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4

 

지적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지적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0]. 클로소이드 곡선의 매개변수를 2배 증가시키고자 한다. 이때 곡선의 반지름이 일정하다면 완화곡선의 길이는 몇 배가 되는가?

    ① 2 ❷ 4

    ③ 8 ④ 14

 

[1]. 항공사진 측량에서 산지는 실제보다 돌출하여 높고 기복이 심하며, 계곡은 실제보다 깊고, 사면은 실제의 경사보다 급하게 느껴지는 것은 무엇에 의한 영향인가?

    ① 형상 ② 음영

    ③ 색조 ❹ 과고감

 

[2]. 지형도의 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연직단면의 작성  ② 저수용량, 토공량의 산정

    ③ 면적의 도상 측정  ❹ 지적도 작성

 

[3]. GPS에서 사용되는 L1과 L2 신호의 주파수로 옳은 것은?

    ① 150MHz와 400MHz

    ② 420MHz와 585.53MHz

    ❸ 1575.42MHz와 1227.60MHz

    ④ 1832.12MHz와 3236.94MHz

 

[4]. 수차사진측량 작업에서 영상정합 이전의 전처리작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영상개선 ② 영상복원

    ③ 방사보정 ❹ 경계선탐색

 

[5]. 다음 중 원곡선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반향 곡선 ② 단곡선

    ❸ 렘니스케이트 곡선 ④ 복심 곡선

 

[6]. 수준측량에서 각 점들이 중력방향에 직각으로 이루어진 곡면을 뜻하는 용어는?

    ① 지평면(horizontal plane)

    ❷ 수준면(level surface)

    ③ 연직면(plumb plane)

    ④ 특별기준면(special datum plane)

 

[7]. 캔트의 계산에 있어서 곡선반지름만을 반으로 줄이면 캔드의 크기는 어떻게 되는가?

    ① 반으로 준다. ② 변화가 없다.

    ❸ 2배가 된다. ④ 4배가 된다.

 

[8]. GNSS의 구성체계에 포함되지 않는 부문은?

    ① 우주부문 ② 사용자부문

    ③ 제어부문 ❹ 탐사부문

 

[9]. 네트워크 RTK GNSS 측량의 특징이 아닌 것은?

    ❶ 실내ㆍ외 어디에도 측량이 가능하다.

    ② 1대의 GNSS 수신기만으로도 측량이 가능하다.

    ③ GNSS 상시관측소를 기준국으로 사용한다.

    ④ 관측자가 1명이어도 관측이 가능하다.

 

[10]. 수준측량으로 지반고(G.H)를 구하는 식은? (단, B.S:후시, F.S:전시, L.H:기계고)

    ① G.H=L.H+F.S ② G.H=L.H+B.S

    ❸ G.H=L.H-F.S ④ G.H=L.H-B.S

 

[11]. 노선측량 순서에서 중심선을 선정하고 도상 및 현지에 설치하는 단계는?

    ① 계획조사측량 ❷ 실시설계측량

    ③ 세부측량 ④ 노선선정

 

[12]. 수준측량시 중간점이 많을 경우에 가장 편리한 야장기입법은?

    ① 고차식 ② 승강식

    ③ 교차식 ❹ 기고식

 

[13]. 지하시설물관이나 케이블에 교류전류를 흐르게 하여 발생시킨 교류자장을 측정하여 평면위치 및 깊이를 측정하는 측량방법은?

    ① 원자탐사법 ② 음파탐사법

    ❸ 전자유도탐사법 ④ 지중레이다탐사법

 

[14]. 곡선길이가 104.7m이고, 곡선반지름이 100m일 때, 곡선시점과 곡선종점 간의 곡선길이와 직선거리(장현)의 거리 차는?

    ❶ 4.7m ② 5.3m

    ③ 10.9m ④ 18.1m

 

[15]. 등고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계곡선 간격이 100m이면 주곡선 간격은 20m이다.

    ② 계곡선은 주곡선보다 굵은 실선으로 그린다.

    ❸ 주곡선 간격이 10m이면 축척 1:10000 지형도이다.

    ④ 간곡선 간격이 2.5m이면 주곡선 간격은 5m이다.

 

[16]. GNSS 측량의 구성에서 제어부분(지상관제국)이 실시하는 주 임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❶ 수신기의 위치결정 밑 시각비교

    ② 궤도와 시각결정을 위한 위성의 추적

    ③ 위성의 궤도 수정 및 위성 상태 유지ㆍ관리

    ④ 위성시간의 동일화 및 위성으로의 자료전송

 

[17]. 하천, 호수, 항만 등의 수심을 숫자로 도상에 나타내는 지형표시 방법은?

    ① 등고선법 ② 음영법

    ③ 모형법 ❹ 점고법

 

[18]. 지형도를 이용하여 작성할 수 있는 자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종ㆍ횡단면도 작성       ❷ 표고에 의한 평균유속 결정

    ③ 정토 및 성토범위의 결정 ④ 등고선에 의한 체적 계산

 

[19]. 폭이 넓은 하천을 횡단하여 정밀하게 수준측량을 실시할 때 가장 좋은 방법은?

    ❶ 교호 수준측량에 의해 실시  ② 삼각측량에 의해 실시

    ③ 시거측량에 의해 실시       ④ 육분의에 의해 실시

 

[20]. 반지름이 다른 2개의 원곡선이 그 접속점에서 공통접선을 갖고 그것들의 중심이 공통접선에 대하여 같은 쪽에 있는 곡선은?

    ① 반향곡선 ② 머리핀곡선

    ❸ 복심곡선 ④ 종단곡선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4

 

지적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지적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21]. 다음 중 수동적 센서에 해당하는 것은?

    ❶ 항공사진카메라

    ② SLAR(Side Looking Airdorne Rader)

    ③ 레이다

    ④ 레이저 스캐너

 

[22]. 곡선설치에서 캔트(cant)의 의미는?

    ① 확폭 ❷ 편경사

    ③ 종곡선 ④ 매개변수

 

[23]. GNSS 측량을 위하여 어느 곳에서나 같은 시간대에 관측할 수 있어야 하는 위성의 최소 개수는?

    ① 2개 ❷ 4개

    ③ 6개 ④ 8개

 

[24]. 수준측량에서 표척(수준척)을 세우는 횟수를 짝수로 하는 주된 이유는?

    ❶ 표척의 영점오차 소거  ② 시준축에 의한 오차의 소거

    ③ 구차의 소거           ④ 기차의 소거

 

[25]. 입체시에 의한 과고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사진의 초점거리와 비례한다.

    ❷ 사진 촬영의 기선 고도비에 비례한다.

    ③ 입체시할 경우 눈의 위치가 높아짐에 따라 작아진다.

    ④ 렌즈 피사각의 크기와 반비례한다.

 

[26]. 터널 내 두 점의 좌표(X, Y, Z)가 각각 A(1328.0m, 810.0m, 86.3m), B(1734.0m, 589.0m, 112.4m)일 때, A, B를 연결하는 터널의 경사거리는?

    ① 341.52m ② 341.98m

    ③ 462.25m ❹ 462.99m

 

[27]. 회전주기가 일정한 인공위성에 의한 원격탐사의 특성이 아닌 것은?

    ① 얻어진 영상이 전사투영에 가깝다.

    ② 판독이 자동적이고 정량화가 가능하다.

    ③ 넓은 지역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❹ 어떤 지점이든 원하는 시기에 관측할 수 있다.

 

[28]. 지형도의 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도로, 철도, 수로 등의 도상 선정

    ② 종단면도 몇 횡단면도의 작성

    ❸ 간접적인 지적도 작성

    ④ 집수면적의 측정

 

[29]. 짧은 선의 간격, 굵기 길이 및 방향 등으로 지표의 기복을 나타내는 지형 표시 방법은?

    ❶ 영선법 ② 등고선법

    ③ 점고법 ④ 채색법

 

[30]. 노선의 중심점간 길이가 20m이고 단곡선의 반지름 R=100m일 때 중심점간 길이(20m)에 대한 편각은?

    ① 5° 40´ ② 5° 20´

    ❸ 5° 44´ ④ 5° 54´

 

[31]. 지형도에서 92m 등고선 상의 A점과 118m 등고선 상의 B점 사이에 일정한 기울기 8%의 도로를 만들었을 때, AB 사이 도로의 실제 경사거리는?

    ① 347m ② 339m

    ③ 332m ❹ 326m

 

[32]. GPS 신호에서 P코드의 1/10 주파수를 가지는 C/A코드의 파장 크기로 옳은 것은?

    ① 100m ② 200m

    ❸ 300m ④ 400m

 

[33]. GPS 위성의 궤도 주기로 옳은 것은?

    ① 약 6시간 ② 약 10시간

    ❸ 약 12시간 ④ 약 18시간

 

[34]. 곡선설치법에서 원곡선의 종류가 아닌 것은?

    ❶ 렘니스케이트 ② 복심곡선

    ③ 반향곡선 ④ 단곡선

 

[35]. GNSS 측량에서 위치를 결정하는 기하학적인 원리는?

    ① 위성에 의한 평균계산법

    ❷ 무선항법에 의한 후방교회법

    ③ 수신기에 의하여 처리하는 자료해석법

    ④ GNSS에 의한 폐합 도선법

 

[36]. 곡선반지름이 80m, 클로소이드 곡선길이가 20m일 때 클로소이드의 파라미터(A)는?

    ❶ 40m ② 80m

    ③ 120m ④ 1600m

 

[37]. 항공사진측량을 통하여 촬영된 사진에서 볼 때 태양광선을 받아 주위보다 밝게 찍혀 보이는 부분을 무엇이라 하는가?

    ❶ Sun spot ② Lineament

    ③ Overlay ④ Shadow spot

 

[38]. 초점거리 210mm의 카메라로 비고가 50m인 구릉지에서 촬영한 사진의 축척이 1:25000이다. 이 사진의 비고에 의한 최대 변위량은? (단, 사진크기=23cm×23cm, 종중복도=60%)

    ① ±0.15mm ② ±0.24mm

    ❸ ±1.5mm ④ ±2.4mm

 

[39]. 수준측량에서 전시와 후시의 거리를 같게 하여 소거할 수 있는 오차는?

    ① 표척의 눈금 오차   ② 레벨의 침하에 의한 오차

    ❸ 지구의 곡률 오차   ④ 레벨과 표척의 경사에 의한 오차

 

[40]. 지상에서 이동하고 있는 물체가 사진에 나타나 그 물체를 입체시할 때 그 운동이 기선방향이면 물체가 뜨거나 가라앉아 보이는 현상(효과)은?

    ① 정사 효과(orthoscopic effect)

    ② 역 효과(pseudoscopic effect)

    ❸ 카메론 효과(cameron effect)

    ④ 반사 효과(reflection effect)

 

[41]. 지형의 표시방법 중 길고 짧은선으로 지표의 기복을 나타내는 방법은?

    ❶ 영선법 ② 채색법

    ③ 등고선법 ④ 점고법

 

[42]. 수준측량의 기고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중력 측정을 통한 기계적 고도 수정 방법

    ② 시준축 오차를 소거하기 위한 수준 측량 방법

    ③ 기압 측정을 통한 간접 수준 측량 방법

    ❹ 중간점이 많은 경우에 편리한 야장 기입 방법

 

[43]. 어떤 도로에서 원곡선의 반지름이 200m일 때 현의 길이 20m에 대한 편각은?

    ❶ 2°51‘53“ ② 3°49‘11“

    ③ 5°44‘02“ ④ 8°21‘12“

 

[44]. 축척 1:50000 지형도에서 주곡선의 간격은?

    ① 5m ② 10m

    ❸ 20m ④ 100m

 

[45]. 항공사진 투영방식(A)과 지도 투영방식(B)의 연결이 옳은 것은?

    ① (A)정사투영, (B)중심투영  ❷ (A)중심투영, (B)정사투영

    ③ (A)평행투영, (B)중심투영  ④ (A)평행투영, (B)정사투영

 

[46]. FGNSS의 구성요소 중 위성을 추적하여 위성의 궤도와 정밀시간을 유지하고 관련정보를 송신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부문은?

    ① 우주부문 ❷ 제어부문

    ③ 수신부문 ④ 사용자부문

 

[47]. 터널측량의 작업 순서 중 선정한 중심선을 현지에 정확히 설치하여 터널의 입구나 수직 터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① 답사 ② 예측

    ❸ 지표설치 ④ 지하설치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4

 

지적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지적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48]. 지형도 작성 시 점고법(spot height system)이 주로 이용되는 곳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호안 ② 항만의 심천

    ③ 하천의 수심 ❹ 지형의 등고

 

[49]. 터널공사에서 터널 내 측량에 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연결된 것은?

    ① 삼각측량 - 평판측량      ② 평판측량 - 트래버스측량

    ❸ 트래버스측량 – 수준측량   ④ 수준측량 - 삼각측량

 

[50]. 우리나라의 일반철도에 주로 이용되는 완화곡선은?

    ① 클로소이드 곡선 ❷ 3차 포물선

    ③ 2차 포물선 ④ sin 곡선

 

[51]. 다음 원격탐사에 사용되는 전자스펙트럼 중에서 가장 파장이 긴 것은?

    ① 가시광선 ❷ 열적외선

    ③ 근적외선 ④ 자외선

 

[52]. 지형도 작성을 위한 측량에서 해안선의 기준이 되는 높이기준면은?

    ① 측정 다시 정수면 ② 평균해수면

    ③ 약최저저조면 ❹ 약최고고조면

 

[53]. GPS 신호 중에서 P-code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주파수가 10.23 MHz이다.

    ② 파장이 30m이다.

    ③ 허가된 사용자만 이용할 수 있다.

    ❹ 주기가 1ms(millisecond)로 매우 짧다.

 

[54]. 다음 중 지상(공산)해상도가 가장 좋은 영상을 얻을 수 있는 위성은?

    ① SPOT ② LANDSAT

    ❸ IKONOS ④ KOMPASAT-1

 

[55]. 도로의 개설을 위하여 편입되는 대상용지와 경계를 정하는 측량으로서 설계가 완료된 이후에 수행할 수 있는 노선측량 단계는?

    ❶ 용지 측량 ② 다각 측량

    ③ 공사 측량 ④ 조사 측량

 

[56]. 수준측량에서 전시(F.S:fore sight)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❶ 미지점에 세운 표적의 눈금을 읽은 값

    ② 기준면으로부터 시준선까지의 높이를 읽은 값

    ③ 가장 먼저 세운 표적의 눈금을 읽은 값

    ④ 지반고를 알고 있는 점에 세운 표적의 눈금을 읽은 값

 

[57]. 직접수준측량에 따른 오차 중 시준거리의 제곱에 비례하는 성질을 갖는 것은?

    ① 기포관축과 시준이 평행하지 않아 발생하는 오차

    ② 표척의 길이가 표준길이와 달라 발생하는 오차

    ❸ 지구의 곡률 및 대기 중 광선의 굴절로 인한 오차

    ④ 망원경 시야가 흐려 발생되는 표적의 독취 오차

 

[58]. 사이클슬립(cycle slip)이나 멀티패스(multipath)의 오차를 줄일 목적으로 낮은 위성의 고도각을 제한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제한하는 위성의 고도각 범위로 알맞은 것은?

    ① 10° 이상 ❷ 15° 이상

    ③ 30° 이상 ④ 40° 이상

 

[59]. 카메라의 초점거리(f)와 촬영한 항공사진의 종중복도(p)가 다음과 같을 때, 기선고도비가 가장 큰 것은? (단, 사진크기는 18cm×18cm로 동일하다.)

    ① f=21cm, p=70% ② f=21cm, p=60%

    ③ f=11cm, p=75% ❹ f=11 cm, p=60%

 

[60]. 축척 1:10000 의 항공사진을 180km/h로 촬영할 경우 허용 흔들림의 범위를 0.02mm로 한다면 최장노출시간은?

    ① 1/50초 ② 1/100초

    ③ 1/150초 ❹ 1/250초

 

[61]. 축척 1:50000의 지형도에서 A, B점간의 도상거리가 3cm이었다. 어느 수직항공사진상에서 같은 A, B점간의 거리가 15cm이었다면 사진의 축척은?

    ① 1:5000 ❷ 1:10000

    ③ 1:15000 ④ 1:20000

 

[62]. GPS 위성궤도면의 수는?

    ① 4개 ❷ 6개

    ③ 8개 ④ 10개

 

[63]. 다음 중 우리나라에서 발사한 위성은?

    ❶ KOMPSAT ② LANDSAT

    ③ SPOT ④ IKONOS

 

[64]. 축척 1:50000의 지형도에서 A의 표고가 235m, B의 표고가 563m일 때 두 점 A, B사이 주곡선의 수는?

    ① 13 ② 15

    ❸ 17 ④ 18

 

[65]. 지형도 작성 시 활용하는 지형 표시 방법과 거리가 먼 것은?

    ❶ 방사법 ② 영선법

    ③ 채색법 ④ 점고법

 

[66]. 지하시설물의 탐사방법으로 수도관로 중 PVC 또는 플라스틱 관을 찾는 데 주로 이용되는 방법은?

    ① 전자탐사법(electromagnetic survey)

    ② 자기탐사법(magnetic detection method)

    ❸ 음파탐사법(acoustic prospecting method)

    ④ 전기탐사법(electrical survey)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4

 

지적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지적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67]. 직선부 포장도로에서 주행을 위한 편경사는 필요 없지만, 1.5~2.0% 정도의 편경사를 주는 경우의 가장 큰 목적은?

    ① 차량의 회전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❷ 노면배수가 잘 되도록 하기 위하여

    ③ 급격한 노선변화에 대비하기 위하여

    ④ 주행에 따른 노면침하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68]. 반지름 200m의 원곡선 노선에 10m 간격의 중심점을 설치할 때 중심간격 10m에 대한 현과 호의 길이차는?

    ❶ 1mm ② 2mm

    ③ 3mm ④ 4mm

 

[69]. 수평각 관측의 측각오차 중 망원경을 정ㆍ반으로 관측하여 소거할 수 있는 오차가 아닌것은?

    ① 시준축 오차 ② 수평축 오차

    ❸ 연직축 오차 ④ 편심 오차

 

[70]. 상호표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❶ 종시차는 상호표정에서 소거되지 않는다.

    ② 상호표정 후에도 횡시차는 남는다.

    ③ 상호표정으로 형성된 모델은 지상모델과 상사관계이다.

    ④ 상호표정에서 5개의 표정인자를 결정한다.

 

[71]. 수준기의 감도가 4″인 레벨로 60m 전방에 세운 표척을 시준한 후 기포가 1눈금 이동 하였을 때 발생하는 오차는?

    ① 0.6mm ❷ 1.2mm

    ③ 1.8mm ④ 2.4mm

 

[72]. 수십MHz~수GHz 주파수 대역의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전자기파의 반사와 회절 현상 등을 측정하고 이를 해석하여 지하구조의 파악 및 지하시설물을 측량하는 방법은?

    ❶ 지표 투과 레이더(GPR) 탐사법

    ② 초장기선 전파간섭계법

    ③ 전자유도 탐사법

    ④ 자기 탐사법

 

[73]. GNSS 측량방법 중 후처리방식이 아닌 것은?

    ① Static방법               ② Kinematic방법

    ③ Pseudo-Kinematic방법   ❹ Real-Time Kinematic방법

 

[74]. 곡률반지름이 현의 길이에 반비례하는 곡선으로 시가지 철도 및 지하철 등에 주로 사용되는 완화곡선은?

    ❶ 렘니스케이트 ② 반파장 체감곡선

    ③ 클로소이드 ④ 3차포물선

 

[75]. 등고선 측량방법 중 표고를 알고 있는 기지점에서 중요한 지성선을 따라 측선을 설치하고, 측선을 따라 여러 점의 표고와 거리를 측량하여 등고선을 측량하는 방법은?

    ① 방안법 ② 횡단점법

    ③ 영선법 ❹ 종단점법

 

[76]. GNSS 측량에서 위도, 경도, 고도, 시간에 대한 차분해(differential solution)를 얻기 위해서는 최소 몇 개의 위성이 필요한가?

    ① 2 ❷ 4

    ③ 6 ④ 8

 

[77]. 단곡선에서 반지름 R=300m, 교각 I=60°일 때, 곡선 길이(C.L.)는?

    ① 310.10m ② 315.44m

    ❸ 314.16m ④ 311.55m

 

[78]. 단곡선 설치에서 두 접선의 교각이 60°이고, 외선 길이(E)가 14m인 단곡선의 반지름은?

    ① 24.2m ② 60.4m

    ❸ 90.5m ④ 104.5m

 

[79]. A, B 두 점의 표고가 120m, 144m 이고 두 점간의 경사가 1:2인 경우 표고가 130m되는 지점을 C라 할 때, A점과 C점과의 경사거리는?

    ❶ 22.36m ② 25.85m

    ③ 28.28m ④ 29.82m

 

[80]. 클로소이드의 형식 중 반향곡선 사이에 2개의 클로소이드를 삽입하는 것은?

    ① 복합형 ② 난형

    ③ 철형 ❹ S형

 

[81]. 수준측량에서 굴절오차와 관측거리의 관계를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❶ 거리의 제곱에 비례한다.

    ②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③ 거리의 제곱근에 비례한다.

    ④ 거리의 제곱근에 반비례한다.

 

[82]. 원격센서(remote sensor)를 능동적 센서와 수동적 센서로 구분할 때, 능동적 센서에 해당되는 것은?

    ① TM(Thematic Mapper)

    ② 천연색사진

    ③ MSS(Multi-Spectral Scanner)

    ❹ SLAR(Side Looking Airbone Radar)

 

[83]. 원심력에 의한 곡선부의 차량탈선을 방지하기 위하여 곡선부의 횡단 노면 외측부를 높여주는 것은?

    ❶ 캔트 ② 확폭

    ③ 종거 ④ 완화구간

 

[84]. GNSS 측량에서 의사거리(Pseudo Range)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인공위성과 기지점 사이의 거리측정값이다.

    ❷ 인공위성과 지상수신기 사이의 거리측정 값이다.

    ③ 인공위성과 지상송신기 사이의 거리측정 값이다.

    ④ 관측된 인공위성 상호간의 거리측정값이다.

 

[85]. 노선측량 중 공사측량에 속하지 않는 것은?

    ❶ 용지측량     ② 토공의 기준틀 측량

    ③ 주요말뚝의 인조점 설치 측량 ④ 중심말뚝의 검측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4

 

지적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지적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86]. 터널 내에서 A점의 평면좌표 및 표고가 (1328, 810, 86), B점의 평면좌표 및 표고가(1734, 589, 112)일 때, A, B점을 연결하는 터널을 굴진할 경우 이 터널의 경사거리는? (단, 좌표 및 표고의 단위는 m 이다.)

    ① 341.5m ② 363.1m

    ③ 421.6m ❹ 1

 

[87]. 촬영고도 4000m에서 촬영한 항공사진에 나타난 건물의 시차를 주점에서 측정하니 정상부분이 19.32mm, 밑 부분이 18.88mm 이었다. 한 층의 높이를 3m로 가정할 때 이 건물의 층수는?

    ① 15층 ② 28층

    ❸ 30층 ④ 45층

 

[88]. 지성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지표면의 다른 종류의 토양 간에 만나는 선

    ② 경작지와 산지가 교차되는 선

    ❸ 지모의 골격을 나타내는 선

    ④ 수평면과 직교하는 선

 

[89]. GPS를 구성하는 위성의 궤도 주기로 옳은 것은?

    ① 약 6시간 ❷ 약 12시간

    ③ 약 18시간 ④ 약 24시간

 

[90]. 지형표시 방법의 하나로 단선상의 선으로 지표의 기복을 나타내는 것으로 일명 게바법이라고도 하는 것은?

    ① 음영법 ② 단채법

    ③ 등고선법 ❹ 영선법

 

[91]. GPS 측량에서 이용하는 좌표계는?

    ❶ WGS84 ② GRS80

    ③ JGD2000 ④ ITRF2000

 

[92]. 축척 1:50000 지형도에서 등고선 간격을 20m로 할 때 도상에서 표시될 수 있는 최소 간격을 0.45mm로 할 경우 등고선으로 표현할 수 있는 최대 경사각은?

    ① 40.1° ❷ 41.6°

    ③ 44.6° ④ 46.1°

 

[93]. GNSS의 스태틱측량을 실시한 결과 거리오차의 크기가 0.10m이고 PDOP이 4일 경우 측위오차의 크기는?

    ❶ 0.4m ② 0.6m

    ③ 1.0m ④ 1.5m

 

[94]. 도로에 사용되는 곡선 중 수평곡선에 사용되지 않는 것은?

    ① 단곡선 ② 복심곡선

    ③ 방향곡선 ❹ 2차 포물선

 

[95]. GPS 위성신호인 L₁과 L₂의 주파수의 크기는?

    ① L₁=1274.45MHz, L₂=1567.62MHz

    ② L₁=1367.53MHz, L₂=1425.30MHz

    ③ L₁=1479.23MHz, L₂=1321.56MHz

    ❹ L₁=1575.42MHz, L₂=1227.60MHz

 

[96]. 지성선 상의 중요점의 위치와 표고를 측정하여, 이 점들을 기준으로 등고선을 삽입하는 등고선 측정방법은?

    ① 좌표점법 ❷ 종단점법

    ③ 횡단점법 ④ 직접법

 

[97]. 계산과정에서 완전한 검산을 할 수 있어 정밀한 측량에 이용되나, 중간점이 많을 때는 계산이 복잡한 야장기입법은?

    ① 고차식 ② 기고식

    ③ 횡단식 ❹ 승강식

 

[98]. 지질, 토양, 수자원, 삼림 조사 등의 판독작업에 주로 이용되는 사진은?

    ① 흑백 사진 ❷ 적외선 사진

    ③ 반사 사진 ④ 위색 사진

 

[99]. 위성영상의 투영상과 가장 가까운 것은?

    ❶ 정사투영상 ② 외사투영상

    ③ 중심투영상 ④ 평사투영상

 

[100]. 하천, 호수, 항망 등의 수심을 나타내기에 가장 적합한 지형표시 방법은?

    ① 단채법 ❷ 점고법

    ③ 영선법 ④ 채석법

 

[101]. 도로설계 시에 등경사 노선을 결정하려고 한다. 축적 1:5000의 지형도에서 등고선의 간격이 5.0m이고 제한경사를 4%로 하기 위한 지형도상에서의 등고선 간 수평거리는?

    ❶ 2.5cm ② 5.0cm

    ③ 100cm ④ 125cm

 

[102]. 항공삼각측량의 광속조정법(Bundle Adjustment)에서 사용하는 입력좌표는?

    ❶ 사진좌표 ② 모델좌표

    ③ 스트립좌표 ④ 가계좌표

 

[103]. 곡선의 종류 중 완화곡선이 아닌 것은?

    ❶ 복심곡선 ② 3차 포물선

    ③ 렘니스케이트 ④ 클로소이드

 

[104]. 사진의 특수3점은 주점, 등각점, 연직점을 말하는데, 이 특수3점이 일치하는 사진은?

    ① 수평사진 ② 저각도경사사진

    ③ 고각도경사사진 ❹ 엄미수직사진

 

[105]. 수준측량의 야장기입법 중 중간점(I.P)이 많을 때 가장 적합한 방법은?

    ① 승강식 ② 고차식

    ❸ 기고식 ④ 방사식

 

[106]. 우리나라 지형도 1:150000에서 조곡선의 간격은?

    ① 1.5m ❷ 5m

    ③ 10m ④ 2m

 

[107]. 지형도에서 등고선에 둘러싸인 면적을 구하는 가장 적합한 것은?

    ❶ 전자면적측정기에 의한 방법

    ② 방안지에 의한 방법

    ③ 좌표에 의한 방법

    ④ 삼사법

 

[108]. 촬영고도 1500m에서 찍은 인접 사진에서 주점기선의 길이가 15cm이고, 어느 건물의 시차차가 3mm이었다면 건물의 높이는?

    ① 10m ❷ 30m

    ③ 50m ④ 70m

 

1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4

 

지적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지적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109]. 내부표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❶ 기계좌표계→지표좌표계→사진좌표로 변환

    ② 지표좌표계→기계좌표계→사진좌표로 변환

    ③ 지표좌표계→사진좌표계→기계좌표로 변환

    ④ 기계좌표계→사진좌표계→지표좌표로 변환

 

[110]. 다음 중 인공위성의 궤도요소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승교점의 적경 ② 궤도 경사각

    ❸ 관측점의 위도 ④ 궤도의 이심률

 

[111]. 표척 2개를 사용하여 수준측량 할 때 기계의 배치 횟수를 짝수로 하는 주된 이유는?

    ❶ 표척의 영점오차를 제거하기 위하여

    ② 표척수의 안전한 작업을 위하여

    ③ 작업능률을 높이기 위하여

    ④ 레벨의 조정이 불완전하기 때문에

 

[112]. 수준측량에서 기포관의 눈금이 3눈금 움직였을 때 60m 전반에 세운 표척의 읽음차가 2.5cm인 경우 기포관의 감도는?

    ① 26" ❷ 29"

    ③ 32" ④ 35"

 

[113]. 터널의 준공을 위한 변형조사측량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중심측량 ② 고저측량

    ❸ 삼각측량 ④ 단면측량

 

[114]. 다음 중 항공삼각측량 방법이 아닌 것은?

    ① 다항식 조정법 ② 광속조정법

    ③ 독립모델조정법 ❹ 보간조정법

 

[115]. 항공사진의 투영원리로 옳은 것은?

    ① 정사투영 ❷ 중심투영

    ③ 평행투영 ④ 등적투영

 

[116]. 다음 중 지형측량의 지성선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계곡선(합수선) ② 능선(분수선)

    ③ 경사변환선 ❹ 주곡선

 

[117]. 사진의 크기가 23cm×23cm, 종중복도 70%, 횡중복도 30%일 때 촬영 종기선의 길이와 촬영 횡기선의 길이의 비(종기선 길이:횡기선길이)는?

    ① 2:1 ❷ 3:7

    ③ 4:7 ④ 7:3

 

[118]. 수준측량에서 전ㆍ후시의 측량을 연결하기 위하여 전시, 후시를 함께 위하는 점은?

    ① 중간점 ② 수준점

    ❸ 이기점 ④ 기계점

 

[119]. 노선측량의 완화곡선 중 차가 일정 속도로 달리고, 그 앞바퀴의 회전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경우, 이 차가 그리는 주행 궤적을 의미하는 완화곡선으로 고속도로의 곡선설치에 많이 이용되는 곡선은?

    ① 3차포물선 ② sin체감곡선

    ❸ 클로소이드 ④ 렘니스케이트

 

[120]. 지형도에서 100m등고선 상의 A점과 140m등고선 상의 B점 간을 상향 기울기 9%의 도로로 만들면 AB간 도로의 실제 경사거리는?

    ❶ 446.24m ② 448.42m

    ③ 464.44m ④ 468.24m

 

[121]. 수준측량에서 발생하는 오차 중 정오차인 것은?

    ① 표척을 잘못 읽어 생기는 오차

    ② 태양의 직사광선에 의한 오차

    ❸ 지구곡률에 의한 오차

    ④ 시차에 의한 오차

 

[122]. 곡선반지름 R=2500m, 캔트(cant)100mm인 철도 선로를 설계할 때, 적합한 설계 속도는? (단, 레일 간격은 1m로 가정한다.)

    ① 50km/h ② 60km/h

    ③ 150km/h ❹ 178km/h

 

[123]. 다음 중 사진을 재촬영 해야 할 경우가 아닌 것은?

    ① 구름이 사진 상에 나타날 때

    ② 인점 사진 간에 축척이 현저한 차이가 있을 때

    ③ 홍수로 인하여 지형을 구분할 수 없을 때

    ❹ 종중복도가 70% 정도 일 때

 

[124]. 지형도의 난외주기 사항에 「NJ 52-13-17-3대천」과 같이 표시되어 있을 때, NJ 52가 의미하는 것은?

    ① TM 도엽번호

    ❷ UTM 도엽번호

    ③ 경위도 좌표계 구역번호

    ④ 가우스 쿠르거 도엽번호

 

[125]. 사진 판독에 있어 삼림지역에서 표층토양의 함수율에 의하여 사진의 색조가 변화하는 현상은?

    ❶ 소일 마크(Soil mark)

    ② 왜곡 마크(Distortion mark)

    ③ 쉐이드 마크(shade mark)

    ④ 플로팅 마크(Floating mark)

 

[126]. 수준 측량의 야장 기입법 중 중간점(I.P)이 많을 때 가장 편리한 것은?

    ❶ 기고식 ② 고차식

    ③ 승강식 ④ 방사식

 

[127]. 축척 1:25000 지형도에서 등고선의 간격 10m를 묘사할 수 있는 도상 간격이 0.13mm이라 할 경우 등고선으로 표현할 수 있는 최대 경사각으로 옳은 것은?

    ① 약 45° ② 약 60°

    ❸ 약 72° ④ 약 90°

 

[128]. 다음 중 지령의 표시 방법이 아닌 것은?

    ① 점고법 ② 우모법

    ❸ 평행선법 ④ 등고선법

 

[129]. 원격탐사자료가 아용되는 분야의 거리가 먼 것은?

    ① 토지 분류 조사

    ❷ 토지 소유자 조사

    ③ 토지이용 현황 조사

    ④ 도로교통량의 변화 조사

 

[130]. 곡선의 반지름이 250m, 교각 80°20‘의 원곡선을 설치하려고 한다. 시단현에 대한 편각이 2°10’이라면 시단현의 길이는?

    ① 16.29m ② 17.29m

    ③ 17.45m ❹ 18.91m

 

[131]. 지하시설물 관측방법에서 원래 누수를 찾기 위한 기술로 수도관로 중 PVC 또는 플라스틱 관을 찾는데 이용되는 관측방법은?

    ① 전기관측법 ② 자장관측법

    ❸ 음파관측법 ④ 자기관측법

 

[132]. 키 1.6m인 사람이 해안선에서 해상을 바라볼 수 있는 거리는? (단, 지구의 곡률 반지름은 6370km이다.)

    ① 1600m ② 2257m

    ③ 3200m ❹ 4515m

 

[133]. 수준 측량 작업에서 전시와 후시의 거리를 같게 하여 소거되는 오차와 거리가 먼 것은?

    ① 기차의 영향

    ② 레벨 조정 불완전에 의한 기계오차

    ③ 지표면의 구차의 영향

    ❹ 표척의 영점 오차

 

[134]. 카메라의 초점거리 153mm,촬영경사 7°로 평지를 촬영한 사진이 있다. 이 사진의 등각점은 주점으로부터 최대경사선 상의 몇 mm인 곳에 위치하는가?

    ❶ 9.36mm ② 10.63mm

    ③ 12.36mm ④ 13.63mm

 

[135]. 실체사진 위에서 이동한 물체를 실체시 하면, 그 운동 때문에 그 물체가 겉보기 상의 시차가 발생하고, 그 운동이 기선방향이면 물체가 뜨거나 가라앉아 보이는 효과는?

    ❶ 카메론 효과(cameron effect)

    ② 가르시아 효과(garcia effect)

    ③ 고립효과(isolated effect)

    ④ 상위 효과(discrepancy effect)

 

[136]. 노선측량에서 곡선설치에 사용하는 완화곡선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❶ 복심곡선 ② 3차포물선

    ③ 클로소이드곡선 ④ 램니스케이트곡선

 

[137]. 축척 1:10000의 항공사진에서 건물의 시차를 측정하니 상부가 19.33mm, 하부가 16.83mm이었다면 건물의 높이는? (단, 촬영고도=800m, 사진 상의 기선길이=68mm)

    ① 19.4m ❷ 29.4m

    ③ 39.4m ④ 49.4m

 

[138]. 수준기의 감도가 20“ 인 레벨(Level)을 사용하여 40m 떨어진 표척을 시준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시준 오차는?

    ① ±0.5mm ❷ ±3.9mm

    ③ ±5.2mm ④ ±8.5mm

 

[139]. 두 개의 수직터널에 의하여 깊이 700m의 터널 내외를 연결을 하는 경우에 지상에서의 수직터널 간 거리가 500m라면 두 수직터널 간 터널 내외에서의 거리 차이는? (단, 지구반지름 R=6370km이다.)

    ① 4.5m ② 5.5m

    ③ 4.5cm ❹ 5.5cm

 

[140]. 곡선의 종류 중 원곡선 두 개가 접속점에서 각각 다른 방향으로 굽어진 형태의 곡선으로 주로 계곡부에 이용되는 것은?

    ① 단곡선 ② 복심곡선

    ③ 완화곡선 ❹ 반향곡선

 

[141]. 지상고도 3000m의 비행기에서 초점거리 15cm의 사진기로 촬영한 수직 공중사진에 나타난 50m교량의 크기는?

    ① 2.0mm ❷ 2.5mm

    ③ 3.0mm ④ 3.5mm

 

[142]. 경사면 위에 두 점(A, B)에서 A점의 표고는 180m, B점의 표고는 60m이고, AB의 수평거리는 200m이다. B로부터 표고 150m인 등고선까지의 수평거리는?

    ① 50m ② 100m

    ❸ 150m ④ 200m

 

[143]. 터널측량에서 지표 중심선 측량방법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것은?

    ① 토털스테이션에 의한 직접측량법

    ② 트래버스 측량에 의한 측설법

    ③ 삼각측량에 의한 측설법

    ❹ 레벨에 의한 측설법

 

[144]. 항공사진의 특수 3점 중 기본변위의 중심점이 되는 것은?

    ❶ 연직점 ② 주점

    ③ 등각점 ④ 표정점

 

[145]. 지하시설물측량 방법 중 수도관의 누수를 찾기 위한 방법으로 비금속(PVC 등) 수도관을 탐사하는데 유용한 것은?

    ❶ 음파탐사기법 ② 전기탐사기법

    ③ 자장탐사기법 ④ 지중레이더 탐사기법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34

 

지적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지적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