]. 주철제품을 고온예열 용접한 후 잔류응력을 제거하기 위한 열처리 방법은?

    ① 퀜칭 ❷ 어날링

    ③ 템퍼링 ④ 마템퍼링

 

[84]. 구리의 물리적 성질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원자량은 63.5이다.

    ❷ 결정구조는 BCC이다.

    ③ 밀도는 약 8.9

    ④ 끓는점은 약 2959℃ 정도이다.

 

[85]. 탄소강 중에 함유된 인(P)의 영향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인장강도가 증가한다.

    ❷ 연소율을 증가시킨다.

    ③ 상온취성의 원인이 된다.

    ④ 결정입자를 조대화 시킨다.

 

[86]. 저수소계 용접봉의 건조 방법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① 70~100℃에서 30분간 건조

    ② 300~350℃에서 30분간 건조

    ③ 10~100℃에서 1~2시간 건조

    ❹ 300~350℃에서 1~2시간 건조

 

[87]. 피복 아크 용접봉에서 수소함유량이 적어 내균열성이 가장 좋은 용접봉은?

    ① E4303 ② E4311

    ❸ E4316 ④ E4327

 

[88]. 다음 중 가단주철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백심 가단주철 ② 흑심 가단주철

    ❸ 솔바이트 가단주철 ④ 필라이트 가단주철

 

[89]. 구속에 의한 응력과 관계되며, 열영향부의 연성부족, 수소량의 과다, 열영향부 조립부의 급랭에 의한 경화 등의 원인으로 발생하는 균열은?

    ① 고온균열 ❷ 지연균열

    ③ 뜨임균열 ④ 크레이트 균열

 

[90]. 금속의 응고 시 결정의 형성 과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❶ 핵 발생 성장 결정 경계 형상

    ② 핵 발생 결정 경계 형성 성장

    ③ 결정 경계 형성 성장 핵 발생

    ④ 결정 경계 형성 핵 발생 성장

 

[91]. 다음 중 항온 열처리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마퀜칭 ❷ 서브제로

    ③ 마템퍼링 ④ 오스템퍼링

 

[92]. Fe - Fe3C 평형상태도에서 나타나지 않는 변태점은?

    ❶ 포석점 ② 포정점

    ③ 공석점 ④ 공정점

 

[93]. 스테인리스강(18Cr-8Ni) 용접에서 가장 잘 나타나는 용접결함은?

    ① 루트 크랙(root crack)

    ❷ 웰드 디케이(weld decay)

    ③ 세로 균열(longitudinal crack)

    ④ 언더 비드 균열(under bred crack)

 

[94]. 결정격자 결함 중 면결함에 해당되는 것은?

    ① 공동(Void)

    ② 공공(Vacancy)

    ③ 전위(Dislocation)

    ❹ 적층결함(Stacking fault)

 

[95]. 탄소강에서 적열메짐의 원인이 되는 원소는?

    ❶ S ② P

    ③ Si ④ Cu

 

[96]. 공석강의 조직으로 옳은 것은?

    ① 페라이트

    ❷ 펄라이트

    ③ 펄라이트와 레데뷰라이트의 혼합조직

    ④ 페라이트와 오스테나이트의 혼합조직

 

[97]. 압력이 일정한 금속계에서 상이 평형을 유지하기 위한 자유도의 식으로 옳은 것은? (단, F: 자유도, n: 성분수, P: 상의수이다.)

    ① F = n-1-p ② F = n+1+p

    ❸ F = n+1-p ④ F = n-1+p

 

[98]. Al-Cu-Ni-Mg계 합금으로 강도 내열성이 우수하고 고온강도가 크므로 공냉 실린더 헤드, 내연 기과용 피스톤 등에 이용되는 합금은?

    ❶ Y합금 ② 두랄루민

    ③ 라우탈(Lautal) ④ 도우메탈(Dow metal)

 

[99]. 저온균열은 냉각조건에 따라 마텐자이트 변태나 잔류오스테나이트에 의한 취성화가 원인이다. 강을 오스테나이트 구역에서 담금질(수랭)하여 최종으로 얻을 수 있는 조직은?

    ① 펄라이트 ❷ 마텐자이트

    ③ 시멘타이트 ④ 오스테나이트

 

[100]. 강의 열처리에서 A1, 변태점 이하로 가열하여 소정시간 유지한 다음 냉각하는 방법으로 인성이 증가되는 열처리 방법은?

    ① 퀜칭 ❷ 템퍼링

    ③ 어닐링 ④ 노멀라이징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3

 

용접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용접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101]. 항온변태곡선과 구별하기 위한 연속냉각곡선을 의미하는 것은?

    ① IT곡선 ② TTT곡선

    ③ CTT곡선 ❹ CCT곡선

 

[102]. 탄소강에 함유되어 잇는 구리(Cu)의 영향이 아닌 것은?

    ① 내식성을 향상시킨다.

    ② Ar1 변태점을 저하시킨다.

    ❸ 강도 및 경도를 낮춘다.

    ④ 탄성한도를 증가시킨다.

 

[103]. 비중이 작은 것에서 큰 순서대로 내열된 것은?

    ❶ Al <Sn <Cu <Pb ② Sn <Cu <Pb <Al

    ③ Cu <Pb <Al <Sn ④ Pb <Cu <Sn <Al

 

[104]. 초경합금의 특성으로 옳은 것은?

    ① 마모성이 좋다.

    ② 압축강도가 낮다.

    ❸ 경도가 높고 변경이 적다.

    ④ 고온 경도 및 강도가 낮다.

 

[105]. 용접 후 열처리 목적이 아닌 것은?

    ❶ 균열감수성 증가 ② 함유가스의 제거

    ③ 용접잔류응력의 완화 ④ 용접 열영향부의 연화

 

[106]. 액체 금속이 응고할 때 융점의 온도에서 응고가 시작되지 않고 융점보다 낮은 온도에서 응고가 되는 현상은?

    ① 수냉각 ❷ 과냉각

    ③ 시효냉각 ④ 체결냉각

 

[107]. 용융 금속 중에 산소에 대한 친화력이 Fe보다 큰 원소를 첨가하면 산소와 반응하여 생성물이 발생하는 반응은?

    ① 단정반응 ② 탈인반응

    ③ 표층반응 ❹ 탈산반응

 

[108]. 용착금속 내에 유황편석에 의한 크랙을 방지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방법은?

    ① 자동용접을 실시한다.

    ② 플럭스를 사용하지 않는다.

    ③ 용점 모래로 림드강 강판을 사용한다.

    ❹ 용착금속 내에 수소가 흡수되지 않도록 한다.

 

[109]. Fe-C평형 상태도에서 순철의 자기변태점(A2) 온도는 약 몇 ℃인가?

    ① 723℃ ❷ 768℃

    ③ 910℃ ④ 1492℃

 

[110]. 용융금속이 응고할 때 응고 온도차에 따라 농도차이를 일으키는 현상은?

    ❶ 편석 ② 공석

    ③ 포석 ④ 편정

[111]. 두 가지 이상의 금속 원소가 간단한 원자비로 결합되어 있는 물질로 MgCu2와 같은 물질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필라이트 ② 시멘타이트

    ❸ 금속간화합물 ④ 레데뷰라이트

 

[112]. 탄소강의 물리적 성질 중 탄소 함유량의 증가와 더불어 증가하는 것은?

    ❶ 비열 ② 용융점

    ③ 열팽창률 ④ 열전도도

 

[113]. 금속의 결함 중 선 결함에 해당되는 것은?

    ❶ 전위 ② 원자공공

    ③ 적총결함 ④ 결정립 경계

 

[114]. 탄소당량이 일반적으로 약 몇 % 이하일 때 용접성이 양호한 것으로 판단하는가?

    ❶ 0.4% 이하 ② 1.0% 이하

    ③ 2.1% 이하 ④ 4.3% 이하

 

[115]. 용접금속의 응고조직에서 형태를 결정하는 인자와 가장 관계가 없는 것은?

    ① 온도구배 ② 용질농도

    ③ 결정의 성장속도 ❹ 모재의 결정구조

 

[116]. 백금-백금로듐 열전대로 가장 높은 온도를 측정하는데 적합한 열전대는?

    ❶ R-type(PR형) ② K-type(CA형)

    ③ J-type(IC형) ④ T-type(CC형)

 

[117]. 탄소강은 200~300℃에서 가장 취약하게 되는데, 이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저온취성 ❷ 청열취성

    ③ 천이취성 ④ 파괴취성

 

[118]. 스테인리스강 중 내식성이 가장 높고 비자성인 것은?

    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② 석출경화계 스테인리스강

    ③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강

    ❹ 오스텐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119]. 다음의 금속 중 경금속이 아닌 것은?

    ① Al ② Li

    ③ Mg ❹ Mo

 

[120]. 다음의 조직 중 경도가 가장 높은 것은?

    ① 페라이트 ② 펄라이트

    ❸ 마텐자이트 ④ 트루스타이트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3

 

용접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용접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121]. X-선의 회절현상으로 결정 구조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❶ 브래그법 ② 탐슨법

    ③ 탐만법 ④ 깁스법

 

[122]. 용접구조물의 제작시 예열의 목적을 잘못 설명한 것은?

    ① 용접시 발생하는 변형을 경감시킨다.

    ② 용접구조물의 잔류 응력을 경감시킨다.

    ③ 용접구조물의 비드 및 균열을 방지시킨다.

    ❹ 임계온도를 통과, 냉각될 때 냉각속도를 빠르게 한다.

 

[123]. 금속의 저온균열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틀린 것은?

    ① 용접봉의 건조

    ② 구속응력의 완화

    ③ 확산 수소량의 최소화

    ❹ 합금원소 중 S, P의 증가

 

[124]. 강의 표면에 알루미늄을 침투시키는 처리로서 내(耐) 고온성의 확산 층을 생성하는 금속 침투법은?

    ① 보로나이징 ② 크로마이징

    ❸ 칼로라이징 ④ 실리콘나이징

 

[125]. 금속의 공통적 특성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❶ 이온화하면 음(-)이온이 된다.

    ② 열과 전기의 좋은 양도체이다.

    ③ 금속적 광택을 가지고 있다.

    ④ 소성변형성이 있어 가공하기 쉽다.

 

[126]. 탄소강에 함유되어 있는 구리의 영향이 아닌 것은?

    ❶ 인장강도를 낮춘다.

    ② 탄성한도를 증가시킨다.

    ③ 열간 가공성을 저하시킨다.

    ④ 부식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킨다.

 

[127]. 코비탈륨과 유사한 합금으로 강도 내열성이 우수하고 고온강도가 크므로 공냉 실리더 헤드, 피스톤 등에 사용되며, 합금 조성이 Al-Cu-Ni-Mg인 합금은?

    ❶ Y합금 ② 라우탈

    ③ 두랄루민 ④ 도우메탈

 

[128]. 탄소강에서 청열 메짐(blue shortness)이 일어나는 온도는 약 몇 ℃인가?

    ① 650 ~ 750℃ ② 500 ~ 600℃

    ③ 350 ~ 450℃ ❹ 200 ~ 300℃

 

[129]. 용융슬래그의 구성 중 산화물의 분류가 아닌 것은?

    ① 중성 ② 산성

    ③ 염기성 ❹ 용제성

 

[130]. 경질 주조 합금 공구 재료로서, 주조한 상태 그대로를 연삭하여 사용하는 비철합금은?

    ① 실루민 ❷ 스텔라이트

    ③ 고망간강 ④ 하이드로날륨

[131]. 탄소강에서 적열취성의 원인이 되는 것은?

    ① P ❷ S

    ③ Cl ④ H2

 

[132]. A3 또는 Acm선보다 30~50℃ 뫂은 온도로 가열한 다음 공기 중에 냉각시켜 강을 표준화시키는 열처리는?

    ① 뜨임 ② 퀜칭

    ❸ 노멀라이징 ④ 항온열처리

 

[133]. 용융금속의 수소 용해도를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원소는?

    ❶ C ② Cr

    ③ Mn ④ Nb

 

[134]. 강의 5대 원소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C ② Si

    ③ Mn ❹ Cr

 

[135]. 용융금속의 결정립 미세화 방법이 아닌 것은?

    ① 자기교반 ② 초음파진동

    ③ 합금원소 첨가 ❹ 입상정 생성

 

[136]. 담금질한 강을 100 ~ 200℃ 부근에서 저온 뜨임하는 목적으로 틀린 것은?

    ❶ 마모성의 향상 ② 연마 균열의 방지

    ③ 담금질 응력 제거 ④ 치수의 경년변화 방지

 

[137]. 4.3%C의 공정성분인 액체가 1130℃에서 응고하여 생기는 철 - 탄화철계의 공정조직으로 오스테나이트와 시멘타이트가 혼합된 조직은?

    ① 펄라이트(pearlite)

    ② 페라이트(ferite)

    ❸ 레데뷰라이트(ladeburite)

    ④ 트루스타이트(troostite)

 

[138]. 용접품 후열처리의 주된 목적이 아닌 것은?

    ① 열영향 경화부의 연화

    ② 용접부의 고온성능의 향상

    ❸ 용접부의 부식성 향상

    ④ 용접부의 수소 방출 효과

 

[139]. 강의 담금질 조직을 냉각 속도에 따라 분류할 때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소르바이트 ② 마텐자이트

    ❸ 페라이트 ④ 트루스타이트

 

[140]. Fe-C 평행상태도에서 δ-Fe의 결정구조는?

    ① 저심입방격자 ❷ 체심입방격자

    ③ 면심입방격자 ④ 조밀육방격자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3

 

용접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용접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141]. 고장력강을 용접하기 전에 예열을 함에 따라 용접 후 얻어지는 현상이 아닌 것은?

    ① 열응력 감소 ② 변형 감소

    ❸ 탈산 방지 ④ 균열 방지

 

[142]. 용접부이 용융금속에 산소가 혼합 되었을 때의 영향으로 옳은 것은?

    ① 강도 저하, 취성 저하, 용접성 향상

    ② 강도 증가, 용접성 향상, 취성 저하

    ③ 비금속 개재물 제거, 취성 증가, 강도 증가

    ❹ 합금원소의 소모, 비금속 개재물 생성, 취성 증가

 

[143]. 철의 자기적 성질이 변하는 변태점(168℃)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페라이트(ferrite) ❷ 큐리점(curie point)

    ③ 시멘타이트(cementite) ④ 펄라이트(pearlite)

 

[144]. 경도 시험 방법 중 일정한 높이에서 시험편을 낙하시켰을 때 반발되는 높이로부터 값이 결정되어 경도를 측정하는 것은?

    ❶ 쇼어경도 ② 로크웰경도

    ③ 브리넬경도 ④ 비커스경도

 

[145]. 철강조직으로서 오스테나이트를 매우 천천히 냉각하여 얻어지는 α-철과 시멘타잍의 혼합조직은?

    ❶ 펄라이트(pearlite)

    ② 페라이트(ferrite)

    ③ 베이나이트(Bainite)

    ④ 트루스타이트(Troostite)

 

[146]. 재결성 온도가 가장 낮은 금속은?

    ① W ② Cu

    ❸ Sn ④ Ni

 

[147]. 구리에 납을 20~40% 배합한 합금으로 자동차, 항공기의 베어링 등에 사용되는 합금은?

    ❶ 켈멧합금 ② CA합금

    ③ 콜손합금 ④ 호이슬러합금

 

[148]. 순철의 동소체가 아닌 것은?

    ① α철 ❷ β철

    ③ γ철 ④ δ철

 

[149]. 스테인리스강(18 Cr-8 Ni)의 용접 후 열영향부에 발생하는 부식현상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냉각속도가 빠르기 때문

    ② 용접열로 인하여 크롬이 산화되기 때문

    ❸ 크롬이 입계에 탄화물을 형성하기 때문

    ④ 용접열로 인하여 탄소함량이 높아지기 때문

 

[150]. 용융점이 가장 낮은 금속은?

    ① Fe ② Cu

    ③ Ni ❹ Mg

 

[151]. 용착금속에 인장강도는 증가시키나 연신율과 충격치를 저하시키며 뜨임취성이 원인이 되는 것은?

    ❶ N ② O

    ③ H ④ S

 

[152]. 용접의 품질을 가장 나쁘게 하는 것은?

    ① 용접이 끝난 후 피닝처리 하였다.

    ❷ 열영향부의 경화를 방지하기 위해 급량시켰다.

    ③ 용접부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도열법을 사용하였다.

    ④ 고급 내열 합금(Ni 또는 Co)강을 예열 후 용접하였다.

 

[153]. 금속의 응고 순서로 옳은 것은?

    ❶ 결정핵 발생→결정의 성장→결정립 형성

    ② 결정핵 발생→결정립 형성→결정의 성장

    ③ 결정립 형성→결정핵 발생→결정의 성장

    ④ 결정의 성장→결정핵 발생→결정립 형성

 

[154]. 금속재료의 강화 방법이 아닌 것은?

    ① 고용강화 ❷ 풀림처리

    ③ 가공경화처리 ④ 입자분산강화

 

[155]. 금속결정의 전위 형태가 아닌 것은?

    ① 인상전위 ② 나선전위

    ❸ 굽힘전위 ④ 혼합전위

 

[156]. 용접부 조직 중 상온에서 가장 불안정한 조직은?

    ① 베이나이트(Bainite)

    ② 페라이트(Ferrite)

    ③ 마텐자이트(Martensite)

    ❹ 잔류 오스테나이트(Retain Austenite)

 

[157]. 탈산제의 원료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페로망간 ❷ 일미나이트

    ③ 페로실리콘 ④ 알루미늄 분말

 

[158]. 큰 강재를 열처리할 때 표면에서 내부 중심까지의 열처리효과의 차이가 생기는 것은?

    ① 시효효과 ② 취성효과

    ❸ 질량효과 ④ 코트렐효과

 

[159]. 용융금속의 응고 시에 응고된 금속 내부가 부위에 따라 각각 다소 다른 화학성분의 농도를 가지게 되는 현상은?

    ① 공석 ② 포정

    ❸ 편석 ④ 포석

 

[160]. 금속의 격자 결함 중 면 결함(plane defect)에 해당하는 것은?

    ① 원자공공(vacancy)

    ② 전위(dislocation)

    ③ 주조결함(수축공 및 기공)

    ❹ 적층결함(stacking fault)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3

 

용접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용접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161]. 탄산가스 아크 용접재료인 솔리드 와이어(solid wire)제조시 탈산제로 사용하는 원소는?

    ① O, N ② H, O

    ❸ Mn, Si ④ W, N

 

[162]. 금속의 공통적인 특성으로 틀린 것은?

    ① 비중이 크고 광택을 갖는다.

    ② 열과 전기의 양도체이다.

    ❸ 솟ㅇ변형 및 가공성이 없다.

    ④ 수은을 제외하고는 상온에서 고체이며 결정체이다.

 

[163]. 강재의 용접성은 강의 열 영향부의 최고경도에 대한 탄소당량에 관계되는데 그 탄소 당량이 얼마이하에서 양호한 용접성을 가질 수 있는가?

    ❶ 0.4% ② 0.7%

    ③ 0.9% ④ 1.1%

 

[164]. 상온에서 순철(Fe)의 결정격자는?

    ① 면심입방격자 ❷ 체심입방격자

    ③ 조밀육방격자 ④ 면심정방격자

 

[165]. 강을 담금질할 때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마텐자이트화라기 위하여 0℃ 이하로 냉각처리 하는 것은?

    ① 구상화처리 ② 표준화처리

    ❸ 서브제로처리 ④ 고용화처리

 

[166]. 강력한 탈산제를 첨가하여 충분히 탈산시킨 강괴로 고합 금강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은?

    ❶ 킬드강 ② 캡드강

    ③ 림드강 ④ 세미킬드강

 

[167]. 탄소강이 보톤 200~300℃에서 연신율과 단면 수축률이 상온보다 저하되어 깨지기 쉬운 성질을 나타내는 취성은?

    ① 풀림취성 ② 적열취성

    ③ 저온취성 ❹ 청열취성

 

[168]. 페라이트 조직의 특성으로 옳은 것은?

    ① Fe₃C의 금속간 화합물이다.

    ❷ 상온에서 강자성이다.

    ③ 시멘타이트보다 매우 강하다.

    ④ 마텐자이트 조직이라고도 부른다.

 

[169]. 다음 중 강자성체 금속에 해당되는 것은?

    ① Cu, Ag ② Au, Zn

    ③ Su, Bi ❹ Fe, Ni

 

[170]. Fe-C 평형상태도에서 공정점의 탄소량은 약 몇 %인가?

    ① 0.025% ② 0.8%

    ③ 2.1% ❹ 4.3%

 

[171]. 파면에 은백색의 빛이 나고 여린 양상을 보이며 결정학적으로 벽개형(cleavage) 파괴는?

    ① 연성파괴 ❷ 취성파괴

    ③ 전성파괴 ④ 인성파괴

 

[172]. 다음 중 금속결정의 격자구조가 아닌 것은?

    ① 체심입방격자 ② 면심입방격자

    ❸ 세밀이방격자 ④ 조밀육방격자

 

[173]. 가공한 금속을 어떤 온도로 유지하면 시간의 경과에 따라 경도나 항복강도가 상승하는 현상은?

    ① 상호작용 ❷ 변형시효

    ③ 석출시효 ④ 층상경화

 

[174].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입계 부식 방지법으로 첨가하는 원소가 아닌 것은?

    ① Ti ② Ta

    ❸ W ④ Nb

 

[175]. 탈활반응의 진행이 쉽게 이루어지는 상태는?

    ① 용융슬래그가 중성일 때

    ② 용융슬래그의 산성이 높을 때

    ❸ 용융슬래그의 염기도가 높을 때

    ④ 용융슬래그의 대기 중에 있을 때

 

[176]. 용접 중에 발생한 기포가 응고 시에 이탈하지 못하고 잔류한 것은?

    ① 편석 ❷ 기공

    ③ 은점 ④ 선상조직

 

[177]. 실루민 합금으로 맞는 것은?

    ① Al-Cu계 ❷ Al-Si계

    ③ Al-Mg계 ④ Al-Cu-Mg계

 

[178]. 강의 냉각 중 Fe-C 평행상태도에서 공석점의 조직변화 내용으로 옳은 것은?

    ① Pearlite → Ferrite

    ② Austenite → Martensite

    ❸ Austenite → Peartite

    ④ Ferrite → Troostite

 

[179].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용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짧은 아크길이를 유지한다.

    ❷ 예열을 충분히 해주어야 한다.

    ③ 아크를 중단하기 전에 크레이터처리를 한다.

    ④ 낮은 전류값으로 용접하여 용접 입열을 억제한다.

 

[180]. 방식법 중 부식을 방지하려는 금속을 외부전원에 연결하여 부식 전류와 반대방향의 전류를 흘려 부식을 방지하는 것은?

    ① 금속 용사법 ② 산화철 피복법

    ❸ 유전양극 방식법 ④ 부식억제제 첨가법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3

 

용접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용접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181]. 금속결정구조가 면심입방격자(FCC)로만 되어 있는 것은?

    ❶ Ag, Al, Cu, Ni ② Mo, NB, Cu, Be

    ③ Nb, Co, Al, Mg ④ Mg, Ag, Be, Ti

 

[182]. 피복아크 용접봉의 심선재료로 저탄소 림드강이 사용되는 가장 큰 이유는?

    ① 기공방지 ② 피트방지

    ③ 용락방지 ❹ 균열방지

 

[183]. 탄소강 중에서 인(P)이 미치는 영향으로 틀린 것은?

    ① 연신율을 감소시킨다.

    ② 상온취성의 원인이 된다.

    ❸ 결정립을 미세화시킨다.

    ④ Fe3P로 고스트라인을 형성시켜 파괴의 원인이 된다.

 

[184]. 일반적으로 저수소계 용접봉에서 탈산제로 사용되며, 용접 중 용융슬래그 내 FeO에 의하여 산화반응이 일어나는 원소는?

    ❶ Si ② Co

    ③ S ④ P

 

[185]. 소재에 인성을 부여하기 위한 열처리는?

    ❶ 뜨임(tempering) ② 불림(normalizing)

    ③ 담금질(quenching) ④ 풀림(annealing)

 

[186]. 아크용접에서 기공발생에 가장 큰 원인이 되는 것은?

    ① Fe ❷ Co

    ③ N2 ④ CO₂

 

[187]. 18Cr-8Ni 스테인리스강의 조직으로 맞는 것은?

    ① Ferrite ② Pearlite

    ③ Cementite ❹ Austenite

 

[188]. 구리의 일반적인 성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전기 및 열전도도가 높다.

    ② 전연성이 좋다. 가공이 용이하다.

    ❸ 화학적 저항력이 작아 부식이 잘된다.

    ④ 용융점 이외에는 변태점이 없다.

 

[189]. 황(S)의 영향으로 인하여 균열을 일으켜 가공을 곤란하게 하는 성질은?

    ① 쌍정 ② 재결정

    ③ 청열취성 ❹ 적열취성

 

[190]. 특수강의 원소 중 고온에서의 크리이프 강도, 내식성을 크게하며 열처리 효과를 크게 하고 뜨임 취성을 방지하는 원소는?

    ① Mn ② Cr

    ❸ Mo ④ Sn

 

[191]. 용접 후 풀림 효과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잔류응력 제거 ❷ 경도의 증가

    ③ 절삭성의 향상 ④ 냉간가공성의 개선

 

[192]. 전위가 인접한 슬림(Slip)면상에 이동하면서 생기는 계단상의 부분은?

    ❶ 조그(jog)

    ② 코트렐 효과(cotrell effect)

    ③ 프랭크-리드원(Frank Read 원)

    ④ 전위선(dislocation line)

 

[193]. 금속침투법에서 강재를 가열하여 그 표면에 Al을 확산 침투시키는 방법은?

    ① 크로마이징 ② 실리콘나이징

    ③ 세라다이징 ❹ 칼로라이징

 

[194]. 다음 중 압력 배관용 탄소 강판 재료를 나타내는 기호로 옳은 것은?

    ❶ SPPS ② STPG

    ③ SPLT ④ STK

 

[195]. 주석청동 중에 납을 3.0 ~ 26% 첨가한 것으로 조직 중에 납이 거의 고용되지 않고, 입간에 점재하여 윤활성이 좋아 베어링, 부싱, 패킹 등에 사용되는 것은?

    ① 인청동 ❷ 연청동

    ③ 알루미늄 ④ 니켈 청동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3

 

용접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용접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3

 

용접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용접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0]. 아래보기자세 및 수평필릿 용접에 사용되고 많은 철분을 함유하고 있어 그래비티 용접(gravity welding)에 주로 사용되는 용접봉은?

    ❶ E4327 ② E4311

    ③ E4313 ④ E4316

 

[1]. 맞대기 용접이음이나 필릿 용접이음의 각 변형을 교정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가열법은?

    ① 점 가열법 ② 격자 가열법

    ❸ 선상 가열법 ④ 쐐기 모양 가열법

 

[2]. 용접 작업에서 용접 지그를 선택하는 기준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작업 능률이 향상되어야 한다.

    ②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여야 한다.

    ❸ 피용접물과의 고정과 분해가 어려워야 한다.

    ④ 용접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여야 한다.

 

[3]. 접합하려는 두 부재를 겹쳐 놓고 한쪽의 부재에 둥근 구멍을 뚫고 그곳을 용접하는 것은?

    ① 필릿 용접 ❷ 플러그 용접

    ③ 플레어 용접 ④ 변두리 용접

 

[4]. 용접부 결함의 종류 중 구조상의 결함이 아닌 것은?

    ❶ 변형 ② 기공

    ③ 균열 ④ 언더컷

 

[5]. 각 층마다 전체의 길이를 용접하면서 쌓아올리는 용착방법은?

    ① 대칭법 ② 비석법

    ③ 전진법 ❹ 빌드업법

 

[6]. 다음 초음파 탐상법의 종류 중 시험체 내에 초음파 펄스를 보내어 내부 또는 저면에서 생기는 반사파를 탐지하여 내부의 결함을 탐상하는 방법은?

    ① 공진법 ② 투과법

    ❸ 펄스 반사법 ④ 에코 통전법

 

[7]. 용접번형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중 변형을 억제하는 인자에 해당하는 것은?

    ① 용전전류 ② 용접 층수

    ❸ 가용접의 크기와 피치 ④ 용접봉의 종류와 크기

 

[8]. 방사선투과검사에서 투과도계의 역할은?

    ① 결함의 크기를 조정하는 게이지

    ② 명암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게이지

    ③ 필름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게이지

    ❹ 방사선투과 사진상의 질을 평가하기 위한 게이지

 

[9]. 세로 비드 노치 굽힘 시험법으로 용접하지 않은 모재를 시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용접부의 연성이나 균열을 조사하는 시험은?

    ❶ 킨젤 시험 ② 슈나트 시험

    ③ 카안 인열 시험 ④ 샤르피 충격 시험

 

[10]. 용접의 시점과 종점 부분의 용접 결함을 방지하기 위해서 동일한 재질이나 형상의 재료를 붙인 보조판은?

    ① 백킹 ② 와이어

    ❸ 엔드탭 ④ 용접지그

[11]. 아크 용접을 할 때 최초로 아크를 발생시키는 것 또는 모재표면에 순간적으로 아크를 발생시켰다가 끊는 조작으로 생기는 모재 표면상의 결함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아크 쳄버 ② 델라이네이션

    ③ 아크 브레이징 ❹ 아크 스트라이크

 

[12]. 용접부의 잔류응력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① 피닝법 ❷ 고온 응력 완화법

    ③ 저온 응력 완화법 ④ 기계적 응력 완화법

 

[13]. 브리넬 경도 시험에 사용되는 압입자의 지름으로 틀린 것은?

    ① 1mm ② 5mm

    ③ 10mm ❹ 20mm

 

[14]. 모재의 열전도를 억제하여 변형을 방지하는 방법은?

    ① 억제법 ❷ 도열법

    ③ 피닝법 ④ 역변형법

 

[15]. 자분 탐상 검사에서 피검사물의 자화 방법이 아닌 것은?

    ① 코일법 ② 관통법

    ③ 극간법 ❹ 펄스 반사법

 

[16]. 다음 중 용접 후 처리에 있어서 용접변형의 교정방법으로 틀린 것은?

    ① 롤러에 의한 변형교정

    ② 가열 후 해머링 하는 방법

    ③ 절단에 의한 성형과 재용접

    ❹ 박판에 대하여 가열 후 압력을 주어 수냉

 

[17]. 용접부의 결함, 기계부품의 홈 및 구멍과 같은 모양의 변화가 있으면 그 부분에서 국부적으로 응력이 증가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크리프 현상 ② 스캘롭 현상

    ❸ 응력집중 현상 ④ 고온특성 현상

 

[18]. 다음 중 용접 전 작업 준비사항이 아닌 것은?

    ① 도면해독 ❷ 맴돌이 검사

    ③ 용접기 선택 ④ 모재의 재질 확인

 

[19]. 두께가 28mm인 연강판을 0℃ 이하에서 용접할 경우 예열 온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❶ 50~75℃ ② 150~200℃

    ③ 250~450℃ ④ 450~650℃

 

[20]. 용접하지 않은 모재도 시험할 수 있는 방법으로 시험편을 굽혀 용접부의 연성이나 균열을 조사하는 시험법은?

    ❶ 킨젤 시험(kinzel test)

    ② 리하이 시험(lehigh test)

    ③ 천이 시험(transition test)

    ④ CTS 시험(Controlled Thermal Severity test)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3

 

용접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용접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21]. 잔류응력 측정법 중에는 정성적 방법과 정량적 방법이 있는데 정성적 방법에 속하는 것은?

    ① X 선법 ❷ 부식법

    ③ 응력이완법 ④ 광탄성에 의한 빔

 

[22]. 용접 결함의 분류에서 다음 중 구조상의 결함에 속하지 않는 것은?

    ❶ 변형 ② 기공

    ③ 언더컷 ④ 오버랩

 

[23]. 다층 용접의 용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❶ 스킵법 ② 빌드업법

    ③ 전진블록법 ④ 캐스케이드법

 

[24]. 용착금속 깊은 곳의 미세한 결함 검출이 가능하고, 탐상 결과를 즉시 알 수 있는 비파괴 검사방법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① 자분 탐상 검사 ② 침투 탐상 검사

    ❸ 초음파 탐상 검사 ④ 방사선 투과 검사

 

[25]. 열영향부의 균열감수성을 시험하기 위한 방법으로 입열량, 용접재료의 수소량, 응력, 재질의 영향 등을 알아보는 시험법은?

    ❶ Implant 시험법

    ② 가변형속도 균열시험법

    ③ RRC(Rigid Restraint Cracking)시험법

    ④ TRC(Tensile Restraint Cracking)시험법

 

[26]. 맞대기 용접, 필릿 용접 등의 비드 표면과 모재와의 경계부에 발생되는 균열로, 구속응력이 믈 때, 용접부의 가장자리에서 발생하여 성장하는 균열은?

    ❶ 토 균열 ② 설퍼 균열

    ③ 헤어 균열 ④ 크레이터 균열

 

[27]. 용접시공 전 용접준비의 중요한 항목 중 틀린 것은?

    ① 용접사 선임 ② 용접봉의 선택

    ❸ 용접 비드검사 ④ 모재의 재질 확인

 

[28]. 용접 변형 방지법의 졸유 중 용접물을 정반에 고정시키거나 보강제를 이용하여 강제적으로 변형을 억제하는 방법은?

    ① 피닝법 ❷ 구속법

    ③ 냉각법 ④ 역변형법

 

[29]. 다음 중 용접공수에 해당 되지 않은 것은?

    ① 간접공수 ❷ 운반공수

    ③ 가용접공수 ④ 본용접공수

 

[30]. 다음 중 경도 시험 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❶ 크리프 ② 브리넬

    ③ 비커스 ④ 로크웰

[31]. 구조용 강의 용접균열 중 열 영향부에 많이 생가는 균열이 아닌 것은?

    ① 루트 균열 ② 토우 균열

    ③ 비드 밑 균열 ❹ 크레이터 균열

 

[32]. 용접성을 이음성능과 사용성능으로 구분할 때 이음성능에 해당하는 것은?

    ❶ 용접 결함으 정도

    ② 용접변형과 잔류응력

    ③ 모재와 용접금속의 노치인성

    ④ 모재와 용접금속의 기계적 성질

 

[33]. 용접부 검사방버의 분류 중 야금학적 시험법에 포한되지 않는 것은?

    ❶ 형광 시험 ② 파면 시험

    ③ 설퍼 프린트 시험 ④ 현미경 조직 시험

 

[34]. 용접부 시험 중 용접 연성 시험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킨젤 시험 ② 코머렐 시험

    ❸ 슈나트 시험 ④ 오스트리아 시험

 

[35]. 용접 변형 중 면외 변형이 아닌 것은?

    ① 각변형 ❷ 회전변형

    ③ 좌굴변형 ④ 세로굽힘변형

 

[36]. 한 부분의 몇 층을 용접하다가 이것을 다음 부분의 층으로 연속시켜, 전체가 단계를 이루도록 용착시켜 나가는 방법은?

    ① 후진법 ② 스킵법

    ③ 덧살올림법 ❹ 캐스케이드법

 

[37]. 용접부애 발생하는 기공의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용접봉 건조 불량 ② 과대 전류의 사용

    ❸ 적정 용접속도 유지 ④ 용접부의 금속한 응고

 

[38]. 다음 중 감마(γ)선 투과검사에서 사용됮 않는 동위 원소는?

    ❶ 칼슘 28 ② 코발트 60

    ③ 세슘 137 ④ 이리듐 192

 

[39]. 용접변형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중에서 용접변형을 억제하는 인자는?

    ① 용접전류 ② 아크전압

    ③ 용접속도 ❹ 부재의 강성

 

[40]. 다음 중 초음파 탐상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투과법 ② 공진법

    ❸ 극간법 ④ 펄스 반사법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3

 

용접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용접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41]. 다음 중 열전도율이 가장 높은 금속은?

    ❶ CU ② Mg

    ③ Ni ④ Zn

 

[42]. 다음 중 반발높이로 경도 값을 측정하는 경도계는?

    ❶ 쇼어 경도계 ② 브리넬 경도계

    ③ 로크웰 경도계 ④ 비커스 경도계

 

[43]. 가늘고 긴 망치를 이용하여 용접부를 연속으로 타격해줌으로서 표면에 소성 변형을 주어 잔류응력을 완화시키는 방법은?

    ① 풀림 ❷ 피닝

    ③ 노칭 ④ 그라인딩

 

[44]. 용접 후 작업검사와 관련된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변형교정 ② 후열처리방법

    ③ 균열 및 치수 확인 ❹ 용접설비의 용접기기

 

[45]. 다음 중 용접부의 연성 결함을 조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시험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낙하시험 ② 파면시험

    ③ 내압시험 ❹ 굽힘시험

 

[46]. 용접부의 시험 중 용접성 시험법이 아닌 것은?

    ❶ 인장시험 ② 노치취성시험

    ③ 용접연성시험 ④ 용접균열시험

 

[47]. 용접길이를 짧게 나누어 간격을 두면서 용접하는 방법으로 피용접물 전체에 변형이나 잔류응력을 적게 발생하도록 하는 용착방법은?

    ① 전진법 ② 후진법

    ❸ 스킵법 ④ 빌드업법

 

[48]. 용접 후 용접변형을 교정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① 피닝법

    ❷ 역변형법

    ③ 가열 후 해머링하는 방법

    ④ 절단에 의해 성형하고 재용접하는 방법

 

[49]. 용접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❶ 풀림에 의한 변형방지

    ② 구속법에 의한 변형방지

    ③ 냉각법에 의한 변형방지

    ④ 역 변형에 의한 변형방지

 

[50]. 용접 기 잔류응력을 경감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틀린 것은?

    ① 예열을 이용할 것

    ② 적당한 지그를 이용할 것

    ❸ 용착금속의 양을 많게 할 것

    ④ 적당한 용접순서를 정할 것

[51]. 자분 탐상 검사법에서 이용하는 자화방법이 아닌 것은?

    ① 코일법 ② 극간법

    ③ 축통전법 ❹ 투과도계법

 

[52]. 다음 용접 결함 중 구조상 결함에 속하지 않는 결함은?

    ① 기공 ② 언더컷

    ❸ 형상 불량 ④ 용입 불량

 

[53]. 다음 변형 중 면외 변형의 종류가 아닌 것은?

    ❶ 회전 변형 ② 좌굴 변형

    ③ 비틀림 변형 ④ 세로 굽힘 변형

 

[54]. 잔류 응력의 측정법의 분류 중 정성적 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❶ X선법 ② 붓기법

    ③ 자기적 방법 ④ 경도에 의한 방법

 

[55]. 용접이음을 설계 할 때의 주의 사항으로 옳은 것은?

    ① 용접이음을 한쪽으로 집중하게 한다.

    ② 용접선은 될 수 있는 한 교차되게 한다.

    ③ 맞대기 용접은 피하고 필릿 용접을 하도록 한다.

    ❹ 용접 작업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공간을 두어야 한다.

 

[56]. 맞대기 용접이음이나 필릿 용접이음의 각변형을 교정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가열법은?

    ① 점 가열법 ② 격자 가열법

    ❸ 선상 가열법 ④ 쐐기 모양 가열법

 

[57]. 용접성시험 중 용접 연성 시험에 해당하는 것은?

    ① 토퍼 시험 ❷ 킨젤 시험

    ③ 슈나트 시험 ④ 카안 인열 시험

 

[58]. 다음 중 예열의 목적이 아닌 것은?

    ① 경화 조직의 생성 방지를 위해서

    ② 용착금속의 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③ 변형 및 잔류응력의 발생을 적게 하기 위해서

    ❹ 수소의 방출을 방지하고 냉각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서

 

[59]. 접합하는 부재 한 쪽에 구멍을 뚫고 판의 표면까지 가득하게 용접하고 다른 쪽 부재와 접합하는 용접은?

    ① 스킵 용접 ② 필릿 용접

    ③ 맞대기 용접 ❹ 플러그 용접

 

[60]. 브리넬 경도 시험에 사용되는 압입자의 지름으로 틀린 것은?

    ① 1mm ② 5mm

    ③ 10mm ❹ 20mm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3

 

용접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용접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61]. 다음 맞대기 용접 이음홈의 종류 중 가장 얇은 판을 용접할 때 사용하는 것은?

    ❶ I형 ② H형

    ③ U형 ④ X형

 

[62]. 방사선투과사진의 상질을 평가하기 위한 게이지로 사용되는 것은?

    ① 정류계 ② 농도계

    ❸ 투과도계 ④ 스펙드로계

 

[63]. 용접변형의 종류에서 면외 변형의 종류에 속하는 것은?

    ① 가로수축 ② 세로수축

    ❸ 좌굴변형 ④ 회전변형

 

[64]. 용접의 시점과 종점부분의 용접 결함을 방지하기 위해서 동일한 재질이나 형상의 재료를 부착하는 것은?

    ① 백킹 ② 와이어

    ❸ 엔드 탭 ④ 용접지그

 

[65]. 다음 중 용접 잔류응력의 완화 방법이 아닌 것은?

    ❶ 과구속 응력법 ② 응력 제거 풀림

    ③ 저온 응력 완화법 ④ 기계적 응력 완화법

 

[66]. 맞대기 이음에서 인장 응력을 구하는 공식은?

    ① 인장 응력= 판두께×용접선의 길이/인장하중

    ❷ 인장 응력 = 인장하중/판두께×용접선의 길이

    ③ 인장 응력 = 판두께/인장하중×용접선의 길이

    ④ 인장 응력 = 용접선의 길이×인장하중/판두께

 

[67]. 납땜의 용제가 갖추어야 할 조건이 아닌 것은?

    ① 산화를 방지할 것

    ❷ 부식 작용이 높을 것

    ③ 모재와 친화력이 높을 것

    ④ 불순물을 제거하고 유동성이 좋을 것

 

[68]. 필릿 용접 이음부의 루트 부분에 생기는 저온균열로 모재의 열팽창 및 수축에 의한 비틀림을 주원인으로 볼 수 있는 균열은?

    ① 토 균열 ❷ 힐 균열

    ③ 설퍼 균열 ④ 크레이터 균열

 

[69]. 용접성 시험법 중 용접 균열 시험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피스코 균열 시험

    ❷ 샤르피 균열 시험

    ③ 열적 구속도 균열 시험

    ④ 리하이형 구속 균열시험

 

[70]. 자분탐상 검사를 실시하기에 가장 적합한 금속은?

    ① Zn ② Cu

    ❸ Ni ④ Si

[71]. 용접변형의 종류 중에서 면내 변형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회전 변형 ❷ 좌굴 변형

    ③ 회 수축 변형 ④ 종 수축 변형

 

[72]. 첫층에서 루트 근방의 열 영향부에 발생하여 점차 비드 속으로 성장해 들어가는 세로균열의 일종으로 용접부에 함유된 수소량이나 잔류응력 등의 원인으로 발생하는 결함은?

    ① 설퍼 균열 ❷ 루트 균열

    ③ 라멜라티어 ④ 큐레이터 균열

 

[73]. E4316 피복 아크 용접봉의 건조 온도와 건조 시간을 ㄴ타낸 것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80 ~ 120℃, 1시간 정도

    ② 150 ~ 200℃, 2시간 정도

    ❸ 300 ~ 350℃, 1시간 정도

    ④ 400 ~ 480℃, 2시간 정도

 

[74]. 용접을 진행하는 용접부의 부근을 냉각시켜 열영향부의 넓이를 축소시킴으로써 변형을 방지하는 냉각법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살수법 ❷ 비석법

    ③ 석면포 사용법 ④ 수냉 동판 사용법

 

[75]. 다음 중 용접부 표면의 미소한 균열이나 작은 구멍들을 신속하고 쉽게 검출하는 방법으로 철 및 비자성 재료에 많이 이용되는 시험법은?

    ① 누설 검사 ❷ 침투 탐상 검사

    ③ 초음파 탐상 검사 ④ 방사선 투과 검사

 

[76]. 용접이음의 강도와 파괴에서 시간 의존성 파괴가 아닌 것은?

    ① 피로 ② 크리프

    ❸ 취성 파괴 ④ 응력 부식 균열

 

[77]. 용접법 중 압접에 해당하는 것은?

    ❶ 저항용접 ② 피복 아크 용접

    ③ 산소-아세틸렌 용접 ④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

 

[78]. 맞대기 용접에서 용접금속 및 모재의 수축에 대하여 용접 전에 반대방향으로 굽혀 놓고 작업하는 용접 변형 방지 방법은?

    ① 억제법 ② 도열법

    ③ 피닝법 ❹ 역변형법

 

[79]. 다음 용접 홈의 형상 중 가장 얇은 판에 사용되는 것은?

    ❶ I형 홈 ② V형 홈

    ③ X형 홈 ④ U형 홈

 

[80]. 방사선 투과검사에서 방사선원으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① Co 60 ② Cs 137

    ❸ Be 121 ④ Ir 192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3

 

용접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용접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81]. 용착금속 중에 함유된 수소함유량 측정법으로 사용되는 것은?

    ❶ 글리세린 치환법 ② 킨젤 시험법

    ③ 코메럴 시험법 ④ 피크린산 시험법

 

[82]. 용접 이음성능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서 고온의 분위기에서 용접이음이 사용될 경우에 발생되는 현상은?

    ❶ 크리프 현상 ② 스캘롭 현상

    ③ 상온특성 현상 ④ 저온특성 현상

 

[83]. 용접부의 노치 취성 시험이 아닌 것은?

    ① 슈나트 시험 ❷ 코머렐 시험

    ③ 카안 인열 시험 ④ 샤르피 충격 시험

 

[84]. 다음 중 용접변형의 방지법이 아닌 것은?

    ① 억제법 ② 냉각법

    ❸ 가압법 ④ 역변형법

 

[85]. 초음파 탐상법에서 통상적으로 적용하는 주파수 범위로 가장 적합한 것은?

    ❶ 0.5~1.5MHz ② 15~250MHz

    ③ 250~500MHz ④ 500~1000MHz

 

[86]. 맞대기 용접, 필릿 용접 등의 비드 표면과 모체와의 경계부에 발생되는 균열로, 구속 응력이 클 때 용접부의 가장자리에서 발생하여 성장하는 균열은?

    ❶ 토 균열 ② 설퍼 균열

    ③ 헤어 균열 ④ 크레이터 균열

 

[87]. 용접균열시험에 속하지 않는 것은?

    ❶ 킨젤 시험 ② 저온균열 시험

    ③ 재열균열 시험 ④ 라멜라테어 시험

 

[88]. 용접 검사법 중 기계적 시험이 아닌 것은?

    ① 경도 시험 ② 굽힘 시험

    ③ 피로 시험 ❹ 파면 시험

 

[89]. 잔류융력을 경감시키기 위한 용착법은?

    ① 억제법 ❷ 비석법

    ③ 살수법 ④ 역변형법

 

[90]. 연강이라도 기온이 0℃ 이하로 떨어지면 저온균열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약 40~75℃로 용접 이음의 양쪽 폭 몇 mm정도를 예열하는 것이 가장 좋은가?

    ① 30mm ② 50mm

    ❸ 100mm ④ 300mm

[91]. 다음 중 용입량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❶ 용접 기류 ② 용접사 기량

    ③ 용접봉 종류 ④ 모재의 재질

 

[92]. 용접부의 피로 강고 향상법으로 틀린 것은?

    ❶ 용접부의 덧살을 가능한 크게 한다.

    ② 뒷면 용접으로 완전한 용입이 되도록 한다.

    ③ 표면가공에 의하여 급격한 단면의 변화를 피한다.

    ④ 가능한 응력집중부에는 용접 이음부를 두지 않는다.

 

[93]. 다음 중 용입에 영향을 주는 인자가 아닌 것은?

    ❶ 토치의 종류 ② 흠의 각도

    ③ 용접 전류 ④ 운봉속도

 

[94]. 용접전압 20V, 용접전류 120A, 용접속도 60cm/min로 용접할 때 용접 입열량은?

    ① 2000J/cm ② 2200J/cm

    ❸ 2400J/cm ④ 2600J/cm

 

[95]. 용접 시 냉각 속도에 영향을 가장 적게 미치는 것은?

    ① 판 두께 ② 이음 현상

    ③ 예열 온도 ❹ 용접봉 각도

 

[96]. 다음 중 외관검사 방법으로 검사할 없는 것은?

    ① 피트(Pit) ❷ 기공(Porosity)

    ③ 언더컷(Under cut) ④ 오버랩(Over lap)

 

[97]. 용접 변형 방지법의 종류 중 용접물을 정반에 고정시키든지 보강재를 이용하든지 또는 일시적인 보조판을 붙이든지 하여 변형을 방지하면서 용접하는 방법은?

    ① 역변형법 ❷ 억제법

    ③ 교호법 ④ 비석법

 

[98]. 용접결합 중 오버랩의 원인이 아닌 것은?

    ① 부적합한 운봉법 사용 ② 용접 속도가 느릴 때

    ③ 부적합한 용접봉 사용 ❹ 용접 전류가 높을 때

 

[99]. 용접시험 중 유화물의 함유량과 분포상태를 검출하는 시험은?

    ① 부직시험 ② 파면시험

    ❸ 설퍼프린트시험 ④ 화학분석시험

 

[100]. 용접부이 기본 기호에서 Ⅲ의 명칭은?

    ❶ 가장자리 용접 ② 심 용접

    ③ 표면 육성 ④ 겹침 접합부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3

 

용접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용접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101]. 용접결함의 분류 중 구조상의 결함이 아닌 것은?

    ❶ 형상불량 ② 기공

    ③ 슬래그 섞임 ④ 용접균열

 

[102]. 용접봉의 피복제에 규정치 이상의 높은 습기를 가진 용접봉을 건조시키지 않고 그냥 사용했을 때 발생되는 현상이 아닌 것은?

    ❶ 인장강도가 높아진다.

    ② 아크가 불안정하게 된다.

    ③ 스패터가 많아진다.

    ④ 언더비드 균열의 원인이 된다.

 

[103]. 용접부의 검사법 중 비파괴 시험에 해당되는 것은?

    ① 굽힘 시험 ② 피로 시험

    ❸ 침투 시험 ④ 노치 취성 시험

 

[104]. 한 부분의 몇 층을 용접하다가 이것을 다음부분의 층으로 연속시켜 전체가 계단형태의 단계를 이루도록 용착시켜 나가는 용착법은?

    ① 비석법(skip mathod)

    ② 전진블록법(block mathod)

    ❸ 케스케이드법(cascade mathod)

    ④ 대칭법(symmetry mathod)

 

[105]. T이음과 모서리이음 등에서 모재의 비금속 개재물에 의한 원인으로 강의 내부에 강판 표면과 평행하게 층상으로 발생하는 용접결함은?

    ① 라미네이션 크랙(Lamination crack)

    ② 루트 크랙(Root crack)

    ③ 토우 크랙(Toe crack)

    ❹ 라메라 티어(Lamella tear)

 

[106]. 필릿 용접이음부의 루트부분에 생기는 저온균열로 모재의 열팽창 및 수축에 의한 비틀림을 주원인으로 볼 수 있는 균열은?

    ① 힐 균열 ② 루트 균열

    ③ 토 균열 ❹ 비드 밑 균열

 

[107]. 용접부의 기공이 미치는 영향 중 틀린 것은?

    ① 응력집중을 일으킨다.

    ② 인장강도를 저하시킨다.

    ③ 피로강도를 저하시킨다.

    ❹ 굽힘강도를 향상시킨다.

 

[108]. 용접 후 잔류응력의 완화법이 아닌 것은?

    ① 저온응력 완화법 ❷ 용접재의 불림

    ③ 기계적 응력 완화법 ④ 피닝법

 

[109]. 용착금속 깊은 곳의 미세한 결함 검출이 가능하고, 탐상결과를 즉시 알 수 있는 비파괴 시험법으로 적당한 것은?

    ① 초음파 탐상법 ② 방사선 투과시험

    ❸ 액체침투 탐상시험 ④ 자분탐상시험

 

[110]. 용접부의 열응력을 구하려고 할 때 관계가 없는 것은?

    ① 영률(E) ② 온도차(△T)

    ❸ 단면적(A) ④ 선팽창계수(α)

 

[111]. 용접부의 크기나 구속도 및 용접부재의 흡수상태에 따른 용접조건 까지 고려하여 용접부의 균열 발생 가능성을 평가하는 방법은?

    ① 탄소량 ② 탄소 당량

    ❸ 용접균열지수 ④ 용접균열감수성지수

 

[112]. 금속 표면에 소성 변형을 주어 잔류 응력을 완화시키는 방법은?

    ① 품림(annealing) ❷ 피닝(peening)

    ③ 노칭(notching) ④ 그라인딩(grinding)

 

[113]. 다음 중 가장 미세한 누설을 검지할 수 있는 검사는?

    ① 수압 누설검사 ② 공기압 누설검사

    ③ 유압 누성검사 ❹ 헬륨 누설검사

 

[114]. 용접하지 않은 모재도 시험할 수 있는 방법으로 시험편을 굽혀 용접부의 연성이나 균열을 조사하는 시험법은?

    ❶ 킨젤시험(kinZel test)

    ② 리하이시험(lehigh test)

    ③ 천이시험(transition test)

    ④ CTS시험(controlled thermal severity test)

 

[115]. 용접부의 피로 시험에 사용하는 하중이 아닌 것은?

    ❶ 정 하중(Static load)

    ② 단진 하중(Pulsation load)

    ③ 왕복 하중(Repeated load)

    ④ 반보 하중(Reversed load)

 

[116]. 코발트60(Co60)에서 방출되는 것 중 비파괴검사에서 사용되는 것은?

    ① 알파선 ② 점자선

    ③ 베타선 ❹ 감마선

 

[117]. 용접균열의 발생위치에 다른 분류가 아닌 것은?

    ① 용접금속 ② 열영향부

    ❸ 용접변형부 ④ 모재의 원질부

 

[118]. 용접 변형 중 면내에 발생하는 변형이 아닌 것은?

    ① 횡수축 ② 종수축

    ③ 회전변형 ❹ 각변형

 

[119]. 방사선투과검사에서 투과도계의 역할은?

    ❶ 방사선투과 사진 상의 질을 평가하기 위한 게이지

    ② 필름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게이지

    ③ 명암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게이지

    ④ 결함의 크기를 조정하는 게이지

 

[120]. 잔류응력을 경감시키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① 적당한 예열을 한다.

    ② 용착 금속량을 적게 한다.

    ③ 적당한 용접 순서를 선택한다.

    ❹ 용접물을 고정시켜 변형을 방지한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3

 

용접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용접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121]. 용접기호의 표시 방법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홈의 형상 ② 홈의 각도

    ③ 용접선의 길이 ❹ 용접 설계법

 

[122]. 용접성 시험의 종류 중 표준용접성 시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조성 분석 시험 ❷ 용접 작업성 시험

    ③ 용접 균열 시험 ④ 용접 연성 시험

 

[123]. 용접 변형을 억제하는 인자와 관계가 없는 것은?

    ① 구속 지그 적용법

    ❷ 용접기의 정격용량

    ③ 가용접의 크기와 피치

    ④ 부재 치수나 이음의 주변지지 조건

 

[124].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없는 것은?

    ① 잔면 수축률 ② 연신율

    ❸ 충격값 ④ 인장강도

 

[125]. 탄산가스아크 용접 후 열영향부에 대한 샤르피 충격시험을 실시할 경우 충격값이 규정된 값보다 낮게 측정되는 주된 원인은?

    ❶ 용접 입열량의 과대 ② 실드 가스의 불량

    ③ 그루브의 청소불량 ④ 용가재의 부적합

 

[126]. 용접부의 보조기호 표시 중 특별히 다듬질방법을 지정하지 않을 경우 사용하는 것은?

    ① G ② M

    ❸ F ④ C

 

[127]. 용접변형의 종류에서 면외 변형의 종류에 속하는 것은?

    ① 가로수축 ② 세로수축

    ❸ 좌굴변형 ④ 회전변형

 

[128]. 방사선 투과 사진에서 상(傷)의 질을 나타내는 척도로 사용되는 것은?

    ❶ 투과도계 ② 자장계

    ③ 진동계 ④ 전류계

 

[129]. 용접 이음의 피로강도에 가장 적게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① 용접부 재질과 모재 재질의 차

    ② 용접구조상의 응력집중

    ③ 용접결함의 존재

    ❹ 응력제거 풀림

 

[130]. 용접부를 연화하기 위하여 풀림(annealing)하는 경우 재료와 냉각조건이 맞는 것은?

    ① 탄소강-급냉

    ② 마텐자이트 스테인리스강-급냉

    ③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서냉

    ❹ 중 크롬 스테인리스강-급냉

 

[131]. 잔류 응력의 측정법의 분류 중 정성적 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❶ X선법 ② 부식법

    ③ 경도에 의한 방법 ④ 자기적 방법

 

[132]. 용접변형 고정법 중 가열에 의한 소성 변형을 일으키는 방법이 아닌 것은?

    ① 얇은 판에 대한 점 수축법

    ❷ 롤러에 의한 법

    ③ 형재에 대한 직선 수축법

    ④ 후판에 대하여 가열 후 압력을 주어 수냉하는 법

 

[133]. 필릿 용접부의 응력을 계산할 때 목길이가 커질수록 일어나는 현상은?

    ❶ 단위면적당 받는 평균응력의 값이 작아진다.

    ② 단위면적당 받는 평균응력의 값이 커진다.

    ③ 허용응력이 증가한다.

    ④ 평균전단응력이 증가한다.

 

[134]. 고장력강용 피복아크 용접봉에서 일미나트계 용접봉은?

    ❶ E5001 ② E5016

    ③ E5026 ④ E5000

 

[135]. 아래보기자세 및 수평필릿 용접에 사용되고 많은 철분을 함유하고 있어 그래비티 용접(gravity welding)에 주로 사용되는 용접봉은?

    ① E4311 ② E4313

    ③ E4316 ❹ E4327

 

[136]. KS B 080에 금속재료 인장 시험편의 종류 중 4호 시험편의 표점거리는 몇 mm인가?

    ① 60mm ❷ 50mm

    ③ 24mm ④ 12mm

 

[137]. 이음개소가 1개소인 필릿 이음의 강도계산 공식으로 옳은 것은?

    ① 허용응력/목단면적

    ② 목단면적/허용응력

    ③ 파괴하중/목걸이×용접길이

    ❹ 파괴하중/목두께×용접길이

 

[138]. 필릿 용접부의 균열 방지대책이 아닌 것은?

    ① 용접 입열량을 제어한다.

    ② 유황(S)성분이 적은 모재를 사용한다.

    ③ 인(P)성분이 적은 모재를 사용한다.

    ❹ 탄소당량이 높은 모재를 사용한다.

 

[139]. 로크웰 경도에서 시험하중이 150kgf이며, 단단한 재료의 경도 측정에 사용되는 스케일(scale)로 적합한 것은?

    ① A스케일 ② B스케일

    ❸ C스케일 ④ D스케일

 

[140]. 두께가 25mm이상의 연강판을 0℃이하에서 용접할 경우 예열 온도로 옳은 것은?

    ❶ 50 ~ 75℃ ② 150 ~ 200℃

    ③ 250 ~ 450℃ ④ 450 ~ 650℃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3

 

용접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용접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141]. 용접 중에 실시하는 작업 검사가 아닌 것은?

    ① 융합 상태 ② 비드 파형

    ❸ 변형 교정 ④ 크레이터의 처리

 

[142]. 용접성시험 중 노치 취성 시험에 해당하는 것은?

    ❶ 2중 인장 시험

    ② 분할형 원주 홈 시험

    ③ 휘스코(Fisco)균열 시험

    ④ 코머렐 시험(Kommerell test)

 

[143]. 구조용강의 용접균열을 발생장소, 발생방향, 발생온도에 따라 구분할 때 발생온도에 따라 구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고온균열 ② 저온균열

    ③ 재열균열 ❹ 모재균열

 

[144]. 가스 실드 아크 용접 시 실드가스가 부족할 때 가장 많이 발생하는 용접 결함은?

    ❶ 기공 ② 오버랩

    ③ 언더컷 ④ 슬래그 흔입

 

[145]. 비드 밑 균열의 발생과 관계없는 것은?

    ① 수소가 원인이 된다.

    ② 고탄소강 용접 시 발생한다.

    ❸ 연강 용접 시 자주 발생한다.

    ④ 고장력강 용접 시 발생한다.

 

[146]. 세로비드 노치 굽힘 시험법으로 용접하지 않은 모재를 시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용접부의 연성이나 균열을 조사하는 시험은?

    ❶ 킨젤 시험 ② 슈나트 시험

    ③ 카안 인열 시험 ④ 샤르피 충격 시험

 

[147]. 구조물 제작 시 용접 이음형상에 따른 종류가 아닌 것은?

    ❶ 아래보기 이음 ② 모서리 이음

    ③ 겹치기 이음 ④ T자 이음

 

[148]. 접합하려는 두 부재를 겹쳐놓고 한쪽의 부재에 둥근 구멍을 뚫고 그 곳을 용접하는 것은?

    ① 필릿 용접 ② 플레어 용접

    ❸ 플러그 용접 ④ 그루브 용접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3

 

용접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용접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3

 

용접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용접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0]. 용접물을 겹쳐서 용접 팁과 하부 앤빌 사이에 끼워 놓고 압력을 가하면서 원자가 서로 확산되어 압접하는 방식으로, 금속판은 0.01~2mm, 플라스틱은 1~5mm 정도의 얇은 판 용접이 가능한 압접법은?

    ① 마찰 용접 ② 냉간 압접

    ③ 레이저 용접 ❹ 초음파 용접

 

[1]. 탄산가스 아크 용접에서 와이어 송급 시 아크 길이를 자동으로 자기 제어할 수 있는 특성은?

    ① 부특성 ❷ 상승특성

    ③ 수하특성 ④ 전압회복특성

 

[2]. 판 두께 0.8~1.2mm의 연강판을 점(spot)용접 할 경우 최소 피치로 가장 적당한 것은?

    ① 3~7mm ② 8~11mm

    ❸ 12~23mm ④ 24~35mm

 

[3]. 피복 아크 용접 시 용접기의 1차 입력이 25kVA일 때 용접기의 1차 측에 설치할 안전 스위치에 몇 A의 퓨트를 붙이는 것이 가장 적합한가? (단, 이 용접기의 입력 전압은 200V이다.)

    ① 80A ② 100A

    ❸ 125A ④ 150A

 

[4]. 다음 중 기온과 습도의 상승작용에 의하여 느끼는 감각 정도를 측정하는 척도는?

    ① 감각온도 ❷ 불쾌지수

    ③ 상승지수 ④ 선행기온지수

 

[5]. 이산화탄소 아크 용접 시 건강에 가장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은?

    ① 복사에너지에 의한 질식

    ② 탄소의 축적에 의한 질식

    ③ 질소의 축적에 의한 중독 작용

    ❹ 이산화탄소의 축적에 의한 질식

 

[6]. 다음 용접법 중 용착 효율이 가장 낮은 것은?

    ❶ 피복 아크 용접

    ②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

    ③ 불활성 가스 금속 아크 용접

    ④ 불활성 가스 텅스텐 아크 용접

 

[7]. 가스 용접 시 이상 현상으로 역류가 발생했을 때, 방지대책으로 틀린 것은?

    ① 산소를 차단시킨다.

    ② 팁을 깨끗이 청소한다.

    ③ 안전기와 발생기를 차단시킨다.

    ❹ 아세틸가스 분출속도를 높인다.

 

[8]. 가스 실드계의 대표적인 용접봉으로 셀룰로오스(유기물)를 20~30% 정도 포함하고 있는 연강용 피복 아크 용접봉은?

    ① E4301 ❷ E4311

    ③ E4313 ④ E4316

 

[9]. 직류 아크 용접기를 사용하여 용접할 경우 극성을 주의하여야 한다. 이 때 용접봉에는 (-)극을 연결하고, 모재에는 (+)극을 연결하는 것은?

    ① AC ❷ 정극성

    ③ 역극성 ④ DCRP

 

[10]. 용접의 분류에서 융접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스터드 용접 ❷ 프로젝션 용접

    ③ 피복 아크 용접 ④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

[11]. 토치의 팁 대신 안지름 3.2~6mm, 길이 1.5~3m 정도의 강관에 산소를 공급하여 그 강관이 산화 연소할 때의 반응열로 금속을 절단하는 방법으로, 두꺼운 강판의 절단이나 주철, 강괴 등의 절단에 사용되는 절단법은?

    ① 분말 절단 ❷ 산소창 절단

    ③ 가스 가우징 ④ CNC 자동 절단

 

[12]. 피복 아크 용접봉의 피복 배합제 성분 중 탈산제가 아닌 것은?

    ① 규소철 ② 망간철

    ❸ 산화티탄 ④ 알루미늄

 

[13]. 다음 중 구리 합금의 용접에 가장 적합한 용접법은?

    ① 피복 아크 용접         ② 탄산가스 아크 용접

    ③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   ❹ 불활성 가스 아크 용접

 

[14]. 다음 중 탄화불꽃을 이용하여 용접해야 하는 재료로만 짝지어진 것은?

    ① 연강, 청동     ② 모넬메탈, 황동

    ③ 니켈크롬강, 구리 ❹ 스테인리스강, 모넬메탈

 

[15]. 피복 아크 용접봉 중 내균열성이 가장 낮은 용접봉은 어느 계통인가?

    ❶ 티탄계 ② 저수소계

    ③ 일미나이트계 ④ 고셀룰로오스계

 

[16]. 이음 형상에 따른 저항 용접의 분류 중 맞대기 용접에 속하는 것은?

    ① 점 용접 ② 심 용접

    ❸ 플래시 용접 ④ 프로젝션 용접

 

[17]. 아크 용접봉의 피복 배합제 중 아크 안정제가 아닌 것은?

    ① 석회석 ❷ 니크롬선

    ③ 규산칼륨 ④ 산화티탄

 

[18]. 열원으로 사용되는 전극이 아크열에 의해 녹지 않는 비소모식 용접은?

    ① 피복 아크 용접 ② 미그(MIG) 용접

    ❸ 티크(TIG) 용접 ④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

 

[19]. 피복 아크 용접에서 정격 2차 전류 200A의 용접기를 사용하여 전류 150A로 용접할 경우 이 용접기의 허용사용률은 약 몇 %인가? (단, 정격사용률은 50%이다.)

    ① 28 ② 67

    ❸ 89 ④ 133

 

[20]. 상온에서 경계면을 국부적으로 소성 변형시켜 압접하는 방법은?

    ① 마찰 용접(friction welding)

    ② 초음파 용접(ultrasonic welding)

    ❸ 냉간 압접(cold pressure welding)

    ④ 전자빔 용접(electron beam welding)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3

 

용접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용접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21]. 용접부 시험 방법 중 용접성 시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❶ 파면 시험 ② 용접 연성 시험

    ③ 노치 취성 시험 ④ 용접 경화성 시험

 

[22]. MIG 용접으로 알루미늄을 용접할 경우 어떤 가스를 사용해야 하는가?

    ① CO₂ ❷ Ar+He

    ③ Ar+O₂ ④ Ar+N

 

[23]. 아세틸렌 용기에 사용하는 다공 물질이 구비해야 할 조건으로 틀린 것은?

    ① 강도와 안전성이 있을 것

    ② 아세톤이 골고루 침윤될 것

    ❸ 가스충전과 방출이 어려울 것

    ④ 화학적으로 안정되고 값이 저렴하며 다공성일 것

 

[24]. 직류 아크 용접기 중 정류기형 용접기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소음이 거의 나지 않는다.

    ② 보수, 점검이 비교적 간단하다.

    ❸ 사용이나 취급이 복잡하고 가격이 비싸다.

    ④ 교류를 정류하므로 완전한 직류를 얻지 못한다.

 

[25]. 아크용접기 특성 중 부하 전류가 증가할 때 단자 전압이 약간 높아지는 특성은?

    ❶ 상승 특성 ② 수하 특성

    ③ 정전류 특성 ④ 정전압 특성

 

[26]. 화재 발생의 구성요소 3가지는?

    ① 점화원, 탄소, 가연성 물질

    ② 인화점, 산소, 가연성 물질

    ③ 발화점, 질소, 가연성 물질

    ❹ 점화원, 산소, 가연성 물질

 

[27]. 정류기형 직류 아크용접기의 특성으로 틀린 것은?

    ❶ 완전한 직류를 얻을 수 있다.

    ② 소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③ 빌전형에 비하여 고장이 적다.

    ④ 취급이 간단하고 가격이 저렴하다.

 

[28]. 가스용접 시 압력조정기의 구비조건 중 틀린 것은?

    ① 사용 시 빙결하지 않을 것

    ② 동작이 예민하고 확실 할 것

    ❸ 조정압력과 사용압역의 차이가 클 것

    ④ 조정압력은 항상 일정한 압력을 유지할 것

 

[29]. 다음 용접법 중 금속 및 화합물의 미분말을 가열하여 반응융 상태로 분출시켜 밀착 피복하는 것은?

    ❶ 용사 ② 전자빔 용접

    ③ 스터드 용접 ④ 테르밋 용접

 

[30]. 아크의 특성 중 전류가 커지면 저항이 작아져서 전압도 낮아지는 특성은?

    ① 상승 특성 ② 수하 특성

    ③ 정전압 특성 ❹ 부저항 특성

[31]. 용접전류에 의해 아크 주위에 발생하는 자장이 용접봉에 대해서 비대칭으로 나타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❶ 아크쏠림 ② 핀치효과

    ③ 청정작용 ④ 단락이행

 

[32]. 염화암모늄과 섞어 사용하는 것으로 흡수성과 내식성이 강하며, 특수한 처리를 하면 스테인리스 납땜에도 사용할 수 있는 연납용용제는?

    ① 인산 ② 알칼리

    ③ 목재수지 ❹ 염화아연

 

[33]. 기체를 가열하여 온도가 상승되면 기체 원자의 운동이 활발하게 되어 기에 원자가 원자핵과 전자로 분리되어 (+), (-)의 이온상태로 된다. 이를 이용한 절단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분말 절단 ② 산소창 절단

    ❸ 플라스마 절단 ④ 워터제트 절단

 

[34]. 내식성이 필요한 곳이나 내압 용기 제작 등에 사용하는 용접으로 용접부에 산소나 질소 증이 침투하지 않고 흠이 없는 치밀하고 연성이 풍부하며 표면아 깨끗한 융착금속을 얻을 수 있는 용접은?

    ① 논가스 아크 용접 ❷ 원자 수소 아크 용접

    ③ 플라스마 제트 용접 ④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

 

[35]. 다음 중 저항 용접법이 아닌 것은?

    ① 업셋 용접 ② 퍼커션 용접

    ③ 플래시 용접 ❹ 원자 수소 용접

 

[36]. 다음 저항 용접 중 맞대기 용접에 속하는 것은?

    ① 심 용접 ② 스폿 용접

    ❸ 플래시 용접 ④ 프로젝션 용접

 

[37]. 동자기구가 수직면 또는 수평면 내에서 선회하며 회전영역이 넓고 팔이 기울여져 상하로 움직이므로 대상물의 손끝 자세를 맟추기 쉬워 스폿 용접용 로봇에 많이 사용되는 로봇은?

    ❶ 극 좌표 로봇 ② 직각 좌표 로봇

    ③ 원통 좌표 로봇 ④ 관절 좌표 로봇

 

[38]. 피복 아크 용접에서 일반적으로 모재에 흡수되는 열량은 입열의 보통 몇 % 정도인가?

    ① 25~45 ② 50~70

    ❸ 75~85 ④ 90~100

 

[39]. 150A 이상 300A 미만의 아크 용접 및 절단 등에 쓰이는 적당한 차광유리의 차광도 번호는?

    ① 6~7 ② 8~9

    ❸ 10~12 ④ 14 이상

 

[40]. 다음 중 탄산가스 아크 용접에서 스패터가 많이 발생하는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자기쏠림 ② 용접 조건의 부적합

    ❸ 교류 리액터 탭 불량 ④ 1차 압력 접압 불균형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3

 

용접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용접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41]. 용접기의 네임플레이트(name plate)에 사용률이 40%로 되어 있다면, 용접 작업시간을 1일 8시간 기준하여 아크 발생시간은 얼마 정도인가?

    ① 120분 ❷ 192분

    ③ 320분 ④ 480분

 

[42]. 가스 및 아크 절단의 분류 중 아크 절단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티그 절단 ❷ 분말 절단

    ③ 미그 절단 ④ 플라스마 제트 절단

 

[43]. 연강용 피복 아크 용접봉에 주로 사용되는 심선 재료는?

    ① 저탄소 킬드강 ❷ 저탄소 림드강

    ③ 고탄소 킬드강 ④ 중탄소 세미킬드강

 

[44]. 연강용 피복아크 용접봉 중 내균열성이 가장 우수한 것은?

    ① E4303 ② E4311

    ❸ E4316 ④ E4327

 

[45]. 점용접(spot welding)에서 앵글재와 같이 용접위치가 나쁠 때 사용하는 가장 적합한 전극팁은?

    ① F형 팁(flat type)

    ② R형 팁(radius type)

    ③ P형 팁(pointed type)

    ❹ E형 팁(eccentric type)

 

[46]. 용접에서 피복제의 역할이 아닌 것은?

    ❶ 전기절연을 방지한다.

    ② 산화, 질화를 방지한다.

    ③ 아크의 안정성을 좋게 한다.

    ④ 용착금속의 기계적 성질을 좋게 한다.

 

[47]. 대형 파이프의 원주용접을 연속적으로 아래보기 자세로 용접하기 위해 모재의 외경을 지지하면서 회전시키는 자동용접 기구는?

    ① 스트롱 백 ❷ 터닝 롤러

    ③ 바이스 지그 ④ 플레이트 지그

 

[48]. 용접용 홀더 중 안전 홀더로 작업 시 전격의 위험이 적어 주로 사용하는 것은?

    ❶ A형 홀더 ② B형 홀더

    ③ C형 홀더 ④ D형 홀더

 

[49]. 연강이나 저합금강을 용접한 후 잔류응력제거를 위한 열처리를 하게 된다. 다음 중 노내 풀림 열처리의 최적온도 범위는?

    ① 약 200 ~ 250℃ 정도 ② 약 350 ~ 450℃ 정도

    ❸ 약 550 ~ 650℃ 정도 ④ 약 800 ~ 850℃ 정도

 

[50]. TIG 용접 시 산하 방지를 위한 뒷받침(backing)이 아닌 것은?

    ① 용제 뒷받침(flux backing)

    ② 금속 뒷받침(metal backing)

    ③ 불활성 가스 뒷받침(inert gas backing)

    ❹ 컴퍼지션 뒷받침(composition backing)

[51]. 아크용접에서 직류정극성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① 비드 폭이 좁다.

    ② 모재의 용입이 깊다.

    ③ 용접봉의 녹음이 느리다.

    ❹ 박판, 주철, 비철금속의 용접에 주로 사용된다.

 

[52]. 다음 중 알루미늄이 용접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표면이 산화되지 않는다.

    ② 가열하면 색깔이 갈색으로 변한다.

    ③ 모재표면의 산화가 발생되지 않는다.

    ❹ 가열되면 모재가 약해지고 부서지기 쉽다.

 

[53]. 18 -8형 스테인리스강의 납땜 시 모재의 적정 가열온도 범위로 가장 적당한 것은?

    ❶ 500~700℃ ② 1000~1300℃

    ③ 1360~1500℃ ④ 1500℃ 이상

 

[54]. 용접용 재료가 갖추어야 할 특성으로 틀린 것은?

    ① 양호한 아크를 제공해야 한다.

    ❷ 용접 금속을 분리할 수 있어야 한다.

    ③ 용착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어야 한다.

    ④ 점성, 용융온도 등 물리적 성질이 적합해야 한다.

 

[55]. 정격 2차 전류 300A, 정격 사용률 40%, 정격부하 전압강하 35V, 최고 2차 무부하 전압 85V의 용접기를 사용하여 200A로 용접하는 경우 허용사용률은?

    ① 60% ② 70%

    ③ 80% ❹ 90%

 

[56]. 화재의 종ㅇ류 중 종이, 목재, 석탄 등이 연소 후에 재를 남기는 일반화재를 나타내는 것은?

    ❶ A급 화재 ② B급 화재

    ③ C급 화재 ④ D급 화재

 

[57]. 침몰선의 해체나 교량의 개조, 항만의 방파제 공사 등에 사용되며 주로 수소가스를 사용하는 절단은?

    ① 용제 절단 ❷ 수중 절단

    ③ 탄소아크 절단 ④ 아크에어 가우징

 

[58]. 용접기의 무부하 전압을 20~30V 이하로 유지하여 용접사를 감전으로부터 보호하는 장치는?

    ① 핫 스타트 장치 ❷ 전격 방지 장치

    ③ 원격 제어 장치 ④ 고주파 발생 장치

 

[59]. 용접물을 겹쳐서 용접 팁과 하부 사이에 끼워놓고 압력을 가하면서 원자가 서로 확산되어 압접하는 방식으로 금속판은 0.01~2mm, 플라스틱은 1~5mm 나 필름의 용접도 가능한 압접법은?

    ① 마찰 용접 ② 냉간 압접

    ③ 레이저 용접 ❹ 초음파 용접

 

[60]. 레일의 접합, 차축, 선박의 프레임 등을 용접하는데 사용되며, 금속산화물이 알루미늄에 의하여 산소를 빼앗기는 반응을 이용한 용접은?

    ❶ 테르밋 용접

    ② 레이저 용접

    ③ 플라스마 아크 용접

    ④ 불활성가스 금속 아크 용접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3

 

용접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용접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61]. 일반적인 용접의 단점이 아닌 것은?

    ❶ 작업공정이 단축된다.

    ② 품질검사가 곤란하다.

    ③ 잔류응력이 발생한다.

    ④ 저온취성이 생길 우려가 있다.

 

[62]. 다음 중 일렉트로 가스 아크 용접에 사용되는 보호가스로 가장 적당한 것은?

    ① 헬륨 가스 ② 질소 가스

    ③ 아르곤 가스 ❹ 이산화탄소 가스

 

[63]. 선창이나 교각 등 밀폐된 장소에서 절단작업을 할 때 아세틸렌 가스나 에틸렌 가스를 사용하는 주된 이유는?

    ① 절단 개시시간이 길기 땜누에

    ② 불꽃의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③ 공기보다 비중이 높기 때문에

    ❹ 공기보다 비중이 낮기 때문에

 

[64]. 용접 결함 중 용접사에 의해 발생하는 결함이 아닌 것은?

    ① 언더컷 ② 용입불량

    ❸ 라미네이션 ④ 크레이터 군열

 

[65]. 피복 아크 용접에서 아크 쏠림의 방지 대책으로 틀린 것은?

    ① 짧은 아크를 사용한다.

    ② 접지점을 용접부에서 멀리한다.

    ③ 용접부가 긴 경우 후퇴 용접법으로 한다.

    ❹ 용접봉 끝을 아크 쏠림 방향으로 기울인다.

 

[66]. 스터드 용접에 이용되는 페롤의 역할로 틀린 것은?

    ① 용착부의 오염을 방지한다.

    ② 용융금속의 산화를 방지한다.

    ❸ 용융금속의 유출을 원활하게 한다.

    ④ 용접이 진행되는 동안 아크열을 집중시켜준다.

 

[67]. 넌가스 아크 용접(Non gas arc welding)시 일반적인 와이어의 돌출길이로 가장 적당한 것은?

    ❶ 약 40~50mm 정도 ② 약 70~80mm 정도

    ③ 약 90~100mm 정도 ④ 약 110~120mm 정도

 

[68]. 다음 가스용접용 연료가스 중 산소와 화합할 때 불꽃 온도가 가장 높은 것은?

    ① H₂ ② CH₄

    ❸ C₂H₂ ④ C₃H₃

 

[69]. 일반적인 용접기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① 아크가 안정되어야 한다.

    ② 구조 및 취급이 간단해야 한다.

    ③ 사용 유지비가 적게 들어야 한다.

    ❹ 사용 중에 온도 상승이 커야 한다.

 

[70]. 다음 중 용접기호와 자세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① H : 수직 자세 ② O : 수평 자세

    ③ V : 위보기 자세 ❹ F : 아래보기 자세

[71]. 가스용접에서 팁 끝이 순간적으로 막히면 가스의 분출이 나빠지고 토치의 가스 혼합실까지 불꽃이 그대로 도달되어 토치가 빨갛게 달구어지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❶ 인화 ② 역화

    ③ 진화 ④ 역류

 

[72]. 원판상의 롤러 전극 사이에 용접할 2장의 판을 두고 가압 통전하여 전극을 회전시키면서 연속적으로 점 용접을 반복하는 용접은?

    ❶ 심 용접 ② 업셋 용접

    ③ 퍼커션용접 ④ 프로젝션 용접

 

[73]. 안전ㆍ보건표지의 색체에서 지시표지에 사용되는 색은?

    ① 노란색 ❷ 파란색

    ③ 검정색 ④ 빨간색

 

[74]. 용접 균열 시험에서 고온균열을 측정하기 위한 균열 시험법은?

    ① 킨젤 시험 ② 코머렐 시험

    ③ 리하이 시험 ❹ 피스코 균열 시험

 

[75]. 다음 가연성 가스 중 공기보다 무거운 가스는?

    ① 수소 ② 메탄

    ❸ 프로판 ④ 아세틸렌

 

[76]. 동(Cu)용접이 철강용접에 비해 어려운 이유로 틀린 것은?

    ① 용접부에 기공이 쉽게 발생한다.

    ❷ 열전도율이 높고 냉각속도가 작다.

    ③ 산화동을 포함하면 균열이 생긴다.

    ④ 산화동을 포함하면 융점이 낮아진다.

 

[77]. 용접작업 중 흄(fume) 가스 중독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틀린 것은?

    ① 흄 전동 회수장치를 설치한다.

    ② 작업장 내 환기장치를 한다.

    ③ 실외 용접작업 시 바람을 등지고 작업한다.

    ❹ 환기가 되면 방독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아도 된다.

 

[78]. 피복 아크 용접에서 직류 정극성(DCSP)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양극에서 발열이 크다.

    ② 모재 쪽에 양극(+)을 연결한다.

    ③ 모재의 용입이 역극성에 비해 깊다.

    ❹ 용접봉의 녹음이 역극성에 비해 빠르다.

 

[79]. 다음 중 플라즈마 아크의 종류가 아닌 것은?

    ❶ 용적시 아크 ② 이행형 아크

    ③ 중간형 아크 ④ 비이행형 아크

 

[80]. 피복 아크용접보다 강한 전류를 사용하여, 연강, 특수강 및 일부비철금속 등의 두꺼운 판도 단층으로 용접할 수 있는 것은? (단, 용제와 와이어가 분리 공급되고, 아크는 용제 속에서 발생)

    ① TIG용접 ② MIG용접

    ③ 탄산가스아크 용접 ❹ 서브머지드아크 용접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3

 

용접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용접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81]. 용접작업 중 환기장치의 필요성이 가장 낮은 것은?

    ① 아연도금 재료의 용접

    ❷ 교량공사의 구조물 용접

    ③ 불화물 용제를 사용한 용접

    ④ 밀폐된 용기 내의 보수용접

 

[82]. 피복 아크 용접에서 용착금속을 보호하는 방식이 아닌 것은?

    ① gas shield type ② slag shield type

    ❸ spatter shield type ④ semi shield type

 

[83]. 가스용접에서 사용되는 아세틸렌가스의 폭발을 일으키는 물질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구리 ② 압력

    ③ 산소 ❹ 아세톤

 

[84]. 이음 현상에 따른 저항용접의 분류 중 겹치기 이음이 아닌 것은?

    ① spot 용접 ② seam 용접

    ③ projection 용접 ❹ percussion 용접

 

[85]. 교류 아크 용접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❶ 정류기형 ② 탭 전환형

    ③ 가동 코일형 ④ 가포화 리액터형

 

[86]. 다음 중 염기도가 가장 높은 용접봉은?

    ① 티탄계 ❷ 저수조계

    ③ 고산화티탄계 ④ 고셀룰로스계

 

[87]. 피복아크용접에서 용접전류가 75A이고 용접봉의 지름이 2mm일 때 가장 적당한 차광 유리 번호는?

    ① 2~3번 ❷ 8~9번

    ③ 12~13번 ④ 14~15번

 

[88]. 아크 용접의 준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Stud Welding

    ❷ Projection Welding

    ③ Submerged arc Welding

    ④ Shielded metal arc Welding

 

[89]. 가스용접에서 알루미늄 용접 시 용제 구성으로 틀린 것은?

    ❶ 염산칼륨 3% ② 염화칼륨 45%

    ③ 염화리튬 15% ④ 염화나트륨 30%

 

[90]. 팁 끝이 모재에 닿아 순간적으로 팁 끝이 막히거나 팁의 과열, 사용 가스의 압력이 부적장할 때, 팁 속에서 폭발음이 나며 불꽃이 꺼졌다가 다시 나타나는 현상은?

    ① 역류(contra flow) ❷ 역화(back fire)

    ③ 인화(flash back) ④ 점화(ignite)

[91]. 연강용 가스용접봉의 성분 중 강의 강도를 증가시키거나 연신율, 굽힘성 등은 감소시키는 원소는?

    ① P ② S

    ③ Si ❹ C

 

[92]. 24V 전압, 200A 전류에서 6cm/min의 용접속도로 용접하였을 경우의 용접 입열량을 계산하면 몇 J/cm 인가?

    ① 29000 ② 32000

    ❸ 48000 ④ 58000

 

[93]. 연강용 피복아크 용접봉 중 E4324의 피복제 계통은?

    ① 특수계 ② 철분저수소계

    ❸ 철분산화티탄계 ④ 고셀룰로오스계

 

[94]. 모재와 전국 사이에 아크령릉 이용하는 방법으로 용접작업에서의 주된 에너지원은?

    ❶ 전기 에너지 ② 가스 에너지

    ③ 기계적 에너지 ④ 전자파 에너지

 

[95]. 저수소계 용접봉을 사용하기 위해 용접봉 건조로를 이용하여 건조를 하려고 한다. 건조 온도는 몇 ℃ 정도로 하는 것이 가장 적당한가?

    ① 70℃ 미만 ② 70~100℃

    ③ 11~150℃ ❹ 300~350℃

 

[96]. 불활성 가스 아크 용접(inert gas arc Welding)에 사용하는 가스는?

    ❶ 아르곤, 헬륨 ② 산소, CO₂

    ③ 질소, 네온 ④ 산소, 질소

 

[97]. 액체산소 1ℓ를 기화하면 몇 ℓ\의 기체로 되는가?

    ① 314 ② 380

    ③ 720 ❹ 900

 

[98]. 내균열성이 가장 우수한 피복아크 용접봉은?

    ❶ E 4301 ② E 4303

    ③ E 4311 ④ E 4327

 

[99]. 전기 저항 용접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점 용접 ② 심 용접

    ③ 플래시 용접 ❹ 전자빔 용접

 

[100]. 산화철 분말과 알루미늄 분말을 혼합하여 발생하는 반응열을 이용한 용접법은?

    ① 고상 용접 ❷ 테르밋 용접

    ③ 플라즈마 아크 용접 ④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3

 

용접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용접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101]. 아크 열에 의한 모재의 용입에서 용융지의 깊이 (penetration)에 영향을 주는 인자가 아닌 것은?

    ① 극성

    ② 전류량

    ❸ 용착금속의 양

    ④ 용접봉의 지름과 운봉속도

 

[102]. 용융금속의 이행과정에서 용착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가 아닌 것은?

    ❶ 단락특성

    ② 용접금속의 표면장력

    ③ 핀치효과(pinch effect)

    ④ 자기불림(magnetic blow)

 

[103]. 피복 아크용접에서 피보게의 역할이 아닌 것은?

    ① 요악금속의 보호

    ❷ 용착금속에 수소의 공급

    ③ 용착금속의 탈산정련작용

    ④ 용이한 아크의 발생과 아크의 안전

 

[104]. 용접부의 검사법 중 용접성 시험에 해당되는 것은?

    ① 피로시험 ② 부식시험

    ③ 파면시험 ❹ 노치 취성 시험

 

[105]. 피복아크 용접에서 아크 쏠림의 방지책이 아닌 것은?

    ① 아크 길이를 짧게 한다.

    ② 접지점 2개를 연결한다.

    ❸ 정극성 역극성으로 한다.

    ④ 용접봉 끝을 아크 솔림 반대 방향으로 기울인다.

 

[106]. 아크의 열적 핀치효과를 이용한 용접법은?

    ① 불활성가스 아크 용접 ② 전자 빔 용접

    ③ 레이저 용접 ❹ 플라즈마 아크 용접

 

[107]. 아크 용접기의 감전방지 를 위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헬멧 ② 리밋 스위치

    ③ 2차 권선장치 ❹ 전격 방지 장치

 

[108]. 피복 아크 용접봉의 심선과 편심률로 옳은 것은?

    ① 고탄소림드강, 3%이내 ❷ 저탄소림드강, 3%이내

    ③ 고탄소림드강, 5%이내 ④ 저탄소림드강, 5%이내

 

[109]. 높은 진공 속에서 용접을 진행하므로 대기와 반응하기 쉬운 재료도 용접이 가능한 것은?

    ① 초음파 용접 ❷ 전자빔 용접

    ③ 레이져 용접 ④ 플라즈마 용접

 

[110]. 로울러 전극 사이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강관과 같은 파이프 제조에 쓰이는 용접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❶ 맞대기 시임(butt seam)용접법

    ② 매시 시임(mash seam)용접법

    ③ 플래시(flash)용접법

    ④ 돌기(projection)용접법

 

[111]. 피복 아크 용접에서 용접부에 기공(Blow hole)이 생기는 원인이 아닌 것은?

    ① 아크에 수소 또는 일산화탄소가 너무 많을 때

    ② 용착부가 급냉 될 때

    ③ 용접봉에 습기가 많을 때

    ❹ 모재에 황의 함유량이 적을 때

 

[112]. 마찰용접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① 이종금속의 접합이 가능하다.

    ② 작업능률이 높으며 변형의 발생이 적다.

    ❸ 피용접물의 형상, 모양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④ 치수의 정밀도가 높고, 재료가 절약된다.

 

[113]. 다음 중 용접봉의 저장 및 취금시의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❶ 저수소계 용접봉은 건조를 하지 않는다.

    ② 용접봉은 충분히 건조된 장소에 보관한다.

    ③ 수분을 흡수한 용접봉은 건조하여 재사용한다.

    ④ 용접봉 취급시 피복제가 벗겨지지 않도록 한다.

 

[114]. 직류 아크용접기를 사용하여 용접할 경우는 극성을 주의하여야 한다. 이때 용접봉에는 (-)극을 연결하고 모재에는 (+)극을 연결하는 것은?

    ❶ 정극성 ② 역극성

    ③ DCEP ④ DCRP

 

[115]. 알루미늄 합금을 전기저항 용접할 때에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가?

    ❶ 강보다 용접전류를 크게 하고 통전시간을 짧게 한다.

    ② 강보다 용접전류를 크게 하고 통전시간을 길게 한다.

    ③ 강보다 용접전류를 작게 하고 통전시간을 짧게 한다.

    ④ 강보다 용접전류를 작게 하고 통전시간을 길게 한다.

 

[116]. 황이 층상으로 존재하는 강을 서브머지드 아크용접할 때 일어나며, 고온균열의 일종에 속하는 것은?

    ❶ 설퍼 균열 ② 라미네이션 균열

    ③ 매크로 균열 ④ 비드 밑 균열

 

[117]. 산소 용기의 취급상 주의사항으로 옳은 것은?

    ① 통풍이 잘되고 직사광선이 잘드는 곳에 보관한다.

    ② 가연성 물질과 함께 보관한다.

    ③ 안전을 위해 용기는 눕혀서 보관한다.

    ❹ 기름이 묻은 손이나 장갑을 끼고 취급하지 않는다.

 

[118]. 연강 용접시 일반적으로 예열이 필요한 판두께는 몇 mm 이상인가?

    ① 5mm 이상 ② 15mm 이상

    ❸ 25mm 이상 ④ 35mm 이상

 

[119]. 표피, 진피, 하피까지 영향을 미쳐서 피부가 검게 되거나 반투명 백색이 되고, 피부조직과 구조가 파괴되기 때문에 치료기간이 오래 걸리는 화상은?

    ① 제 1도 화상 ② 제 2도 화상

    ❸ 제 3도 화상 ④ 제 4도 화상

 

[120].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① 용입이 얕다.

    ❷ 적용재료의 제약을 받는다.

    ③ 비드 외관이 거칠다.

    ④ 용착속도가 느리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3

 

용접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용접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121]. MIG 용접으로 알루미늄을 용접 할 경우 어떤 가스를 사용해야 하는가?

    ① CO₂ ❷ Ar+He

    ③ Ar+O₂ ④ Ar+N

 

[122]. 후열의 목적이 아닌 것은?

    ❶ 슬래그 생성방지 ② 기계적 성질의 향상

    ③ 잔류응력의 완화 ④ 균열의 방지

 

[123]. 가스절단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팁의 종류에는 동심형과 이심형이 있다.

    ② 모재온도가 높을수록 고속절단이 가능하다.

    ③ 아세틸렌가스의 순도에 영향이 적다.

    ❹ 산소의 순도(99%)가 높으면 절단속도가 느리다.

 

[124]. 산소 - 아세틸렌 가스불꽃의 최고온도(℃)범위로 가장 적당한 것은?

    ① 2000~2500℃ ❷ 3000~3500℃

    ③ 4000~4500℃ ④ 5000~5500℃

 

[125]. 다음 중 용착효율이 가장 높은 용접법은?

    ❶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 ② FCAW 용접

    ③ TIG 용접 ④ 피복 아크 용접

 

[126]. 아크 절단법에 속하지 않은 것은?

    ① 플라스마 제트 절단 ② 금속아크절단

    ③ 아크에어가우징 ❹ 수중절단

 

[127]. 용접에서 역률(power factor)을 구하는 식은?

    ① 역률(%)=[개회로 전압(V)/아크 전압(V)]×100

    ② 역률(%)=[아크 발생시간(min)/작업시간(min)]×100

    ❸ 역률(%)=[소비전력(kW)/전원입력(kVA)]×100

    ④ 역률(%)=[정격아크 전류(A)/실제 아크 전류(A)]×100

 

[128]. 산소와 아세틸렌을 다량으로 사용할 때 매니폴드(Manifold) 장치를 성치하는데 있어서의 고려사항이 아닌 것은?

    ① 용기의 교환주기

    ② 순간 최대 사용량

    ③ 필요한 산소병의 수

    ❹ 산소-아세틸렌의 혼합비

 

[129]. 아크용접에서 위빌비드(weaviong bead)의 위빙 촉은 용접봉 지금의 몇 재로 하는 것이 좋은가?

    ❶ 2~3배 ② 4~5배

    ③ 6~7배 ④ 8~9배

 

[130]. 납땜 작업시 사용하는 용제(flux)가 갖추어야 할 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❶ 용제의 유효온도 범위가 납땜온도 보다 낮을 것

    ② 납땜 후 슬래그의 제거가 용이할 것

    ③ 모재나 땜납에 의한 부식 작용이 최소한 일 것

    ④ 청정한 금속면의 산화를 방지할 것

 

[131]. 용접 중 용착금속의 용입 부족 현상 방지 대책으로 옳은 것은?

    ① 용접속도를 빨리한다. ❷ 개선각도를 크게 한다.

    ③ 아크길이를 길게 한다. ④ 루트 간격을 좁힌다.

 

[132]. 전원이 없는 야외에서 차축이나 레일의 접합을 위해 사용하는 용접법은?

    ❶ 테르밋용접 ② 일랙트로 슬래그 용접

    ③ 가스압접법 ④ 업셋 용접

 

[133]. 플라스마 아크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이행형 아크 ❷ 단락형 아크

    ③ 비이행형 아크 ④ 중간형 아크

 

[134]. 가스용접 작업 중 점화 시에 폭음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아닌 것은?

    ❶ 아세틸렌의 순도가 높다.

    ② 혼합가스의 배출이 불완전하다.

    ③ 산소와 아세틸렌 압력이 부족하다.

    ④ 가스 분출 속도가 부족하다.

 

[135]. 구리 합금의 용접에 가장 적합한 것은?

    ① 피복 금속 아크 용접

    ②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

    ③ 탄산가스 아크 용접

    ❹ 불활성 가스 아크 용접

 

[136]. 250A 이상 300A 미만의 아크용접을 하려고 한다. 차광유리의 선택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5~6번 ② 8~9번

    ❸ 11~12번 ④ 14~15번

 

[137]. 테르밋 용접법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① 용접하는 시간이 비교적 짧다.

    ② 용접작업후 변형이 적다.

    ❸ 이동을 할 수 없고 전기가 필요하다.

    ④ 용접용 기구가 간단하고 설비비가 싸다.

 

[138]. 전자빔 용접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정밀용접을 할 수 있다.

    ② 깊은 용입을 얻을 수 있다.

    ❸ 대기압 하에서 용접할 수 있다.

    ④ 고융점 재료의 용접도 가능하다.

 

[139]. 가스용접용 연료가스 중 산소와 화합할 때 불꽃 온도(℃)가 가장 높은 것은?

    ① H₂ ② CH₄

    ③ C₃H₃ ❹ C₂H₂

 

[140]. 용접법과 전원 특성과의 관계가 잘못 연결된 것은?

    ❶ CO₂ 용접 - 정전류특성

    ② TIG 용접 - 수하특성

    ③ MOG 용접 - 정전압특성

    ④ 피복 아크 용접 - 수하특성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3

 

용접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용접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141]. 아크 용접 피복제의 역할이 아닌 것은?

    ① 스패터 발생을 적게 한다.

    ❷ 용착금속의 급량을 촉진한다.

    ③ 슬래그 제거를 쉽게 한다.

    ④ 용착금속에 필요한 합금원소를 첨가시킨다.

 

[142]. 탄산가스 아크 용접봉의 심선에 첨가되는 탈산제는?

    ① CaF₂ ❷ Mn

    ③ CaO ④ H₂

 

[143]. 일반적으로 산소-아세틸렌을 사용하여 연강판을 용접할 때 가장 적합한 불꽃은?

    ① 탄화 불꽃 ❷ 중성 불꽃

    ③ 산화 불꽃 ④ 모두 사용

 

[144]. 탄산가스 아크 용접에서 와이어 송급 시 아크 길이를 자동으로 자기 제어할 수 있는 특성은?

    ① 부특성 ❷ 상승특성

    ③ 수하특성 ④ 전압회복특성

 

[145]. 직류 용접기에 고주파 발생장치를 병용했을 때의 사항으로 옳은 것은?

    ① 아크 손실이 크다. ② 무부하 전압이 크다.

    ③ 전격위험이 크다. ❹ 아크 발생이 쉽다.

 

[146]. 밀폐된 탱크 안의 용접작업 시 안전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방진 또는 방독 마스크를 착용한다.

    ② 국소 배기 장치를 설치한다.

    ❸ 고압 산소로 청소한다.

    ④ 감전에 주의한다.

 

[147]. 화재 발생의 구성요소 3가지는?

    ① 점화원, 탄소, 가연성 물질

    ② 인화점, 산소, 가연성 물질

    ③ 발화점, 질소, 가연성 물질

    ❹ 점화원, 산소, 가연성 물질

 

[148]. 일렉크로 슬래그 용접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용접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능률적이고 경제적이다.

    ② 용접 홈의 가공 준비가 간단하고 각 변형이 적다.

    ❸ 용융금속의 용착량은 90%가 된다.

    ④ 스패터가 발생하지 않고 조용하다.

 

[149]. 연강용 피복 아크 용접봉의 기호 E4303에서 ‘E'가 의미하는 것은?

    ❶ 전기 용접봉 ② 피복제 성분

    ③ 심선의 지름 ④ 용착금속의 강도

 

[150]. 다음 중 절단에 사용하는 에너지원이 다른 하나는?

    ① 마그 절단 ❷ 산소가스 절단

    ③ 플라즈마 절단 ④ 아크 톱 절단

 

[151]. 용접조건이 같을 때 맞대기 이음의 첫층(1pass)에서 수축량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큰 강은?

    ① 연강 ② HT 60강

    ③ HT 80강 ❹ 9% NIU

 

[152]. 연납땜에 주로 사용하는 용가재인 주석의 특징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① 응고점이 낮다.

    ② 퍼짐성이 좋다.

    ❸ 주석이 증가하면 가격은 싸진다.

    ④ 주석이 증가하면 내식성이 증가한다.

 

[153]. MIG용접 시 용융금속의 이행 행태가 아닌 것은?

    ① 스프레이(spray) 이행형

    ❷ 스킵(slip) 이행형

    ③ 입상(globular) 이행형

    ④ 단락(short circuit) 이행형

 

[154]. 이산화탄소 아크용접 시 건강에 가장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은?

    ❶ 이산화탄소의 축적에 의한 질식

    ② 질소의 축적에 의한 중독 작용

    ③ 복사에너지에 의한 질식

    ④ 탄소의 축적에 의한 질식

 

[155]. 용접에 의한 블로 홀(blow hole)발생 방지대책이 아닌 것은?

    ① 예열 실시 ② 용접부의 녹 제거

    ③ 용접재료 건조 ❹ 모재로 림드강을 사용

 

[156]. 방사선 투과사진의 상의 질을 나타내는 척도는?

    ❶ 투과도계 ② 납글자

    ③ 탐촉자 ④ 흡수도계

 

[157]. 플라스마 아크 용접에 적당항 재료가 아닌 것은?

    ① 탄소강 ② 니켈합금

    ❸ 알루미늄합금 ④ 스테인리스강

 

[158]. 외부에서 신선한 공기를 송급시키는 호흡용 보호구는?

    ① 보호 마스크 ② 방진 마스크

    ③ 방독 마스크 ❹ 호스 마스크

 

[159]. 투과법, 펄스 반사법, 공진법 등으로 시험하는 비파괴검사는?

    ❶ 초음파탐상검사 ② 자기탐상검사

    ③ 와전류탐상검사 ④ 방사선투과검사

 

[160]. 콘크리트 절단을 할 수 있는 것은?

    ① 스카핑 ② 가스 가우징

    ❸ 산소창 절단 ④ 탄소 아크 절단

 

[161]. 간이 자동화 용접법인 중력식 용접법(gravity welding)에 주로 사용되는 피복 아크 용접봉의 종류로 가장 적당한 것은?

    ① 저수소계 용접봉

    ② 일루미나이트계 용접봉

    ❸ 철분산화철계 용접봉

    ④ 고셀룰로오스계 용접봉

 

[162]. 안전표지 색채에서 지시표지에 사용되는 색은?

    ① 노란색 ❷ 파란색

    ③ 검정색 ④ 빨간색

 

[163]. 피복 아크 용접에서 V형 용접 홈을 선택할 경우 판두께로 적합한 것은?

    ① 5mm 이하 ❷ 6~20mm

    ③ 20mm 이상 ④ 어느 것이나 이용

 

[164]. 허용 사용률이 몇 % 이상이면 용접기를 연속적으로 사용해도 지장이 없는가?

    ① 40% ② 60%

    ❸ 100% ④ 200%

 

[165]. 진공상태에서 용접하는 것은?

    ❶ 전자 빔 용접

    ② 논 가스 아크 용접

    ③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

    ④ 불활성가스 텅스텐 용접

 

[166]. 아세틸렌 용기의 밸브는 일반적으로 전용핸들을 이용하여 몇 회전 정도 열어서 사용하면 좋은가?

    ❶ 0.5 회전 ② 1.5 회전

    ③ 2 회전 이상 ④ 완전히 연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3

 

용접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용접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2

 

온실가스관리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온실가스관리기사 최신 기출문제 입니다.

play.google.com

 

 

 

[0]. 이동 오염원의 탄소배출량 저감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공기역학기술 적용차량 보급

   ② 바이오 연료 사용

   ③ 에코드라이빙 교육

   ❹ 단거리 물류운송 차량의 대형화

 

[1]. 기후변화협약 중 Post-2020 감축목표 등 각국의 기여방안(INDC) 제출 범위, 제출시기, 협의절차, 제출정보 등을 담은 당사국 총회 결정문을 채택한 당사국 총회가 개최된 국가와 도시는?

   ① 카타르 도하 ② 캐나다 몬트리올

   ❸ 페루 리마 ④ 프랑스 파리

 

[2]. 교토의성서상 감축대상 가스로 지정한 6대 주요 온실가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수소불화탄소 ❷ 염화불화탄소

   ③ 육불화황 ④ 과불화탄소

 

[3]. 2020년 기준 국가 온실가스 배출 전망치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① 가정부문 ② 철도 수송 부문

   ❸ 산업 부문 ④ 폐기물 처리 부문

 

[4]. 기후변화 당사국총회 회차와 개최국이 일치하지 않는 것은?

   ① 제3차 당사국총회-일본 교토

   ② 제8차 당사국총회-인도 뉴델리

   ③ 제13차 당사국총회-인도네시아 발리

   ❹ 제17차 당사국총회-폴란드 바르샤바

 

[5].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가 다루지 않는 분야는?

   ① 기후변화 과학

   ❷ 배출량 거래제

   ③ 기후변화 영향평가, 적응 및 취약성

   ④ 배출량 완화, 사회 경제적 비용-편익 분석 등의 정책 분야

 

[6]. 기후변화가 수자원 요소에 미치는 영향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지하수의 염수화 ② 증발산량의 증가

    ❸ 담수자원의 증가 ④ 지표 및 지하수의 수질 악화

 

[7]. 기후변화로 인한 한반도의 환경적 영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생물다양성 감소

    ② 집중호우 등 자연재해

    ③ 농수산물 생산변화에 따른 식생활 변화

    ❹ 폐기물 증가

 

[8]. 기후변화관련 국제기구 중 UN조직 내 환경활동을 촉진, 조정, 활성화하기 위해 설립된 환경전담 국제정부간 기구로 환경문제에 대한 국제적 협력을 도모하기 위한 기구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WCRP ② UNIDO

    ③ UNDP ❹ UNEP

 

[9].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직접 원인이 되어 나타나는 현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해안습지 감소 ② 환경난민 발생

   ❸ 강수량 변화 ④ 전통생활방식의 위협

 

[10].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령에 따른 우리나라 현행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해당하는 것은?

   ① 2020년 BAU 대비 20%까지 감축

   ② 2030년 BAU 대비 25%까지 감축

   ③ 2020년 BAU 대비 35%까지 감축

   ❹ 2030년 BAU 대비 37%까지 감축

[11]. 다음 중 기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외부요인은?

   ❶ 태양복사에너지 ② 인간의 소비패턴 변화

   ③ 생태계의 변화 ④ 물과 탄소 순환

 

[12]. 1988년 세계기상기구와 유엔환경계획이 공동 설립하였고, 보고서를 통해 기후변화 추세, 원인, 영향, 대응을 분석한 국제기구의 이름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WHO ❷ IPCC

   ③ UNFCC ④ GCF

 

[13]. 우리나라의 1990년 대비 2011년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율이 가장 컸던 분야는?

   ① 에너지 ❷ 산업공정

   ③ 농업 ④ 폐기물

 

[14]. 지구 대기 중 메탄(CH4)농도 증가와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은?

   ❶ 산림 벌채 ② 화석 연료의 사용

   ③ 가축 증가 ④ 벼 농사

 

[15]. 기후변화 관련 국제기구 중 세계환경보전 모니터링센터를 의미하는 것으로, 세계보전연맹(WCU), 유엔환경계획(UNEP), 세계야생생물기금(WWF) 세계기구가 세계의 생태환경보전을 위해 공동으로 설립한 국제기구에 가장 부합하는 것은?

    ① UNIDO ❷ WCMC

    ③ GEO ④ UNFCCC

 

[16]. 선진국과 개도국이 모두 참여하는 Post-2012 체제 구축을 합의한 회의는?

    ① 제7차 당사국총회(마라케쉬 총회)

    ② 제8차 당사국총회(뉴델리 총회)

    ③ 제9차 당사국총회(밀라노 총회)

    ❹ 제13차 당사국총회(발리 총회)

 

[17].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보고서(NIR)를 기준으로 국내 5가지 온실가스 배출분야에서 일반적으로 배출량이 가장 많은 분야는?

    ① 산업공정 ❷ 에너지

    ③ 폐기물 ④ LULUCF

 

[18].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가 3개의 실행그룹에서 다루는 분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기후변화 과학

    ❷ 배출량 거래제

    ③ 기후변화 영향평가, 적응 및 취약성

    ④ 배출량 완화, 사회 경제적 비용-편익분석 등 정책

 

[19]. 지구 기후변화의 자연적인 관련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❶ 가축의 증가 ② 지구의 태양순환 주기

    ③ 해양 해류흐름의 변화 ④ 몬순 현상

 

[20]. 지구온난화지수의 크기별 대소 관계로 옳게 배열된 것은?

   ❶ CO₂<CH₄<N₂O ② CH₄<CO₂<N₂O

   ③ N₂O<CO₂<CH₄ ④ CO₂<N₂O<CH₄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2

 

온실가스관리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온실가스관리기사 최신 기출문제 입니다.

play.google.com

 

 

 

[21]. 지구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척도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해수면 변화, 해양 온도

   ❷ 강수 온도, 건축물 온도 측정

   ③ 빙하, 해빙

   ④ 위성 온도 측정, 기후 대리변수

 

[22]. Kyoto Flexible Mechanism(Kyoto Protocol)의 3가지 구조에 포함되지 않은 것은?

   ① Emissionns Trading

   ❷ Sustainable Development

   ③ Clean Devlopment Mechanism

   ④ Joint lmplementation

 

[23]. 신기후변화체제(Post-2020)에 대응하기 위해 우리나라가 UN에 제출한 국가별 기여방안(INDC)에서 온실가스 감축목표는 2030년까지 BAU 대비 몇 %인가?

   ① 15% ② 30%

   ❸ 37% ④ 50%

 

[24]. 우리나라 기상청의 지구대기감시관측망 중 기본관측소에 해당하지 않는 곳은?

   ① 안면도 ② 고산(제주)

   ❸ 목포 ④ 울릉도독도

 

[25]. CO₂=1로 볼 때, 다음 중 지구온난화지수(GWP)가 가장 큰 온실가스는? (단, GWP는 IPCC 2차 평가보고서의 지속기간 100년 기준)

    ❶ HFC-23 ② HFC-125

    ③ PFC-14 ④ HFC-245ca

 

[26]. 다음 중 교토의정서의 Annex Ⅰ 온실가스 의무 감축국이 아닌 나라는?

    ① 영국 ② 일본

    ③ 호주 ❹ 한국

 

[27]. 미래 기후변화가 한반도의 수자원에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영향과 전망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지표 유출량 증가 ❷ 지하수 함양량 증가

    ③ 홍수 발생 증가 ④ 봄철, 겨울철 가뭄 증가

 

[28]. 기후변화의 자연적인 원인과 관련된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태양 흑점수의 변화 ② 밀란코비치의 효과

    ③ 지구의 공전궤도 효과 ❹ 토지의 이용

 

[29]. 기후변화 관련 국제기구 중 UN조직 내 환경활동을 촉진ㆍ조정ㆍ활성화하기 위해 설립된 환경전담 국제정부간 기구로 환경문제에 대한 국제적 협력을 도모하기 위한 것은?

    ① WCRP ② UNIDO

    ③ UNDP ❹ UNEP

 

[30]. 제2차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 시 기후변화 리스크의 기반 선진화된 적용 관리체계마련을 위한 단계별 기후변화 리스크 평가절차가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된 것은?

   ① 분석→파악→평가→우선순위 설정

   ❷ 파악→분석→평가→우선순위 설정

   ③ 분석→파악→우선순위 설정→평가

   ④ 파악→분석→우선순위 설정→평가

[31]. 교토메커니즘(Kyoto Protocol)의 3가지 구조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배출권거래제도(Emission Trading)

   ② 공동이행제도(Joint Implementation)

   ❸ 지속가능개발(Sustainable Development)

   ④ 청정개발체제(Clean Development Mechanism)

 

[32]. 다음 중 온실가스이면서 대기 중에 가장 저농도로 존재하는 것은?

   ① 아산화질소 ② 메탄

   ❸ 육불화황 ④ 아르곤

 

[33]. 우리나라 기후변화 영향 중 식생변화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개엽시기가 빨라진다.

   ❷ 개화시기가 지연된다.

   ③ 고립된 고산대 식물이 멸종되기 쉽다.

   ④ 고도가 낮은 곳의 온대성 식물이 산위로 확장한다.

 

[34]. 다음 중 UNFCCC에서 규제하고 있는 온실가스가 아닌 것은?

   ① 수소불화탄소 ❷ 이산화질소

   ③ 육불화황 ④ 과불화탄소

 

[35]. 지구의 복사 균형이 변하게 되는 3가지 주요요인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태양복사 입사량의 변화

    ❷ 지하 화석연료 개발의 변화

    ③ 지구에서 외부로 되돌아가는 장파 복사의 변화

    ④ Albedo의 변화

 

[36]. 개발도상국의 산림전용 및 황폐화 방지, 산림보전, 지속가능한 산림경영 등 활동을 통한 기후변화 저감활동은 무엇인가?

    ① LULUCF ② A/R CDM

    ❸ REDD+ ④ AFOLU

 

[37]. “기후변화에 대한 정부간 패널(IPCC)”의 실행그룹 중 기후변화의 영향평가와 적응 및 취약성 분야의 역할을 담당하는 그룹명은?

    ① Working Group 1 ❷ Working Group 2

    ③ Working Group 3 ④ Task Force

 

[38]. 국가 및 지자체 온실가스 인벤토리 산정 대상분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에너지 ② 산업공정

    ③ 농업 ❹ 생태계

 

[39]. 온실가스 초과 감축분을 국제적으로 거래할 수 있도록 하는 배출권거래제도 이행을 위하여 배출량 산정보거소와 관련된 ISO 지침원칙의 4가지 충족조건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① 완전성(Completeness) ② 일관성(Consistency)

   ❸ 보장성(Guarantee) ④ 투명성(Transparency)

 

[40]. 1958sus 이후 지금까지 하와이 마우나로아에서 측정한 이산화탄소의 대기 중 농도는 남극에서 측정한 이산화탄소와 달리 여름과 겨울사이에 전체 농도의 약 1%에 해당하는 3~4ppmv만큼의 차이가 난다(여름철이 최저). 이같은 계절차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고위도 북반구 지역에 더 뚜렷한데, 다음 중 이 계절 변동의 원인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대기의 습도 ❷ 식물 광합성

   ③ 해수면 온도 ④ 인간의 활동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2

 

온실가스관리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온실가스관리기사 최신 기출문제 입니다.

play.google.com

 

 

 

[41]. 기후변화의 영향인자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태양활동의 변화, 대양에서의 환류작용

    ② 이산화탄소의 시비효과, 산림탄소의 변화

    ❸ 지구대기 구성 미생물의 활동주기 변화, 인구이동

    ④ 황산에어로졸과 먼지, 화학적 반응과 대기의 산화상태

 

[42]. ipcc 제4차 보고서에 나타난 1961년 이후 매년 해수면 상승의 정도는?

    ① 0.8mm ❷ 1.8mm

    ③ 3.8mm ④ 5.8mm

 

[43]. 기후변화의 영향을 각 부문별 기후변화에 대한 취약성으로 평가함에 있어서, 취약성 평가 기준이 아닌 것은?

    ❶ 리스크평가(Risk) ② 민감성(Sensitivity)

    ③ 노출(Exposure) ④ 적응(Adaptation)

 

[44]. 교토의정서의 교토메커니즘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배출권거래제 ② 청정개발체제

   ❸ 배출권할당제 ④ 공동이행제도

 

[45]. ISO 국제표준(ISO 14064) 지침 원칙에서 배출량 산정보고서와 관련하여 충족해야 하는 4가지 조건과 거리가 먼 것은?

   ① 완전성 ❷ 추가성

   ③ 정확성 ④ 일관성

 

[46]. 교토메커니즘 중 부속서 I국가 간에 온실가스 감축사업을 공동 수행하여 발생한 저감분을 저감 실적으로 인정하는 제도는?

   ❶ Joint Implementation

   ② Clean Development Mechanism

   ③ Emission Trading

   ④ Adsorption Implementation

 

[47]. 우리나라 산림부문과 관련된 기후변화 적응대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❶ 벌채수확의 확대

   ② 병해충발생 예찰시스템 강화

   ③ 기후변화 취약생물자원의 현지외 보전

   ④ 산사태 등 재해예방을 위한 방재림 조성

 

[48].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인위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 배출이 예상되는 202년도의 온실가스 배출총량(2020년 BAU)을 부문별로 세분화 했을 경우, 다음 중 가장 많은 배출량을 차지하는 것은?

    ❶ 산업부문 ② 수송부문

    ③ 건물부문 ④ 폐기물부문

 

[49]. 풍향, 풍속과 운량, 운고, 일조량 등의 자료로부터 계산하여 대기확산모델 등의 입력자료로 가장 널리 사용하는 대기안정도의 분류법은?

    ① Monin-Dbkhov법 ② Richardson법

    ❸ Oasquill법 ④ Irwin법

 

[50]. 다음 온실가스 중 온실가스 배출 총량비(%)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❶ 이산화탄소 ② 메탄

    ③ 아산화질소 ④ 육불화황

[51]. 2007년 5월에 “Cool Earth 50”을 발표하여 공격적인 지구온난화 외교전략을 펼쳤으며, 국가 전략차원에서 태양광, 풍력, 지열, 조력 등 지속적으로 이용가능한 에너지의 개발 보급을 위해 소위 “선샤인프로젝트”를 진행한 국가는?

    ❶ 일본 ② 케냐

    ③ 독일 ④ 인도

 

[52]. 기후변화에 의해 우리나라에서 나타나는 곤충생태계의 변화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❶ 북방계 곤충의 증가

    ② 남방계 곤충의 증가

    ③ 일반 곤충의 해충화 현상

    ④ 곤충 생활 주기의 변화

 

[53]. 1996년 IPCC 가이드라인상에서 국가온실가스 인벤토리에 포함된 분야가 아닌 것은?

   ① 농업 ② 에너지

   ❸ 생태계 ④ 폐기물

 

[54]. 교토의정서에서 감축관리 대상이 되는 온실가스가 아닌 것은?

   ① 이산화탄소(CO₂) ② 과불화탄소(PFCs)

   ③ 육불화황(SF6) ❹ 염화불화탄소(CFC)

 

[55]. 2020년 기준 국가온실가스 배출 전망치 가운데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부문은?

   ① 수송 ❷ 산업

   ③ 공공 ④ 폐기물

 

[56]. 우리나라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을 비준한 시기는?

   ❶ 1993년 12월 ② 1995년 4월

   ③ 1997년 12월 ④ 1999년 4월

 

[57]. 기후변화의 원인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온실가스 ② 태양활동

   ③ 화산폭발 ❹ 폭설폭우

 

[58].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패널(IPCC) 4차보고서(2007년)에서 잠재적으로 복사강제력이 음의 부호를 가진다고 보고한 물질은?

    ① 메테인 ❷ 에어로졸

    ③ 이산화탄소 ④ 성층권 수증기

 

[59]. 국제 환경조약 중 오존층을 파괴시키는 물질규제와 가장 가까운 것은?

    ❶ 몬트리올 의정서 ② 바젤협약

    ③ 스톡홀름협약 ④ 교토의정서

 

[60]. 기후변화가 수자원 요소에 미치는 영향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지하수의 담수화 ② 증발산량의 증가

    ❸ 담수자원의 증가 ④ 지표 및 지하수의 수질 악화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2

 

온실가스관리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온실가스관리기사 최신 기출문제 입니다.

play.google.com

 

 

 

[61].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영향과 취약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가뭄과 홍수 취약지역이 증가한다.

    ② 식물의 서식지가 이동한다.

    ③ 직접 및 간접적으로 식량생산에 영향을 준다.

    ❹ 질병전파 기간이 짧아진다.

 

[62]. IPCC에서 발간한 보고서 중에서 노벨 평화상에 기여한 것은?

    ① 제1차 평가보고서 ② 제2차 평가보고서

    ③ 제3차 평가보고서 ❹ 제4차 평가보고서

 

[63]. 다음 중 제2차 기후변화협약대응 종합대책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❶ 의무부담 협상의 회피

    ② 온실가스 감축 시책의 지속적인 추진

    ③ 교토메커니즘 대응기반 구축 및 활용

    ④ 민간부문의 참여유도 및 대응능력 제고

 

[64]. 다음 중 교토의정서의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교토메커니즘의 도입

    ② 온실가스 저감 이행 시 흡수원의 인정

    ③ 6가지 온실가스의 규제

    ❹ 온실가스 감축 세부전략의 수립ㆍ시행 및 보고

 

[65]. 온실가스의 지구온난화 지수가 높은 순서대로 나열된 것은?

   ① 육불화황>아산화질소>메탄>과불화탄소

   ② 육불화황>메탄>과불화탄소>아산화질소

   ③ 육불화황>아산화질소>과불화탄소>메탄

   ❹ 육불화황>과불화탄소>아산화질소>메탄

 

[66]. IPCC 온실가스 시나이로 중에서 인간 활동에 의한 영향을 지구 스스로 회복 가능한 시나리오는?

   ❶ RCP 2.6 ② RCP 4.5

   ③ RCP 6.0 ④ RCP 8.5

 

[67]. 국내 기후변화 적응대책의 10가지 분야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❶ 교통 ② 건강

   ③ 수자원 ④ 재난 재해

 

[68]. 이동오염원의 탄소배출량 저감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바이오연료 사용

   ② 에코드라이빙 교육

   ③ 공기역학기술 적용차량 보급

   ❹ 단거리 물류운송차량의 대형화

 

[69]. 우리나라가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에 가입한 연도와 교토의정서를 비준한 연도가 알맞게 짝지어진 것은?

   ① 1992년, 1998년 ❷ 1993년, 2002년

   ③ 1995년, 2005년 ④ 1997년, 2008년

 

[70]. 기후변화감시요소와 세계자료센터가 있는 국가가 잘못 짝지어진 것은?

   ❶ 온실가스-이탈리아 ② 성층권 오존 및 자외선-캐나다

   ③ 태양복사-러시아 ④ 강수화학-미국

[71]. 온실가스의 하나인 CH4의 발생원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이탄습지 ② 쓰레기 매립지

    ③ 소나 흰개미의 내장 ❹ 통기성이 원활한 토양

 

[72]. 교토의정서에 규정되어 있는 사항으로서 선진국 A국이 개도국 B국에 투자하여 발생된 온실가스 배출 감축분을 자국의 감축실적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는?

    ① 공동이행제도 ❷ 청정개발체제

    ③ 배출권거래제도 ④ 재정 및 기술이전제도

 

[73]. 기후변화 정부간 패널(IPCC)의 기후변화보고서 발표년도가 잘못 짝지어진 것은?

    ① 제1차 보고서 : 1990년

    ② 제2차 보고서 : 1995년

    ❸ 제3차 보고서 : 2000년

    ④ 제4차 보고서 : 2007년

 

[74]. 기후변화로 인한 한반도의 환경적 영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❶ 폐기물의 증가

    ② 생물 다양성 감소

    ③ 농수산물 생산 변화

    ④ 집중호우 등의 자연재해

 

[75]. 우리나라가 2011년에 세계표준센터를 유치한 온실가스는?

    ① 이산화탄소 ② 메탄

    ③ 아산화질소 ❹ 육불화황

 

[76]. IPCC 가이드라인에서 이동오염원에서 직접 배출되는 온실가스이나 비에너지 온실가스로 구분되어 이동오염원 온실가스 배출량 통계로 집계되지 않는 물질로 옳은 것은?

    ① CO₂ ② CH₄

    ❸ HFCs ④ N₂O

 

[77].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의 주요기준이 되는 원칙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❶ 과학적 확실성의 원칙

   ② 공통이지만 차별화된 책임의 원칙

   ③ 각자 능력의 원칙

   ④ 사전예방의 원칙

 

[78]. 다음 중 국내 5가지 온실가스 배출분야에서 배출량이 가장 많은 분야는?

   ① 산업공정 ❷ 에너지

   ③ 폐기물 ④ LULUCF

 

[79]. 21세기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이상기후 현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보다 집중적인 호우

   ② 중위도 지역 폭풍의 강도 증가

   ③ 대부분 중위도 내륙에서의 혹서피해와 한발 위험 증가

   ❹ 최고 기온의 하강, 무더운 일수와 혹서기간의 감소

 

[80]. 정부가 2009년 11월 확정하여 발표한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는 2020년까지 BSU 배출전망치 대비 몇 % 감축목표를 유지하기로 했는가?

   ① 5% ② 10%

   ③ 20% ❹ 30%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2

 

온실가스관리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온실가스관리기사 최신 기출문제 입니다.

play.google.com

 

 

 

[81]. 기후변화관련 국제기구 중 UN조직 내 환경활동을 촉진, 조정, 활성화하기 위해 설립된 환경전담 국제정부간 기구로 환경문제에 대한 국제적 협력을 도모하기 위한 기구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WCRP ② UNIDO

   ③ UNDP ❹ UNEP

 

[82]. 우리나라 녹색성장 국가전략의 10대 정책목표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효율적 온실가스 감축

   ② 탈석유 에너지 자립 강화

   ③ 산업구조의 고도화

   ❹ 지속가능한 소비발전역량 강화

 

[83].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가 다루지 않는 분야는?

    ① 기후변화 과학

    ❷ 배출량 거래제

    ③ 기후변화 영향평가, 적응 및 취약성

    ④ 배출량 완화, 사회 경제적 비용-편익분석 등 정책

 

[84]. 다음 중 기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외부요인은?

    ❶ 태양복사에너지 ② 인간의 소비패턴 변화

    ③ 생태계의 변화 ④ 물과 탄소순환

 

[85]. 기후체제가 위험한 인위적 간섭을 받지 않을 수준으로 대기 중 온실가스 농도를 안정화하는 것을 궁극적 목표로 삼으며, 유엔환경개발회의에서 채택한 것은?

    ❶ UNFCCC ② UNIICED

    ③ UNEP ④ IPCC

 

[86]. 다음 중 UNFCCC에서 규제하고 있는 온실가스가 아닌 것은?

    ① 수소불화탄소 ❷ 이산화질소

    ③ 육불화황 ④ 과불화탄소

 

[87].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을 7개 부문별 적응대책과 3개 적응기반 대책으로 분류할 때, 다음중 적응기반 대책에 해당하지 않는 분야는?

   ① 기후변화감시예측 분야 ② 적응산업에너지 분야

   ③ 교육홍보국제협력 분야 ❹ 해양수산업 분야

 

[88]. 기후변화와 관련된 복사법칙 중 “주어진 온도에서 이론상 최대에너지를 복사하는 가상적인 물체를 흑체라 할 때 흑체복사를 하는 물체에서 방출되는 복사에너지는 절대온도(K)의 4승에 비례한다” 는 법칙은?

   ① 알베도의 법칙 ② 플랑크의 법칙

   ③ 비인의 변위법칙 ❹ 스테판볼츠만의 법칙

 

[89]. 다음 중 온실가스이면서 대기중에 가장 저농도로 존재하는 것은?

   ① 아산화질소 ② 메탄

   ❸ 육불화황 ④ 아르곤

 

[90]. 지구 기후변화의 자연적인 관련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❶ 가축의 증가 ② 지구의 태양순환 주기

    ③ 해양 해류흐름의 변화 ④ 몬순현상

[91]. 청정개발체제사업에서 배출권의 투명성과 신뢰성 있는 관리를 위하여 구성하고 운영하는 기구와 거리가 먼 것은?

    ❶ 적응기금(Adaptation Fund)

    ② 운영기구(Designated Operation Entity)

    ③ 집행이사회(Executive Board)

    ④ 국가승인기구((Designated National Authority)

 

[92]. “기후변화에 대한 정부간 패널(IPCC)” 의 실행그룹중 기후변화의 영향평가와 적응 및 취약성 분야의 역할을 담당하는 그룹명은?

    ① Working Group 1 ❷ Working Group 2

    ③ Working Group 3 ④ Working Group 4

 

[93]. 선진국과 개도국이 모두 참여하는 POst-2012 체제 구축을 합의한 회의는 무엇인가?

   ① 제18차 당사국 총회(도하총회)

   ② 제17차 당사국 총회(더반총회)

   ③ 제17차 당사국 총회(코펜하겐 총회)

   ❹ 제17차 당사국 총회(발리 총회)

 

[94]. 지구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척도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해수면 변화, 해양 온도

   ❷ 강수 온도, 건축물 온도 측정

   ③ 빙하, 해빙

   ④ 위성 온도 측정, 기후 대리변수

 

[95]. 기후변화관련 국제협약이 시대순으로 옳게 나열된 것은?

   ❶ 유엔기후변화협약, 교토의정서, 발리행동계획, 칸군합의

   ② 교토의 정서, 유엔기후변화협약, 칸군합의, 발리행동계획

   ③ 교토의 정서, 칸군합의, 발리행동계획, 유엔기후변화협약

   ④ 유엔기후변화협약, 칸군합의, 교토의정서, 발리행동계획

 

[96]. 다음 중 교토의정서상 당사국이 준수해야 하는 사항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고가의 설비 및 장비의 시장 점유율 확대

   ② 강제적인 감축활동 요구와 기후기금배분의 현실화

   ❸ 국가 경제의 관련 분야에서 에너지 효율성 향상

   ④ Non-ANNEX l 국가의 선진화

 

[97]. 지구의 복사 균형이 변하게 되는 주요 3가지 요인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태양복사 입사량의 변화

    ❷ 지하 화석연료 개발의 변화

    ③ 지구에서 외부로 되돌아가는 장파 복사의 변화

    ④ Albedo의 변화

 

[98]. 교토의정서 상에서 감축 대상가스로 지정한 6대 주요 온실가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수소불화탄소 ❷ 염화불화탄소

    ③ 육불화황 ④ 과불화탄소

 

[99]. ISO 국제표준(ISO 14064)지침원칙이 배출량 산정보서와 충족해야 하는 4가지 조건과 거리가 먼 것은?

    ① 완전성 ❷ 추가성

    ③ 정확성 ④ 일관성

 

[100]. Kyoto Flexible Mechanism(Kyoto Protocol)의 3가지구조에 포함되지 않은 것은?

    ① 배출권 거래제도(Emissions Trading)

    ❷ 지속가능한 개발(Sustainable Development)

    ③ 청정개발체제(Clean Development Mechanism)

    ④ 공동이행제도(Joint Implementation)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2

 

온실가스관리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온실가스관리기사 최신 기출문제 입니다.

play.google.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