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2

 

온실가스관리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온실가스관리기사 최신 기출문제 입니다.

play.google.com

 

 

 

[0]. 이동 오염원의 탄소배출량 저감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공기역학기술 적용차량 보급

   ② 바이오 연료 사용

   ③ 에코드라이빙 교육

   ❹ 단거리 물류운송 차량의 대형화

 

[1]. 기후변화협약 중 Post-2020 감축목표 등 각국의 기여방안(INDC) 제출 범위, 제출시기, 협의절차, 제출정보 등을 담은 당사국 총회 결정문을 채택한 당사국 총회가 개최된 국가와 도시는?

   ① 카타르 도하 ② 캐나다 몬트리올

   ❸ 페루 리마 ④ 프랑스 파리

 

[2]. 교토의성서상 감축대상 가스로 지정한 6대 주요 온실가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수소불화탄소 ❷ 염화불화탄소

   ③ 육불화황 ④ 과불화탄소

 

[3]. 2020년 기준 국가 온실가스 배출 전망치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① 가정부문 ② 철도 수송 부문

   ❸ 산업 부문 ④ 폐기물 처리 부문

 

[4]. 기후변화 당사국총회 회차와 개최국이 일치하지 않는 것은?

   ① 제3차 당사국총회-일본 교토

   ② 제8차 당사국총회-인도 뉴델리

   ③ 제13차 당사국총회-인도네시아 발리

   ❹ 제17차 당사국총회-폴란드 바르샤바

 

[5].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가 다루지 않는 분야는?

   ① 기후변화 과학

   ❷ 배출량 거래제

   ③ 기후변화 영향평가, 적응 및 취약성

   ④ 배출량 완화, 사회 경제적 비용-편익 분석 등의 정책 분야

 

[6]. 기후변화가 수자원 요소에 미치는 영향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지하수의 염수화 ② 증발산량의 증가

    ❸ 담수자원의 증가 ④ 지표 및 지하수의 수질 악화

 

[7]. 기후변화로 인한 한반도의 환경적 영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생물다양성 감소

    ② 집중호우 등 자연재해

    ③ 농수산물 생산변화에 따른 식생활 변화

    ❹ 폐기물 증가

 

[8]. 기후변화관련 국제기구 중 UN조직 내 환경활동을 촉진, 조정, 활성화하기 위해 설립된 환경전담 국제정부간 기구로 환경문제에 대한 국제적 협력을 도모하기 위한 기구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WCRP ② UNIDO

    ③ UNDP ❹ UNEP

 

[9].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직접 원인이 되어 나타나는 현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해안습지 감소 ② 환경난민 발생

   ❸ 강수량 변화 ④ 전통생활방식의 위협

 

[10].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령에 따른 우리나라 현행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해당하는 것은?

   ① 2020년 BAU 대비 20%까지 감축

   ② 2030년 BAU 대비 25%까지 감축

   ③ 2020년 BAU 대비 35%까지 감축

   ❹ 2030년 BAU 대비 37%까지 감축

[11]. 다음 중 기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외부요인은?

   ❶ 태양복사에너지 ② 인간의 소비패턴 변화

   ③ 생태계의 변화 ④ 물과 탄소 순환

 

[12]. 1988년 세계기상기구와 유엔환경계획이 공동 설립하였고, 보고서를 통해 기후변화 추세, 원인, 영향, 대응을 분석한 국제기구의 이름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WHO ❷ IPCC

   ③ UNFCC ④ GCF

 

[13]. 우리나라의 1990년 대비 2011년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율이 가장 컸던 분야는?

   ① 에너지 ❷ 산업공정

   ③ 농업 ④ 폐기물

 

[14]. 지구 대기 중 메탄(CH4)농도 증가와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은?

   ❶ 산림 벌채 ② 화석 연료의 사용

   ③ 가축 증가 ④ 벼 농사

 

[15]. 기후변화 관련 국제기구 중 세계환경보전 모니터링센터를 의미하는 것으로, 세계보전연맹(WCU), 유엔환경계획(UNEP), 세계야생생물기금(WWF) 세계기구가 세계의 생태환경보전을 위해 공동으로 설립한 국제기구에 가장 부합하는 것은?

    ① UNIDO ❷ WCMC

    ③ GEO ④ UNFCCC

 

[16]. 선진국과 개도국이 모두 참여하는 Post-2012 체제 구축을 합의한 회의는?

    ① 제7차 당사국총회(마라케쉬 총회)

    ② 제8차 당사국총회(뉴델리 총회)

    ③ 제9차 당사국총회(밀라노 총회)

    ❹ 제13차 당사국총회(발리 총회)

 

[17].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보고서(NIR)를 기준으로 국내 5가지 온실가스 배출분야에서 일반적으로 배출량이 가장 많은 분야는?

    ① 산업공정 ❷ 에너지

    ③ 폐기물 ④ LULUCF

 

[18].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가 3개의 실행그룹에서 다루는 분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기후변화 과학

    ❷ 배출량 거래제

    ③ 기후변화 영향평가, 적응 및 취약성

    ④ 배출량 완화, 사회 경제적 비용-편익분석 등 정책

 

[19]. 지구 기후변화의 자연적인 관련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❶ 가축의 증가 ② 지구의 태양순환 주기

    ③ 해양 해류흐름의 변화 ④ 몬순 현상

 

[20]. 지구온난화지수의 크기별 대소 관계로 옳게 배열된 것은?

   ❶ CO₂<CH₄<N₂O ② CH₄<CO₂<N₂O

   ③ N₂O<CO₂<CH₄ ④ CO₂<N₂O<CH₄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2

 

온실가스관리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온실가스관리기사 최신 기출문제 입니다.

play.google.com

 

 

 

[21]. 지구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척도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해수면 변화, 해양 온도

   ❷ 강수 온도, 건축물 온도 측정

   ③ 빙하, 해빙

   ④ 위성 온도 측정, 기후 대리변수

 

[22]. Kyoto Flexible Mechanism(Kyoto Protocol)의 3가지 구조에 포함되지 않은 것은?

   ① Emissionns Trading

   ❷ Sustainable Development

   ③ Clean Devlopment Mechanism

   ④ Joint lmplementation

 

[23]. 신기후변화체제(Post-2020)에 대응하기 위해 우리나라가 UN에 제출한 국가별 기여방안(INDC)에서 온실가스 감축목표는 2030년까지 BAU 대비 몇 %인가?

   ① 15% ② 30%

   ❸ 37% ④ 50%

 

[24]. 우리나라 기상청의 지구대기감시관측망 중 기본관측소에 해당하지 않는 곳은?

   ① 안면도 ② 고산(제주)

   ❸ 목포 ④ 울릉도독도

 

[25]. CO₂=1로 볼 때, 다음 중 지구온난화지수(GWP)가 가장 큰 온실가스는? (단, GWP는 IPCC 2차 평가보고서의 지속기간 100년 기준)

    ❶ HFC-23 ② HFC-125

    ③ PFC-14 ④ HFC-245ca

 

[26]. 다음 중 교토의정서의 Annex Ⅰ 온실가스 의무 감축국이 아닌 나라는?

    ① 영국 ② 일본

    ③ 호주 ❹ 한국

 

[27]. 미래 기후변화가 한반도의 수자원에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영향과 전망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지표 유출량 증가 ❷ 지하수 함양량 증가

    ③ 홍수 발생 증가 ④ 봄철, 겨울철 가뭄 증가

 

[28]. 기후변화의 자연적인 원인과 관련된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태양 흑점수의 변화 ② 밀란코비치의 효과

    ③ 지구의 공전궤도 효과 ❹ 토지의 이용

 

[29]. 기후변화 관련 국제기구 중 UN조직 내 환경활동을 촉진ㆍ조정ㆍ활성화하기 위해 설립된 환경전담 국제정부간 기구로 환경문제에 대한 국제적 협력을 도모하기 위한 것은?

    ① WCRP ② UNIDO

    ③ UNDP ❹ UNEP

 

[30]. 제2차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 시 기후변화 리스크의 기반 선진화된 적용 관리체계마련을 위한 단계별 기후변화 리스크 평가절차가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된 것은?

   ① 분석→파악→평가→우선순위 설정

   ❷ 파악→분석→평가→우선순위 설정

   ③ 분석→파악→우선순위 설정→평가

   ④ 파악→분석→우선순위 설정→평가

[31]. 교토메커니즘(Kyoto Protocol)의 3가지 구조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배출권거래제도(Emission Trading)

   ② 공동이행제도(Joint Implementation)

   ❸ 지속가능개발(Sustainable Development)

   ④ 청정개발체제(Clean Development Mechanism)

 

[32]. 다음 중 온실가스이면서 대기 중에 가장 저농도로 존재하는 것은?

   ① 아산화질소 ② 메탄

   ❸ 육불화황 ④ 아르곤

 

[33]. 우리나라 기후변화 영향 중 식생변화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개엽시기가 빨라진다.

   ❷ 개화시기가 지연된다.

   ③ 고립된 고산대 식물이 멸종되기 쉽다.

   ④ 고도가 낮은 곳의 온대성 식물이 산위로 확장한다.

 

[34]. 다음 중 UNFCCC에서 규제하고 있는 온실가스가 아닌 것은?

   ① 수소불화탄소 ❷ 이산화질소

   ③ 육불화황 ④ 과불화탄소

 

[35]. 지구의 복사 균형이 변하게 되는 3가지 주요요인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태양복사 입사량의 변화

    ❷ 지하 화석연료 개발의 변화

    ③ 지구에서 외부로 되돌아가는 장파 복사의 변화

    ④ Albedo의 변화

 

[36]. 개발도상국의 산림전용 및 황폐화 방지, 산림보전, 지속가능한 산림경영 등 활동을 통한 기후변화 저감활동은 무엇인가?

    ① LULUCF ② A/R CDM

    ❸ REDD+ ④ AFOLU

 

[37]. “기후변화에 대한 정부간 패널(IPCC)”의 실행그룹 중 기후변화의 영향평가와 적응 및 취약성 분야의 역할을 담당하는 그룹명은?

    ① Working Group 1 ❷ Working Group 2

    ③ Working Group 3 ④ Task Force

 

[38]. 국가 및 지자체 온실가스 인벤토리 산정 대상분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에너지 ② 산업공정

    ③ 농업 ❹ 생태계

 

[39]. 온실가스 초과 감축분을 국제적으로 거래할 수 있도록 하는 배출권거래제도 이행을 위하여 배출량 산정보거소와 관련된 ISO 지침원칙의 4가지 충족조건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① 완전성(Completeness) ② 일관성(Consistency)

   ❸ 보장성(Guarantee) ④ 투명성(Transparency)

 

[40]. 1958sus 이후 지금까지 하와이 마우나로아에서 측정한 이산화탄소의 대기 중 농도는 남극에서 측정한 이산화탄소와 달리 여름과 겨울사이에 전체 농도의 약 1%에 해당하는 3~4ppmv만큼의 차이가 난다(여름철이 최저). 이같은 계절차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고위도 북반구 지역에 더 뚜렷한데, 다음 중 이 계절 변동의 원인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대기의 습도 ❷ 식물 광합성

   ③ 해수면 온도 ④ 인간의 활동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2

 

온실가스관리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온실가스관리기사 최신 기출문제 입니다.

play.google.com

 

 

 

[41]. 기후변화의 영향인자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태양활동의 변화, 대양에서의 환류작용

    ② 이산화탄소의 시비효과, 산림탄소의 변화

    ❸ 지구대기 구성 미생물의 활동주기 변화, 인구이동

    ④ 황산에어로졸과 먼지, 화학적 반응과 대기의 산화상태

 

[42]. ipcc 제4차 보고서에 나타난 1961년 이후 매년 해수면 상승의 정도는?

    ① 0.8mm ❷ 1.8mm

    ③ 3.8mm ④ 5.8mm

 

[43]. 기후변화의 영향을 각 부문별 기후변화에 대한 취약성으로 평가함에 있어서, 취약성 평가 기준이 아닌 것은?

    ❶ 리스크평가(Risk) ② 민감성(Sensitivity)

    ③ 노출(Exposure) ④ 적응(Adaptation)

 

[44]. 교토의정서의 교토메커니즘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배출권거래제 ② 청정개발체제

   ❸ 배출권할당제 ④ 공동이행제도

 

[45]. ISO 국제표준(ISO 14064) 지침 원칙에서 배출량 산정보고서와 관련하여 충족해야 하는 4가지 조건과 거리가 먼 것은?

   ① 완전성 ❷ 추가성

   ③ 정확성 ④ 일관성

 

[46]. 교토메커니즘 중 부속서 I국가 간에 온실가스 감축사업을 공동 수행하여 발생한 저감분을 저감 실적으로 인정하는 제도는?

   ❶ Joint Implementation

   ② Clean Development Mechanism

   ③ Emission Trading

   ④ Adsorption Implementation

 

[47]. 우리나라 산림부문과 관련된 기후변화 적응대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❶ 벌채수확의 확대

   ② 병해충발생 예찰시스템 강화

   ③ 기후변화 취약생물자원의 현지외 보전

   ④ 산사태 등 재해예방을 위한 방재림 조성

 

[48].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인위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 배출이 예상되는 202년도의 온실가스 배출총량(2020년 BAU)을 부문별로 세분화 했을 경우, 다음 중 가장 많은 배출량을 차지하는 것은?

    ❶ 산업부문 ② 수송부문

    ③ 건물부문 ④ 폐기물부문

 

[49]. 풍향, 풍속과 운량, 운고, 일조량 등의 자료로부터 계산하여 대기확산모델 등의 입력자료로 가장 널리 사용하는 대기안정도의 분류법은?

    ① Monin-Dbkhov법 ② Richardson법

    ❸ Oasquill법 ④ Irwin법

 

[50]. 다음 온실가스 중 온실가스 배출 총량비(%)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❶ 이산화탄소 ② 메탄

    ③ 아산화질소 ④ 육불화황

[51]. 2007년 5월에 “Cool Earth 50”을 발표하여 공격적인 지구온난화 외교전략을 펼쳤으며, 국가 전략차원에서 태양광, 풍력, 지열, 조력 등 지속적으로 이용가능한 에너지의 개발 보급을 위해 소위 “선샤인프로젝트”를 진행한 국가는?

    ❶ 일본 ② 케냐

    ③ 독일 ④ 인도

 

[52]. 기후변화에 의해 우리나라에서 나타나는 곤충생태계의 변화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❶ 북방계 곤충의 증가

    ② 남방계 곤충의 증가

    ③ 일반 곤충의 해충화 현상

    ④ 곤충 생활 주기의 변화

 

[53]. 1996년 IPCC 가이드라인상에서 국가온실가스 인벤토리에 포함된 분야가 아닌 것은?

   ① 농업 ② 에너지

   ❸ 생태계 ④ 폐기물

 

[54]. 교토의정서에서 감축관리 대상이 되는 온실가스가 아닌 것은?

   ① 이산화탄소(CO₂) ② 과불화탄소(PFCs)

   ③ 육불화황(SF6) ❹ 염화불화탄소(CFC)

 

[55]. 2020년 기준 국가온실가스 배출 전망치 가운데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부문은?

   ① 수송 ❷ 산업

   ③ 공공 ④ 폐기물

 

[56]. 우리나라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을 비준한 시기는?

   ❶ 1993년 12월 ② 1995년 4월

   ③ 1997년 12월 ④ 1999년 4월

 

[57]. 기후변화의 원인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온실가스 ② 태양활동

   ③ 화산폭발 ❹ 폭설폭우

 

[58].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패널(IPCC) 4차보고서(2007년)에서 잠재적으로 복사강제력이 음의 부호를 가진다고 보고한 물질은?

    ① 메테인 ❷ 에어로졸

    ③ 이산화탄소 ④ 성층권 수증기

 

[59]. 국제 환경조약 중 오존층을 파괴시키는 물질규제와 가장 가까운 것은?

    ❶ 몬트리올 의정서 ② 바젤협약

    ③ 스톡홀름협약 ④ 교토의정서

 

[60]. 기후변화가 수자원 요소에 미치는 영향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지하수의 담수화 ② 증발산량의 증가

    ❸ 담수자원의 증가 ④ 지표 및 지하수의 수질 악화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2

 

온실가스관리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온실가스관리기사 최신 기출문제 입니다.

play.google.com

 

 

 

[61].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영향과 취약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가뭄과 홍수 취약지역이 증가한다.

    ② 식물의 서식지가 이동한다.

    ③ 직접 및 간접적으로 식량생산에 영향을 준다.

    ❹ 질병전파 기간이 짧아진다.

 

[62]. IPCC에서 발간한 보고서 중에서 노벨 평화상에 기여한 것은?

    ① 제1차 평가보고서 ② 제2차 평가보고서

    ③ 제3차 평가보고서 ❹ 제4차 평가보고서

 

[63]. 다음 중 제2차 기후변화협약대응 종합대책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❶ 의무부담 협상의 회피

    ② 온실가스 감축 시책의 지속적인 추진

    ③ 교토메커니즘 대응기반 구축 및 활용

    ④ 민간부문의 참여유도 및 대응능력 제고

 

[64]. 다음 중 교토의정서의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교토메커니즘의 도입

    ② 온실가스 저감 이행 시 흡수원의 인정

    ③ 6가지 온실가스의 규제

    ❹ 온실가스 감축 세부전략의 수립ㆍ시행 및 보고

 

[65]. 온실가스의 지구온난화 지수가 높은 순서대로 나열된 것은?

   ① 육불화황>아산화질소>메탄>과불화탄소

   ② 육불화황>메탄>과불화탄소>아산화질소

   ③ 육불화황>아산화질소>과불화탄소>메탄

   ❹ 육불화황>과불화탄소>아산화질소>메탄

 

[66]. IPCC 온실가스 시나이로 중에서 인간 활동에 의한 영향을 지구 스스로 회복 가능한 시나리오는?

   ❶ RCP 2.6 ② RCP 4.5

   ③ RCP 6.0 ④ RCP 8.5

 

[67]. 국내 기후변화 적응대책의 10가지 분야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❶ 교통 ② 건강

   ③ 수자원 ④ 재난 재해

 

[68]. 이동오염원의 탄소배출량 저감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바이오연료 사용

   ② 에코드라이빙 교육

   ③ 공기역학기술 적용차량 보급

   ❹ 단거리 물류운송차량의 대형화

 

[69]. 우리나라가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에 가입한 연도와 교토의정서를 비준한 연도가 알맞게 짝지어진 것은?

   ① 1992년, 1998년 ❷ 1993년, 2002년

   ③ 1995년, 2005년 ④ 1997년, 2008년

 

[70]. 기후변화감시요소와 세계자료센터가 있는 국가가 잘못 짝지어진 것은?

   ❶ 온실가스-이탈리아 ② 성층권 오존 및 자외선-캐나다

   ③ 태양복사-러시아 ④ 강수화학-미국

[71]. 온실가스의 하나인 CH4의 발생원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이탄습지 ② 쓰레기 매립지

    ③ 소나 흰개미의 내장 ❹ 통기성이 원활한 토양

 

[72]. 교토의정서에 규정되어 있는 사항으로서 선진국 A국이 개도국 B국에 투자하여 발생된 온실가스 배출 감축분을 자국의 감축실적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는?

    ① 공동이행제도 ❷ 청정개발체제

    ③ 배출권거래제도 ④ 재정 및 기술이전제도

 

[73]. 기후변화 정부간 패널(IPCC)의 기후변화보고서 발표년도가 잘못 짝지어진 것은?

    ① 제1차 보고서 : 1990년

    ② 제2차 보고서 : 1995년

    ❸ 제3차 보고서 : 2000년

    ④ 제4차 보고서 : 2007년

 

[74]. 기후변화로 인한 한반도의 환경적 영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❶ 폐기물의 증가

    ② 생물 다양성 감소

    ③ 농수산물 생산 변화

    ④ 집중호우 등의 자연재해

 

[75]. 우리나라가 2011년에 세계표준센터를 유치한 온실가스는?

    ① 이산화탄소 ② 메탄

    ③ 아산화질소 ❹ 육불화황

 

[76]. IPCC 가이드라인에서 이동오염원에서 직접 배출되는 온실가스이나 비에너지 온실가스로 구분되어 이동오염원 온실가스 배출량 통계로 집계되지 않는 물질로 옳은 것은?

    ① CO₂ ② CH₄

    ❸ HFCs ④ N₂O

 

[77].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의 주요기준이 되는 원칙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❶ 과학적 확실성의 원칙

   ② 공통이지만 차별화된 책임의 원칙

   ③ 각자 능력의 원칙

   ④ 사전예방의 원칙

 

[78]. 다음 중 국내 5가지 온실가스 배출분야에서 배출량이 가장 많은 분야는?

   ① 산업공정 ❷ 에너지

   ③ 폐기물 ④ LULUCF

 

[79]. 21세기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이상기후 현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보다 집중적인 호우

   ② 중위도 지역 폭풍의 강도 증가

   ③ 대부분 중위도 내륙에서의 혹서피해와 한발 위험 증가

   ❹ 최고 기온의 하강, 무더운 일수와 혹서기간의 감소

 

[80]. 정부가 2009년 11월 확정하여 발표한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는 2020년까지 BSU 배출전망치 대비 몇 % 감축목표를 유지하기로 했는가?

   ① 5% ② 10%

   ③ 20% ❹ 30%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2

 

온실가스관리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온실가스관리기사 최신 기출문제 입니다.

play.google.com

 

 

 

[81]. 기후변화관련 국제기구 중 UN조직 내 환경활동을 촉진, 조정, 활성화하기 위해 설립된 환경전담 국제정부간 기구로 환경문제에 대한 국제적 협력을 도모하기 위한 기구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WCRP ② UNIDO

   ③ UNDP ❹ UNEP

 

[82]. 우리나라 녹색성장 국가전략의 10대 정책목표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효율적 온실가스 감축

   ② 탈석유 에너지 자립 강화

   ③ 산업구조의 고도화

   ❹ 지속가능한 소비발전역량 강화

 

[83].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가 다루지 않는 분야는?

    ① 기후변화 과학

    ❷ 배출량 거래제

    ③ 기후변화 영향평가, 적응 및 취약성

    ④ 배출량 완화, 사회 경제적 비용-편익분석 등 정책

 

[84]. 다음 중 기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외부요인은?

    ❶ 태양복사에너지 ② 인간의 소비패턴 변화

    ③ 생태계의 변화 ④ 물과 탄소순환

 

[85]. 기후체제가 위험한 인위적 간섭을 받지 않을 수준으로 대기 중 온실가스 농도를 안정화하는 것을 궁극적 목표로 삼으며, 유엔환경개발회의에서 채택한 것은?

    ❶ UNFCCC ② UNIICED

    ③ UNEP ④ IPCC

 

[86]. 다음 중 UNFCCC에서 규제하고 있는 온실가스가 아닌 것은?

    ① 수소불화탄소 ❷ 이산화질소

    ③ 육불화황 ④ 과불화탄소

 

[87].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을 7개 부문별 적응대책과 3개 적응기반 대책으로 분류할 때, 다음중 적응기반 대책에 해당하지 않는 분야는?

   ① 기후변화감시예측 분야 ② 적응산업에너지 분야

   ③ 교육홍보국제협력 분야 ❹ 해양수산업 분야

 

[88]. 기후변화와 관련된 복사법칙 중 “주어진 온도에서 이론상 최대에너지를 복사하는 가상적인 물체를 흑체라 할 때 흑체복사를 하는 물체에서 방출되는 복사에너지는 절대온도(K)의 4승에 비례한다” 는 법칙은?

   ① 알베도의 법칙 ② 플랑크의 법칙

   ③ 비인의 변위법칙 ❹ 스테판볼츠만의 법칙

 

[89]. 다음 중 온실가스이면서 대기중에 가장 저농도로 존재하는 것은?

   ① 아산화질소 ② 메탄

   ❸ 육불화황 ④ 아르곤

 

[90]. 지구 기후변화의 자연적인 관련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❶ 가축의 증가 ② 지구의 태양순환 주기

    ③ 해양 해류흐름의 변화 ④ 몬순현상

[91]. 청정개발체제사업에서 배출권의 투명성과 신뢰성 있는 관리를 위하여 구성하고 운영하는 기구와 거리가 먼 것은?

    ❶ 적응기금(Adaptation Fund)

    ② 운영기구(Designated Operation Entity)

    ③ 집행이사회(Executive Board)

    ④ 국가승인기구((Designated National Authority)

 

[92]. “기후변화에 대한 정부간 패널(IPCC)” 의 실행그룹중 기후변화의 영향평가와 적응 및 취약성 분야의 역할을 담당하는 그룹명은?

    ① Working Group 1 ❷ Working Group 2

    ③ Working Group 3 ④ Working Group 4

 

[93]. 선진국과 개도국이 모두 참여하는 POst-2012 체제 구축을 합의한 회의는 무엇인가?

   ① 제18차 당사국 총회(도하총회)

   ② 제17차 당사국 총회(더반총회)

   ③ 제17차 당사국 총회(코펜하겐 총회)

   ❹ 제17차 당사국 총회(발리 총회)

 

[94]. 지구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척도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해수면 변화, 해양 온도

   ❷ 강수 온도, 건축물 온도 측정

   ③ 빙하, 해빙

   ④ 위성 온도 측정, 기후 대리변수

 

[95]. 기후변화관련 국제협약이 시대순으로 옳게 나열된 것은?

   ❶ 유엔기후변화협약, 교토의정서, 발리행동계획, 칸군합의

   ② 교토의 정서, 유엔기후변화협약, 칸군합의, 발리행동계획

   ③ 교토의 정서, 칸군합의, 발리행동계획, 유엔기후변화협약

   ④ 유엔기후변화협약, 칸군합의, 교토의정서, 발리행동계획

 

[96]. 다음 중 교토의정서상 당사국이 준수해야 하는 사항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고가의 설비 및 장비의 시장 점유율 확대

   ② 강제적인 감축활동 요구와 기후기금배분의 현실화

   ❸ 국가 경제의 관련 분야에서 에너지 효율성 향상

   ④ Non-ANNEX l 국가의 선진화

 

[97]. 지구의 복사 균형이 변하게 되는 주요 3가지 요인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태양복사 입사량의 변화

    ❷ 지하 화석연료 개발의 변화

    ③ 지구에서 외부로 되돌아가는 장파 복사의 변화

    ④ Albedo의 변화

 

[98]. 교토의정서 상에서 감축 대상가스로 지정한 6대 주요 온실가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수소불화탄소 ❷ 염화불화탄소

    ③ 육불화황 ④ 과불화탄소

 

[99]. ISO 국제표준(ISO 14064)지침원칙이 배출량 산정보서와 충족해야 하는 4가지 조건과 거리가 먼 것은?

    ① 완전성 ❷ 추가성

    ③ 정확성 ④ 일관성

 

[100]. Kyoto Flexible Mechanism(Kyoto Protocol)의 3가지구조에 포함되지 않은 것은?

    ① 배출권 거래제도(Emissions Trading)

    ❷ 지속가능한 개발(Sustainable Development)

    ③ 청정개발체제(Clean Development Mechanism)

    ④ 공동이행제도(Joint Implementation)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2

 

온실가스관리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온실가스관리기사 최신 기출문제 입니다.

play.google.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