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45

 

인간공학기사 - Google Play 앱

인간공학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0]. 위험작업의 관리적 개선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위험표지 부착

    ② 작업자의 교육 및 훈련

    ③ 작업자의 작업속도 조절

    ❹ 작업자의 신체에 맞는 작업장 개선

 

[1]. 작업관리에서 결과에 대한 원인을 파악할 목적의 문제분석 도구는?

    ① 브레인스토밍 ② 공정도(process chart)

    ③ 마인트 맵핑(Mind mapping) ❹ 특성요인도

 

[2]. NIOSH의 들기작업지침에 따른 중량물 취급작업에서 권장무게한계를 산정하는데 고려해야 할 변수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상체의 비틀림 각도

    ❷ 작업자의 평균보폭거리

    ③ 물체를 이동시킨 수직이동거리

    ④ 작업자의 손과 물체 사이의 수직거리

 

[3]. 근골격계 질환 발생단계 가운데 2단계에 해당하는 것은?

    ① 작업 수행이 불가능함

    ② 휴식시간에도 통증을 호소함

    ③ 통증이 하룻밤 지나면 없어짐

    ❹ 작업을 수행하는 능력이 저하됨

 

[4]. 손가락을 구부릴 때 힘줄의 굴곡운동에 장애를 주는 근골격계질환의 명칭으로 옳은 것은?

    ① 회전근개 건염 ② 외상과염

    ❸ 방아쇠 수지 ④ 내상과염

 

[5]. 3시간 동안 작업 수행과정을 촬영하여 위크샘플링 방법으로 200회를 샘플링한 결과 30번의 손목꺽임이 확인되었다. 이 작업의 시간당 손목꺽임 시간은?

    ① 6분 ❷ 9분

    ③ 18분 ④ 30분

 

[6]. 동작경제의 원칙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신체 사용에 관한 원칙

    ② 작업장의 배치에 관한 원칙

    ❸ 제품과 공정별 배치에 관한 원칙

    ④ 공구 및 설비 디자인에 관한 원칙

 

[7].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대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작업방법과 작업공간을 재설계한다.

    ② 작업 순환(Job Rotation)을 실시한다.

    ③ 단순 반복적인 작업은 기계를 사용한다.

    ❹ 작업속도와 작업강도를 점진적으로 강화한다.

 

[8]. 작업구분을 큰 것에서부터 작은 것 순으로 나열한 것은?

    ❶ 공정→단위작업→요소작업→동작요소→서어블릭

    ② 공정→요소작업→단위작업→사어블릭→동작요소

    ③ 공정→단위작업→동작요소→요소작업→서어블릭

    ④ 공정→단위작업→요소작업→서어블릭→동작요소

 

[9]. 시계 조립과 같이 정밀한 작업을 위한 작업대의 높이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팔꿈치 높이로 한다.

    ② 팔꿈치 높이보다 5~15cm 낮게 한다.

    ❸ 팔꿈치 높이보다 5~15cm 높게 한다.

    ④ 작업면과 눈의 거리가 30cm 정도 되도록 한다.

 

[10].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근로자가 근골격계 부담작업을 하는 경우 유해요인조사의 실시주기는? (단, 신설되는 사업장은 제외한다.)

    ① 6개월 ② 1년

    ③ 2년 ❹ 3년

[11]. 표준시간의 산정 방법과 구체적인 측정기법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① 시간연구법-스톱워치법

    ② PTS법-MTM법, Work factor법

    ③ 워크 샘플링법-직접 관찰법

    ❹ 실적자료법-전자식 자료 집적기

 

[12]. 상세한 작업 분석의 도구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서어블릭(therblig) ❷ 파레토차트

    ③ 다중활동분석표 ④ 작업자 공정도

 

[13]. 공정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❶ 작업을 기본적인 동작요소로 나눈다.

    ② 부품의 이동을 확인할 수 있다.

    ③ 역류 현상을 점검할 수 있다.

    ④ 작업과 검사 과정을 표시할 수 있다.

 

[14]. 근골격계 질환 예방ㆍ관리 프로그램에서 추진팀의 구성원이 아닌 것은?

    ① 관리자 ② 근로자대표

    ❸ 사용자대표 ④ 보건담당자

 

[15]. 작업관리의 문제분석 도구로서, 가로축에 항목, 세로축에 항목별 점유비율과 누적비율로 막대-꺽은선 혼합 그래프를 사용하는 것은?

    ❶ 파레토차트 ② 간트차트

    ③ 특성요인도 ④ PERT 차트

 

[16]. 작업분석에 사용되는 공정도나 차트가 아닌 것은?

    ① 유통선도(Flow Diagram)

    ② 활동분석표(Activity Chart)

    ❸ 간접노동분석표(Indirect Labor Chart)

    ④ 복수작업자분석표(Gang Process Chart)

 

[17]. 곤골격계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대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단순 반복 작업은 기계를 사용한다.

    ② 작업장법과 작업공간을 재설계한다.

    ③ 작업순환(Job Rotation)을 실시한다.

    ❹ 작업속도와 작업강도를 점진적으로 강화한다.

 

[18]. 셀(Cell) 생산방식에 가장 적합한 제품은?

    ① 의류 ② 가구

    ③ 선발 ❹ 컴퓨터

 

[19]. 근골격계 질환 관련 위험작업에 대한 관리적 개선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작업의 다양성 제공

    ② 스트레칭 체조의 활성화

    ❸ 작업도구나 설비의 개선

    ④ 작업일정 및 작업속도 조절

 

[20]. 근골격계 질환의 요인에 있어 작업 관련 요인에 있어 작업 관련 요인에 해당하는 것은?

    ① 매장 경력 ② 작업 만족도

    ❸ 휴식시간 부족 ④ 작업의 자율적 조절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45

 

인간공학기사 - Google Play 앱

인간공학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21]. 간헐적으로 랜덤한 시점에서 연구대상을 순간적으로 관측하여 대상이 처한 상황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관측시간 동안에 나타난 항목별로 차지하는 비율을 추정하는 방법은?

    ① PTS법 ❷ 워크샘플링

    ③ 웨스팅하우스법 ④ 스톱워치를 이용한 시간연구

 

[22]. I TMU(Time Measurement Unit)를 초단위로 환산한 것은?

    ① 0.0036초 ❷ 0.036초

    ③ 0.36초 ④ 1.667초

 

[23]. 보다 많은 아이디어를 창출하기 위하여 가능한 모든 의견을 비판없이 받아 들이고 수정 발언을 허용하며 대량 발언을 유도하는 방법은?

    ❶ Brainstorming ② SEARCH

    ③ Mind Mapping ④ ECRS 원칙

 

[24]. 근골격계 질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신체의 기능적 장해를 유발할 수 있다.

    ❷ 사전조사에 의하여 완전 예방이 가능하다.

    ③ 초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심각해질 수 있다.

    ④ 미세한 근육이나 조직의 손상으로 시작된다.

 

[25]. 단위작업 장소 내에 4개, 8개의 동일작업으로 이루어진 부담 작업이 있다. 이러한 작업장에 대한 유해요인 조사 시 표본 작업 수는 각각 얼마 이상인가?

    ❶ 2, 2 ② 2, 3

    ③ 2, 4 ④ 4, 8

 

[26]. 작업관리의 궁극적인 목적인 생산성 향상을 위한 대상 항목이 아닌 것은?

    ① 노동 ② 기계

    ③ 재료 ❹ 세금

 

[27]. NIOSH의 들기작업 지침에서 들기지수 값이 1이 되는 경우 대상 중량물의 무게는 얼마인가?

    ① 18kg ② 21kg

    ❸ 23kg ④ 25kg

 

[28]. 작업연구의 내용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❶ 재고량 관리

    ② 표준시간의 산정

    ③ 최선의 작업방법 개발과 표준화

    ④ 최적 작업방법에 의한 작업자 훈련

 

[29]. 배치설비를 분석하는 데 있어 가장 필요한 것은?

    ① 서블릭 ❷ 유통선도

    ③ 관리도 ④ 간트차트

 

[30]. 다음 중 작업 대상물의 품질 확인이나 수량의 조사, 검사 등에 사용되는 공정도 기호에 해당하는 것은?

    ① ○ ❷ □

    ③ △ ④ ⇨

[31]. 작업개선에 따른 대안을 도출하기 위한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다른 사람에게 열심히 탐문한다.

    ② 유사한 문제로부터 아이디어를 얻도록 한다.

    ③ 현재의 작업방법을 완전히 잊어버리도록 한다.

    ❹ 대안 탐색 시에는 양보다 질에 우선순위를 둔다.

 

[32]. 근골격계 질환 중 손과 손목에 관련된 질환으로 분류되지 않는 것은?

    ① 결절종(Ganglion)

    ② 수근관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

    ❸ 회전근개증후군(Rotator Cuff Syndrome)

    ④ 드퀘르뱅건초염(Dequervain's Syndrome)

 

[33]. 근골격계질환 발생의 주요한 작업 위험 요인으로 분류하기에 적절하지 않는 것은?

    ① 부적절한 휴식

    ② 과도한 반복 작업

    ③ 작업 중 과도한 힘의 사용

    ❹ 작업 중 적절한 스트레칭의 부족

 

[34]. 워크샘플링 방법 중 관측을 등간격 시점마다 행하는 것은?

    ① 랜덤 샘플링 ② 층별 비례 샘플링

    ❸ 체계적 워크샘플링 ④ 퍼포먼스 워크샘플링

 

[35]. 문제분석을 위한 기법 중 원과 직선을 이용하여 아이디어 문제, 개념 등을 개괄적으로 빠르게 설정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연연적 추론 기법에 해당하는 것은?

    ① 공정도(process chart)

    ❷ 마인트 맵핑(mind maping)

    ③ 파레토 차트(pareto chart)

    ④ 특성요인도(cause and effect diagram)

 

[36]. 유해요인조사도구 중 JSI(Job Strain Index)의 평가 항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손/손목의 자세

    ❷ 1일 작업의 생산량

    ③ 힘을 발휘하는 강도

    ④ 힘을 발휘하는 지속시간

 

[37]. 손동작(manual operation)을 목적에 따라 효율적과 비효율적인 기본 동작으로 구분한 것은?

    ① task ② motion

    ③ process ❹ therbling

 

[38]. SEARCH 원칙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❶ Composition:구성

    ② How often:얼마나 자주

    ③ After sequence:순서의 변경

    ④ Simplify opertion:작업의 단순화

 

[39]. 동작경계의 원칙 3가지 범주에 들어가지 않은 것은?

    ❶ 작업개선의 원칙

    ② 신체의 사용에 관한 원칙

    ③ 작업장의 배치에 관한 원칙

    ④ 공구 및 설비의 디자인에 관한 원칙

 

[40]. 사람이 행하는 작업을 기본 동작으로 분류하고, 각 기본 동작들을 동작의 성질과 조건에 따라 이미 정해진 기준 시간을 적용하여 전체 작업의 정미시간을 구하는 방법은?

    ❶ PTS법 ② Rationg 법

    ③ Therbling 분석 ④ Work Sampling 법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45

 

인간공학기사 - Google Play 앱

인간공학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41]. 근골격계 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의 기본 원칙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인식의 원칙

    ② 시스템 접근의 원칙

    ❸ 일시적인 문제 해경의 원칙

    ④ 사업장 내 자율적 해결 원칙

 

[42]. 근골격계 질환 중 어깨 부위 질환이 아닌 것은?

    ❶ 외상과염(lateral epicondlitis)

    ② 극상근 건염(supraspinatus tendinitis)

    ③ 건봉하 점액낭염(subacromial bursitis)

    ④ 상완이두 건막염(biciptal tenosynovitis)

 

[43]. 근골격계질환의 예방에서 단기적 관리방안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안전한 작업방법의 교육

    ② 작업자의 대한 휴식시간의 배려

    ❸ 근골격계질환 예방ㆍ관리 프로그램의 도입

    ④ 휴게실, 운동시설 등 기타 관리시설의 확충

 

[44]. 다양한 작업 자세의 신체전반에 대한 부담정도를 분석하는데 적합한 기법은?

    ① JSI ② QEC

    ③ NLE ❹ REBA

 

[45]. 개선의 ECRS에 대한 내용으로 맞는 것은?

    ① Economic - 경제성 ❷ Combine - 결합

    ③ Reduce - 절감 ④ Specification - 규격

 

[46]. 어떤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크고 작은 요인들을 계통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작업분석 도구로 적합한 것은?

    ① PERT/CPM ② 간트 차트

    ③ 파레토 차트 ❹ 특성요인도

 

[47]. 팔꿈치 부위에 발생하는 근골격계 질환의 유형에 해당하는 것은?

    ❶ 외상 과염 ② 수근관 증후군

    ③ 추간판 탈출증 ④ 바르텐베르그 증후군

 

[48]. 관측평균은 1분, Rating 계수는 120%, 여유시간은 0.05분이다. 내경법에 의한 여유율과 표준시간은?

    ① 여유율 : 4.0%, 표준시간 : 1.05분

    ❷ 여유율 : 4.0%, 표준시간 : 1.25분

    ③ 여유율 : 4.2%, 표준시간 : 1.05분

    ④ 여유율 : 4.2%, 표준시간 : 1.25분

 

[49]. 시설배치방법 중 공정별 배치방법의 장점에 해당하는 것은?

    ① 운반 길이가 짧아진다.

    ② 작업진도의 파악이 용이하다.

    ❸ 전문적인 작업지도가 용이하다.

    ④ 제공품이 적고, 생산길이가 잛아진다.

 

[50]. 레이팅 방법 중 Westinghouse 시스템은 4가지 측면에서 작업자의 수행도를 평가하여 합산하는데 이러한 4가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노력 ② 숙련도

    ❸ 성별 ④ 작업환경

[51]. 근골격계 질환의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작업 특성 요인

    ② 개인적 특성 요인

    ③ 사회 심리적인 요인

    ❹ 법률적인 기준에 따른 요인

 

[52]. 동작분석을 할 때 스패너에 손을 뻗치는 동작의 적절한 서블릭(Therblig) 기호는?

    ① H ② P

    ❸ TE ④ SH

 

[53]. 작업 개선의 일반적 원리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① 충분한 여유 공간

    ❷ 단순 동작의 반복화

    ③ 자연스러운 작업 자세

    ④ 과도한 힘의 사용 감소

 

[54]. 서블릭(Therblig)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조립(A)은 효율적 서블릭이다.

    ② 검사(I)는 비효율적 서블릭이다.

    ③ 빈손이동(TE)은 효율적 서블릭이다.

    ❹ 미리놓기(PP)는 비효율적 서블릭이다.

 

[55]. 유해도가 높은 근골격계 부담 작업의 공학적 개선에 속하는 것은?

    ① 적절한 작업자의 선발

    ② 작업자의 교육 및 훈련

    ③ 작업자의 작업속도 조절

    ❹ 작업자의 신체에 맞는 작업장 개선

 

[56]. 작업분석에서의 문제분석 도구 중에서 80~20의 원칙에 기초하여 빈도수별로 나열한 항목별 점유와 누적비율에 따라 불량이나 사고의 원인이 되는 중요 항목을 찾아가는 기법은?

    ① 특성요인도 ❷ 파레토 차트

    ③ PERT 차트 ④ 산포도 기법

 

[57]. 워크샘플링(work sampling)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① 시간연구법보다 더 정확하다.

    ② 자료수집 및 분석시간이 길다.

    ❸ 관측이 순간적으로 이루어져 작업에 방해가 적다.

    ④ 컨베이어 작업처럼 짧은 주기의 작업에 알맞다.

 

[58]. 손과 손목 부위에 발생하는 근골격계 질환이 아닌 것은?

    ① 결절종 ② 수근과 증후군

    ❸ 외상과염 ④ 드퀘르베 건초염

 

[59]. 정미시간이 개당 3분이고, 준비시간이 60분이며 로트 크기가 100개일 때 개당 표준시간은 얼마인가?

    ① 2.5분 ② 2.6분

    ③ 3.5분 ❹ 3.6분

 

[60]. 근골격계 질환의 주요 발생요인이 아닌 것은?

    ❶ 넘어짐 ② 잘못된 작업자세

    ③ 반복동작 ④ 과도한 힘의 사용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45

 

인간공학기사 - Google Play 앱

인간공학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61]. 디자인 프로세스 단계 중 대안의 도출을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① 개선의 ECRS ② 5W1H분석

    ③ SEARCH원칙 ❹ Network Diagram

 

[62]. 동작경제의 원칙이 아닌 것은?

    ❶ 공정 개선의 원칙

    ② 신체의 사용에 관한 원칙

    ③ 작업장의 배치에 관한 원칙

    ④ 공구 및 설비의 설계에 관한 원칙

 

[63]. MTM(Method Time Measurement)법에서 사용되는 기호와 동작이 맞는 것은?

    ① P : 누름 ② M : 회전

    ❸ R : 손뻗침 ④ AP : 잡음

 

[64]. 중량물 취급 시 작업 자세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❶ 무릎을 곧게 펼 것

    ② 중량물은 몸에 가깝게 할 것

    ③ 발을 어깨넓이 정도로 벌릴 것

    ④ 목과 등이 거의 일직선이 되도록 할 것

 

[65]. 작업분석을 통한 작업개선안 도출을 위해 문제가 되는 작업에 대하여 가장 우선적이고, 근본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것은?

    ❶ 작업의 제거 ② 작업의 결합

    ③ 작업의 변경 ④ 작업의 단순화

 

[66]. 공정도 중 소요시간과 운반거리도 함께 표현하고, 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잠복비용을 감소시키며, 사고의 원인을 파악하는 데 사용되는 기법은?

    ① 작업공정도(Operation Process Chart)

    ② 작업자공정도(Operator Process Chart)

    ❸ 흐름(유통)공정도(Flow Process Chart)

    ④ 작업자흐름공정도(Man Flow Process Chart)

 

[67]. 작업개선을 위한 개선의 ECRS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Eliminate ② Combine

    ❸ Redesign ④ Simplify

 

[68]. 17가지 서어블릭을 이용하여 좀 더 상세하게 작업내용을 분석하고 시간까지 도시한 것은?

    ① 스트로보(strobo)

    ❷ 시모차트(SIMO chart)

    ③ 사이클 그래프(cycle graph)

    ④ 크로노 사이클 그래프(chrono cycle graph)

 

[69]. NIOSH의 RWL(recommended weight limit)를 계산하는데 필요한 계수에 대한 상수의 범위를 잘못 나타낸 것은?

    ① 비대칭계수 : 135° ~ 0°

    ② 수평계수 : 63㎝ ~ 25㎝

    ③ 거리계수 : 175㎝ ~ 25㎝

    ❹ 수직계수 : 175㎝ ~ 50㎝

 

[70]. 사무작업의 공정분석을 위해 사용되는 도표로 가장 적합한 것은?

    ❶ 시스템차트 ② 유통공정도

    ③ 작업공정도 ④ 다중활동부석표

[71]. 요소작업의 분할원칙에 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불변 요소작업과 가변 요소작업으로 구분한다.

    ② 외적 요소작업과 내적 요소작업으로 구분한다.

    ③ 규칙적 요소작업과 불규칙적 요소작업으로 구분한다.

    ❹ 숙련공 요소작업과 비숙련공 요소작업으로 구분한다.

 

[72].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대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단순 반복 작업은 기계를 사용한다.

    ② 작업방법과 작업공간을 재설계한다.

    ③ 작업순환(Job Rotation)을 실시한다.

    ❹ 작업속도와 작업강도를 점진적으로 강화한다.

 

[73]. 7TMU(Time Measurement Unit)를 초 단위로 환산하면 몇 초인가?

    ① 0.025초 ❷ 0.252초

    ③ 1.26초 ④ 2.52초

 

[74]. 인간공학에 있어 작업관리의 주요 목적으로 거리가 먼 것은?

    ❶ 공정관리를 통한 품질 향상

    ② 정확한 작업측정을 통한 작업개선

    ③ 공정개선을 통한 작업 편리성 향상

    ④ 표준시간 설정을 통한 작업효율 관리

 

[75]. 대규모 사업장에서 근골격계질환 예방·관리 추진팀을 구성함에 있어서 중·소규모 사업장 추진팀원 외에 추가로 참여되어야 할 인력은?

    ❶ 노무담당자 ② 보건담당자

    ③ 구매담당자 ④ 예산결정권자

 

[76]. 파레토 원칙(Pareto principle)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❶ 20%의 항목이 전체의 80%를 차지한다.

    ② 40%의 항목이 전체의 60%를 차지한다.

    ③ 60%의 항목이 전체의 40%를 차지한다.

    ④ 80%의 항목이 전체의 20%를 차지한다.

 

[77]. 작업구분을 큰 것에서부터 작은 순으로 나열한 것은?

    ❶ 공정→단위작업→요소작업→단위동작→서어블릭

    ② 공정→요소작업→단위작업→서어블릭→단위동작

    ③ 공정→단위작업→단위동작→요소작업→서어블릭

    ④ 공정→단위작업→요소작업→서어블릭→단위동작

 

[78]. 여러개의 스패너 중 1개를 선택하여 고르는 것을 의미하는 서블릭 기호는?

    ① H ② P

    ❸ ST ④ PP

 

[79]. WF(Work Factor)법의 표준 요소가 아닌 것은?

    ① 쥐기(Grasp, Gr)

    ❷ 결정(Decide, Dc)

    ③ 조립(Assemble, Asy)

    ④ 정신과정(Mental Process, MP)

 

[80].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라 사업주가 근골격계 부담작업 종사자에게 반드시 주지시켜야 하는 내용과 거리가 먼 것은?

    ① 근골격계부담작업의 유해요인

    ❷ 근골격계질환의 요양 및 부상

    ③ 근골격계질환의 징후 및 증상

    ④ 근골격계질환의 발생시 대처요령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45

 

인간공학기사 - Google Play 앱

인간공학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81]. 근골격계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의 기본원칙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인식의 원칙

    ② 시스템 접근의 원칙

    ③ 사업장내 자율적 해결원칙

    ❹ 일시적인 문제 해결의 원칙

 

[82]. 근골격계 질환의 주요 사회심리적 요인인 것은?

    ① 작업습관 ② 접촉 스트레스

    ❸ 직무스트레스 ④ 부적절한 자세

 

[83]. 다중활동분석표의 사용 목적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조작업의 작업 현황 파악

    ❷ 수작업을 기본적인 동작요소로 분류

    ③ 기계 혹은 작업자의 유휴 시간 단축

    ④ 한 명의 작업자가 담당할 수 있는 기계 대수의 선정

 

[84]. 다음 중 중립자세가 아닌 것은?

    ① 어깨가 이완된 상태

    ② 고개가 직립인 상태

    ❸ 팔꿈치가 45°를 이루고 있는 상태

    ④ 손목이 일직선(180°)으로 펴진 상태

 

[85]. 동작경제의 원칙에 속하지 않는 것은?

    ❶ 공정 개선의 원칙

    ② 신체의 사용에 관한 원칙

    ③ 작업장의 배치에 관한 원칙

    ④ 공구 및 설비의 디자인에 관한 원칙

 

[86]. 유통선도(flow diageam)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자재흐름의 혼잡지역 파악

    ② 시설물의 위치나 배치관계 파악

    ③ 공정과정의 역류현상 발생유무 점검

    ❹ 운반과정에서 물품의 보관 내용 파악

 

[87]. 대안의 도출방법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① 공정도 ② 특성요인도

    ③ 파레토차트 ❹ 브레인스토밍

 

[88]. 작업준석에 있어서 개선 활동을 위한 원칙 중 ECRS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❶ Element ② Combine

    ③ Rearrange ④ Simplify

 

[89]. 다음 중 시간연구에서 다루는 내용과 관련성이 가장 적은 것은?

    ① 정미시간 ② 표준시간

    ③ 여유율 ❹ 오차율

 

[90]. Work Factor에서 동작시간 결정 시 고려하는 4가지 요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인위적 조절 ② 동작 거리

    ③ 중량이나 저항 ❹ 수행도

[91]. 다음 중 시간 축 위에 수행할 활동에 대한 필요한 시간과 일정을 표시한 문제의 분석 도구는?

    ① 파레토 챠트 ② 특성요인도

    ❸ 간트 챠트 ④ 마인드 맵핑

 

[92]. 다음 중 입식작업보다는 좌식 작업이 더 적절한 경우는?

    ① 큰 힘을 요하는 경우

    ② 작업방경이 큰 경우

    ❸ 정밀 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

    ④ 작업시 이동이 많은 경우

 

[93]. 다음 중 손솨 손목 부위에 발생하는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이 아닌 것은?

    ① 방아쇠 손가락(trigger finger)

    ❷ 외상 과염(lateral epicondylitis)

    ③ 가이언 증후근(canal of guyon)

    ④ 수근관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

 

[94]. 다음 중 비효율적인 서어블릭(therblig)에 해당하는 것은?

    ❶ 계획(Pn) ② 빈손이동(TE)

    ③ 사용(U) ④ 쥐기(G)

 

[95]. 다음 중 근골격계부담작업에 근로자가 종사하도록 하는 경우 유해요인조사의 실시주기로 옳은 것은?

    ① 6월 ② 1년

    ③ 2년 ❹ 3년

 

[96]. 다음 중 작업연구의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❶ 무결점 달성 ② 표준시간의 설정

    ③ 생산성 향상 ④ 최선의 작업방법 개발

 

[97]. 다음 중 MTM(Methods Time Measurement)법의 용도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❶ 현상의 발생비율 파악

    ② 능률적인 설비, 기계류의 선택

    ③ 표준시간에 대한 불만 처리

    ④ 작업개선의 의미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98]. 다음 중 동작경제의 원칙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작업장의 배치에 관한 원칙

    ② 신체 사용에 관한 원칙

    ❸ 공정 및 작업개선에 관한 원칙

    ④ 공구 및 설비 디자인에 관한 원칙

 

[99]. 다음 중 근골격계 질환과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은?

    ① VDT 증후군

    ② 반복긴장성손상(RSI)

    ③ 누적외상성질환(CTDs)

    ❹ 외상후스트레스증후군(PTSD)

 

[100]. 다음 중 NIOSH의 들기작업지침에 따른 중량물 취급작업에서 권장무게한계를 산정하는데 고려해야 할 변수가 아닌 것은?

    ① 작업자와 물체 사이의 수직거리

    ❷ 작업자의 평균보폭거리

    ③ 물체를 이동시킨 수직이동거리

    ④ 상체의 비틀림 각도

 

[101]. 다음 중 표준 공정도 기호와 그 내용의 연결이 틀린 것은?

    ❶ □:지연 ② ○:가공(작업)

    ③ ▽:저장 ④ →:운반

 

[102]. 다음 중 근골격계 유해요인의 개선 방법에 있어 관리적 개선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작업 습관 변화 ❷ 작업장 재배열

    ③ 직장 체조 강화 ④ 작업자 적정 배치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45

 

인간공학기사 - Google Play 앱

인간공학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