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2

 

온실가스관리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온실가스관리기사 최신 기출문제 입니다.

play.google.com

 

 

 

[0].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다음 고상 소각 폐기물 중 화석탄소질량분율이 다른 하나는?

    ① 음식물류 ② 나무류

    ❸ 플라스틱류 ④ 정원 및 공원 폐기물류

 

[1].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석유화학제품생산 공정배출시설에서의 보고 대상 배출시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메탄올 반응시설

    ② 에틸렌옥사이드 반응시설

    ③ 테레프탈산 생산시설

    ❹ 수소 제조시설

 

[2].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석유정제활동에서의 보고대상 배출시설이 아닌 것은?

    ① 수소제조시설 ② 촉매재생시설

    ③ 코크스 제조시설 ❹ 나프타 분해시설

 

[3].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석회 생산 시 사용되는 소성로 중 로터리 킬른에서 배출되는 공정배출 온실가스는?

    ❶ CO₂ ② CH₄

    ③ N₂O ④ PFCs

 

[4].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전자산업의 보고대상 배출시설 공정으로 옳게 짝지어진 것은?

    ① 산화-식각 공정 ❷ 식각-증착 공정

    ③ 노광-증착 공정 ④ 노광-산화 공정

 

[5].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석탄 채굴 및 처리활동에서의 탈루 배출 보고대상 배출 온실가스에 해당하는 것은?

    ① CO₂ ❷ CH₄

    ③ C₂O ④ CO

 

[6].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기체, 액체 혹은 고체 상태의 원료 화합물을 반응기 내에 공급하여 기관 표면에서의 화학적 반응을 유도함으로써 반도체 기판위에 고체 반응 생성물인 박막층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전자 산업, 특히 반도체 공정에 주로 이용하는 공정은?

    ① 식각공정 ❷ 화학기상 증착공정

    ③ 성형공정 ④ 세정공정

 

[7].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폐기물관련 부문 온실가스 배출원과 산정, 보고해야 하는 배출가스로 옳지 않은 것은?

    ❶ 매립된 폐기물의 분해과정 중 CO₂ 발생

    ② 비생물계 기원 폐기물의 소각으로 인한 CO₂ 발생

    ③ 하수슬러지의 혐기성 소화에 의한 CH₄ 발생

    ④ 퇴비화로 인한 CH₄, N₂O 발생

 

[8].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하ㆍ폐수 처리 및 배출의 보고대상 시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기축분뇨공공처리시설 ② 공공하수처리시설

    ③ 분뇨처리시설 ❹ 퇴비화 시설

 

[9].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이동연소 배출시설 중 도로 차량의 배출시설을 구분하는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❶ 전기자동차 ② 승용자동차

    ③ 승합자동차 ④ 화물자동차

 

[10].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폐기물 소각의 보고대상 배출시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❶ 폐열 보일러 ② 적축물 소각시설

    ③ 폐가스 소각시설 ④ 폐수 소각시설

[11]. 다음 중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합금철 생산공정에서 온실가스의 주된 배출시설은?

    ❶ 전기아크로 ② 배소로

    ③ 소결로 ④ 전해로

 

[12].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석유화학제품 생산의 보고대상 배출시설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❶ 수소 제조시설

    ② 테레프탈산(TPA) 생산시설

    ③ 에틸렌옥사이드(EO) 반응시설

    ④ 카본블랙(CB) 반응시설

 

[13]. 각 탄산염에 따른 광물명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

    ① MgCO₃: 마그네사이트

    ② CaMgㆍ(CO₃)₂: 백운석

    ③ Na₂CO₃: 소다회

    ❹ CaCO3: 능철광

 

[14].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이동연소(도로) 부분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시 필요한 자료와 거리가 먼 것은?

    ① 연료의 열량계수

    ❷ 연료의 생산지

    ③ 연료의 사용량

    ④ 연료에 따른 온실가스의 배출계수

 

[15].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외부에서 공급된 전기사용에 대해 보고대상 온실가스를 모두 옳게 나열한 것은?

    ① CO₂ ② CO₂, CH₄

    ③ CH₄, N₂O ❹ CO₂, CH₄, N₂O

 

[16].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카바이드 생산 공정의 보고대상 온실 가스로만 모두 옳게 나열된 것은?

    ① N₂O ② CH₄, N₂O

    ③ CO₂, N₂O ❹ CO₂, CH₄

 

[17].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석회의 생산 동안 생성되어, 배출량 산정 시 고려되어야 할 소성시설의 부산물은?

    ① CKD ❷ KKD

    ③ Cullet ④ Limestons

 

[18].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석유화학제품 생산공정의 보고대상 배출활동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메탄올 반응시설

    ❷ 암모니아 반응시설

    ③ 에틸렌 옥사이드 반응시설

    ④ 아크릴로니트릴 반응시설

 

[19]. 고정연소(고체연료) 보고대상 배출시설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단,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

    ❶ 위락시설 ② 화력발전시설

    ③ 발전용 내연기관 ④ 공정연소시설

 

[20]. 고형 폐기물 매립시설 중 침출수가 매립시설에서 흘러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매립시설의 바닥과 측면을 폐기물의 성질ㆍ상태, 매립높이, 지형조건 등을 고려하여 점토류 라이너 및 토목합성수지 라이너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차수시설을 설치ㆍ운영하는 것은?

    ① 차단형 매립시설 ❷ 관리형 매립시설

    ③ 저류형 매립시설 ④ 차수형 매립시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2

 

온실가스관리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온실가스관리기사 최신 기출문제 입니다.

play.google.com

 

 

 

[21]. 혐기성 소화조의 소화효율 저하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pH 저하 ❷ 알칼리제 주입

    ③ 소화조내 온도 저하 ④ 독성물질 유입

 

[22].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이동연소(항공) 배출시설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항공기 비행단계별 운항시간

    ② 항공기 연료 종류

    ③ 항공기 비행 거리

    ❹ 항공기 이착륙시의 온도

 

[23]. 아연생산 배출시설 중 광석이 융해되지 않을 정도의 온도에서 광석과 산소, 수증기, 탄소, 염화물 또는 염소 등을 상호작용 시켜서 다음 제련조작에서 처리하기 쉬운 화합물로 변화시키거나 어떤 성분을 기화시켜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로는? (단,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

    ① 용융로 ② 전해로

    ③ 용해로 ❹ 배소로

 

[24].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고형폐기물의 생물학적 처리와 관련한 배출시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사료화 시설 ❷ 분뇨처리시설

    ③ 퇴비화시설 ④ 부숙토 생산시설

 

[25]. 제품 등의 생산공정에 사용되는 특정시설에 열을 제공하거나 장치로부터 멀리 떨어져 이용하기 위해 연료를 의도적으로 연소시키는 시설은? (단,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

    ① 공정배출시설 ② 대기오염물질 방지시설

    ③ 스팀사용시설 ❹ 공정연소시설

 

[26].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N2O를 산정하지 않는 처리시설은?

    ① 하수처리시설 ❷ 폐수처리시설

    ③ 혐기성 분해시설 ④ 폐가스 소각시설

 

[27]. 시멘트 생산 공정 중 다량의 온실가스를 발생하는 시설(공정)로 가장 적합한 것은? (단,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

    ① 가스회수시설 ❷ 소성시설

    ③ 접촉 개질시설 ④ 세척시설

 

[28].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이동연소(도로)에서 도로 부문의 배출시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건설기계 ❷ 무동력 자전거

    ③ 화물자동차 ④ 농기계

 

[29]. 다음 중 CaO와 물이 반응하여 생성되는 것은?

    ① 생석회 ② 석회석

    ❸ 소석회 ④ 수산화칼륨

 

[30].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대표적인 배연탈황시설의 반응 중 생성되는 물질과 거리가 먼 것은?

    ① CaSO₃(아황산칼슘) ② CaSO₄ㆍ2H₂O(석고)

    ❸ CaO(산화칼슘) ④ H₂SO₃(아황산)

[31].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암모니아 생산공정인 수소제조 공정에서 유체 연료로부터 수소를 제조하는 다음의 방법 중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것은?

    ① 변성 개질법 ② 메탄 개질법

    ❸ 수증기 개질법 ④ 질소 개질법

 

[32].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석유화학제품 생산 공정의 공정배출 보고대상 배출시설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메탄올 반응시설

    ❷ 하이드록실아민 반응시설

    ③ 테레프탈산 생산시설

    ④ 아크릴로니트릴 반응시설

 

[33].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PFC-14인 CF₄ 온실가스가 공정배출로 배출되는 산업군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❶ 전자산업 ② 철강산업

    ③ 광물생산 ④ 석유정제

 

[34].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외부 스팀 공급업체에 공급받은 열(스팀)에 대한 간접배출량 산정ㆍ보고 범위로 가장 적합한 것은?

    ❶ 관리업체 사업장 단위

    ② 관리업체 전력 배출시설 단위

    ③ 관리업체의 10MJ당 스팀사용 설비 단위

    ④ 관리업체의 50GJ당 스팀사용 공정 단위

 

[35].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Fe 촉매를 사용하는 수증기 개질법으로 암모니아를 합성할 때 수소와 질소의 비율은?

    ① 1:1 ② 2:1

    ❸ 3:1 ④ 4:1

 

[36]. 2006 IPCC 국가 인벤토리 산정을 위한 가이드라인 기준에 따른 경소백운석(고토석회) 생산량 당 CO₂ 배출계수(tCO₂/t-생산량)로 옳은 것은?

    ① 0.720 ② 0.750

    ③ 0.755 ❹ 0.770

 

[37]. 매립시설의 기능을 3가지로 대별한 구분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저류기능 ❷ 회복기능

    ③ 차수기능 ④ 처리기능

 

[38].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고정연소(고체연료)시설 중 본체 내에 노통화로, 연관 등을 설치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고 있으나, 고압용이나 대용량에는 적합지 않으며, 입식보일러, 연관보일러 등이 해당하는 시설은?

    ① 수관식보일러 ② 주철형보일러

    ③ 유동상보일러 ❹ 원통형보일러

 

[39]. 고정연소시설에 사용하는 기체연료 중 발전소, 산업공정의 스팀과 열생산, 가정이나 상업용 난방 등에 주로 쓰이는 천연가스의 일반적인 주성분은?

    ❶ 메탄 ② 부탄

    ③ 프로판 ④ 에탄

 

[40].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유리 생산 공정 중 융해 공정에서 CO2를 배출하는 주요 원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❶ 생석회 ② 소다회

    ③ 백운석 ④ 석회석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2

 

온실가스관리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온실가스관리기사 최신 기출문제 입니다.

play.google.com

 

 

 

[41].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원료별 사용 비율에 따른 전 세계카프로락탐 생산능력이 큰 순서부터 작은 순서로 옳게 나열된 것은?

    ① 페놀 > 톨루엔 > 싸이클로헥산

    ② 톨루엔 > 싸이클로헥산 > 페놀

    ❸ 싸이클로헥산 > 페놀 > 톨루엔

    ④ 페놀 > 싸이클로헥산 > 톨루엔

 

[42].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아연생산 공정과 거리가 먼 것은?

    ❶ 질산제조공정 ② 정제공정

    ③ 제련공정 ④ 소결공정

 

[43].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철강생산 공정의 보고대상 배출시설 중 “제선로에서 만들어진 선철중의 불순물 제거, 탈탄처리, 합금원소 첨가 등 정련작업을 하여 소정 품질의 강재를 생산하는데 사용되는 로”에 해당하는 것은?

    ① 용선로 ② 코크스로

    ③ 소결로 ❹ 평로

 

[44].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고형 폐기물의 생물학적 처리의 보고대상 배출시설과 거리가 먼 것은?

    ① 퇴비화시설 ❷ 고도처리시설

    ③ 부숙토 생산시설 ④ 혐기성 분해시설

 

[45]. 2006 IPCC 국가 인벤토리 작성을 위한 가이드라인 기준에 따른 “생석회 생산량 당 CO2 배출계수(tCO2/t-생산량)”로 옳은 것은?

    ① 0.600 ② 0.650

    ③ 0.700 ❹ 0.750

 

[46].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석탄 채굴 및 처리 활동에서의 탈루성 보고대상 온실가스로만 모두 옳게 나열한 것은?

    ① CO₂ ❷ CH₄

    ③ N₂O, CO₂, CH₄ ④ CH₄, N₂O

 

[47].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철강생산 시 고급특수강이나 주물을 주조하는데 주로 사용하는 로는?

    ① 전기아크로 ② 전로

    ❸ 유도로 ④ 고로

 

[48].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이동연소 선박부문의 배출량을 Tier 2, 3 수준으로 산정 시 적용하는 활동자료로 거리가 먼 것은?

    ① 연료 종류 ② 선박 종류

    ③ 엔진 종류별 연료사용량 ❹ 엔진 부하율

 

[49].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하ㆍ 폐수 처리 및 배출의 보고대상 배출시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가축분뇨공공처리시설 ② 공공하수처리시설

    ③ 분뇨처리시설 ❹ 부숙토처리시설

 

[50].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철강생산에서 발생되는 공정 부생 가스가 아닌 것은?

    ① 코크스오븐 가스(COG) ❷ 카본클랙 가스(CBG)

    ③ 전로 가스(LDG) ④ 고로 가스(BFG)

[51].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고정연소(고체연료) 온실가스 보고대상 배출시설 중 공정연소시설에 해당하지 않는 시설은?

    ❶ 배연탈황시설 ② 건조시설

    ③ 가열시설 ④ 용융ㆍ융해시설

 

[52].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석유화학제품 생산 공정의 공정배출 보고대상 배출시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EDC/VCM 반응시설

    ② 에틸렌옥사이드 반응시설

    ③ 카본블랙 반응시설

    ❹ 하이드록실아민 반응시설

 

[53].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고형폐기물 매립을 위한 관리형 매립시설의 주요시설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매립가스처리시설 ② 우수집배수시설

    ③ 침출수처리시설 ❹ 콘크리트차단벽시설

 

[54].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고형폐기물의 생물학적 처리유형 중 혐기성 소화과정에서 주로 발생되는 대표적인 온실가스는?

    ① 일산화탄소 ② 아산화질소

    ③ 육불화황 ❹ 메탄

 

[55].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광물분야의 여러 공정 중 온실가스가 배출되는 원리가 다른 것은?

    ① 석회 생산시 석회석 사용

    ② 시멘트 생산시 석회석 사용

    ❸ 배연탈황시설의 흡수제로 석회석 사용

    ④ 유리 생산 시 용융ㆍ용해시설에서 석회석 사용

 

[56].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이동연소의 온실가스 보고 대상 배출시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민간 항공기 ② 전기기관차

    ③ 이륜자동차 ❹ 이동식 소각로

 

[57].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이동연소(도로)의 보고대상 배출시설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① 경영 승용자동차 ② 대형 승합자동차

    ③ 대형 화물자동차 ❹ 경형 이륜자동차

 

[58].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이동연소 온실가스 배출량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 거리가 먼 것은?

    ① 연료 종류에 대한 온실가스 배출계수

    ② 연료의 순발열량

    ③ 연료 사용량

    ❹ 연료의 온도

 

[59].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하ㆍ폐수 처리 공정 중 질소, 인으로 대표되는 영양 염류의 제거를 주목적으로 수행하는 처리과정은?

    ❶ 고도 처리 ② 2차 처리

    ③ 호기성 처리 ④ 열분해 처리

 

[60].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온실가스 배출분야의 석유정제공정 중 배출시설의 종류가 아닌 것은?

    ❶ 소성시설 ② 수소 제조시설

    ③ 촉매재생시설 ④ 코크스 제조시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2

 

온실가스관리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온실가스관리기사 최신 기출문제 입니다.

play.google.com

 

 

 

[61]. 연소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열손실을 줄이기 위해 배기가스의 온도를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터뷰레이터 설치를 통한 열전달 비율의 증가

    ② 이코노마이저를 이용한 증기 발생

    ③ 공기예열기 설치를 이용한 연료의 예열

    ❹ 기체연료의 공급압력 증가로 연소출력 증가

 

[62].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석회석을 탈탄산 시켜서 제조하는 것은?

    ❶ 생석회 ② 소석회

    ③ 수산화칼슘 ④ 탄산마그네슘

 

[63]. 매립폐기물 내 분해 가능한 탄소가 수십 년에 걸쳐 혐기성 분해된다는 가정에서 출발한 일차분해반응모델로서 매립시설에서 메탄배출량 산정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는 방법은?

    ① Mass Balance Method

    ❷ First Order Decay Method

    ③ Affordable Budgeting Method

    ④ Competitive Parity Method

 

[64].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유리생산에서 주요 온실가스 배출공정은 융해공정이다. 이 융해공정 중 CO₂를 배출하는 주요원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❶ 알루미나 ② 석회석

    ③ 백운석 ④ 소다회

 

[65].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온실효과를 유발하는 온실가스 중 수소불화탄소(HFCs)에 해당하지 않는 물질은?

    ① HFC-23 ❷ HFC-40

    ③ HFC-143a ④ HFC-236fa

 

[66].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암모니아 생산시설에서의 공정개선방법으로 사용되는 것과 거리가 먼 것은?

    ① 공정제어의 고도화 ② 폐열 활용 시스템 개선

    ③ 개질기 개선 ❹ N₂O 분해 촉매반응 적용

 

[67].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석회석(CaCO₃)이 사용되지 않는 공정은?

    ① 유리생산 공정 ❷ 암모니아생산 공정

    ③ 카아이드생산 공정 ④ 철강생산

 

[68]. 폐기물 처리는 기능적으로 4단계로 구분된다. 그 중 폐기물의 소각은 어느 단계에 속하는가?

    ① 발생억제 ② 재활용

    ❸ 중간처리 ④ 최종처리

 

[69]. 상부에서 장입되어 하부로 이동되는 방식이며, 에너지효율이 높은 장점이 있으나, 생산율이 낮고 석탄을 사용하는 경우 품질저하를 가져오는 단점을 가진 킬른은?

    ❶ Shaft Kiln ② Lepol Kiln

    ③ Rotary Kiln ④ Suspension Preheater Kiln

 

[70]. 본체 내부에 노통화로, 연관 등을 설치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고 있으나, 고압용이나 대용량에는 적합하지 않은 배출시설은?

    ① 수관식 보일러 ② 주철형 보일러

    ❸ 원통형 보일러 ④ 소각 보일러

[71].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석유화학제품 생산공정 중 보고대상시설에 속하지 않는 시설은?

    ❶ 촉매 반응시설 ② 메탄올 반응시설

    ③ 카본블랙 반응시설 ④ 에틸렌옥사이드 반응시설

 

[72].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이동연소 온실가스 배출시설 중 철도수송차량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전기기관차 ❷ 화물차량

    ③ 고속차량 ④ 디젤동차

 

[73]. 온실가스 직접배출 시설 중에는 이동연소(도로) 배출시설도 포함된다. 다음 중에서 직접연소 이동연소(도로) 배출시설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휘발유 승용자동차 ② 경유 승합자동차

    ③ 디젤 화물자동차 ❹ 전동 지게차

 

[74].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시멘트 제조 공정에서 거의 모든 광물반응 및 전이가 일어나고 시멘트의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공정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은?

    ❶ 예열기에서 소성로까지 공정 ② 제품 및 출하공정

    ③ 소성로에서 냉각기까지 공정 ④ 분쇄공정

 

[75]. 농업 작물, 농임산 부산물, 또는 유기성 폐기물 등으로 생물 또는 생물 기원의 모든 유기체 유기물을 포함하여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한 원료로 사용되기도 하는 것은?

    ① 원유 ② 부생연료

    ❸ 바이오매스 ④ 코크스

 

[76].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매립분야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방법 중 FOS Method(First Order Decay Method)의 입력변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① MCF(호기성 분해에 대한 에탄 보정계수)

    ❷ FCF(매립 폐기물 내 화석탄소 비율)

    ③ k(메탄발생 속도상수)

    ④ OX(매립지 표면에서의 산화율)

 

[77]. 습지에서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시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① 온실가스 배출이 안정화되는 기간

    ② 습지가 결정되거나 해빙된 일수

    ❸ 자연적으로 생성된 습지 면적

    ④ 인공적으로 생성된 습지 면적

 

[78]. 외부에서 공급된 전기사용량에 대한 온실가스 중 보고대상의 조합이 올바른 것은?

    ① CO₂만 ② CO₂, CH₄만

    ③ N₂O만 ❹ CO₂, CH₄, N₂O만

 

[79]. 다음 배출 시설 중 철강생산 공정배출 시설과 가장 거리가 먼 배출시설은? (단,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 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

    ① 코크스로 ❷ 가열로

    ③ 고로 ④ 전로

 

[80]. 철강 생산시설에서 배출되는 보고대상 온실가스가 옳게 짝지어진 것은?

    ① CO₂, HFCs ② CO₂, NO₂

    ❸ CO₂, CH₄ ④ CH₄, NO₂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2

 

온실가스관리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온실가스관리기사 최신 기출문제 입니다.

play.google.com

 

 

 

[81]. 우리나라 건축물의 온실가스 배출 벤치마크 계수 개발 시 적용되는 배출량의 범위로 맞는 것은?

    ① 간접배출만 반영

    ② 직접배출만 반영

    ❸ 간접 및 직접배출 모두 반영

    ④ 건축물의 용도에 따라 다름

 

[82]. 이동연소 도로 부분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시 필요한 자료가 아닌 것은?

    ① 연료 순발열량 ❷ 연료 생산지

    ③ 연료 소비량 ④ 연료의 배출계수

 

[83]. 철강생산 시설의 일관제철공정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에 필요한 자료가 아닌 것은?

    ① 연료 및 원료의 탄소 함량 ❷ 공정의 산소 주입량

    ③ 생산되는 제품의 탄소함량 ④ 제품의 생산량

 

[84]. 증기보일러에서 스팀을 생산하는데 에너지 저감 및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다음 중 에너지 저감 또는 온실가스 감축에 가장 효과가 적은 것은? (단,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 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

    ❶ 공업용수를 보일러 급수로 100% 이용

    ② 탈기 공급수의 이용

    ③ 공정 등에서 발생되는 폐열의 이용

    ④ 이코노마이저의 이용

 

[85]. 폐기물 소각시설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① 배가스 처리

    ② 에너지 회수 증가

    ③ 에너지 공급 효율성 증가

    ❹ 플라스틱 등 고열량 폐기물 투입

 

[86]. 제품의 생산 공정 및 제품사용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 활동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석유정제활동

    ② 철강생산

    ❸ 석탄의 채굴

    ④ 오존층파괴물질의 대체물질 사용

 

[87]. 고정연소에 의한 배출시설이 아닌 것은? (단,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 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

    ① 화력발전시설 ② 열병합발전시설

    ❸ 소성시설 ④ 일반보일러시설

 

[88]. 석유정제공정의 보고대상 배출시설이 아닌 것은?

    ❶ 카본블랙 반응시설 ② 수소제조시설

    ③ 촉매재생시설 ④ 코크스 제조시설

 

[89]. 증류의 원리에 의해서 원유를 가열, 냉각 및 응축과 같은 물리적 변화 과정을 통하여 일정한 범위의 비점을 가진 석유 유분을 분리시키는 공정은?

    ❶ 상압증류공정 ② 메록스공정

    ③ 가스회수공정 ④ 접촉개질공정

 

[90]. 반도체 및 기타 전자부품 제조시설에서 온실가스 공정배출시설이 옳게 짝지어진 것은?

    ❶ 식각시설, 증착시설

    ② 시각시설, 결정성장로

    ③ 결정성장로, 증착시설

    ④ 웨이퍼 세정시설, 잉곳 절단 시설

[91]. 합금철 생산에서 전기아크로에 투입되는 원료로 볼 수 없는 것은? (단,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

    ① 철스크랩 ② 석회

    ❸ 슬랙 ④ 흑연전극

 

[92].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에서 석유화학제품 생산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단,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

    ① 메탄올 생산 ❷ 암모니아 생산

    ③ 에틸렌 옥사이드 생산 ④ 아크릴로니트릴 생산

 

[93]. 혐기성 소화조의 소화효율 저하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단,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

    ① pH저하 ❷ 알칼리도 유입

    ③ 조화조 내 온도저하 ④ 낮은 유기물 함량

 

[94]. 온실가스 배출시설의 종류 및 이동연소 도로 차량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단,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

    ① 승용자동차 ❷ 무동력 자전거

    ③ 화물자동차 ④ 농기계

 

[95]. 옥탄가가 낮은 경질유분의 탄화수소 구조를 바꾸어 옥탄가가 높은 유분으로 변환시키는 공정은? (단,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

    ① 메록스 ② 수첩탈황

    ❸ 리포오밍 ④ 감압증류

 

[96]. 폐기물 소각 배출시설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단,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

    ❶ 폐열 보일러 ② 적출물 소각시설

    ③ 폐가스 소각시설 ④ 폐수 소각시설

 

[97]. 시멘트 제조공정의 소성공정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 (단,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

    ❶ 예열기-소성로-냉각기-크링커 치장

    ② 예열기-소성로-크링커 치장-냉각기

    ③ 크링커 치장-예열기-소성로-냉각기

    ④ 예열기-크링커 치장-소성로-냉각기

 

[98]. 온실가스 배출시설 중 고정연소 배출시설이 아닌 것은? (단,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

    ① 열병합 발전시설 ② 일반 보일러시설

    ③ 공정연소시설 ❹ 수상황해시설

 

[99]. 배연탄황시설의 반응 중 생성되는 물질이 아닌 것은? (단,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

    ① CaSO₃(아황산칼슘) ② CaSO₄2H₂0(석고)

    ❸ CaO(산화칼슘) ④ H₂SO₃(아황산)

 

[100]. 철강 생산의 공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단,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

    ❶ 재선공정-제강공정-연주공정-압연공정

    ② 제선공정-제강공정-압연공정-연주공정

    ③ 제강공정-제선공정-연주공정-압연공정

    ④ 제강공정-제선공정-압연공정-연주공정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2

 

온실가스관리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온실가스관리기사 최신 기출문제 입니다.

play.google.com

 

 

 

[101]. 고형폐기물의 배출시설 분류중 생물학적 처리시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단,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

    ① 사료화 시설 ❷ 매립시설

    ③ 부숙토 생산시설 ④ 퇴비화 시설

 

[102]. Fe 촉매를 사용하는 수증기 개질법으로 암모니아를 합성할 때 수소와 질소의 비율은? (단,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

    ① 1:1 ② 2:1

    ❸ 3:1 ④ 4:1

 

[103]. 제품 등의 생산공정에 사용되는 특정시설에 열을 제공하거나 장치로부터 멀리 떨어져 이용하기 위해 연료를 의도적으로 연소시키는 시설은? 단.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

    ① 공정배출시설 ② 대기오염물질 방지시설

    ③ 일반보일러 시설 ❹ 공정연소시설

 

[104]. ketone-Alcohol Oil (cyclohexanone : Cyclohexanol=6:4)을 질산과 반응시킨 후 결정 및 정제, 건조 공정을 통해서 생산되는 물질은? (단,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

    ① 암모니아 ② 우레아

    ③ 요소 ❹ 아디프산

 

[105]. 아연생산 배출시설 중 광석이 융해되지 않을 정도의 온도에서 광석과 산소, 수증기, 탄소, 염화물 또는 염소 등을 상호작용 시켜서 다음 제련조작에서 처리하기 쉬운 화합물로 변화시키거나 어떤 성분을 기화시켜 제거하는 데 사용되는 로는? 단.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

    ① 용융로 ② 전해로

    ③ 용해로 ❹ 배소로

 

[106]. 석유정제공장의 배출권 할당 방식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그랜드 파더링

    ② 과거 3년 온실가스 배출량 총량 평균 값

    ③ BAU

    ❹ CWB

 

[107]. 다음 중 합금철 생산공정에서 온실가스의 주된 배출 시설은? (단,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

    ❶ 전로 ② 배소로

    ③ 소결로 ④ 용융ㆍ용해로

 

[108]. 매립지의 기능을 3가지로 대별한 구분으로 틀린 것은? (단,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

    ① 저류기능 ❷ 회복기능

    ③ 차수기능 ④ 처리기능

 

[109]. 전자 산업 공정중 웨이퍼 제조공정이 아닌 것은? (단,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

    ❶ 성형 ② 단결정 성장

    ③ 절단 ④ 경면연마

 

[110]. 시멘트를 생산하는 공정 중에서 다량의 온실가스를 발생하는 시설(공정)로 옳은 것은? (단,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

    ① 가스회수시설 ❷ 소성시설

    ③ 접촉 재질시설 ④ 세척시설

 

[111]. 다음 중 아연제련 생산공정이 아닌 것은? (단,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

    ❶ 질산제조공정 ② 용해공정

    ③ 주조공정 ④ 배소공정

 

[112]. 고형 폐기물의 생물학적 처리 구분으로 틀린 것은? (단,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

    ① 퇴비화

    ❷ 고도처리

    ③ 유기 폐기물의 혐기성 소화

    ④ 폐기물의 기계-생물학적(MB) 처리

 

[113]. 질산생산공정 중 촉매연소시 촉매반응을 저해하는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단,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

    ① 대기오염으로 인한 독성 및 암모니아로부터의 오염

    ② 암모니아-공기 혼합 부족

    ❸ 마그네틱 필터 사용

    ④ 촉매 부근의 가스 분포 부족

 

[114]. 폐기물 소각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 시설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단,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

    ① 소각보일러 ❷ 열분해 소각시설

    ③ 폐가스 소각시설 ④ 폐수 소각시설

 

[115]. 철강생산공정 중 제선공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단,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

    ① 소결 공정 ❷ 전로공정

    ③ 코크스 공정 ④ 고로 공정

 

[116]. 다음 중 “석유화학 제품 생산 배출시설” 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❶ 수소 생산시설 ② 나프타 분해시설

    ③ 에틸렌옥사이드 생산시설 ④ 카본블랙 생산시설

 

[117]. 고정연소 온실가스 배출시설 중 공정연소 시설에 해당하지 않는 시설은? (단,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

    ❶ 배연탈황시설 ② 건조시설

    ③ 가열시설 ④ 용융ㆍ융해시설

 

[118]. 혐기성 소화과정에서 발생되는 대표적인 온실가스는? (단,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

    ① 일산화탄소 ② 아산화질소

    ③ 육불화황 ❹ 메탄

 

[119]. 다음중 석유정제 공정을 크게 3단계로 구분할 때 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단,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

    ❶ 분리 ② 정제

    ③ 배합 ④ 증류

 

[120]. 고형폐기물 매립을 위한 관리형 매립시설의 주요시설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매립가스처리시설 ② 우수집배수시설

    ③ 침출수집배수시설 ❹ 콘크리트차단벽시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2

 

온실가스관리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온실가스관리기사 최신 기출문제 입니다.

play.google.com

 

 

 

[121]. 하 폐수 처리공정 중 질소, 인으로 대표되는 영양 염류의 제거를 주목적으로 수행하는 처리 과정은?

    ❶ 고도 처리 ② 2차 처리

    ③ 호기성 처리 ④ 열분해 처리

 

[122]. 전자산업에서 다음의 웨이퍼 가공 공정 중 가장 먼저 이루어지는 것은?(단,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

    ❶ 박막형성공정 ② 식각공정

    ③ 성형공정 ④ 사진공정

 

[123]. 아연제련 생산 공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단, 온실가스 에너지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

    ① 배소공정 ② 황산제조공정

    ❸ 결합공정 ④ 주조공정

 

[124]. 석회 생산을 위한 킬른에서 주로 사용되는 액체 연료는? (단, 온실가스 에너지목표관리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

    ① 등유 ❷ 중유

    ③ 경유 ④ 휘발유

 

[125]. 소금을 원료로 하여 소다회를 생산하는 제법으로 틀린 것은? (단, 온실가스 에너지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지침 기준)

    ① 프블랑(Leblanc)법 ② 암모니아 소다법

    ❸ (Merox)법 ④ 염안 소다법

 

[126]. 고형 폐기물 매립시설 중, 침출수가 매립시설에서 흘러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매립시설의 바닥과 측면을 폐기물의 성질, 상태, 매립높이 지형조건 등을 고려하여 점토류 라이너 및 토목합성수지 라이너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차수시설을 설치 운영하는 것은?

    ① 차단형 매립시설 ❷ 관리형 매립시설

    ③ 저류형 매립시설 ④ 차수형 매립시설

 

[127]. 철강생산공정을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단, 온실가스 에너지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지침 기준)

    ① 제강 → 제선 → 연주 → 압연

    ② 제강 → 제선 → 압연 → 연주

    ❸ 제선 → 제강 → 연주 → 압연

    ④ 제선 → 제강 → 압연 → 연주

 

[128]. 석회석을 탈탄산시켜서 제조하는 것은? (단, 온실가스에너지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

    ❶ 생석회 ② 소석회

    ③ 수산화칼슘 ④ 탄산마그네슘

 

[129]. “기체, 액체 혹은 고체 상태의 원료 화합물을 반응기내에 공급하여 기판 표면에서의 화학적 반응을 유도함으로써 반도체 기판 위에 고체 반응 생성물인 박막층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전자산업, 특히 반도체공정에 주로 이용하는 공정은? (단, 온실가스 에너지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

    ① 식각공정 ❷ 화학기상 증착공정

    ③ 성형공정 ④ 세정공정

 

[130]. 유리생산공정 중 융해 공정에서 CO2를 배출하는 주요원료(첨가제)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단, 온실가스 에너지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

    ❶ 생석회 ② 소다회

    ③ 백운석 ④ 석회석

 

[131]. 석유화학제품의 생산의 카본블랙 제조공정에서 물질수지의 흐름(토입-Input, 배출-Output)이 옳게 연결된 것은? (단, 온실가스 에너지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

    ① 투입 - 카본블랙 ② 투입 - 폐기물

    ③ 배출 - 원료 ❹ 배출 - 폐열

 

[132]. 하폐수 처리의 온실가스 배출시설이 아닌 것은? (단, 온실가스 에너지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

    ① 수질오염방지시설 ② 폐수종말처리시설

    ③ 분뇨처리시설 ❹ 부숙토처리시설

 

[133]. 암모니아 생산 공정인 수소제조 공정에서 유체 연료로부터 수소를 제조하는 다음의 방법중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것은? (단, 온실가스 에너지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기준)

    ① 변성 개질법 ② 메탄 개질법

    ❸ 수증기 개질법 ④ 공기 개질법

 

[134]. HCFC-22생산과정에서 부산물 형태로 배출되는 온실가스는? (단, 온실가스 에너지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

    ① SH6 ② HCF-12

    ❸ HCF-23 ④ N20

 

[135]. 고정연소시설에 사용하는 연료 중 천연가스의 일반적인 주성분은?

    ❶ 메탄 ② 부탄

    ③ 프로탄 ④ 에탄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2

 

온실가스관리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온실가스관리기사 최신 기출문제 입니다.

play.google.com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2

 

온실가스관리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온실가스관리기사 최신 기출문제 입니다.

play.google.com

 

 

 

[0].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생산물“의 원소함량 등을 분석하고자 하는 경우 최소 분석 주기기준으로 옳은 것은?

    ① 주 1회 ❷ 월 1회

    ③ 분기 1회 ④ 반기 1회

 

[1].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관리업게 A에서 납 생산공정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시 Tier 1을 적용할 때, 활동자료 측정불확도 기준으로 적합한 것은?

    ❶ ±7.5% 이내의 납 생산량 자료를 사용한다.

    ② ±5.0% 이내의 납 생산량 자료를 사용한다.

    ③ ±2.5% 이내의 납 생산량 자료를 사용한다.

    ④ ±2.0% 이내의 납 생산량 자료를 사용한다.

 

[2].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결과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배출량 산정결과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배출계수의 고도화가 필요하다. 다음 중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시 신회도가 가장 낮은 것은?

    ① 사업장 고유 배출계수

    ② 국가 고유 배출계수

    ❸ IPCC 기본 배출계수

    ④ 사업장 내 연속측정 방법에 따른 배출량 산정

 

[3]. 온실가스 배출활동을 직접 배출과 간접배출로 구분할 때, 다음 중 직접배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공정배출

    ② 탈루배출

    ❸ 외부로부터 구입되어 조직 내에서 사용되는 전기 생산과정에서 배출

    ④ 이동연소 배출

 

[4].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용어의 정의 중 “온실가스 감축 및 에너지 절약과 관련하여 경제적ㆍ기술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면서 가장 최신이고 효율적인 기술, 활동 및 운전방법”을 말하는 것은?

    ❶ 최적가용기술 ② 실용신안기술

    ③ 벤치마크기술 ④ 적정운영기술

 

[5].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에 의거, 배출량 보고와 관련한 위험을 완화하는 일련의 활동을 내부 감사(internal audit)라 하며, 할당 대상업체는 매년 배출량 산정ㆍ보고 철자와 관련한 내부감사 활동을 실시하고 이를 평가하여 주기적으로 이를 개선해야 한다. 다음 중 배출량 보고와 관련한 위험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고유 위험 ② 통제 위험

    ❸ 인적 위험 ④ 오류 및 누락

 

[6].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이동연소(항공)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을 위한 LTO에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항공기 운항 중 순항단계를 의미한다.

    ❷ 항공기 운항 중 이착륙단계를 의미한다.

    ③ 항공기 운항 중 국제선 운항을 의미한다.

    ④ 항공기 운항 중 국내선 운항을 의미한다.

 

[7].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굴뚝연속자동측정방법에 따른 배출량의 실시간 측정자료를 전자적 방식으로 해당 관장기관에게 제출해야 하는데, 이 실시간 측정자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CO₂ 농도 ② 배출가스 유량

    ③ 배출구 온도 ❹ 배출구 습도

 

[8].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배출량 산정(명세서 작성 등)과정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은 사람에 의해 수행되는 검토 절차의 계획된 시스템”을 의미하는 것은?

    ① 품질관리(QC) ❷ 품질보증(QA)

    ③ 리스크분석 ④ 불확도산정

 

[9].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산정등급(Tier)과 배출계수 적용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Tier 1 - IPCC 기본 배출계수 활용

    ② Tier 2 - 국가고유 배출계수 활용

    ③ Tier 3 - 사업장ㆍ배출시설별 배출계수 사용

    ❹ Tier 4 - 전 세계 공통의 배출계수 사용

 

[10]. 이산화탄소에 대한 온실가스의 복사 강제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해당 온실가스의 양에 지구온난화지수를 곱하여 산출한 값의 적절한 것은?

    ① ton C ② TOE

    ③ ton CO₂ ❹ ton CO₂ eq

ㅁㅁㅁ

[11].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화학산업 온실가스 배출활동에 해당 하지 않는 것은?

    ① 질산 생성 ② 카바이드 생산

    ③ 소다회 생산 ❹ 석회 생산

 

[12].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모니터링 계획 작성원칙 중 “모니터링 계획에 보고된 동일 배출시설 및 배출활동에 관한 데이터는 상호비교가 가능하도록 해야한다.”는 것과 가장 관련이 깊은 원칙은?

    ① 준수성 ❷ 일관성

    ③ 투명성 ④ 완전성

 

[13].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운영을 위한 검증지침에서 외부사업 온실가스 감축량을 검증 시 “대표적인 자료 혹은 배출시설의 배출량을 선택하여 원시데이터의 발생부터 배출량 산정까지의 흐름을 근거자료로서 추적”하는 검증기겁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관찰 ② 재계산

    ③ 분석 ❹ 역추적

 

[14].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하ㆍ폐수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시 CO2는 배출량 산정에서 제외하는 주된 원인으로 가장 적합한 사항은?

    ① 배출계수가 없으므로

    ❷ 생물에서 기원하므로

    ③ 하ㆍ폐수에서 CO₂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④ 소량 발생하므로

 

[15].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운영을 위한 검증지침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의 산정결과와 관련하여 정형화된 양을 합리적으로 추정한 값의 분산특성을 나타내는 정도”를 무엇이라 하는 가?

    ① 리스크 ② 중요성

    ③ 합리적 보증 ❹ 불확도

 

[16]. 배출량 산정ㆍ보고 원칙 중 배출량을 과대 또는 과소평가되지 않도록 산정해야 함을 나타내는 원칙은?

    ① 투명성 ② 일관성

    ③ 완전성 ❹ 정확성

 

[17].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에 따른 배출시설의 배출량 규모에 따른 산정등급(Tier) 분류기준에서 연간 50만톤 이상의 배출시설에 해당하는 그룹은?

    ① A그룹 ② B그룹

    ❸ C그룹 ④ D그룹

 

[18].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운영을 위한 검증지침상 검증대상 내부의 관리구조상 오류를 적발하지 못한 리스크에 해당하는 것은?

    ① 고유리스크 ② 상대리스크

    ❸ 통제리스크 ④ 검출리스크

 

[19]. 매립, 하ㆍ폐수 처리 등의 활동에서 회수하여 재이용할 수 있는 온실가스의 종류는?

    ① 육불화황 ❷ 메탄

    ③ 이산화질소 ④ 수소불화탄소

 

[20].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탈루성 배출시설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원유 저장시설 ② 지하 탄광

    ❸ 화물선 ④ 천연가스 저장시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2

 

온실가스관리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온실가스관리기사 최신 기출문제 입니다.

play.google.com

 

 

 

 

[21]. 다음 고체연료 중 연소과정에서의 이산화탄소 직접배출량을 총 온실가스 배출량에서 제외하는 연료는?

    ① 무연탄 ② 갈탄

    ③ 역청탄 ❹ 목탄

 

[22].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에 따라 고정연소(고체연료) 중 발전부문에 대해 Tier 2방식으로 배출량 산정시 적용하는 산화계수는?

    ❶ 0.99 ② 0.98

    ③ 0.97 ④ 0.96

 

[23].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규정에서 정의하는 바이오매스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폐목재 ② 매립지가스

    ❸ 산업폐기물 ④ 목탄

 

[24].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에 의거 철강생산에서 보고대상 배출시설이 아닌 것은?

    ① 소결로 ② 전로

    ③ 전기아크로 ❹ 종착로

 

[25]. 고정연소시설에서 에너지 이용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시 배출시설별 교유 배출계수를 개발하여 사용해야 하는 배출시설 규모는?

    ❶ 50만 tCO₂-eq 이상 ② 40만 tCO₂-eq 이상

    ③ 30만 tCO₂-eq 이상 ④ 20만 tCO₂-eq 이상

 

[26].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굴뚝연속자동측정방법에 따른 배출량 제출 시 실시간 측정자료를 전자적 방식으로 해당관장에게 제출해야 하는데, 이 실시간 측정자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CO₂ 농도 ② 배출가스 유량

    ③ 배출구 온도 ❹ 배출구 습도

 

[27].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에 따라 합성불확도 상정 시 활동자료의 상대확장불확도가 30%, 배출계수의 상대확장불확도가 20%일 경우, 배출량의 상대확장불확도는?

    ① 46.05% ❷ 46.05%

    ③ 25% ④ 22.25%

 

[28].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에 따라 모니터링 계획 작성 시 반드시 포함되지 않아도 되는 사항은?

    ① 활동자료의 모니터링 방법

    ❷ 배출시설의 관리업체 지정연도 및 관리자 변경현황

    ③ 품질관리/품질보증 활동 계획

    ④ 배출시설별 모니터링 방법

 

[29]. 기록과 문서의 정확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검증심사원이 직접 계산하고 확인하는 검증기법은 무엇인가?

    ❶ 재계산 ② 분석

    ③ 역추적 ④ 열람

 

[30].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 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중 품질관리 활동의 4가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기초자료의 수집 및 정리

    ❷ 불확도 산정 결과

    ③ 산정 결과의 적절성

    ④ 보고의 적절성

ㅁㅁㅁ

[31].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 중 활동자료가 아닌 것은?

    ① 연소된 연료의 양 ❷ 연료의 산화율

    ③ 사육된 가축두수 ④ 퇴비화된 음식물폐기물 양

 

[32].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 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상 굴뚝연속자동측정기에 의한 배출량 산정시 CO₂ 농도는 어떤 자료를 사용하는가?

    ① 5분 평균농도 ② 10분 평균농도

    ❸ 30분 평균농도 ④ 1시간 평균농도

 

[33]. 온실가스 배출량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계획서를 작성하려고 할 때, 모니터링 계획서에 포함되지 않아도 되는 사항은?

    ① 배출시설별 모니터링 방법

    ② 배출시설별 황동자료의 측정 지점

    ③ 배출활동별 매개변수 산정등급

    ❹ 측정기기의 구입처 및 가격

 

[34]. 철강생산 공정 중 온실가스의 직접배출(scope1)이 일어나지 않은 공정은?

    ❶ 연주공정 ② 고로공정

    ③ 제강공정 ④ 소결공정

 

[35]. 다음 중 폐기물부문 보고대상 온실가스가 아닌 것은?

    ① 매립에 의한 메탄

    ② 하수처리과정 중 유기물 분해에 따른 메탄

    ❸ 바이오매스의 소각에 의한 이상화탄소

    ④ 폐수처리과정 중 유기물 분해에 따른 메탄

 

[36]. 배출량 산정등급에서 국가고유 배출계수 및 발열량 등 일정부분 시험분석을 통하여 개발한 매개변수 값을 활용하는 배출량 산정방법론은?

    ① Tier 1 ❷ Tier 2

    ③ Tier 3 ④ Tier 4

 

[37]. 산정된 개별 온실가스의 배출량은 지구온난화지수를 이용하여 합산된다. 디음 중 다양한 온실가스의 총 배출량을 나타내는 단위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tC ② TOE

    ③ tCO₂ ❹ tCO₂-eq

 

[38].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 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상 연속자동측정방법에 따른 이산화탄소 측정기기 검사항목 기준으로 틀린 것은?

    ① 교정오차 5% 이하

    ❷ 상대정확도 20% 이하

    ③ 영점편차(2시간) 0.4%이하

    ④ 교정편차(2시간) 0.4%이하

 

[39].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제 하에서 배출량 산정(명세서 작성등) 과정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은 사람에 의해 수행되는 검토 절차의 계획도니 시스템에 가장 가까운 것은?

    ① 품질관리(QC) ❷ 품질보증(QA)

    ③ 리스크분석 ④ 불확도산정

 

[40].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제 하에서 ‘탄산염의 기타 공정사용’에서 Tier 2활동자료에 대한 측정불확도 기준은?

    ① ±9.5% 이내 ② ±7.5% 이내

    ❸ ±5.0% 이내 ④ .±2.5% 이내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2

 

온실가스관리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온실가스관리기사 최신 기출문제 입니다.

play.google.com

 

 

 

 

[41].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제 하에서 이동연소(항공)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을 위한 LTO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항공기 운항 중 순항단계를 의미한다.

    ❷ 항공기 운항 중 이착륙단계를 의미한다.

    ③ 항공기 운항 중 국제선 운항을 의미한다.

    ④ 항공기 운항 중 국내선 운항을 의미한다.

 

[42].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제 하에서 고상폐기물의 소각 과정에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한 매개변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폐기물 성상(i)별 건조물질 질량 분율

    ② 화석탄소 질량 분율

    ③ 산화계수

    ❹ 순발열량

 

[43].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제 하에서 활동자료 수집에 따른 모니터링 유형 중 근사법에 따른 모니터링 유형은?

    ① A 유형 ② B 유형

    ❸ C 유형 ④ D 유형

 

[44].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제 하에서 운영경계 설정시 운영경계 구분에서 다음 중 Scope 2에 해당하는 사항은?

    ❶ 외부에서 구매한 전기 또는 열

    ② 고정연소 배출원

    ③ 이동연소 배출원

    ④ 하, 폐수 처리시설 배출원

 

[45].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제 하에서 온실가스 배출량 등의 산정정차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조직 경계의 설정

    ② 모니터링 유형 및 방법의 설정

    ③ 배출량 산정 및 모니터링 체계의 구축

    ❹ 목표설정

 

[46].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제 하에서 하ㆍ폐수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시 CO2는 배출량 산정에서 제외하고 있는데, 다음 중 제외하는 주된 원인으로 가장 적합한 사항은?

    ① 배출계수의 부재

    ❷ 생물에서 기원

    ③ 하ㆍ폐수에서는 CO₂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④ 소량 발생하므로

 

[47].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제 하에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결과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배출계수의 고도화가 필요하다. 다음 중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시 신뢰도가 가장 낮은 것은?

    ❶ IPCC 기본 배출계수

    ② 국가 고유 배출계수

    ③ 사업장 고유 배출계수

    ④ 사업장내 연속측정법에 따른 배출량 산정

 

[48].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제 하에서 폐기물 소각에서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시 Tier 1의 배출계수를 적용할 경우 FCF값(화석탄소 함유율)이 0인 생활폐기물은?

    ① 섬유 ② 플라스틱

    ❸ 음식물 ④ 고무

 

[49].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제 하에서 산정등급(Tier)과 배출계수 적용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Tier 1 – IPCC 기본 배출계수 활용

    ② Tier 2 – 국가고유 배출계수 사용

    ③ Tier 3 – 사업장ㆍ배출시설별 배출계수 사용

    ❹ Tier 4 – 전 세계 공통의 배출계수 사용

 

[50].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제 하에서 직접 배출원 중 원료나 연료의 생산, 중간생성물의 저장, 이송 과정에서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배출원을 의미하는 것은?

    ① 고정연소배출 ② 이동연소배출

    ❸ 탈루배출 ④ 공정배출

ㅁㅁㅁ

[51].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제 하에서 사업장ㆍ배출시설 및 감축기술단위의 배출계수 등 상당부분 시험ㆍ분석을 통하여 개발한 매개변수 값을 활용하는 배출량 산정방법론에 해당하는 것은?

    ① Tier 1 ② Tier 2

    ❸ Tier 3 ④ Tier 4

 

[52].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제 하에서 구매한 연료 및 원료전력 및 열에너지를 정도검사를 받지 않은 내부측정기기를 이용하여 활동자료를 분배 결정하는 모니터링 유형은?

    ① A-1 ② A-2

    ❸ C-1 ④ D-5

 

[53]. 관리업체가 고유배출계수(Tier 3)를 개발하여 활용할 경우 시료채취 및 분석의 최소주기 기준에 관한 설명으로옳지 않은 것은?

    ① 고체 화석연료는 월 1회 또는 연료 입하시

    ② 액체 화석연료는 분기1회 또는 연료 입하시

    ③ 고정부생가스는 월 1회

    ❹ 도시가스는 분기 1회

 

[54].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제 하에서 관리업체 A의기체연료 고정연소시설 배출량이 621,000톤으로 산정되었다고 하면 온실가스 배출량 선정 방법론에 대한 최소 산정등급은?

    ① Tier 1 ② Tier 2

    ❸ Tier 3 ④ Tier 4

 

[55].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제 항에서 온실가스 소량배출사업장의 에너지 소비량(terajoules)기준은?

    ❶ 55미만 ② 65미만

    ③ 75미만 ④ 85미만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2

 

온실가스관리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온실가스관리기사 최신 기출문제 입니다.

play.google.com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2

 

온실가스관리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온실가스관리기사 최신 기출문제 입니다.

play.google.com

 

 

 

[0]. 교토의정서에서 CDM사업은 해당사업을 수행하지 않았을 경우에도 발생했을 감축에 추가적이어야 한다고 언급하고 있는데, 다음 중 여기서 언급하는 추가성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경제적 추가성 ❷ 논리적 추가성

    ③ 기술적 추가성 ④ 환경적 추가성

 

[1]. 이산화탄소 연소 전 포집 기술 중 화학적 흡수법에 주로 사용되는 흡수제로 틀린 것은?

    ❶ 메탄올(Methanol)

    ② 탄산칼륨(Potassium Carbonate)

    ③ 모노에탄올아민(MEA)

    ④ 메틸다이에틸아민(MDEA)

 

[2]. 우리나라에서 분류하고 있는 신ㆍ재생에너지 중 “신에너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연료전지 ❷ 해양에너지

    ③ 석탄을 액화ㆍ가스화한 에너지 ④ 수소에너지

 

[3]. 다음 중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가장 큰 것은?

    ① 이산화탄소 1000톤 감축 ② 메탄 150톤 감축

    ③ 아산화질소 25톤 감축 ❹ 육불화황 1톤 감축

 

[4].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관리업체가 제출한 이행실적 중 부문별 관장기관이 확인할 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① 이행계획과의 연계성 및 정확성 여부

    ② 목표에 대한 이행여부

    ❸ 검증결과의 파급효과

    ④ 개선명령의 이행여부

 

[5]. 온실가스 감축 이행계획서 작성절차 중 QC 수립에 관한 내용과 거리가 먼 것은?

    ① 산정 과정의 적절성

    ❷ 자체 검증 과정의 적절성

    ③ 산정 결과의 적절성

    ④ 보고의 적절성

 

[6].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에 따라 분문별 관장기관이 조기감축실적을 평가할 때 교려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조기행동의 추가성

    ② 초기행동의 실제성

    ③ 초기행동에 따른 감축효과의 지속성

    ❹ 초기행동의 자율성

 

[7]. 온실가스 직접 감축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대체물질 개발 ② 온실가스 활용

    ③ 온실가스 전환 ❹ 온실가스 은폐

 

[8]. CDM사업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한 ‘베이스라인 방법론(Baseline methodology)‘의 원칙 2가지로 옳게 짝지어진 것은?

    ① 윤리성, 정확성 ② 총괄성, 보수성

    ③ 투명성, 추가성 ❹ 투명성, 보수성

 

[9].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관리업체가 조기감축실적을 분할하여 이행실적에 반영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최초로 이행실적을 보고하는 연도를 포함하여 연속으로 최대 몇 회까지 반영할 수 있는가?

    ❶ 3회 ② 5회

    ③ 10회 ④ 12회

 

[10]. 시멘트 생산 시 에너지 소비효율 개선을 위한 온실가스 감축방법 및 기술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원료 수분 함량 감소

    ② 원료 전처리 분쇄공정 도입

    ③ 예열기 설치

    ❹ 클링커 함량 증대

[11]. 다음 중 우리나라에서 정한 신ㆍ재생에너지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폐기물에너지 ② 연료전지

    ③ 석탄 액화ㆍ가스화 에너지 ❹ 산소에너지

 

[12]. 기존의 화석연료를 변환시켜 이용하거나 햇빛, 물, 지열, 강수, 생물유기체 등을 포함하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변환시켜 이용하는 에너지를 신ㆍ재생에너지라고 부르는데, 다음중 신에너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연료전지(Fuel Cell)

    ② 중질잔사유를 가스화한 에너지

    ③ 수소에너지

    ❹ 폐기물에너지

 

[13]. CCS 기술 중 CO2 저장 기술의 구분과 거리가 먼 것은?

    ① 지중 저장 ② 해양 저장

    ③ 지료 저장 ❹ 회수 저장

 

[14]. 검증기관이 피검증자의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소비량 등에 관한 검증 및 외부사업 온실가스 감축량에 관한 검증수행 시 기본원칙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사실에 근거하여 검증수행

    ② 피검증자나 관계인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

    ❸ 감축량 산정 시 관대한 관점으로 평가

    ④ 합리적 보증이 가능한 수준으로 검증

 

[15]. 다음 중 이산화탄소 저장 선택지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고갈된 유전 및 가스전

    ② 지하 대수층(심부 염수층)

    ❸ 노천탄광

    ④ 채광 불가능한 탄층

 

[16]. 다음 온실가스 감축 방법 중 직접 감축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대체물질 개발 ② 공정 개선

    ③ 온실가스 활용 ❹ 탄소배출권 차입

 

[17]. 광물산업의 시멘트 생산 관련 소성로(Kiln)에서 온실 가스 배출감축을 위한 공정개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최적화된 킬른의 “길이 : 직경” 비율

    ② 킬른 내에서의 기체 누출 감소

    ❸ 부원료에 석고사용량 증가

    ④ 동일하고 안정적인 운전조건

 

[18]. 외부사업 타당성 평가 및 감축량 인증에 관한 지침상 외부사업 방법론의 제안서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단, 기타의 사항 등은 제외한다.)

    ① 방법론 일반사항 및 용어정리

    ② 베이스라인 방법론

    ❸ 계획산정 방법론

    ④ 모니터링 방법론

 

[19]. BAU(Business As Usual)에 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① 온실가스 배출량 실적치

    ② 온실가스 감축 후 배출량 규모

    ③ 온실가스 감축정책 수준

    ❹ 온실가스 배출전망치

 

[20]. CO₂ 포집기술 중 연소 후 포집기술에 해당하는 화학적 흡수(습식흡수)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습식아민기술 ② 암모니아기술

    ③ 탄산칼륨기술 ❹ 분리막기술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2

 

온실가스관리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온실가스관리기사 최신 기출문제 입니다.

play.google.com

 

 

 

[21].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에 대한 설명 중 CO₂ 저장 기술의 구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해양저장 ❷ 대기저장

    ③ 지표저장 ④ 지중저장

 

[22]. 온실가스 간접 감축방법에 해당하는 태양열 시스템의 주요 구성요소와 거리가 먼 것은?

    ❶ 단열부 ② 축열부

    ③ 이용부 ④ 집열부

 

[23]. 다른 발전과 비교하여 태양광 발전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시스템이 단순하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편

    ② 수명이 긴 편

    ❸ 에너지 밀도가 높음

    ④ 교류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고조파가 발생

 

[24]. 온실가스 감축프로젝트들에 대한 경제성 분석 평가 시 비용편익 분석에 있어서 적용되는 판단의 기준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NPC(Net Present Value)

    ② Benefit Cost Ratio

    ③ IRR(Internal Rate of Return)

    ❹ RMU(Removal Unit)

 

[25].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위해 정부정책 세부방향을 설정하고자 한다. 다음 중 온실가스 배출량 가축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풍력발전을 화력발전으로 대체

    ② 건축물 내 LED 등을 형광등으로 교체

    ❸ 매립장에서 발생하는 LFG(Land Fill Gas)를 연료로 활용

    ④ 사업장 내 수소자동차를 가솔린자동차로 교체

 

[26]. 온실가스 저감노력으로 인한 온실가스 저감량을 계산하는 비교기준으로서, 온실가스 저감에 해당하는 사업이 수행되지 않았을 경우의 배출량 및 흡수량에 대한 계산 또는 예측을 의미하는 것은?

    ① 시나리오 ② 벤치마크

    ❸ 베이스라인 ④ 모니터링

 

[27]. 다음 온실가스 감축방법 중 간접 감축방법에 해당하는 것은?

    ❶ 신생에너지 적용 ② 대체물질 적용

    ③ 온실가스 활용 ④ 공정 개선

 

[28].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CCs) 기술 분류 중 CO₂ 포집 기술 구분과 거리가 먼 것은?

    ① 연소 후 포집 ② 연소 전 포집

    ❸ 순질소 연소 포집 ④ 순산소 연소 포집

 

[29]. A업체는 2016년도에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제의 관리업체로 최초 지정되었다. 이 경우 동 업체의 목표관리를 위한 기준연도 선정기준으로 옳은 것은?

    ① 2015년도 ❷ 2013 ~ 2015년도

    ③ 2011 ~ 2015년도 ④ 2006 ~ 2015년도

 

[30]. 화학산업에서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온실가스 감축 수단은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화학연료 사용을 최소화 하는 것이다. 다음 중 에너지 효율 개선을 위해 적용할 수 있는 “공정개선”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에너지 효율 제고를 위해 제조법의 전환 및 공정 개발

    ② 설비 및 기기효율의 개선

    ③ 배출 에너지의 회수

    ❹ 배출량 원단위 지수 개선

[31]. 온실가스 감축방법 중 직접 감축방법과 거리가 먼 것은?

    ① 대체물질 및 대체공정 ❷ 외부 감축사업 시행

    ③ 공정개선 ④ 온실가스 활용

 

[32]. CDM사업 추진 시 사업이 발생하는 해당 국가의 정부에서 CDM사업에 대한 승인을 해주기 위해 지정한 기구의 영문 약어 이름은 무엇인가?

    ① PDD ❷ DNA

    ③ MRV ④ AAU

 

[33].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매년 조기감축 실적으로 인정할 수있는 전체 총량은 전체 관리업체 배출허용량의 몇%인가?

    ❶ 전체 관리업체 배출허용량의 1%

    ② 전체 관리업체 배출허용량의 5%

    ③ 전체 관리업체 배출허용량의 10%

    ④ 전체 관리업체 배출허용량의 20%

 

[34]. 외부사업 타당성 평가 및 감축량 인증지침에서 외부사업 타당성 평가를 위한 추가성 평가항목으로 거리가 먼 것은?

    ❶ 환경적 추가성 ② 법적 추가성

    ③ 제도적 추가성 ④ 경제적 추가성

 

[35]. 다음 중 고온형 연료전지에 해당되는 것은?

    ❶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② 알칼리 연료전지

    ③ 인산염 연료전지

    ④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

 

[36]. CDM 사업 추진시 사업 참가자들(PPs)과 계약을 통해 타당성 평가 및 검ㆍ인증을 수행하는 CDM 관련 기관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❶ DOE ② DNA

    ③ MOP ④ EA

 

[37]. 다음 중 포집한 이산화탄소의 영구적 또는 반영구적 저장기술의 구분과 가장 거리가 먼것은?

    ① 지중저장기술 ❷ 탱크저장기술

    ③ 해양저장기술 ④ 지표저장기술

 

[38]. 다음 신ㆍ재생에너지 중 신에너지에 속하는 것은?

    ① 태양에너지 ❷ 연료전지

    ③ 풍력 ④ 지열에너지

 

[39]. 보일러의 효율을 높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보일러에 공급되는 물을 예열한다.

    ② 연소를 위해 공급되는 공기를 예열한다.

    ③ 증기과열기를 연도에 설치한다.

    ❹ 배기가스의 온도를 높게 유지한다.

 

[40]. 다음 중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신재생에너지관련 기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태양열 및 태양광 ② 석탄 액화 가스화기술

    ❸ 전기집진기술 ④ 연료전지(Fuel Cell)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2

 

온실가스관리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온실가스관리기사 최신 기출문제 입니다.

play.google.com

 

 

 

[41]. CDM 사업계획서(PDD)의 구성 항목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A : 프로젝트 황동에 대한 일반사항 기술

    ② B : 베이스라인 및 모니터링 방법론의 적용

    ③ C : 프로젝트 활동 이행기간, 유효기간

    ❹ D : 프로젝트 활동에 대한 평가

 

[42]. 다음 신ㆍ재생에너지 중 신에너지에 속하는 것은?

    ① 태양열 ② 소수력

    ③ 바이오 ❹ 수소에너지

 

[43]. 디젤엔진의 온실가스 저감기술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예 : 혼합 압축착화 연소 ② 고압연료분사시스템

    ③ 배기가스재순환(EGR) ❹ 페이저시스템

 

[44].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에 따라 부문별 관장기관이 조기감출실적 평가할 때 고려대상과 거리가 먼 것은?

    ① 조기행동의 추가성

    ② 조기행동의 실제성

    ③ 조기행동의 따른 감축효과의 지속성

    ❹ 조기행동의 자율성

 

[45]. 다음 중 해양에너지와 관련된 종류가 아닌 것은?

    ① 해류 및 해수온도의 차를 이용한 에너지

    ② 조수간만의 차를 이용한 에너지

    ❸ 소수력발전

    ④ 파력발전

 

[46]. 온실가스 감축시설 중 연료의 대체에 관한 내용 중 바이오에탄올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연소율이 높은 장점이 있다.

    ② 오염물질의 발생이 적은 장점이 있다.

    ❸ 석유계 디젤과 혼합하여 사용한다.

    ④ 값싼 원료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47]. CDM사업 절차와 수행기관이 잘못 연결한 것은?

    ① 사업계획서 등록 - CDM 집행위원회

    ② 사업계획서 타당성 승인 - CDM 운영기구

    ③ 사업감축량 검증 및 인증 - CDM 운영기구

    ❹ 크리디트(CERs) 발행 - 국가 CDM 승인기구

 

[48]. 온실가스 감축 이생계획서 작성 절차 중 QC 수립에 관한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산정 과정의 적절성

    ❷ 자체 검증과정의 적절성

    ③ 산정 결과의 적절성

    ④ 보고의 적절성

 

[49]. 이산화탄소 연소 전 포집 기술 중 화학적 흡수법에 주로 사용되는 흡수제로 틀린 것은?

    ❶ 메탄올(Methanol)

    ② 탄산칼륨(Potassium Carbonatre)

    ③ 모노에탄올아민(MEA)

    ④ 메틸아이에틸아민(MDEA)

 

[50].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매년 조기감축실적으로 인정할 수 있는 전체 총량은 전체 관리업체 배출허용량의 몇 %로 하는가?

    ❶ 1% ② 2%

    ③ 3% ④ 5%

[51]. 다음 중 Non-CO₂ 온실가스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메탄 ② 아산화질소

    ③ 육불화황 ❹ 벤젠

 

[52]. 외부사업의 추가성의 종류에 포함되는 것은?

    ① 환경적 추가성 ❷ 경제적 추가성

    ③ 사회적 추가성 ④ 기술적 추가성

 

[53]. 태양광발전기술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거의 무제한적인 에너지원을 사용한다.

    ② 태양열반전에 비해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③ 이산호탄소 배출량이 매우 적다.

    ❹ 발전부지는 대부분 옥상으로 부지면적이 적게든다.

 

[54]. 베이스라인 방법론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① 적용성 ❷ 지속성

    ③ 누출 ④ 저감량

 

[55]. 신재생에너지법에 의한 재생에너지로 구분되지 않는 것은?

    ❶ 수소에너지 ② 지열에너지

    ③ 폐기물에너지 ④ 해양에너지

 

[56]. CCS 기술에서 CO2 저장 기술의 구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지중 저장 ② 해양 저장

    ③ 지상 저장 ❹ 회수 저장

 

[57]. 다음 감축활동 중 신재생에너지의 이용에 해당하는 것은?

    ① 풍력발전 사용으로부터 발생한 탄소배출권 구매

    ❷ 태양광 발전 사용에 의한 전력사용량 절감

    ③ 셰일가스 사용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량 저감

    ④ 수축열 냉난방 시스템에 의한 전력사용량 절감

 

[58]. CDM 사업 타당성 조사를 위한 추가성 검토 사항이 아닌 것은?

    ① 환경적 추가성 ② 기술적 추가성

    ③ 경제적 추가성 ❹ 지역적 추가성

 

[59].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및 보고 원칙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완전성 ❷ 윤리성

    ③ 일관성 ④ 투명성

 

[60]. ‘외부사업 타당성 평가 및 감축량 인정에 관한 지침’에 따른 정책 감축사업의 인증유효기간은 사업 유효기간 시작일로부터 몇 년 이내인가?

    ① 7년 ② 14년

    ③ 20년 ❹ 28년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2

 

온실가스관리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온실가스관리기사 최신 기출문제 입니다.

play.google.com

 

 

 

[61]. CDM 운영 가구 중 CDM 사업 관련 최고의사 결정기구에 해당하는 것은?

    ❶ COP/MOP ② CDM EB

    ③ UNFCCC ④ DOE

 

[62]. 목표관리제 하에서 매년 온실가스 조기감축실적으로 인정할 수 있는 전체 총량은 전체관리업체 총 배출 허용량의 몇 %로 하는가? (단,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

    ① 0.5% ❷ 1%

    ③ 1.5% ④ 2%

 

[63].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에 대한 설명 중 CO2저장 기술의 구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해양저장 ❷ 대기저장

    ③ 지표저장 ④ 지중저장

 

[64]. 다음 중 고온형 연료전지에 해당하는 것은?

    ①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

    ❷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③ 알칼리 연료전지

    ④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

 

[65]. 다음 중 기후변화협약 교토의정서에 의한 청정개발 체제(CDM) 사업을 등록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절차가 아닌 것은?

    ① 사업 타당성 확인 ② 사업 유치국의 정부 승인

    ❸ CREs 발생 ④ 사업계획서 작성

 

[66]. BAU(Business As Usual)에 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① 온실가스 배출량 실적치

    ② 온실가스 감축 후 배출량 규모

    ③ 온실가스 감축정책 수준

    ❹ 온실가스 배출전망치

 

[67]. 현재 실용화되어 전원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전체 태양전지 시장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태양전지는?

    ① 유기계 태양전지 ❷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③ 집광형 태양전지 ④ 박막 태양전지

 

[68]. 교토메커니즘 하에서 온실가스 감출을 위한 대표적이 시장 메커니즘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국제배출권거래제 ② 공동이행

    ❸ 국제기후기금 ④ 청정개발체제

 

[69]. 광물산업의 시멘트 생산 관련 소성로(Kiln)에서 온실가스 배출감축을 위한 공정개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최적화된 킬른의 “길이:직경” 비율

    ② 킬른 내에서의 기체 누출 감소

    ❸ 최신 쿨러 설치

    ④ 동일하고 안정적인 운전조건

 

[70]. CDM 사업관련 주요 기관중 COP/MOP의 지침에 따라 CDM 사업을 관리ㆍ감독하는 기능을 하는 곳은?

    ① DOE ② DNA

    ❸ EB ④ CP

[71]. 우리나라에서 법적으로 규제하고 있는 온실가스 중에서 Non-CO₂ 온실가스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❶ NO₂ ② CH₄

    ③ HFC ④ PFC

 

[72]. 다음 중 온실가스 감축 방법 중에서 직접 감축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대체 물질 개발 ② 공정 개선

    ③ 온실가스 활용 ❹ 탄소배출권 구매

 

[73]. 다음 중 우리나라에서 정한 신ㆍ재생에너지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폐기물에너지

    ② 연료전지

    ③ 석탄 액화ㆍ가스화 에너지

    ❹ 산소에너지

 

[74]. CDM 방법론인 베이스라인방법론에서 베이스라인을 설정하는 원칙만을 나열한 것은?

    ❶ 투명성 원칙, 보수성 원칙

    ② 적절성 원칙, 완전성 원칙

    ③ 일관성 원칙, 정확성 원칙

    ④ 정확성 원칙, 투명성 원칙

 

[75].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에 관한 기술 구분 중 이산화탄소 포집(연소후 포집)기술과 거리가 먼 것은?

    ① 습식 아민 기술 ❷ 백금 촉매 기술

    ③ 분리막 기술 ④ 암모니아 기술

 

[76]. 다음 온실가스 감축방법 중 간접 감축방법에 해당하는 것은 ?

    ❶ 신재생에너지 적용 ② 대체물질 적용

    ③ 온실가스 활용 ④ 공정 개선

 

[77]. 다음 중 이산화탄소 저장 선택지로 가장 적절치 않은 곳은?

    ① 고갈된 폐유전 ② 심부의 대염수층

    ❸ 노천탄광 ④ 내륙 심부 폐탄광층

 

[78]. 자동차 "가솔린엔진" 에서의 온실가스 저감기술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페이저 시스템(Cam Phaser Systems)

    ② 실린더 디액티베이션(Cylinder Deactivation)

    ③ 가솔린 직접분사

    ❹ 고압연료분사시스템

 

[79]. 다음은 CDM 사업관련 주요기관 중 새로운 베이스라인 및 모니터링 방법론 승인과 각종 절차와 방법, 가이드라인 결정 전 최소 8주간 정도의 의견수렴 등의 세부역할을 이행하는 기관은?

    ① 국가CDM 승인기구(DNA)

    ❷ CDM 집행위원회(EB)

    ③ CDM 사업운영기구(DOE)

    ④ 당사국총회(COP/MOP)

 

[80]. 이산화탄소 저장기술은 해양저장, 지중저장, 지표저장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중 해양저장은 이 국제협약(또는 의정서)에 의해 이산화탄소가 해양폐기물로 정의됨에 적당한 저장방법이 될 수 없는데, 다음중 위와 관련된 국제협약(또는 의정서)은 ?

    ① 바젤협약 ❷ 런던협약

    ③ 헬싱키의정서 ④ 몬트리올의정서

 

[81]. 온실가스 간접 감축방법에 해당하는 태양열시스템의 주요 구성요소와 거리가 먼 것은?

    ❶ 단열부 ② 축열부

    ③ 이용부 ④ 집열부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2

 

온실가스관리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온실가스관리기사 최신 기출문제 입니다.

play.google.com

 

 

 

[82]. 휘발유를 이용하는 스파크 점화(SI, Spark Ignition)엔진과 경유를 이용한 압축착화(CI,Compression Ignition) 엔진의 장점이 혼합된 개념의 저감기술은?

    ① 터보차징/ 다운사이징 가솔린 엔진

    ② 과급착화기술

    ③ 가솔린 직접분사

    ❹ 예ㆍ혼합 압축착화 연소

 

[83]. 시멘트생산공정에서 온실가스를 감축시키는 방법과 거리가 먼 것은?

    ① 가스 바이패스(Gas bypass)를 최소화 한다.

    ② 시멘트 성분중 클링커 함량을 줄인다.

    ③ 원료와 연료의 수분함량을 줄인다.

    ❹ 석탄을 대체하여 폐타이어를 연료로 이용한다.

 

[84]. 다음 중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가장 큰 것은?

    ① 이산화탄소 1000톤 감축 ② 메탄 150톤 감축

    ③ 아산화질소 25톤 감축 ❹ 육불화황 1톤 감축

 

[85]. 온실가스 감축프로젝트에 대한 경제성 분석 평가시 비용편익분석에 있어서 적용되는 판단의 기준으로 건리가 먼 것은?

    ① NPV(Net Present Value)

    ② Benefit Cost Ratio

    ③ IRR(Internal Rate of Return)

    ❹ RMU(Removal Unit)

 

[86]. 합성불확도 산정방법인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Tier 2)을 사용하기에 적절한 경우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❶ 불확도가 작은 경우

    ② 알고리즘이 복잡한 경우

    ③ 인벤토리가 작성된 연도별로 불확도가 다를 경우

    ④ 분포가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은 경우

 

[87]. CCS 기술 중 CO₂ 저장 기술의 구분으로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지중저장 ② 해양저장

    ③ 지표저장 ❹ 회수저장

 

[88].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 운영에 있어 시멘트 생산 시 에너지 소비효율 개선을 위한 열에너지 감량 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원료의 특성에 따른 영향

    ② 시멘트 성분 중 클링커 함량의 간소화

    ③ 가스 바이패스 시스템의 영향

    ❹ 가스화 효율의 영향

 

[89].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CCS) 기술 분류 중 CO2 포집기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연소 후 포집 ② 연소 전 포집

    ❸ 연소 중 포집 ④ 순산소 연소 포집

 

[90]. 온실가스 저감노력으로 인한 온실가스 저감량을 계산하는 비교기준으로서 온실가스 저감 해당사업이 수행되지 않았을 경우의 배출량 및 흡수량에 대한 계산 또는 예측을 의미 하는 것은?

    ① 시나리오 ② 벤치마크

    ③ 베이스라인 ❹ 모니터링

[91]. 매립가스를 이용한 발전기술(설비) 중 대규모 매립지에 가장 적합한 것은?

    ① 가스엔진 ❷ 가스터빈

    ③ 증기엔진 ④ 증기터빈

 

[92]. CDM사업 추진시 사업 참가자들(PPs)과 계약을 통해 타당성 평가 및 검,인증을 수행하는 CDM관련기관으로 가장 옳은 것은?

    ① DOE ❷ DNA

    ③ MOP ④ EA

 

[93]. 우리나라에서 신,재생에너지 중 "신에너지"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연료전지 ② 태양광 에너지

    ③ 석탄액화가스화 에너지 ❹ 수소에너지

 

[94]. 온실가스 감축방법 중 직접 감축방법이 아닌 것은?

    ① 대체물질 및 대체공정 적용 ❷ 신재생에너지 적용

    ③ 공정개선 ④ 온실가스 활용

 

[95]. 태양광발전용 접속함의 성능시험방법이 아닌 것은?

    ❶ 내전압

    ② 절연저항

    ③ 자동 차단 성능 시험

    ④ 수동조작 차단 성능 시험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2

 

온실가스관리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온실가스관리기사 최신 기출문제 입니다.

play.google.com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2

 

온실가스관리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온실가스관리기사 최신 기출문제 입니다.

play.google.com

 

 

[0]. 외부사업 타당성 평가 및 감축량 인증에 관한 지침에서 외부사업 시작일에 해당될 수 없는 것은?

    ① 외부사업의 시행과 관련된 계약일

    ❷ 사업의 타당성 연구, 사전조사를 위한 계약일

    ③ 외부사업의 시행과 관련된 최초 지출일

    ④ 외부사업의 작업 실행 또는 장치의 설치 시작일

 

[1].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시행령상 온실가스 감축 국가목표는 2030년 국가 온실가스 총 배출량을 2030년의 온실가스 배출 전망치 대비 얼마까지 감축하는 것으로 하는가?

    ① 100분의 20 ② 100분의 27

    ③ 100분의 30 ❹ 100분의 37

 

[2].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상 정부는 기후변화대응 기본계획을 몇 년마다 수립ㆍ시행하여야 하는가?

    ① 3년 ❷ 5년

    ③ 10년 ④ 15년

 

[3].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관리업체가 전자적 방식으로 작성한 이행실적 보고서를 부문별 관장기관에 제출해야 하는 시기로 옳은 것은?

    ❶ 매년 3월 31일 까지 ② 매년 6월 30일 까지

    ③ 매년 9월 30일 까지 ④ 매년 12월 31일 까지

 

[4].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운영을 위한 검증지침상 “외부사업 사업자가 감축사업을 하지 않았을 경우 사업경계 내에서 발생 가능성이 가장 높은 조건을 고려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의미하는 용어는?

    ① 추가 배출량 ② 부족 배출량

    ❸ 베이스라인 배출량 ④ 감축 배출량

 

[5]. 공공부문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환경부장관은 행정안전부장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및 국토교통부장관 등의 검토결과를 반영하여 공공부문의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이행결과 종합보고서를 작성하고, 언제까지 국무총리에게 보고하여야 하는가?

    ① 매년 1월 31일까지 ② 매년 3월 31일까지

    ❸ 매년 6월 30일까지 ④ 매년 12월 31일까지

 

[6].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상 정부가 범지구적인 온실가수 감축에 적극 대응하고 저탄소 녹색성장을 효율적ㆍ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중장기 및 단계별 목표를 설정해야 하는 항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❶ 도서지역 에너지 보급률 목표

    ② 에너지 절약 목표 및 에너지 이용효율 목표

    ③ 신ㆍ재생에너지 보급 목표

    ④ 온실가스 감축 목표

 

[7].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관리업체의 소관 관장기관 분류 중 “해양ㆍ수산ㆍ해운ㆍ항만 분야”가 해당하는 곳은?

    ① 국토교통부 ❷ 해양수산부

    ③ 산업통상자원부 ④ 환경부

 

[8].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배출권 거래제 3차 계획기간이후의 무상할당비율은 얼마 이내의 범위에서 이전 계획기간의 평가 및 관련 국제동향 등을 고려하여 정하는가?

    ❶ 100분의 90 이내 ② 100분의 80 이내

    ③ 100분의 70 이내 ④ 100분의 60 이내

 

[9]. 다음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운영을 위한 검증지침상 용어의 뜻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① 총괄적 보증 ② 객관적 보증

    ③ 논리적 보증 ❹ 합리적 보증

 

[10].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령상 다음 연도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 절약 및 에너지 이용효율 목표를 통보받은 관리업체는 사업장별 생산설비 현황 및 가동률 등을 포함한 다음 연도이행계획을 전자적 방식으로 언제까지 부문별 관장기관에게 제출하여야 하는가?

    ① 매년 3월 31일 ② 매년 6월 30일

    ③ 매년 9월 30일 ❹ 매년 12월 31일

[11].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상 정부가 범지구적인 온실가스 감축에 적극 대응하고 저탄소 녹색성장을 효율적ㆍ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중장기 및 단계별 목표를 설정하고 그 달성을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강구해야 하는 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① 온실가스 감축 목표

    ② 에너지 절약 목표 및 에너지 이용효율 목표

    ❸ 자원순환 촉진 목표

    ④ 신ㆍ재생에너지 보급 목표

 

[12].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상 목표관리제 대상 관리업체가 정부의 개선명령을 이행하지 않았을 경우 부과되는 과태료 기준으로 옳은 것은?

    ❶ 1천만원 이하 ② 5백만원 이하

    ③ 3백만원이하 ④ 2백만원 이하

 

[13].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관리업체가 관장기관의 지정ㆍ고시에 이의가 있는 경우 이의신청을 할 수 있는 기간의 기준은?

    ① 고시된 날부터 15일 이내

    ❷ 고시된 날부터 30일 이내

    ③ 고시된 날부터 60일 이내

    ④ 고시된 날부터 90일 이내

 

[14].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령상 소관분야 녹색기술ㆍ녹색산업의 표준화 기반을 구축하기 위하여 사업을 추진하고 필요한 지원을 실시할 수 있는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거리가 먼 것은?

    ① 농림축산식품부장관 ② 해양수산부장관

    ❸ 여성가족부장관 ④ 문화체육관광부장관

 

[15].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매년 조기감축실적으로 인정할 수 있는 전체 총량은 얼마로 하는가?

    ❶ 전체 관리업체 배출허용량의 1%

    ② 전체 관리업체 배출허용량의 5%

    ③ 전체 관리업체 배출허용량의 10%

    ④ 전체 관리업체 배출허용량의 50%

 

[16].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배출권 거래소의 업무와 거리가 먼 것은?

    ① 배출권의 매매에 관한 업무

    ❷ 배출권의 할당에 관한 업무

    ③ 배출권의 경매 업무

    ④ 배출권 거래시장의 개설ㆍ운영에 관한 업무

 

[17].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2014년 1월 1일부터 적용되는 관리업체(사업장) 지정 에너지 소비량 기준으로 옳은 것은?

    ① 70 terajoules 이상 ❷ 80 terajoules 이상

    ③ 90 terajoules 이상 ④ 1000 terajoules 이상

 

[18].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상 주무관청은 매 계획기간 시작 몇 개월 전까지 배출권 할당 대상업체를 지정ㆍ고시하여야 하는가?

    ① 1개월 ② 3개월

    ❸ 5개월 ④ 6개월

 

[19].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상 할당대상업체는 인증받은 온실가스 배출량에 상응하는 배출권(종료된 이행연도의 배출권)을 주무관청에 이행연도 종료일부터 몇 개월 이내에 제출하여야 하는가?

    ① 3개월 이내에 ❷ 6개월 이내에

    ③ 9개월 이내에 ④ 12개월 이내에

 

[20].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환경부장관은 권한 일부를 다른기관(또는 장)에게 위임하거나 위탁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배출권등록부 및 상세 등록부의 관리ㆍ운영에 관한 사항”의 권한을 갖고 있는 것은?

    ① 한국에너지관리공단 이사장 ② 한국환경공단

    ❸ 온실가스 종합정보센터장 ④ 국무조정실장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2

 

온실가스관리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온실가스관리기사 최신 기출문제 입니다.

play.google.com

 

 

 

[21].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부문별 관장기관은 환경부장관의 확인을 거쳐 매년 언제까지 소관 관리업체를 관보에 고시하여야 하는가?:

    ① 매년 1월 31일 ② 매년 3월 31일

    ❸ 매년 6월 31일 ④ 매년 12월 31일

 

[22].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ㆍ이용ㆍ보급 촉진법상에서 정한 “재생에너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❶ 수소에너지 ② 태양에너지

    ③ 풍력 ④ 지열에너지

 

[23].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배출시설의 배출량에 따른 시설규모 분류 중 A그룹에 해당하는 시설규모 분류기준은?

    ❶ 연간 5만 톤 미만의 배출시설

    ② 연간 15만 톤 이상의 배출시설

    ③ 연간 5만 톤 이상, 연간 50만톤 미만의 배출시설

    ④ 연간 50만 톤 이상의 배출시설

 

[24].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관리업체의 부문별 관장기관 구분 중 산업ㆍ발전 분야의 관장기관은?

    ❶ 산업통상자원부 ② 환경부

    ③ 국토교통부 ④ 기획재정부

 

[25].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상 할당대상업체는 해당 이행연도의 실제 온실가스 배출량에 관한 명세서를 주무관청에게 보고하여야 하는데, 매 이행연도 종료일부터 몇 개월 이내에 보고하여야 하는가?

    ① 1개월 이내에 ❷ 3개월 이내에

    ③ 6개월 이내에 ④ 12개월 이내에

 

[26].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온실가스는 온실가스별 지구온난화계수에 따라 이산화탄소상당량톤으로 환산한 배출권으로 거래하는데, 다음 온실가스 중 지구온난화 계수가 가장 큰 것은?

    ① HFC-143 ② PFC-14

    ③ HFC-152a ❹ PFC-116

 

[27].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외부사업 온실가스 감축량의 인증에 관한 업무를 부문별 관장기관이 공동으로 정하여 관보에 고시하는 바에 따라 위탁할 수 있는데, 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단, 그 밖의 사항 등은 고려하지 않음)

    ① 농업기술실용화재단 ② 한국에너지공단

    ③ 한국환경공단 ❹ 생태계보전공사

 

[28].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기획재정부장관과 환경부장관은 배출권거래제 기본계획을 매 계획기간 시작 언제까지 공동으로 수립하여야 하는가?

    ① 1개월 전까지 ② 3개월 전까지

    ③ 6개월 전까지 ❹ 1년 전까지

 

[29].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상 정부가 수립해야 하는 기후변화대응 기본계획의 수립ㆍ시행주기는?

    ① 1년 마다 ② 3년 마다

    ❸ 5년 마다 ④ 10년 마다

 

[30].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상 소관 사무와 부문별 관장기관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건물 분야:국토교통부

    ❷ 해운 분야:환경부

    ③ 임업 분야:농림축산식품부

    ④ 발전(發電) 분야:산업통상자원부

[31].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용어 정의 중 “관리업체가 법 및 시행령에 따른 목표관리를 받기 이전에 자발적이고 추가적으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하여 행한 일련의 행동”을 의미하는 것은?

    ① 자율행동 ❷ 조기행동

    ③ 조직행동 ④ 관리행동

 

[32].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부문별 관장기관은 관리업체가 목표달성을 못하거나, 제출한 이행실적이 미흡한 경우에는 개선명령을 하여야 한다. 부문별 관장기관은 개선명령 등 관리업체에 대해 필요한 조치를 하고, 그 결과를 작성하여 누구에게 통보하여야 하는가?

    ① 대통령 ② 국무총리

    ③ 기획재정부장관 ❹ 환경부장관

 

[33].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배출권등록부의 관리ㆍ운영은 어디서 하는가?

    ① 국무총리실 ❷ 주무관청

    ③ 온실가스검증심사원 ④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34].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에 따르면 관리업체는 설정한 에너지 절약 및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준수하여야 하며, 그 실적을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정부에 보고하여야 한다. 이때 보고를 하지 않거나 거짓으로 보고한 자에게 부과되는 과태료 기준은?

    ① 2백만원 이하의 과태료

    ❷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

    ③ 2천만원 이하의 과태료

    ④ 5천만원 이하의 과태료

 

[35].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에 따라 관리업체가 연속측정방법을 사용하여 배출량 등르 산정ㆍ보고하고자 할 경우 해당 배출시설의 산정등급기준은?

    ① Tier 1 ② Tier 2

    ③ Tier 3 ❹ Tier 4

 

[36].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에 따라 정부가 범지구적인 온실가스 감축에 적극 대응하고 저탄소 녹색서장을 효율적ㆍ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중장기 및 단계별 설정해야 하는 목표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에너지 자립 목표

    ② 에너지 절약 목표

    ③ 에너지 이용효율 목표

    ❹ 탄소성적표지제도 보급 목표

 

[37].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시행령상 부문별 관장기관은 소관 부문별 전년도 온실가스정보 및 통계를 작성하여 언제까지 온실가스 종합정보센터에 제출하여야 하는가?

    ① 매년 1월 31까지 ② 매년 3월 31까지

    ❸ 매년 6월 30까지 ④ 매년 12월 31까지

 

[38].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1차 계획기간에는 배출권의 전부를 무상으로 할당하고, 2차 계획기간에 할당대상업체별로 할당되는 배출권의 무상할당 비율로 옳은 것은?

    ① 100분의 80 ② 100분의 87

    ③ 100분의 90 ❹ 100분의 97

 

[39].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시행령상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를 위한 부문별 관장기관 및 소관분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산업통상자원부 : 산업ㆍ발전분야

    ② 농림축산식품부 : 농업ㆍ임업ㆍ축산ㆍ식품분야

    ❸ 국토교통부 : 건물ㆍ교통ㆍ해운ㆍ항만분야

    ④ 환경부 : 폐기물분야

 

[40].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관리업체가 온실가스 배출량 등의 산정결과를 서식에 따라 명세서를 작성하고 검증기관의 검증을 거쳐 전자적 방식으로 부문별 관장기관에 제출해야 하는 기한은?

    ① 매년 1월 31일까지 ② 매년 2월 28일까지

    ❸ 매년 3월 31일까지 ④ 매년 12월 31일까지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2

 

온실가스관리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온실가스관리기사 최신 기출문제 입니다.

play.google.com

 

 

 

[41].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상 배출권 할당위원회의 구성기준으로 옳은 것은?

    ❶ 위원장 1명과 20명 이내의 위원

    ② 위원장 1명과 50명 이내의 위원

    ③ 위원장 1명과 75명 이내의 위원

    ④ 위원장 1명과 100명 이내의 위원

 

[42].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상 거짓으로 인증이나 확인을 받은 경우로서 그에 따른 녹색기술ㆍ녹색산업의 적합성 인증 및 녹색전문기업 확인을 취소할 수 있는 자는?

    ❶ 정부 ② 대통령

    ③ 국무총리 ④ 녹색산업투자회사

 

[43].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이산화탄소에 대한 온실가스의 복사 강제력을 비교하는 단위로서 해당 온실가스의 양에 지구 온난화지수를 곱하여 산출한 값”을 말하는 용어는?

    ① 온실가스 배출량 ② 온실가스 산정

    ③ 이산화탄소 배출량 ❹ 이산화탄소 상당량

 

[44]. 할당대상업체가 검증기관의 검증을 거친 명세서를 각 부문별 관장기관의 장에게 전자적 방식으로 제출하여야 하는 시기(기준)는?

    ① 매 이행연도 종료일까지

    ② 매 이행연도 종료일부터 1개월 이내

    ③ 매 이행연도 종료일부터 2개월 이내

    ❹ 매 이행연도 종료일부터 3개월 이내

 

[45].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령상 온실가스 감축과 에너지 절약 및 에너지 이용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에 관한 총괄ㆍ조정기능을 수행하는 자는?

    ① 기획재정부장관 ② 국무조정실장

    ❸ 환경부장관 ④ 산업통상자원부장관

 

[46].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상 주무관청은 매 계획기관 시작 몇 개월전까지 배출권거래제 할당대상업체를 지정ㆍ고시하여야 하는가?

    ① 12개월 전까지 ② 6개월 전까지

    ❸ 5개월 전까지 ④ 3개월 전까지

 

[47].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령상 관리업체가 매년 제출하여야 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소비량에 관한 명세서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① 명세서에 관한 품질관리 절차

    ② 업체의 규모, 생산설비, 제품원료 및 생산량

    ❸ 배출권의 할당 대상이 되는 부문 및 업종에 관한 사항

    ④ 포집ㆍ처리한 온실가스의 종류 및 양

 

[48]. 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ㆍ이용ㆍ보급촉진법상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한 후 신ㆍ재생에너지정책심의회의 심의를 거친 신ㆍ재생에너지의 기술개발 및 이용ㆍ보급을 촉진하기 위한 기본계획을 몇 년마다 수립하여야 하는가?

    ① 1년 ❷ 5년

    ③ 10년 ④ 20년

 

[49].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할당대상업체가 주무관청에 제출하여야 하는 상쇄배출권의 제출한도(기준)는 얼마인가?

    ① 할당대상업체 배출권의 100분의 1 이내의 범위

    ② 할당대상업체 배출권의 100분의 5 이내의 범위

    ❸ 할당대상업체 배출권의 100분의 10 이내의 범위

    ④ 할당대상업체 배출권의 100분의 20 이내의 범위

 

[50]. 온실가스 배출거래제 운영을 위한 검증지침상 검증팀장이 온실가스 배출량 검증 결과에 따라 확정할 수 있는 최종 검증의견이 아닌 것은?

    ① 적정 ② 부적정

    ③ 조건부 적정 ❹ 조건부 부적정

[51].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배출권 차입의 한도는 할당대상 업체가 주무관청에 제출하여야 하는 배출권의 얼마까지 가능한가?

    ① 100분의 50 ② 100분의 30

    ❸ 100분의 10 ④ 100분의 5

 

[52].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연료, 열 또는 전기의 공급점을 공유하고 있는 상태, 즉,ㅡ 건물 등에 타인으로부터 공급된 에너지를 변환하지 않고 다른 건물 등에 공급하고 있는 상태”를 말하는 용어는?

    ❶ 에너지 관리의 연계성 ② 에너지 관리 상태

    ③ 에너지 관리의 상호 의존성 ④ 에너지 관리 경계

 

[53].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배출량 인증위원회는 위원장 1인과 15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된다. 인증위원회의 위원장은 누구로 하는가?

    ① 산업통상자원부차관 ❷ 기획재정부1차관

    ③ 국토교통부차관 ④ 환경부장관

 

[54].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상 할당대상업체는 이행연도 종료일로부터 몇 개월 이내에 인증받은 온실가스 배출량에 상응하는 배출권을 주무관청에 제출하여야 하는가?

    ① 3개월 이내 ❷ 6개월 이내

    ③ 9개월 이내 ④ 12개월 이내

 

[55].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배출권거래제 2차 계획기간에는 할당재상업체별로 할당되는 배출권의 얼마를 무상으로 할당하는가?

    ❶ 100분의 97 ② 100분의 95

    ③ 100분의 93 ④ 100분의 90

 

[56].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배출권 거래제 3차 계획기간 이루의 무상할당비율은 얼마 범위 내에서 정하는가?

    ❶ 100분의 90 ② 100분의 85

    ③ 100분의 80 ④ 100분의 75

 

[57].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령상 중앙행정기관등의 장이 온실가스 감축 및 에너지 절약에 관한 이행계획을 실행한 이행결과보고서 전자적 방식으로 온실가스 종합정보센터에 제출하여야 하는 기한은?

    ❶ 다음 연도 3월 31일까지

    ② 다음 연도 6월 30일까지

    ③ 다음 연도 9월 30일까지

    ④ 다음 연도 12월 31일까지

 

[58].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령상 국가온실가스 감축 목표는 2030년의 국가 온실가스 총배출량을 2030년의 온실가스 배출 전망치 대비 얼마수준까지 감축하는 수준인가?

    ① 100분의 20 ② 00분의 25

    ❸ 00분의 37 ④ 00분의 45

 

[59].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상 정부가 할당계획 및 시장안정화 조치등을 심의ㆍ조정하기 위해 두는 할당위원회의 위원장은 누구로 하는가?

    ❶ 기호기재정부장관 ② 환경부장관

    ③ 교육과학기술부장관 ④ 국무총리

 

[60].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상 목표관리제 대상 관리업체가 정부의 개선명령을 이행하지 않았을 경우 부과되는 과태료 기준으로 옳은 것은?

    ❶ 1천만원 이하 ② 5백만원 이하

    ③ 3백만원 이하 ④ 2백만원 이하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2

 

온실가스관리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온실가스관리기사 최신 기출문제 입니다.

play.google.com

 

 

 

[61].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상 정부가 범지구적인 온실가스 감축에 적극 대응하고 저탄소 녹색성장을 효율적ㆍ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중장기 및 단계별 목표를 설정하고 그 달성을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강구해야 하는 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① 온실가스 감축 목표

    ② 에너지 절약 목표 및 에너지 이용효율 목표

    ❸ 자원순환 촉진 목표

    ④ 신ㆍ재생에너지 보급 목표

 

[62].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상 ㉠ 기후변화대응 기본계획과, ㉡ 에너지기본계획의 계획기간으로 옳은 것은?

    ① ㉠5년 ㉡5년 ② ㉠10년 ㉡5년

    ③ ㉠10년 ㉡10년 ❹ .㉠20년 ㉡20년

 

[63]. 정부가 녹색성장 국가전략을 수립하였을 때에 보고하는 기관은?

    ❶ 국회 ② 녹색성장위원회

    ③ 환경부 ④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64]. 교통부문의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절약 및 에너지 이용효율 목표는 누가 수립ㆍ시행하여야 하는가?

    ① 환경부장관 ② 산업통상자원부장관

    ❸ 국토교통부장관 ④ 기획재정부장관

 

[65].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제 하에서 부문별 관련기관의 소관업무가 잘못 짝지어진 것은?

    ① 농림축산식품부 : 농업ㆍ임업ㆍ축산 분야

    ❷ 산업통상자원부 : 산업ㆍ상업 분야

    ③ 환경부 : 폐기물 분랴

    ④ 국토교통부 : 건물ㆍ교통분야

 

[66]. 배출권 거래소의 업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배출권의 매매에 관한 업무

    ❷ 배출권의 할당에 관한 업무

    ③ 배출권의 경매 업무

    ④ 배출권 거래시장의 개설ㆍ운영에 관한 업무

 

[67].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하에서 배출권 할당 신청서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이 아닌 것은?

    ① 이행연도별 배출권 신청수량

    ❷ 이행년도별 연료 및 원료 소비량

    ③ 계획기간 내 시설 확장 및 변경 계획

    ④ 계획기간 내 온실가스 감축설비 도입 계획

 

[68]. 저탄소녹색성장 국가전약은 몇 년마다 수립되는가?

    ① 3년 ❷ 5년

    ③ 7년 ④ 10년

 

[69]. 관리업체가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 명세서를 거짓으로 작성하여 보고한 경우 과태료 금액은?

    ① 300만원 ② 500만원

    ③ 700만원 ❹ 1000만원

 

[70].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에서 정부가 저탄소 녹색성장을 효율적ㆍ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중장기 및 단계별 목표를 설정해야 하는 항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❶ 에너지 보급률 목표

    ② 에너지 절약 목표 및 에너지 이용효율 목표

    ③ 신ㆍ재생에너지 보급 목표

    ④ 온실가스 감축 목표

[71]. 사람의 활동으로 인하여 온실가스의 농도가 변함으로써 상당 기간 관찰되어 온 자연적인 기후변동에 추가적으로 일어나는 기후체계의 변화를 의미하는 것은? (단,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

    ① 지구온난화 ② 온실가스

    ③ 녹색성장 ❹ 기후변화

 

[72]. 할당대상업체가 종료된 이행연도의 배출권을 주무관청에 제출하여야 하는 기간은?

    ① 이행연도 종료일부터 15일 이내

    ② 이행연도 종료일부터 3개월 이내

    ❸ 이행연도 종료일부터 6개월 이내

    ④ 이행연도 종료일부터 1년 이내

 

[73].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정의에서의 온실가스 종류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이산화탄소(CO₂) ② 메탄(CH₄)

    ③ 아산화질소(N₂O) ❹ 과산화수소(H₂O₂)

 

[74].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하에서 배출권거래제 기본계획을 수립하여야 하는 자는?

    ❶ 기획재정부장관 ② 산업통상자원부장관

    ③ 국무총리 ④ 환경부장관

 

[75]. 중앙행정기관 등의 장은 해당연도 온실가스 감축 및 에너지절약에 관한 목표 이행계획을 전자적 방식으로 온실가스 종합정보센터에 매년 언제까지 제출하여야 하는가?

    ❶ 1월 31까지 ② 3월 31까지

    ③ 6월 30까지 ④ 9월 30까지

 

[76]. 정부가 수립해야 하는 기후변화 대응 기본계획의 수립ㆍ시행 주기는?

    ① 1년 ② 3년

    ❸ 5년 ④ 10년

 

[77].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에 있어서 관리업체가 관장기관의 지정고시에 이의가 있는 경우 이의신청을 할 수 있는 기간기준은?

    ① 고시된 날부터 15일 이내

    ❷ 고시된 날부터 30일 이내

    ③ 고시된 날부터 60일 이내

    ④ 고시된 날부터 90일 이내

 

[78].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에 있어 부문별 관장기관은 환경부장관의 확인을 거쳐 매년 언제까지 소관 관리업체를 관보에 고시하여야 하는가?

    ① 매년 1월 31일 ② 매년 3월 31일

    ❸ 매년 6월 30일 ④ 매년 12월 31일

 

[79].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에서 과징금 체납에 따른 가산금은 납부기한이 지난 날부터 1개월이 지날 때 마다 체납된 과징금의 얼마를 징수하는가?

    ① 1백분의 5일 ② 1백분의 10

    ❸ 1백분의 12 ④ 1백분의 22

 

[80]. 녹색성장 위원회 소속으로 옳은 것은?

    ① 대통령 직속 ❷ 국무총리 소속

    ③ 국토교통부 소속 ④ 환경부 소속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2

 

온실가스관리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온실가스관리기사 최신 기출문제 입니다.

play.google.com

 

 

 

 

[81].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에 있어서 부문별 관장기관은 관리업체가 목표달성을 못하거나, 제출한 이행실적이 미흡한 경우에는 개선명령 등 관리업체에 대해 필요한 조치를 할 경우 그 사실을 누구에게 즉시 통보하여야 하는가?

    ① 대통령 ② 국무총리

    ③ 기획재정부장관 ❹ 환경부장관

 

[82].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에 있어서 배출시설의 배출량 규모에 따른 산정등급(Tier) 분류 기준에서 A그룹에 해당하는 것은?

    ❶ 연간 5만톤 미만의 배출시설

    ② 연간 15만톤 이상의 배출시설

    ③ 연간 5만톤 이상, 연간 50만톤 미만의 배출시설

    ④ 연간 50만톤 이상의 배출시설

 

[83].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에서 산정등급(Tier) 분류체계 중 굴뚝 자동 측정지기 등 배출가스 연속측정방법을 활용한 배출량 산정 방법론에 해당하는 것은?

    ① Tier 1 ② Tier 2

    ③ Tier 3 ❹ Tier 4

 

[84]. 정부는 기후변화대응 기본계획을 몇 년마다 수립 시행하여야 하는가?

    ① 3년 ❷ 5년

    ③ 7년 ④ 10년

 

[85].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하에서 배출권 거래소의 업무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배출권 거래시장의 개설 운영에 관한 업무

    ② 배출권 매매에 관한 업무

    ❸ 배출권 할당 지정에 관한 업무

    ④ 배출권 경매 업무

 

[86].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의 원칙 및 역할에 관한 내용에서 산업, 발전 분야의 관장기관은?

    ❶ 산업통상자원부 ② 환경부

    ③ 국토교통부 ④ 기획재정부

 

[87].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상 주무 관청은 매 계획기간 시작 몇 개월 전가지 배출권 할당 대상 업체를 지정 고시하여야 하는가?

    ① 1개월 ② 3개월

    ❸ 5개월 ④ 6개월

 

[88]. 온실가스 감축목표의 설정 관리 및 필요한 조치에 관하여 총괄, 조정 기능을 수행하는 자는?

    ① 국토교통부장관 ❷ 환경부장관

    ③ 기획재정부장관 ④ 산업통상자원부장관

 

[89].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 운영에 있어서 관리업체는 관장기관의 지정, 고시에 이의가 있을 경우, 고시된 날로부터 며칠이내에 관장기관에게 이의를 신청할 수 있는가?

    ① 15일 ② 20일

    ③ 25일 ❹ 30일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