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6
[0]. 대뇌피질의 시각영역이 속하는 부위는?
① 전두엽 ② 측두엽
③ 두정엽 ❹ 후두엽
[1]. 다음 중에서 전해질 겔(Electrolyte gel)이 필요하지 않은 전극은?
① Ag-AgCl 전극
② 부유 전극(floating electrode)
❸ 경피적 바늘 전극(needle electrode)
④ 금속판 전극(metal-plate electrode)
[2]. 심장의 벽은 3층 구조로 되어 있으며, 외곽에서부터 차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❶ 심외막-심근-심내막 ② 심내막-심근-심외막
③ 심외막-심내막-심근 ④ 심내막-심외막-심근
[3]. 반투막을 사이에 두고 용질이 농도가 낮은 쪽에서 용질의 농도가 높은 쪽으로 용매가 이동하는 현상은?
① 확산(Diffusion) ❷ 삼투(Osmosis)
③ 여과(Filtration) ④ 경쟁(Competition)
[4]. 다음 중 인체 근육의 주요 기능이 아닌 것은?
① 움직임 및 자세 유지 ❷ 전해질 조절
③ 심장박동 ④ 열 생산
[5]. 안정상태의 심실근육세포의 세포막 전위차인 안정막전위의 범위는 얼마인가?
① -120 ~ -100mV ❷ -90 ~ -70mV
③ 70 ~ 90mV ④ 100 ~ 120mV
[6]. 변위를 측정하는 센서가 아닌 것은?
① 압전 센서
② 용량성 센서
❸ 표면 플라즈몬 공명 센서
④ 선형가변차동변환기(LVDT)
[7]. 전극과 전해질간의 경계면에서 전류가 흐를 때, 반전지 전위의 변화가 일어나게 되는데,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의 반전위 전위와 전류가 흐를 때 변화한 반전지 전위의 차이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❶ 과전위(overpotential)
② 오프셋전위(offset potential)
③ 변위전류(displacement current)
④ 반전지 전위(half-cell potential)
[8]. 평행판 모양의 용량성 센서에서 정전 용량을 변화시킬 수 있는 방법이 아닌 것은?
① 판의 유효 넓이 ② 판 사이의 간격
③ 유전체 ❹ 전하량
[9]. 다음 의료생체센서 장치 중 측정되는 것이 다른 하나는?
① 뇌압계 ❷ 근변위계
③ 휴대용 혈압계 ④ 관혈식 혈압계
[10]. 생체신호 중 센서에서 측정방식이 빛이 아닌 것은?
① 혈류 ② 맥파
❸ 안구전위 ④ 혈액성분
[11].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는 유도성 센서의 관계식에 표현되지 않는 것은?
❶ 부피 ② 튜자율
③ 기하힉적 위치 ④ 코일의 감은 수
[12]. 센서의 측정 중 참 값과 측정된 값과의 차이를 참 값으로 나눈 값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안정도 ② 분해능
❸ 정확도 ④ 재현성
[13]. 다음 중 분극 전극이 아닌 것은?
❶ 일회용 Ag-AgCl 전극
② 스테인리스 재질의 바늘형 전극
③ 인체 내부에 이식하는 백금 전극
④ 겔을 사용하지 않은 건성 전극(dry electrode)
[14]. 신경전달물질의 양을 조절하는 기전이 아닌 것은?
① 연접전신경세포 축삭에서 합성된다.
② 연접전신경세포 축삭으로 재흡수된다.
③ 분해효소에 의해 신경전달물질이 파괴된다.
❹ 연접후신경세포 막으로 확산되어 소멸한다.
[15]. 다음 중 금속저항 온도계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주로 귀금속이 유용하다.
❷ 회로에 큰 전류를 흘려야 한다.
③ 전기회로는 브리지 회로가 바람직히다.
④ 보통 선이나 호일 또는 금속판의 형태로 제작된다.
[16]. 흡착 전극(suction electrod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탈부착 작업이 쉽다.
② 피부 표면에 부착하는 전극이다.
③ 동잡음(motion artifact)이 비교적 크다.
❹ 인체내부의 장기에 부착해서 측정한다.
[17]. 압력 센서는 압력 이외의 물리량의 변화에는 최소한으로 반응해야 한다. 이와 같이 센서가 측정하고자 하는 물리량에만 반응하는 특성은?
① 민감도 ❷ 선택도
③ 동작범위 ④ 오차
[18]. 미세 전극(micro-electrode)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인체 내에 이식해서 사용된다.
❷ 세포막 양측의 전위차를 측정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③ 피부 표면에 부착해서 사용한다.
④ 바늘 형태로 피부에 찔러서 사용한다.
[19]. 어떤 물질에 어떤 방향으로 압축 또는 인장력을 가했을 때, 전기 분극이 일어나고 대응되는 단면에 분극전하가 나타나는 현상은?
❶ 압전 효과 ② 콤프턴 효과
③ 광전 효과 ④ 펠티에 효과
[20]. 인체에 삽입하는 바늘형 전극(needle electrode)의 재질로 부적합한 것은?
① 금(Au) ② 백금(Pt)
❸ 아연(Zn) ④ 스테인리스 강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6
[21]. 용량성 센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❶ 변위를 측정할 수 있다.
② 접합 반도체의 특성을 이용한다.
③ 물리적 압력이 가해지면 전압이 발생한다.
④ 온도에 따라 저항이 변화하는 특성을 이용한다.
[22]. 신경섬유에서 흥분전도의 특성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양 방향으로 전도 가능하다.
② 활동전위의 진폭이 일정하다.
③ 섬유가 굵을수록 전도속도가 빠르다.
❹ 활동전위의 빈도가 일정하다.
[23]. 혈관의 직경을 조절하는 물질 중 모든 혈관을 수축시키며 특히 말초혈관에 대하여 강한 수축작용을 하는 물질은?
① 히스타민 ② 브라디키닌
❸ 노르에피네프린 ④ 아세틸콜린
[24]. 금속저항 온도계를 이용한 온도측정 회로에서 센서에 큰 전류가 흐르도록 설계해서는 안 되는 이유는?
① 제작상의 어려움 때문
② 회로 구성의 어려움 때문
③ 온도센서의 부식 때문
❹ 소자의 온도 상승 때문
[25]. 뼈의 분류와 관련하여 편평골에 속하는 것은?
❶ 두개골 ② 척추
③ 하악골 ④ 상완골
[26]. 심전도(ECG) 파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P파 : 심방의 탈분극
❷ PR간격 : P파의 시작에서 다음 P파 시작까지의 시간
③ RR간격 : R파의 시작에서 다음 R파 시작까지의 시간
④ T파 : 심실의 재분극
[27]. 다음 중 생체전위를 측정하는데 사용할 수 없는 전극은?
① 금속판 전극 ② Ag-AgCl 전극
③ 백금 바늘전극 ❹ 수소 전극
[28]. 다음 중 의미있는 센서 출력을 발생시키는 최대 입력과 최소 입력 사이의 범위를 의미하는 용어는?
❶ 동작범위(dynamic range)
② 감도(sensitivity)
③ 전달함수(transfer function)
④ 교정(calibration)
[29]. 인체 하지의 골격이 아닌 것은?
① 경골 ② 비골
❸ 요골 ④ 대퇴골
[30].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가 아닌 것은?
① 서머스터 ❷ 압전 센서
③ 열전대 ④ 금속 저항 온도계
[31]. 심장판막의 기능으로 옳은 것은?
① 심장 혈액에 영양을 공급한다.
❷ 심장 혈액의 역류를 방지한다.
③ 혈액이 산소와 결합하는 친화성이 높다.
④ 혈액의 여과, 배설 작용을 한다.
[32]. 1회 호흡을 통해 의도적으로 호흡계 안쪽 또는 밖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최대 공기 양은?
❶ 폐활량(vital capacity)
② 전폐용량(total lung capacity)
③ 흡기용량(inspiratory capacity)
④ 기능적 잔기용량(functional residual capacity)
[33]. 광센서의 광 검출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주변의 빛에 예민하여 잡음이 발생할 수 있다.
② 광전도체나 광다이오드 같은 검출기가 많이 이용된다.
❸ 소형으로는 만들 수 없다.
④ 검출효율이나 민감도가 좋아야 한다.
[34]. 센서에서 단위 입력 변화에 대한 출력 변화를 나타내는 것은?
① 정밀도 ❷ 감도
③ 입력 범위 ④ 오차
[35]. 심전도의 표준사지유도 중에서 왼발 전극에 양(+)극을, 왼손 전극에 음(-)극을 주고 두 지점간의 전위차를 기록하는 유도 방식은?
① 제1유도 ② 제2유도
❸ 제3유도 ④ aVF유도
[36]. 측정센서 중 다른 센서와 다른 것은?
① 선형가변차동변환기 ② 탄성게이지
③ 용량성센서 ❹ 열전쌍
[37]. 비접촉식 체온 측정이 가능한 센서는?
① 백금(platinum) 온도센서
② 서미스터(thermistor)
③ 열전쌍(thermocouple)
❹ 초전형 센서(pyroelectric sensor)
[38]. 심전도 검사 시 의료용 페이스트(paste)가 준비되지 않았을 경우, 대신 사용할 수 있는 용액은?
❶ 식염수 ② 증류수
③ 75% 알코올 ④ 녹말용액
[39]. 5대 영양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탄수화물 ② 지방
③ 단백질 ❹ 섬유질
[40]. 압전센서의 적용 범위가 아닌 것은?
❶ 혈당 측정 ② 심음 측정
③ 간접혈압측정 ④ 요골동맥 맥파 측정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6
[41]. 신경세포가 자극을 받아 신경흥분이 전도될 때의 막전위 상태는?
① 안정막전위 ❷ 활동전위
③ 안정전위 ④ 불응전위
[42]. 체내 삽입형 센서가 가져야 하는 특성과 거리가 먼 것은?
① 소형화 ② 안정성
③ 전기적 절연 ❹ 고전압 구동
[43]. 심전도에서 T파가 기록되는 동안에 심장에서 일어나는 전기적 활동은?
① 심방의 탈분극 ② 심방의 재분극
③ 심실의 탈분극 ❹ 심실의 재분극
[44]. 대장(큰창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수분, 염화물 및 나트륨 흡수
② 맹장, 결장, 직장 등으로 구분
③ 분변 형성 및 배변 작용
❹ 담즙과 췌장액을 조절하는 데 도움을 주는 호르몬 분비
[45].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표면전극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안정적으로 접촉을 유지하여야 한다.
❷ 접촉 임피던스가 높아야 한다.
③ 분극전압이 작아야 한다.
④ 분극 변화에 대한 안정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46]. 인간의 신경계와 관련하여 대뇌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전두엽(frontal lobe)
❷ 시상하부(hypothalamus)
③ 운동피질(motor cortex)
④ 일차시각영역(primary visual cortex)
[47]. 다음 중 변위를 측정하는 센서는?
① 열전쌍
② 서미스터
❸ 선형 가변 차동 변환기
④ 표면 플라즈몬 공명 센서
[48]. 다음 중 동잡음이 가장 크게 발생하는 전극은?
❶ 금속판 전극 ② 부유 전극
③ 가요성 전극 ④ 이식형 전극
[49]. 초음파 영상장치에서 초음파를 혈관내에 투과시켰을 때 혈구세포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초음파의 주파수 변화를 측정하여 혈류의 속도를 측정하는데 이 때 사용되는 이론은?
❶ 도플러 효과 ② 홀 효과
③ 광전 효과 ④ 전계 효과
[50]. 혈관 중에서 혈압이 가장 낮은 부위는?
① 대동맥 ② 소동맥
③ 모세혈관 ❹ 대정맥
[51]. 의료용 혈류측정방법으로 사용하기 힘든 기술은?
① 열선과 온도센서를 통한 간접적 방식의 측정
② 레이저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유속분포측정
❸ 효소공유결합 바이오센서를 이용한 유속측정
④ 초음파에서의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유속측정
[52]. 인체의 곡면에 접촉성을 높이고, 움직임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휘어지기 쉽도록 얇은 판 또는 막 형태로 제작된 전극은?
① 흡착전극 ② 미세전극
❸ 가요성전극 ④ 감흥전극
[53]. 다음 중 길이성장을 담당하는 뼈의 부위는?
❶ 골단판 ② 골막
③ 골수 ④ 해면골
[54]. 생체측정 대상에 직접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식 온도 측정 방법으로 적합한 것은?
① 물체의 열저항 측정
② 물체가 내는 자외선 측정
❸ 물체가 내는 적외선 측정
④ 재배 효과로 인한 전압 측정
[55]. 용량성 센서의 특징으로 가장 옳은 것은?
① 집합 반도체로 구성된다.
② 물리적 압력에 따른 전압을 발생한다.
❸ 변위를 측정할 수 있다.
④ 자기에너지 형태로 에너지를 저장한다.
[56]. Ag-AgCl(은-염화은) 전극의 특성으로 틀린 것은?
① 전해질을 필요로 한다.
❷ 대표적인 분극 전극이다.
③ 저항성 특성이 나타난다.
④ 저주파 신호측정에 적합하다.
[57]. 수소 전극을 기준으로 할 때, 반전지(half-cell)전위가 가장 높은 물질은?
❶ 금(Au) ② 은(Ag)
③ 구리(Gu) ④ 납(Pb)
[58]. 광학센서 중에서 광전효과를 사용하여 빛을 감지하며 광전자 방출용 음극(photocathode)과 여러 개의 전자 방출용 전극인 다이노드(dynode), 2차 전자를 수집하는 양극판이 진공관 안에 봉입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은?
① CdS셀
② 광전관(phototube)
③ 광다이오드(photodiode)
❹ 광전자 증배관(photomultiplier)
[59]. 인체 내의 특정 부위의 전위를 측정하거나 특정 부위에 전기적 자극을 가하기 위해 인체 내부에 삽입하는 전극은?
① 미세전극(micro electrode)
❷ 내부전극(internal electrode)
③ 가요성전극(flexible electrode)
④ 감흥전극(calomel electrode)
[60]. 다음 중 바이러스나 독성 물질 등에 의해 간이 손상되거나 간세포에 염증이 생기는 증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백혈병 ② 간경화
❸ 간염 ④ 간부종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6
[61]. 다음 중 고혈압의 원인이 아닌 것은?
① 동맥경화 ② 고지혈증
③ 중성지방 ❹ 저염식이
[62]. 다음 중 수의적으로 조절되는 근육은?
① 심장근 ② 모양체근
③ 유문괄약근 ❹ 이두박근
[63]. 화학센서의 측정 대상 물질이 아닌 것은?
①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 ② 산소 분압
❸ 혈압 ④ 혈당
[64]. 전극과 전해질에서 이온의 집적(accumulation)으로 인하여 기전력이 발생하는데, 이것이 발생하기 가장 쉬운 곳은 금속과 용액의 접촉면이며, 대단히 제멋대로인 현상이라 그때마다 정도가 달라 생체 전위의 측정에서 일정한 결과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이를 무엇이라 하는가?
① 변위전류(displacement current)
② 반전지 전위(half-cell potential)
③ 과전위(overpotential)
❹ 분극(polarization)
[65]. 심장의 활동전위의 전도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동방결절(sinoatrial node)
② 방실결절(atrioventricular node)
❸ 심실중격(interventricular septum)
④ 히스속(bundle of His)
[66]. 인체의 상태가 외부의 환경 변화에 불구하고 비교적 일정하게 조절되는 기전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순응성 ② 대칭성
❸ 항상성 ④ 혐기성
[67]. 어떤 변환기에 작용하는 출력 전압을 계산하기에 용이한 계수는?
① 변환계수 ② 게이지계수
❸ 감도계수 ④ 비례계수
[68]. 대기 중의 산소 분압과 정상인에게 측정된 폐포내의 산소 분압 그리고 폐정맥에서 헤모글로빈과 산소의 결합률을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① 150 mmHg, 100 mmHg, 70~75%
② 100 mmHg, 40 mmHg, 70~75%
❸ 150 mmHg, 100 mmHg, 98~100%
④ 100 mmHg, 40 mmHg, 40~45%
[69]. 금속평행판 축전기를 이용한 용량성 센서에서 판의 간격을 2배로 하면 정전용량은?
① 이전과 같다. ② 2배가 된다.
❸ 1/2로 된다. ④ 1/4로 된다.
[70]. 피부의 가장 외부에 위치하며, 케라틴(Keratin) 이라는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어 전극과 피부표면의 등가회로에서 가장 높은 저항을 가지고 있어, 전극 부착 시 제거하여 측정하도록 하는 것은?
① 진피층 ❷ 각질층
③ 기저층 ④ 과립층
[71]. 뼈에 생기는 악성종양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연골종 ② 연골모세포종
③ 골성골종 ❹ 골육종
[72]. 제벡(Seebeck) 효과로 인해 온도가 다른 두 접점 사이에서 직접 측정할 수 있는 물리량은?
① 전압 ❷ 기전력
③ 저항 ④ 정전용량
[73]. 반도체의 접합부에 빛이 조사되면 전자와 정공의 흐름이 생겨 기전력이 발생하는 현상은?
① 광도전 효과 ② 광전자 방출 효과
③ 집전 효과 ❹ 광기전력 효과
[74]. 가변저항 센서(potentiometer)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저항 측정을 통해 변위를 측정한다.
❷ 직선 변위만 측정할 수 있다.
③ 교류와 직류 모두 사용할 수 있다.
④ 선형성이 좋고 측정 범위가 넓다.
[75]. 각성 시에 전두부에서 주로 나타나는 뇌전도 파형은?
① α파 ❷ β파
③ γ파 ④ δ파
[76]. 변위에 따라 저항이 바뀌는 센서는?
① 열전쌍 ② 선형 가변 차동 변환기
❸ 스트레인게이지 ④ 압전센서
[77]. 전극의 종류와 관련하여 표면전극이 아닌 것은?
① 일회용 금속판 전극 ❷ 바늘형 전극
③ 부유 전극 ④ 흡착 전극
[78]. 심장 박동 주기 중 심실 압력은 급격히 증가하나 모든 판막이 닫혀 있기 때문에 심실용적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시기는?
① 심방 수축기 ❷ 심실의 등장성 수축기
③ 급속 구출기 ④ 감소 구출기
[79]. 근육수축의 가장 간단한 형태로서 단일자극에 대한 단일수축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경축(contracture) ② 강축(tetanus)
❸ 연축(twitch) ④ 긴장(tonus)
[80]. 심장에서 정상적인 심박조율 기능을 하는 부위는?
① 푸르키니에 섬유 ② 히스번들
③ 방실결절 ❹ 동방결절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6
[81]. X-선을 사용한 골 연령 판정에 사용되는 부위는?
① 골막 ② 골수강
③ 치밀골 ❹ 골단선
[82]. 체온조절을 담당하는 신경계의 부위는?
① 대뇌 ② 소뇌
❸ 시상하부 ④ 측두엽
[83]. 금속저항 온도계를 이용한 온도측정 회로에서 센서에 큰 전류가 흐르도록 설계해서는 안 되는 이유는?
① 제작상의 어려움 때문에
② 회로 구성의 어려움 때문에
③ 온도센서의 부식 때문에
❹ 소자의 온도 상승 때문에
[84]. 센서가 활용되는 측정회로에서 입력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출력전기 신호가 0이 아닌 값이 나오는 현상을 부르는 용어는?
① 감도 ② 동작범위
③ 복귀도 ❹ 오프셋
[85]. 열전쌍(thermocouple)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열기전력 특성이 연속적이고 선형성을 가진다.
② 화학적, 기계적으로 안정적이다.
❸ 변위를 측정할 때 사용된다.
④ 안정적인 고감도 증폭기가 필요하다.
[86]. 인슐린(insulin)이 생산되는 곳은?
① 간 ❷ 췌장
③ 신장 ④ 비장
[87]. 열전쌍에 적용되는 원리로서, 2종의 금속 또는 반도체를 폐로가 되도록 접속하고, 접속한 두 점 사이에 온도차에 대해 기전력이 발생하여 전류가 흐르는 현상은?
① 제만 효과 ❷ 제벡 효과
③ 전위차 효과 ④ 접합 효과
[88]. 유리 마이크로 피펫 미세전극을 이용하여 세포 내부의 전압을 측정하는 경우 미세전극 내부에 채우는 전해액으로 적당한 것은?
① 150 mole NaCl ② 3 mole HCl
③ 3 mole NaCl ❹ 3 mole KCl
[89]. 심전도 검사 시 의료용 페이스트(paste)가 준비되지 않았을 경우, 대신 사용할 수 있는 용액은?
❶ 식염수 ② 증류수
③ 75% 알코올 ④ 녹말용액
[90]. 세포에서 유전정보인 DNA와 단백질을 만드는 데 필요한 RNA를 담고 있는 구조는?
① 세포막 ② 막단백질
③ 미토콘드리아 ❹ 핵
[91]. 일반적인 화학센서에서 측정하는 대상물질로만 짝지어진 내용이 아닌 것은?
① 수소이온농도, 산소분압
❷ 대사산물, 광량
③ 산소분압, 이산화탄소분압
④ 헤마토크릿, 전해질
[92]. ECG 의 측정방법 중 팔다리에서 측정하는 신호가 아닌 것은?
① LEAD 1 ❷ V6
③ aVF ④ aVR
[93]. 호흡기계의 기능이 아닌 것은?
① 혈액이나 체액의 갑작스런 pH 변화 방지 기능
❷ 공기의 온도와 습기조절 능력으로 기관보호
③ 미생물, 공기 중의 독소입자로부터 신체 보호
④ 확산을 통한 산소공급 및 이산화탄소 제거
[94]. 중추 신경계에 속하지 않는 것은?
❶ 미주신경 ② 시상
③ 뇌간 ④ 척수
[95]. 흡착전극(suction electrod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탈부착 작업이 쉽다.
② 피부 표면에 부착하는 전극이다.
③ 동잡음(motion artifact)이 비교적 크다.
❹ 인체 내부의 장기에 부착해서 측정한다.
[96]. 직육면체의 금속에 열을 가하고 길이의 변화에 따른 저항을 측정하였다. 열에 의해 금속의 길이는 20% 늘어났고, 면적은 10% 증가했다. 저항계수가 열에 의해 10% 증가했다면 총 저항의 변화율은?
① 10% 감소 ② 10% 증가
③ 20% 감소 ❹ 20% 증가
[97]. 광전식 혈량 측정 장치에서 측정되는 맥파의 전파속도를 2배로 올리려면 영(Young)의 탄성계수를 몇 배로 하여야 하는가?
① 1배 ② 2배
❸ 4배 ④ 8배
[98]. 우심방과 우심실 사이에 있는 판막은?
① 폐동맥판 ② 승모판
❸ 삼첨판 ④ 중격
[99]. 전기적 흥분이 신경세포에서 신경세포로 전달되는 메커니즘과 심장세포와 심장세포사이로 흥분이 전달될 수 있는 메커니즘을 바르게 짝지은 것은?
① synapse - synapse
❷ synapse – gap junction
③ cable theory – starling's law
④ 크리스티앙 외르스테드의 법칙 – 렌쯔의 법칙
[100]. 다음 중 심장, 혈관, 호흡계를 조절하는 중추는?
① 간뇌 ② 중뇌
③ 교 ❹ 연수
[101]. 대뇌피질의 시각영역이 속하는 부위는?
① 전두엽 ② 측두엽
③ 두정엽 ❹ 후두엽
[102]. 골격근과 뼈의 연결부위에 위치하는 구조물은?
① 인대 ② 활막
❸ 건 ④ 연골
[103]. 적골수가 존재하는 곳은?
① 골수강 ❷ 골단의 해면골
③ 골간의 치밀골 ④ 골간의 해면골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6
[104]. 압전소자에 전압을 가하면 변형이 생기는 현상을 이용한 장치가 아닌 것은?
① 초음파 쇄석기
❷ 심음도 측정장치
③ 도플러 혈류 측정기
④ 진단용 초음파 영상기기
[105]. ECG 측정 장치에서 잡음의 원인이 아닌 것은?
① 환자의 움직임
② 전극(electrode)의 접촉 불량
③ 제세동장치(defibrillator)의 사용
❹ 스트레스로 인한 EEG 신호의 증가
[106]. 5대 영양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탄수화물 ② 단백질
❸ 무과당 ④ 지방
[107]. 혈관계에서 세포에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하고 노폐물을 교환하는 것은?
① 대동맥 ② 정맥
❸ 모세혈관 ④ 동맥
[108]. 다음 중 은-염화은(Ag-AgCl) 전극의 특성에 해당하는 것은?
❶ 전기적 특성이 저항성이다.
② 고주파 신호 측정에 적합하다.
③ 장기간 사용가능하다.
④ 수명이 길다.
[109]. 다음 중 동맥혈압이 가장 높은 인체의 부위는?
❶ 다리 ② 목
③ 가슴 ④ 머리
[110]. 의료 및 생체실험용으로 많이 쓰이는 대표적인 비분극 전극에 해당하는 것은?
① 은 전극 ② 금 전극
❸ 은-염화은 전극 ④ 스테인리스 바늘전극
[111]. 생체신호 측정용 전극에서 유리모세관을 이용하여 제작되며, 일반적으로 3mol의 KCI을 봉입하고 와이어전극을 삽입하여 만들어지고, 전극으로는 은-염화은이 많이 이용되지만, 스테인리스강으로도 제작되는 전극은?
❶ 마이크로 피펫 전극 (Micropipet electrode)
② 실리콘 미세전극 (Silicone microelectrode)
③ 금속 미세전극 (Metal microelectrode)
④ 침 전극 (Needle electrode)
[112]. 인체피부에 탈부착이 쉽고 빠른 반면 장시간 사용에 부적합하고 굴곡이 심한 부위에는 부착할 수 없는 전극은?
① 부유 전극 ❷ 흡착 전극
③ 미세 전극 ④ 금속판 전극
[113]. 혈액이 속하는 인체 조직은?
❶ 결합조직 ② 상피조직
③ 근육조직 ④ 신경조직
[114]. 회전감각을 담당하는 구조물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모두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❶ 귀바퀴 ② 이소골
③ 달팽이관 ④ 와우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6
'기타 ETC > 자격증 기출문제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공학 3과목 산업심리학 및 관계법규 기출문제 (0) | 2020.04.19 |
---|---|
인간공학기사 4과목 근골격계질환 예발을 위한 작업관리 기출문제 (0) | 2020.04.19 |
의공기사 2과목 의용전자공학 기출문제 (0) | 2020.04.19 |
의공기사 3과목 의료안전 법규 및 정보 기출문제 (0) | 2020.04.19 |
의공기사 4과목 의료기기 기출문제 (0) | 2020.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