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4

 

유기농업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유기농업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0]. 유기가공식품 식품첨가물 또는 가공보조제로 사용이 가능한 물질 중 가공보조제로 사용 시 허용되는 것은?

    ① 레시틴 ❷ 구연산

    ③ 로커스트콩검 ④ 무수아황산

 

[1]. 무항상제축산물의 운송·도축·가공 과정의 품질관리에 대한 내용에서 동물용의약품은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고시한 동물용의약품 잔류 허용기준의 몇을 초과하여 검출되지 아니하여야 하는가?

    ① 15분의 1 ❷ 10분의 1

    ③ 5분의 1 ④ 3분의 1

 

[2].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은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몇 년 마다 친환경농어업발전을 위한 친환경농업 육성계획을 세워야 하는가?

    ① 2년 ② 3년

    ❸ 5년 ④ 7년

 

[3]. 다음 중 유기농산물 및 유기임산물의 토양개량과 작물생육을 위하여 사용이 가능한 물질에서 사용가능 조건이 다른 것은?

    ① 대두박 ❷ 골분

    ③ 깻묵 ④ 식물성 유박(油粕)류

 

[4]. 친환경관련법상 해당 인증기관의 장으로부터 승인을 받지 아니하고 인증받은 내용을 변경한 자의 과태료는?

    ① 1000만원 이하의 과태료

    ❷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③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

    ④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

 

[5]. 농업의 근간이 되는 흙의 소중함을 국민에게 알리기 위하여 매년 몇 월 며칠을 흙의 날로 정하는가?

    ① 1월 19일 ❷ 3월 11일

    ③ 4월 15일 ④ 8월 13일

 

[6]. 친환경관련법상 축산물의 경영관련자료에서 가축입식 등 구입사항과 번식에 관한 사항을 기록한 자료는 얼마의 기록기간으로 하는가?

    ① 최근 6개월간 ❷ 최근 1년간

    ③ 최근 2년간 ④ 최근 3년간

 

[7]. 유기식품등의 인증기준 등에서 취급자의 작업장 시설기준 구비요건에 해당하는 것은?

    ① 최근 6개월간 인증취소처분을 받지 않은 작업장일 것

    ② 최근 9개월간 인증취소처분을 받지 않은 작업장일 것

    ❸ 최근 1년간 인증취소처분을 받지 않은 작업장일 것

    ④ 최근 2년간 인증취소처분을 받지 않은 작업장일 것

 

[8]. 유기농산물 및 유기임산물의 병해충 관리를 위하여 사용이 가능한 물질에서 생석회(산화칼슘)이 사용가능조건은?

    ❶ 토양에 직접 살포하지 않을 것

    ② 감의 숙성을 위하여 사용할 것

    ③ 단순 물리적으로 가공한 것만 사용할 것

    ④ 천연규사를 이용하여 제조한 것일 것

 

[9]. 유기축산물 및 비식용유기가공품의 유기배합사료제조용 물질 중 단미사료에서 사용가능 조건이 “순도 99.9퍼센트 이상인 것일 것”에 해당하는 것은?

    ① 어분 ❷ 우지

    ③ 육분 ④ 유제품

 

[10]. 농림축산식품부 소간 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지원에 관한 법률시행규칙상 인증취소 등 행정처분의 기준 및 절차에서 인증신청서, 첨부서류, 인증심사에 필요한 서류를 거짓으로 작성하여 인증을 받은 경우 1차 행정처분기준은?

    ① 해당 인증품의 인증표시 제거·정지

    ② 시정명령

    ❸ 인증취소

    ④ 해당 제품의 광고 금지 및 인증표시 제거·정지

[11]. 유기농업자재 공시를 갱신하려는 공시사업자는 유효기간 만료 몇 개월 전까지 별지서식의 유기농업자재 공시 갱신신청서에 유기농업자재 공시 생산계획서의 서류를 첨부하여 공시기관의 장에게 제출하여야 하는가? (단, 변경사항이 있는 경우이다.)

    ① 12개월 ② 9개월

    ③ 5개월 ❹ 3개월

 

[12]. 유기식품등의 인증기관에 대한 내용 중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장이 인증기관을 지정하려는 경우에는 해당 연도의 1월 31일까지 해당 연도의 지정 신청기간 등 인증기관 지정에 관한 사항을 며칠 이상 공고하여야 하는가?

    ① 5일 ❷ 10일

    ③ 15일 ④ 20일

 

[13]. 유기농어업자재의 공시에서 공시의 유효기간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공시를 받은 날부터 6개월로 한다.

    ② 공시를 받은 날부터 1년으로 한다.

    ③ 공시를 받은 날부터 2년으로 한다.

    ❹ 공시를 받은 날부터 3년으로 한다.

 

[14]. 유기축산물 및 비식용유기가공품에서 유기배합사료 제조용 물질 중 단미사료로 사용가능 물질에서 사용가능 조건이 다른 것은?

    ① 밀기울 ② 면실유

    ③ 쌀겨 ❹ 호밀

 

[15]. 유기가공식품 식품첨가물 또는 가공보조제로 사용이 가능한 물질 중 가공보조제로 사용 시 제한 없이 허용이 가능한 것은?

    ① 비타민 C ❷ 산소

    ③ DL-사과산 ④ 산탄검

 

[16]. 유기농업자재의 표시기준의 작도법(도형표시)에서 공시마크의 바탕색은?

    ① 연두색 ❷ 흰색

    ③ 파란색 ④ 청록색

 

[17]. 유기식품등의 인증기준 등에서 사용하는 내용으로 “사육되는 가축에 대하여 그 생산물이 식용으로 사용하기 전에 동물용의약품의 사용을 제한하는 일정기간을 말한다.”의 용어는?

    ❶ 휴약기간 ② 미량기간

    ③ 최소기간 ④ 윤환기간

 

[18]. 유기농업자재 관련 행정처분기준 중 시험연구기관에서 “시험연구기관의 지정기준에 맞지 않게 된 경우” 1회 위반 시 행정처분은?

    ① 지정취소 ② 업무정지 6개월

    ③ 업무정지 3개월 ❹ 업무정지 1개월

 

[19]. 유기식품등에 사용가능한 물질에서 유기농산물 및 유기임산물에 대한 사항으로 토양개량과 작물생육을 위하여 사용이 가능한 물질 중 사용가능 조건이 “화학물질의 첨가나 화학적 제조공정을 거치지 않아야 하고, 항생물질이 검출되지 않을 것”에 해당하는 것은?

    ① 비나스 ❷ 혈분

    ③ 설탕 ④ 포도당

 

[20]. 유기식품등의 인증 신청 및 심사 등에 따른 인증의 유효기간은 인증을 받을 날부터 몇 년으로 하는가?

    ❶ 1년 ② 2년

    ③ 3년 ④ 4년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4

 

유기농업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유기농업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21]. 유기식품등에 사용가능한 물질에서 유기농산물 및 유기임산물에 대한 내용으로 병해충 관리를 위하여 사용이 가능한 물질 중 사용가능 조건이 “토양에 직접 살포하지 않을 것”에 해당하는 것은?

    ① 보르도액 ② 산염화동

    ③ 구리염 ❹ 생석회(산화칼슘)

 

[22]. 인증기관의 지정기준 중 인력에 대한 내용에서 인증심사원을 몇 명 이상 갖추어야 하는가? (단, “인증기관 지정 이후에는 인증업무량 등에 따라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장이 정하는 인증심사원을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을 것”에 대한 내용은 제외한다.)

    ① 2명 ② 3명

    ③ 4명 ❹ 5명

 

[23]. 유기농업자재 관련 행정처분기준에서 공시 사업자 또는 유기농업자재 유통업자가 공시를 받은 원료와 다른 원료를 사용하거나 제조 조성비를 다르게 한 경우, 1회 위반 시 행정 처분은?

    ① 업무정지 1개월

    ② 지정취소

    ③ 공시 취소 및 회수ㆍ폐기

    ❹ 판매금지 및 회수ㆍ폐기

 

[24]. 농림축산식품부 소관 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ㆍ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 규칙에서 “유기식품등”에 해당하는 것은?

    ① 수산물 ② 유기수산물의 원료

    ❸ 유기사료 ④ 수산물 가공품

 

[25]. 유기배합사료제조용 물질 중 단미사료 유지류의 사용가능 조건은?

    ① 천연의 것일 것

    ❷ 순도 99.9퍼센트 이상인 것일 것

    ③ 화학물질의 첨가나 화학적 제조공정을 거치지 않을 것

    ④ 충분한 발효와 희석을 거쳐 사용할 것

 

[26]. 친환경관련법에서 농업의 근간이 되는 흙의 소중함을 국민에게 알리기 위하여 흙의 날을 정하였는데, 흙의 날은?

    ① 10월 11일 ② 8월 11일

    ③ 5월 11일 ❹ 3월 11일

 

[27]. 농림축산식품부장관 또는 해양수산부장관은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몇 년마다 친환경농어업 발전을 위한 친환경농업 육성계획 또는 친환경어업 육성계획을 세워야 하는가?

    ① 2년 ② 3년

    ❸ 5년 ④ 7년

 

[28]. 유기식품등의 유기표시 기준 작도법에서 표시 도형의 국문 및 영문 모두 글자의 활자체는 무엇으로 사용해야 하는가?

    ① 궁서체 ② 굴림체

    ③ 돋움체 ❹ 고딕체

 

[29]. 일반농가가 유기축산으로 전환하여 유기축산물을 생산ㆍ판매하려는 경우에는 전환기간 이상을 유기축산물 인증기준에 따라 사육하여야 하는데 한우ㆍ육우의 식육 생산물을 위한 최소 사육기간으로 옳은 것은?

    ① 입식 후 출하 시까지(최소 3개월)

    ② 입식 후 출하 시까지(최소 6개월)

    ③ 입식 후 출하 시까지(최소 9개월)

    ❹ 입식 후 출하 시까지(최소 12개월)

 

[30]. 유기가축 1마리당 갖추어야 하는 가축사육 시설의 소요면적(단위:m²)에 대한 내용이다. ( )의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① 0.5 ❷ 1.3

    ③ 2.7 ④ 3.1

[31]. 유기농업자재 관련 행정처분기준에서 시험연구기관에 대한 내용 중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원제의 이화학적 분석 및 독성 시험성적을 적은 서류를 사실과 다르게 발급한 경우 1회 위반 시 행정처분기준은?

    ① 업무정지 12개월 ② 업무정지 6개월

    ❸ 업무정지 3개월 ④ 지정취소

 

[32]. 인증취소 등 행정처분의 기준 및 절차에서 무농약농산물의 위반사항으로 전업, 폐업 등의 사유로 인증품을 생산하기 어렵다고 인정하는 경우에 1차 행정처분기준은?

    ① 시정명령 ② 해당 인증품의 인증표시 변경

    ❸ 인증취소 ④ 해당 인증품의 회수ㆍ폐기

 

[33]. 유기식품등의 유기표시 기준에서 비식용 유기가공품의 표시문자로 틀린 것은?

    ① 유기사료

    ❷ 유기식품사료

    ③ 유기농 사료

    ④ 유기〇〇(〇〇은 사료의 일반적 명칭)

 

[34]. 유기농업자재 표시기준의 작도법에서 공시기관명의 글자색은?

    ① 흰색 ② 파란색

    ③ 검정색 ❹ 청록색

 

[35]. 친환경관련법상 인증심사원의 자격 취소 및 정지 기준에서 위반행위로 인증심사 업무와 관련하여 다른 사람에게 자기의 성명을 사용하게 하거나 인증심사원증을 빌려 준 경우에 1회 위반 시 행정처분 기준은?

    ① 자격정지 3개월 ❷ 자격정지 6개월

    ③ 자격정지 12개월 ④ 자격취소

 

[36]. 인증사업자의 준수사항에서 인증사업자는 매년 몇 월 며칠까지 서식에 따라 전년도 인증품의 생사느 제조ㆍ가공 또는 취급 실적을 해당 인증기관의 장에게 제출하거나 친환경 인증관리 정보시스템에 등록하여야 하는가?

    ❶ 1월 20일 ② 1월 30일

    ③ 2월 10일 ④ 2월 15일

 

[37]. 인증심사원에 관한 내용 중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인증심사 업무를 수행한 경우 인증심사원이 받는 처벌은?

    ❶ 자격 취소

    ② 3개월 이내의 자격 정지

    ③ 12개월 이내의 자격 정지

    ④ 24개월 이내의 자격 정지

 

[38]. 과태료의 부과기준에 관한 내용 중 과태료를 체납하고 있는 위반행위자의 경우를 제외하고 위반행위가 사소한 부주의나 오류로 인한 것으로 인정되는 경우 부과권자는 과태료를 어느 정도의 범위 내에서 줄일 수 있는가?

    ① 5분의 1 ❷ 2분의 1

    ③ 7분의 1 ④ 4분의 1

 

[39].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은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몇 년 마다 친환경농어업 발전을 위한 친환경농업 육성계획 또는 친환경어업 육성계획을 세워야 하는가?

    ① 3년 ❷ 5년

    ③ 7년 ④ 9년

 

[40]. 병해충 관리를 위하여 사용이 가능한 물질 중 사용가능 조건이 “달팽이 관리용으로만 사용할 것”에 해당하는 것은?

    ① 과망간산칼륨 ② 황

    ③ 맥반석 ❹ 인산철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4

 

유기농업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유기농업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41]. 유기농축산물을 생산, 제조ㆍ가공 또는 취급하는 과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허용물질을 원료 또는 재료로 하여 만든 제품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친환경농업 ② 유기식품등

    ❸ 유기농업자재 ④ 친환경농축산물

 

[42]. 위반행위의 획수에 따른 과태료의 가중된 부과기준은 최근 얼마 간 같은 위반행위로 과태료부과처분을 받은 경우에 적용하는가? (단, 이 경우 기간의 계산은 위반행위에 대하여 과태료 부과처분을 받은 날과 그 처분 후 다시 같은 위반행위를 하여 적발된 날을 기준으로 한다.)

    ① 3개월 ② 6개월

    ❸ 1년 ④ 2년

 

[43]. 인증기관의 지정취소 등에 관한 내용 중 정당한 사유 없이 1년 이상 계속하여 인증을 하지 아니한 경우 인증기관이 받는 처벌은?

    ❶ 지정 취소

    ② 3개월 이내의 업무 일부 정지

    ③ 3개월 이내의 업무 전부 정지

    ④ 12개월 이내의 업무 일부 정지

 

[44]. 인증기관의 지정내용 변경신고 등에서 인증기관의장은 지정받은 내용 중 인증기관 명치으 인력 및 대표자가 변경된 경우에 변경된 날부터 몇 개월 이내에 인증기관 지정내용 변경신고서에 지정내용이 변경되었음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를 첨부하여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장에게 제출하여야 하는가?

    ① 6개월 ② 3개월

    ③ 2개월 ❹ 1개월

 

[45]. 인증취소 등 행정처분의 기준 및 절차에서 인증신청서, 첨부서류, 인증심사에 필요한 서류를 거짓으로 작성하여 인증을 받을 경우 1차 행정처분은?

    ① 시정명령 ② 해당 인증품의 인증 표시제거

    ❸ 인증취소 ④ 해당 인증품의 회수ㆍ폐기

 

[46]. 유기식품등의 인증 신청 및 심사 등에 따른 인증의 유효기간은 인증을 받은 날부터 몇 년으로 하는가?

    ① 5년 ② 3년

    ③ 4년 ❹ 1년

 

[47]. 친환경관련법상 유기농업자재 관련 행정처분 기준에서 시험연구기관으로 지정받은 후 정당한 사유 없이 1년 이내에 지정받은 시험항목에 대한 시험업무를 시작하지 아니하거나 계속하여 2년 이상 업무 실적이 없는 경우, 2회 위반 시 행정처분은?

    ① 업무정지 1개월 ❷ 업무정지 3개월

    ③ 업무정지 6개월 ④ 지정취소

 

[48]. 유기식품의 생산ㆍ가공ㆍ표시ㆍ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에 따른 식물 해충 및 질병관리를 위한 물질 중 “자연산인 경우”에 해당하는 것은?

    ① 레시틴

    ② 천연 산(식초)

    ❸ 키틴질 살선충(殺線蟲)제

    ④ 표고버섯(Shiitake fungus) 추출물

 

[49]. 친환경관련법상 인증심사원의 자격 취소 및 정지기준의 개별기준에서 인증심사 업무와 관련하여 다른 사람에게 자기의 성명을 사용하게 하거나 인증심사원증을 빌려 준 경우, 1회 위반시 행정처분은?

    ① 자격정지 3개월 ❷ 자격정지 6개월

    ③ 자격정지 1년 ④ 자격취소

 

[50]. 친환경관련법상 인증번호 부여방법에서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이 인증한 경우의 인증종류별 번호로 틀린 것은?

    ① 유기농림산물(1) ② 무농약농산물(3)

    ③ 무항생제축산물(5) ❹ 수입자(8)

[51]. 친환경관련법상 병해충 관리를 위하여 사용이 가능한 물질 중 사용가능 조건이 “물로 추출한 것일 것”에 해당하는 것은?

    ① 난황(卵黃, 계란노른자 포함)

    ② 젤라틴(Gelating)

    ③ 식초 등 천연산

    ❹ 담배잎차(순수니코틴은 제외)

 

[52]. 인증취소 등 행정처분의 기준 및 절차에서 인증품이 아닌 제품을 인증품으로 표시 도는 광고한 것으로 인정되는 때의 행정 처분 기준은?

    ① 해당 인증품의 인증표시의 변경

    ❷ 해당 제품의 판매 금지

    ③ 해당 인증품의 인증표시 정지

    ④ 인증취소

 

[53]. 인증심사원의 자격 취소 및 정지 기준에서 인증심사 업무와 관련하여 다른 사람에게 자기의 성명을 사용하게 하거나 인증 심사원증을 빌려준 행위를 3회 위반 시 행정처분은?

    ❶ 자격취소 ② 자격정지 12개월

    ③ 자격정지 6개월 ④ 자격정지 3개월

 

[54]. 인증심사원이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인증심사 업무를 수행한 경우에 해당하는 것은?

    ① 1개월 이내의 자격 정지

    ② 2개월 이내의 자격 정지

    ③ 5개월 이내의 자격정지

    ❹ 자격취소

 

[55]. 유기식품의 생산·가공·표시·유통에 관한 Codex가이드라인에서 정한 가공 보조제 중 pH 조정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닌 것은?

    ❶ 탄닌산 ② 구연산

    ③ 수산화나트륨 ④ 황산

 

[56]. 친환경관련법령상 유기농산물 및 유기임산물을 위해 토양개량과 작물 생육을 위하여 사용가능한 구아노(Guano : 바닷새, 박쥐 등의 배설물)의 사용 가능 조건은?

    ① 유전자를 변형한 물질이 포함되지 않을 것

    ② 고온발효(50℃ 이상에서 7일 이상 발효)된 것

    ❸ 화학물질 첨가나 화학적 제조 공정을 거치지 않을 것

    ④ 충분히 부숙 된 것

 

[57]. 유기식품 등의 유기표시 기준에서 유기표시 문자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❶ 비식용유기가공품의 표시문자 : 유기농식품○○

    ② 유기농축산물의 표시문자 : 유기축산○○

    ③ 유기농축산물의 표시문자 : 유기농○○

    ④ 유기가공식품의 표시문자 : 유기○○

 

[58]. 다음 중 유기축산물 및 비식용유기가공품에서 순도 99퍼센트 이상이어야 하는 유기 배합사료 제조용 물질은?

    ① 어분 ❷ 골분

    ③ 어즙흡착사료 ④ 육분

 

[59]. 농림축산식품부장관 또는 해양수산부장관은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친환경 농어업 발전을 위한 친환경농업육성계획 또는 친환경어업 육성 계획을 몇 년마다 세워야 하는 가?

    ① 1년 ② 2년

    ③ 3년 ❹ 5년

 

[60]. 친환경관련법에서 토양을 이용하지 않고 통제된 시설 공간에서 빛(LED, 형광등), 온도, 수분, 양분 등을 인공적으로 투입하여 작물을 재배하는 것은?

    ① 재배포장 ② 윤작

    ③ 경축순환농법 ❹ 식물공장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4

 

유기농업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유기농업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61]. 유기식품의 생산, 가공, 표시, 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에서 규정한 유기농산물 생산 시 식물 해충 및 질병관리를 위한 물질들 중 인증기관 또는 인증권자의 승인을 받아야만 하는 물질은?

    ① 칼륨 비누

    ❷ 웅성 불임곤충

    ③ 페로몬(유인물질) 제제

    ④ 약초 및 생물역학적 제제

 

[62]. 친환경관련법상 “친환경농수산물”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❶ GMO

    ② 유기농수산물

    ③ 무항생제축산물

    ④ 활성처리제 비사용 수산물

 

[63]. 유기식품의 생산, 가공, 표시, 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에 의한 유전자 공학, 변형기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캡슐화 ② DNA 재조합

    ❸ 잡종교배 ④ 세포융합

 

[64]. 친환경관련법상에서 토양개량과 작물생육을 위하여 사용가능한 물질 중 사용가능 조건이 고온발효로 50도 이상에서 7일 이상 발효된 것에 해당해야 사용이 가능한 물질은?

    ❶ 사람의 배설물 ② 대두박

    ③ 혈분 ④ 골분

 

[65]. 유기식품의 생산, 가공, 표시, 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에 의하면 농산물을 수입하여 유통할 때 수입자는 몇 년 이상 수출국의 관할기과이 발급한 인증서를 보관하여야 하는가?

    ① 6개월 ❷ 2년

    ③ 3년 ④ 5년

 

[66]. Codex 유기식품의 생산 · 가공 · 표시 · 유통에 관한 가이드라인의 유기생산 원칙에서 벌의 건강에 관한 효과적인 양봉 관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지역 여건에 잘 적응하는 건강한 품종을 선택

    ② 상황에 따라 여왕벌 교체

    ❸ 오염된 양봉기자제는 청소하고 소독하여 사용

    ④ 벌통의 수벌을 체계적으로 관리

 

[67]. 친환경관련법상 유기배합사료 제조용 물질 중 단미사료에서 사용가능 조건이 순도 99.9% 이상인 것이어여야 하는 것은?

    ① 어분 ② 육분

    ❸ 우지 ④ 여즙흡착사료

 

[68]. 친환경관련법상 비식용유기가공품의 표시 문자로 틀린 것은?

    ① 유기사료 ② 유기농 사료

    ③ 유기조사료 ❹ 유기식품 사료

 

[69]. 친환경관련법상 인증품 및 인증사업자에 대한 사후관리를 하는 자는?

    ① 연구원 ② 사무소장

    ③ 지원장 ❹ 조사원

 

[70]. 친환경관련법상 무농약농산물등의 인증대상이 아닌 것은?

    ① 무농약농산물을 생산하는 자

    ② 무항생제축산물을 생산하는 자

    ③ 무농약농산물을 취급하는 자

    ❹ 무비료농산물을 생산하는 자

[71]. 친환경농산물 취급자 인증의 원료관리 및 취급방법에서 유기농산물을 무농약농산물로 혼합한 경우 최종 제품의 알맞은 표시는?

    ① 유기 및 무농약농산물 혼합 표시

    ❷ 무농약농산물로 표시

    ③ 유기농산물로 표시

    ④ 무 표시

 

[72]. 무농농산물인증의 유료기간은?

    ❶ 1년 ② 2년

    ③ 3년 ④ 4년

 

[73]. 유기가축의 사료에 첨가할 수 있는 물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가축의 대사기능 촉진을 위한 합성 화합물

    ❷ 천연의 것으로 나트륨, 유황, 철

    ③ 합성질소 또는 비단백태질소화합물

    ④ 성장촉진제, 구충제, 항콕시듐제 및 호르몬제

 

[74]. [농림축산식품부 소관 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에서 규정하고 있는 비식용유기가공식품 유기사료의 포장재 및 용기에 함유되어도 가능한 것은?

    ① 합성살균제 ❷ 친환경소재

    ③ 훈증제 ④ 보존제

 

[75]. 유기농산물 인증사업자가 인증품을 담은 포장에 표시해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① 인증기관명 ② 인증번호

    ❸ 인증사업자 주소 ④ 인증품 생산지

 

[76]. 『농림축산식품부 소관 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상 인증품에 대한 검사 결과 잔류물질이 검출되어 인증기준에 맞지 아니한 때의 행정처분 기준은?

    ① 해당 인증품의 세부 표시사항의 변경

    ② 인증품 판매금지 7일

    ❸ 해당 인증품의 인증표시 제거

    ④ 표시정지 3개월

 

[77]. 유기·무농약농산물의 병해충 관리를 위하여 사용이 가능한 물질이 아닌 것은?

    ① 구리염, 부르고뉴액

    ② 산화칼슘, 수산화칼슘

    ③ 데리스 추출물, 쿠아시아 추출물

    ❹ 염화질소, 영화암모늄

 

[78]. 『농림축산식품부 소관 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에서 유기식품등의 인증대상이 아닌 자는?

    ① 유기농산물을 생산하는 자

    ② 비식용유기가공품을 제조하는 자

    ❸ 비식용유기가공품을 취급하는 자

    ④ 유기축산물을 생산하는 자

 

[79]. 유기농산물의 인증취소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❶ 인중품의 표시사항을 위반하였을 경우

    ② 경영관련 자료를 기록. 보관하지 않은 경우

    ③ 화학비료 또는 유기합성농약을 사용한 경우

    ④ 인증품에 인증품이 아닌 제품을 혼합하여 판매한 경우

 

[80]. A씨는 포도 무농약 신규인증을 받으려고 한다. 매년 9월 30일 수확이 종료된다고 볼 때 신규 인증신청서 제출기한이 옳은 것은?

    ❶ 5월 31일 ② 6월 30일

    ③ 7월 31일 ④ 8월 31일

 

[81]. 친환경농산물 인증기관 지정 관련 평가업무를 위임.위탁할 수 없는 기관은?

    ① 한국농수산대학 ② 한국농촌경제연구원

    ③ 한국식품연구원 ❹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82]. 반추가축용 유기사료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은?

    ① 대사기능 촉진을 위한 합성화합물

    ② 유전자변형 생물체 유래의 원료

    ❸ 100% 비식용유기가공품(유기사료)

    ④ 우유 및 유제품 이외의 포유동물에서 유래한 사료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4

 

유기농업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유기농업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