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8

 

자연생태복원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자연생태복원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0]. 코리더의 기능으로 틀린 것은?

    ① 공급원 ② 서식처

    ③ 여과장치 ❹ 오염 발생원

 

[1]. 경관의 구조, 기능, 변화의 원리와 관계가 없는 것은?

    ① 경관 안정성의 원리 ② 에너지 흐름의 원리

    ❸ 천이의 불균일성 원리 ④ 생물적 다양성의 원리

 

[2]. 환경영향평가 기법에서 중점 평가 인자선정기법과 관계가 없는 것은?

    ① 네트워크법 ❷ 격자분석법

    ③ 지도중첩법 ④ 체크리스트법

 

[3]. 지리정보체계(GIS)를 활용하여 분석 가능한 경관 생태 항목들 중 틀린 것은?

    ① 논농사 지역의 잡초분포 파악

    ❷ 산림군락지 내 병해충의 종류 및 원인 파악

    ③ 토양도 작성을 통한 토양형성 과정의 이해

    ④ 배수구역 내의 물수지 평형과 하천 오염원 계산

 

[4]. 도시 비오톱의 기능 및 역할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생물종 서식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한다.

    ② 기후, 토양, 수질 보전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❸ 건축물의 스카이라인 조절 기능을 가지고 있다.

    ④ 도시민들에게 휴양 및 자연체험의 장을 제공해 준다.

 

[5]. 다음의 비오톱 타입 중 훼손 후 재생에 가장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것은?

    ① 빈영양단경초지 ② 빈영양수역의 식물

    ③ 부영양수역의 식생 ❹ 동굴에만 서식하는 생물종

 

[6]. 도로 비탈면의 구조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소단 ② 절개비탈면

    ③ 성토비탈면 ❹ 자연비탈면

 

[7]. 최근 농촌경관 변화의 경향과 관계가 없는 것은?

    ① 고립된 마을의 증가

    ② 농지전환을 통한 토지모자이크의 변화

    ❸ 농촌 마을 숲 관리 및 연료목 사용 증가

    ④ 농촌 노동 인구의 감소로 인한 휴경지 증가

 

[8]. 경관 요소 간의 연결성을 확대하는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코리더의 설치

    ② 징검다리식 녹지보전

    ③ 기존 녹지의 면적확대

    ❹ 동물이동로 주변의 포장도로 증설

 

[9]. 개체군 크기를 늘리고 최소존속개체군 이상이 되도록 하는 보전생물학적인 방법으로 적당하기 않은 것은?

    ① 서식처의 확대

    ② 생태통로의 설치

    ❸ 멸종위기 동·식물의 수집

    ④ 패치연결 징검다리 녹지의 조성

 

[10]. 경관생태학에서 자연환경요소가 유기적인 수직관계를 가진 독특한 경관단위를 구성하고 자연 및 인공조건의 상호작용을 통해 경계를 형성하는 지역으로 정의하는 용어는?

    ① 생물권 ② 결절지역

    ❸ 경관모자이크 ④ 도시생태계

[11]. 원격탐사(Remote Sensing)를 환경문제에 응용할 때의 유리한 특징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❶ 일시성 ② 주기성

    ③ 광역성 ④ 동시성

 

[12]. 인공경관 생태의 유형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농촌 ② 도시

    ❸ 도서(섬) ④ 도로 및 건축 구조물

 

[13]. 토지 변형에 따른 경관 특성 변화와 관계가 먼 것은?

    ① 연결성 ② 조각의 크기

    ③ 둘레의 길이 ❹ 전자파의 이용

 

[14]. 등질지역과 결절지역을 개념적으로 구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이것은 등질지역이라 봐야하는지 결정지역이라 봐야하는지에 관해서는 종종 혼란이 있다. 이러한 혼란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지역구분의 기준이 될 수 있는 것은?

    ① 방향 ② 연결

    ③ 종류 ❹ 공간범위

 

[15]. 높은 하천차수를 갖는 하천의 특징과 거리가 먼 것은?

    ❶ 짧은 길이 ② 완만한 경사

    ③ 넓은 유역면적 ④ 넓고 깊은 하천 단면

 

[16]. 산림녹지의 주요 기능이 아닌 것은?

    ① 수자원보호 ② 자연 및 경관보호

    ③ 휴양기능보호 ❹ 생활주거지 확보

 

[17]. 인공갯벌의 조성목적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❶ 연안개발 적합지로 공간의 활용

    ② 상실된 갯벌을 대체할 수 있는 갯벌의 조성

    ③ 연안환경 인프라로서 새로운 갯벌의 창출

    ④ 상실 위험이 있는 기존 갯벌의 보호 및 기능 유지

 

[18]. 식생에 의한 비탈면 보호공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잔디 파종공법 ② 식생혈공법

    ❸ 콘크리트 붙임공법 ④ 식생매트공법

 

[19]. 댐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어류 등의 이동 저해

    ② 소하천의 감소, 수질의 변화

    ③ 식생 및 동물 서식지역의 감소와 분리

    ❹ 하류하천의 하상 재료 변화 및 하상의 상승

 

[20]. 인위적인 자연적 방해 작용으로 군집의 속성이 보다 단순하고 획일화되는 천이는?

    ❶ 퇴행적 천이 ② 건성 천이

    ③ 중성 천이 ④ 진행적 천이

 

[21]. 원격탐사자료(satellite remote sensing data)의 유리한 특징만을 모아놓은 것은?

    ① 광역성,동시성, 단발성

    ② 동시성,주기성, 표현성

    ③ 주기성, 개방성,표현성

    ❹ 동시성, 광역성,주기성

 

[22]. 환경영향평가를 위하여 시행하는 영향예측에 필요한 판단 기준으로 부적합한 것은?

    ① 경관의 변화 정도

    ② 자연 생태계의 단절 여부

    ③ 종다양성의 변화 정도

    ❹ 조경 수목의 형태별 특성

 

[23]. 도시경관생태의 특징은 도시기후가 교외나 그 주변지역과 비교하여 다른 성질을 나타낸다는 것인데, 이러한 현상 중 가장 뚜렷한 것이 도심을 중심으로 기온이 상승하는 현상이다. 이러한 도시의 비정상적인 기온 분포는?

    ① 미기후 ② 온실효과

    ③ 이질효과 ❹ 열섬효과

[24]. 비오톱 지도화 방법 중 유형분류는 전체적으로 수행하고, 조사 및 평가는 동일 유형(군)내 대표성이 있는 유형을 선택하여 추진하는 것은?

    ① 선택적 지도화 ② 배타적 지도화

    ❸ 대표적 지도화 ④ 포괄적 지도화

 

[25]. 특정 목적을 가지고 실세계로부터 공간자료를 저장하고 추출하며 이를 변환하여 보여주거나 분석하는 강력한 도구는?

    ① 원격탐사 ② 범지구측위시스템(GPS)

    ③ 항공사진판독 ❹ 지리정보시스템

 

[26]. GIS로 파악이 가능한 자연환경정보의 내용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토지 피복 ② 지표면의 온도

    ③ 식물군락유형구분 ❹ 대기오염물질의 종류

 

[27]. 메타개체군 개념을 적용한 종 또는 개체군의 복원방법이 아닌 것은?

    ① 포획번식 ② 방사

    ❸ 돌발적 이동 ④ 이주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8

 

자연생태복원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자연생태복원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28]. 경관생태학에서 경관을 구성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① 조각(patch) ② 바탕(matrix)

    ③ 통로(corridor) ❹ 비오톱(biotope)

 

[29]. 생태학적 원리를 자연관리에 응용하는 생태기술의 기반으로 틀린 것은?

    ① 자연 자원의 흐름 경로 ② 물질의 이동 형태

    ❸ 유전 구조 ④ 물질의 이동 원리

 

[30]. 우리나라의 광역적 그린네트워크를 형성할 때, 생태적 거점핵심지역(main core area)으로 작용하기 어려운 곳은?

    ① 자연공원 ② 생태•경관보전지역

    ③ 천연보호구역 ❹ 도시근린공원

 

[31]. 경관조각의 생성요인에 따른 분류가 아닌 것은?

    ❶ 회복조각 ② 도입조각

    ③ 환경조각 ④ 재생조각

 

[32]. 인위적 사구 육성방법이 아닌 것은?

    ① 사구보강 ❷ 대체습지육성

    ③ 해변육성 ④ 수면 밑 해안육성

 

[33]. MAB(Man and Biosphere)의 이론에 근거한 지역구분을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① 보존지역 - 유보지역 - 잠재적 개발지역

    ❷ 핵심지역 - 완충지역 - 전이지역

    ③ 핵심지역 - 완충지역 - 유보지역

    ④ 전이지역 - 유보지역 - 보존지역

 

[34]. 인위적 교란을 지속적으로 받고 있는 농촌경관의 경관생태학적인 복원 및 보전을 위해 반드시 고려되고 반영되어야 할 요소가 아닌 것은?

    ① 경작지 ② 묘지

    ③ 2차 생식 ❹ 주택

 

[35]. 옥상녹화의 생태적 효과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❶ 녹시율의 증대 ② 도시 미관 증진

    ③ 도시 열섬 완화 ④ 소생물 서식공간 증대

 

[36]. 경관을 이루는 기본적인 단위인 경관요소를 크게 3가지로 나눌 때 포함되지 않는 것은?

    ❶ 공간(space) ② 조각(parch)

    ③ 바탕(matrix) ④ 통로(corridor)

 

[37]. 자연경관 관리계획의 목표와 거리가 먼 것은?

    ① 자연의 생태적 안전성 확보

    ② 자연 순응적 및 개발

    ❸ 건축물 상호간의 스카이라인 조절

    ④ 자연 보전적인 개발 유도를 통한 생태적 지속성 유지

 

[38]. 사업시행으로 인한 영향예측 시 집중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자연생태계의 단절 여부

    ② 종다양성의 변화 정도

    ❸ 일반적인 저감대책의 수립

    ④ 경관의 변화 정도

 

[39]. 토지의 변형과정 중 경관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아닌 것은?

    ① 조각의 크기 ❷ 기온

    ③ 연결성 ④ 둘레길이

 

[40]. 비오톱의 생태적 가치 평가지표로 가장 타당한 것은?

    ❶ 이용강도 - 희귀종의 출현 유ㆍ무 - 재생복원능력

    ② 이용강도 - 접근성 - 표장율

    ③ 포장율 - 종 다양성 - 소득수준

    ④ 종 다양성 - 재생복원능력 - 인구 밀도

[41]. 경관의 공간배열 중 하천통로, 생울타리, 송전선로를 설명하는 공간요소의 명칭은?

    ① 거미형 ② 그래프형

    ③ 촛대형 ❹ 목걸이형

 

[42]. 사전환경성검토 시 입지의 적절성을 판단하기 위한 현황 파악 지표가 아닌 것은?

    ① 주요 생물 서식공간의 분포 현황

    ② 환경 관련 보전지역의 지정 현황

    ③ 개발 사업의 유형

    ❹ 개발 대상지역의 지가

 

[43]. 콘크리트나 아스팔트로 포장된 도로로 인하여 주변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도로 횡단 동물의 압사

    ❷ 교량으로 인한 어도 차단

    ③ 소음에 의한 교란

    ④ 도로 자체와 가장자리의 미기후 변화

 

[44]. 도시생태계 평가에 사용될 수 있는 방안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환경영향평가제도 ② 사전환경성검토

    ❸ 산지특성평가 ④ 비오톱 평가

 

[45]. 생태통로의 기능 중 순기능에 해당하는 것은?

    ① 장벽기능 ② 복원기능

    ❸ 흐름 또는 이동기능 ④ 침몰기능

 

[46]. 경관생태학이라는 용어를 최초로 사용한 사람은?

    ❶ Troll ② Forman

    ③ Zonneveld ④ Harber

 

[47]. 경관 구성요소를 가장 바르게 나열한 것은?

    ① 패치 - 산림 - 농경지

    ❷ 패치 - 코리더 - 메트릭스

    ③ 코리더 - 메트릭스 - 수목

    ④ 패치 - 코리더 - 건축물

 

[48]. 지난 반세기 동안 네덜란드 북해 연안과 더불어 우리나라의 서해안에서 가장 활발하게 일어났던 훼손으로 인위적으로 해안경관을 변화시켜 친환경적이지 못하며 자연적인 해안 경관을 해치게 된 것은?

    ① 쓰레기 투기 ② 해상 유류 유출 사고

    ❸ 간척 및 매립 ④ 연안의 수많은 양식시설

 

[49]. 비오톱 유형분류에 필요한 기초 자료의 종류를 가장 바르게 나열한 것은?

    ① 토지이용형태도면, 수질도면, 토양도면

    ② 식생도면, 항공사진, 교통지도

    ❸ 지형도면, 항공사진, 식생도면

    ④ 항공사진, 지적도, 인구분포도면

 

[50]. 경관 패턴 분석을 위한 자료에서 잠재적인 오차의 원천이 아닌 것은?

    ① 자료의 연령 ② 위치의 정확도

    ❸ 자료의 분량 ④ 내용의 정확도

 

[51]. 울릉도가 독도보다 더 많은 생물을 갖고 있다면 이를 설명하는 이론에 가장 가까운 것은?

    ① 메타개체군 이론

    ② 동태적 보전이론

    ❸ 도서생물지리학이론

    ④ 경쟁적 배제의 원리이론

 

[52]. 보전 공간 설정을 위한 비오톱 평가지표들을 가장 바르게 나열한 것은?

    ① 접근성, 포장율, 층위구조

    ❷ 복원능력, 종다양도, 멸종위기종의 출현

    ③ 주거지와의 거리, 멸종위기종의 출현

    ④ 층위구조, 종다양도, 이용빈도

 

[53]. 옥상녹화의 필요성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① 대기 정화

    ❷ 매트릭스 코리더 형성

    ③ 도시 홍수 지연

    ④ 건축물의 냉난방 에너지 절약효과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8

 

자연생태복원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자연생태복원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54]. 비오톱 조성계획에서 고려해야 할 경관 생태학적 요소가 아닌 것은?

    ① 서식지의 면적과 수 ② 코리도(Corridor)와 완충대

    ③ 주변경관의 특성 ❹ 교통에 의한 접근성

 

[55]. 결절지역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❶ 이질적인 성격을 갖는 등질지역의 집합

    ② 동질적인 성격을 갖는 공간적 확대

    ③ 동일조건하에 놓인 지역 전체

    ④ 목적으로서 계획의 영역

 

[56]. 우리나라의 산림경관 중 건조하기 쉬운 산능선이나 암반 노출지역에 나타나는 산림식생은?

    ① 굴참나무림 ② 서어나무림

    ③ 잣나무림 ❹ 소나무림

 

[57]. 다음 학문 중 연구대상의 크기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① 복원생태학>경관생태학>보전생물학

    ② 복원생태학>보전생물학>경관생태학

    ❸ 경관생태학>복원생태학>보전생태학

    ④ 경관생태학>보전생태학>복원생태학

 

[58]. 도로 건설, 도시 개발, 댐 건설 등 인간의 개발활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파편화의 정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항목이 아닌 것은?

    ① 파편화된 패치의 배열

    ② 패치의 형태

    ③ 파편화된 패치의 수와 면적

    ❹ 주변 식물상구조의 변화

 

[59]. 광산ㆍ채석장과 같은 대단위 훼손지역에서 자연경관의 보존 및 관리를 위해 반드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경관이 어떻게 기능하는가?

    ② 무엇이 경관을 훼손하는가?

    ❸ 경관의 보전은 어느 부서에서 하는가?

    ④ 우리가 경관을 되살릴 수 있는가?

[60]. 매립지의 식생복원 시 복토하는 토양에 주변의 산림토양과 유사한 토양조건을 만들어주고 미래의 식생을 예측하여 식생복원을 유도하는 방법은?

    ❶ 천이촉진 ② 천이억제

    ③ 천이순응 ④ 군락조성

 

[61]. 지리정보시스템(GIS)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① 자료(data) ②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③ 이용자 ❹ 인공지능

 

[62]. 잘 형성된 가장자리 군락의 순서가 맞는 것은?

    ❶ 소매군락 → 망토군락 → 삼림군락

    ② 망토군락 → 삼림군락 → 소매군락

    ③ 망토군락 → 소매군락 → 삼림군락

    ④ 삼림군락 → 망토군락 → 소매군락

 

[63]. 토지이용과 경관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과거와 현재의 인공위성영상을 분석한 주제도는?

    ① 토지이용도 ❷ 토지피복분류도

    ③ 생태자연도 ④ 녹지자연도

 

[64]. 커다란 서식처가 두 개 이상의 작은 서식처로 나뉘는 파편화의 영향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❶ 침투효과 ② 장벽과 격리화

    ③ 혼잡효과 ④ 국지적 멸종

 

[65]. 벡터데이터의 구성요소 중 점, 선, 면에 따라 정보 차원이 달리 구성되어 저장되는 것은?

    ① 위상구조 ② 메타데이터

    ❸ 기하학 정보 ④ 래스터데이터

 

[66]. 인공구조물에 의해 연안경관의 변화를 창출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① 돌제 ❷ 인공식재

    ③ 이안제 ④ 부유식 방파제

 

[67]. 경관을 구성하는 지형, 토질, 식생 등의 경관 단위가 자연적 조건과 인위적 조건의 영향을 받아 수평적으로 또는 규모적으로 배치된 형태를 일컫는 경관생태학 용어는?

    ❶ 경관모자이크(Landscape Mosaic)

    ② 경관패치(Landscape Patch)

    ③ 경관코리더(Landscape Corridor)

    ④ 경관단위(Landscape Unit)

 

[68]. 산림생태계의 생태적 천이 중 특성이 다른 것은?

    ① 습성 천이 ② 자발적 천이

    ❸ 2차천이 ④ 건성천이

 

[69]. 우리나라의 온대림을 대표하는 수종이 아닌 것은?

    ① 밤나무 ② 단풍나무

    ③ 물푸레나무 ❹ 후박나무

 

[70]. 지리정보체계(GIS)의 기능적 요소가 아닌 것은?

    ① 자료 전처리 ② 자료관리

    ③ 조정 및 분석 ❹ 플로트

 

[71]. 척도를 뛰어넘는 경관 패턴의 외삽을 가능하게 하고, 미세 규모의 측정값으로 광역화 패턴을 예측하게 해주는 경관생태학의 새 이론은?

    ❶ 프랙털 이론(fractal theory)

    ② 중립 이론(neutral theory)

    ③ 침투 이론(percolation theory)

    ④ 자기조직임계(self-oranized criticality)

 

[72]. 종 또는 개체군의 복원을 위한 방법이라고 보기 어려운 것은?

    ① 포획번식 ❷ 유전자 전이

    ③ 방사 ④ 이주

 

[73]. GIS 데이터(data)의 구성요소 중 위계가 잘 연계된 것은?

    ① 공간데이터, 속성데이터, 메타데이터

    ② 속성데이터, 벡터데이터, 데이터베이스

    ③ 속성데이터, 래스터데이터, 인공위성데이터

    ❹ 공간데이터, 백터데이터, CAD데이터

 

[74]. 지수성장(Sigmoid curve)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수용능력이 존재한다.

    ② 환경저항으로 불리는 인자가 존재한다.

    ③ 개체군이 적을 경우 성장이 빠르게 나타난다.

    ❹ 공간과 먹이자원이 무한히 공급되어 성장이 지속적이다.

 

[75]. 광산ㆍ채석장의 유형 구분 및 계획 시 고려할 사항이 아닌 것은?

    ① 복구목표 ② 채광ㆍ채석 종료 시 형상

    ③ 훼손지의 규모 ❹ 서식처의 파편화

 

[76]. 남한 생태지역의 구분으로 여름에 가장 서늘하고 겨울에도 춥지 않고 해안을 따라 산지경사가 그바고 연어의 회귀로 유명한 남대천과 금강송이 있는 지역은?

    ① 울영해안지역 ❷ 강원해안지역

    ③ 남해동부지역 ④ 남해서부지역

 

[77]. 산림의 자연성을 파악하는 도면으로 자연생태 및 환경적 가치를 판단할 수 있는 지표로서 식생과 토지이용현황에 따라 산림공간의 상태를 등급화한 도면은?

    ❶ 녹지자연도 ② 임상도

    ③ 현존식생도 ④ 산지이용구분도

 

[78]. 최근 경관생태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도시림을 비롯한 농ㆍ산촌지역의 2차 식생의 중요성으로 가장 옳은 것은?

    ❶ 생물종 다양성의 보호, 환경보호림, 괘적한 전원공간

    ② 목재생산, 자연휴양림, 생물서식공간

    ③ 자연공원, 생물서식공간, 임산자원

    ④ 퇴비생산, 버섯재배, 목재생산

[79]. 국내의 산림녹지 관련 도면이 아닌 것은?

    ① 임상도 ② 녹지자연도

    ③ 현존식생도 ❹ 지적도

 

[80]. GIS의 구성요소를 가장 올바르게 나열하고 있는 것은?

    ① 셀, 레스터, 소프트웨어

    ② 이용자, 방법, 레스터

    ③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백터

    ❹ 자료, 소프트웨어, 이용자

 

[81]. 자연경관의 유형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산림 ② 해안 및 도서

    ③ 호수 및 습지 ❹ 대규모 아파트 단지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8

 

자연생태복원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자연생태복원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82]. 해류의 종류 중 하나로 압력경도력과 전향력의 두 힘이 평형을 이루면서 일어나는 해수의 운동은?

    ① 취송류 ❷ 지형류

    ③ 경사류 ④ 밀도류

 

[83]. UNESCO에서 제안한 보전지역관리를 위한 용도지역 구분이 아닌 것은?

    ① 핵심지역 ② 완충지역

    ❸ 수변지역 ④ 전이지역

 

[84]. 보전 및 복원해야 할 대상인 자연보호구의 가치가 아닌 것은?

    ① 유전자원의 제공

    ② 환경교육의 장소제공

    ③ 자연 및 생물다양성의 보전

    ❹ 다른 지역으로의 생물이동 방해

 

[85]. 자연보호구에서 야생동물 개체군의 보전을 위해 가장 시급한 것은?

    ❶ 충분한 면적을 확보

    ② 기후변화에 따른 파급효과 고려

    ③ 보전프로그램 및 모니터링 기법

    ④ 전통적 토지이용과 자원채취 허용

 

[86]. 임상도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가 아닌 것은?

    ① 경급 ② 영급

    ❸ 종다양성 ④ 주요 수정

 

[87]. 해안경관의 대표적 유형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❶ 호수 ② 갯벌

    ③ 사구 ④ 식생해안

 

[88]. 생태축의 역할로 틀린 것은?

    ① 도시생태계의 다양성 확보

    ② 개체군 간의 유전적 다양성 증대

    ❸ 생물의 근친교배에 따른 우성형질 발현

    ④ 소규모 서식처의 연결로 생물 이동성 보장

 

[89]. 자연지역 구분에서 고려되어야 할 주요인자가 아닌 것은?

    ① 토양 ② 지형

    ③ 식생 ❹ 물질순환

 

[90]. 생태적 역동성 측면에서 자연보전지구 설정 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① 동질의 경관

    ② 멸종위기의 개체군

    ③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패치

    ❹ 개체군 유지를 위한 최소한의 패치 크기

 

[91]. 경관조각의 형태적 특성과 관계가 없는 것은?

    ① 굴곡 ② 내부

    ③ 둘레/면적의 비 ❹ 야생동물의 종수

 

[92]. 도시생태계를 보호하고 복원하기 위해서는 현존하는 녹지를 보전하고 인공화 된 녹지에 자연을 복원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 다음 중 생태적인 도시계획 및 개발을 위한 지침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① 자연보호구역의 설정

    ② 서식지의 다양성 유지

    ❸ 절대적 가치의 보전종 도입

    ④ 자연과 경관에 대한 최소한의 침해

 

[93]. 경관생태학의 주요한 3대 연구 주제가 아닌 것은?

    ① 구조 ❷ 속성

    ③ 기능 ④ 변화

 

[94]. 경관생태(Landscape Ecology)란 용어를 처음 사용한 사람은?

    ① R.T.T Forman ② W. Haber

    ③ Z. Naveh ❹ C. Troll

 

[95]. 도시 비오톱 지도화의 방법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선택적 지도화 방법 ② 포괄적 지도화 방법

    ❸ 객관적 지도화 방법 ④ 대표적 지도화 방법

 

[96]. 높은 경관다양성 (Landscape diversity)에 의해 긍정적인 영향을 받지 않은 요인은?

    ① 내부 종 ② 전문먹이 종

    ❸ 가장자리 종 ④ 높은 종 풍부도

 

[97]. 메타개체군 이론에는 결여 되어 있으나 경관생태학에서만 찾아 볼 수 있는 특징이 아닌 것은?

    ❶ 생물의 이동

    ② 가장자리 효과

    ③ 패치의 질적인 변이

    ④ 주변 환경의 질적인 변이

 

[98]. 현대 사회에서 인간위주의 개발행위는 야생 동ㆍ식물의 서식처를 파괴하였다. 다음 중 최근 10년간 국내에서 큰 폭으로 감소한 야생 동ㆍ식물 서식처가 아닌 것은?

    ① 산림 ❷ 나지

    ③ 갯벌 ④ 농경지

 

[99]. 경관생태학의 특성이 아닌 것은?

    ❶ 식물생리에 적합한 환경 연구

    ② 공간적인 이질서의 발달과 역동성

    ③ 이질적인 경관 사이의 상호작용과 교환

    ④ 생물적ㆍ비생물적 과정에 대한 공간 이질성의 영향

 

[100]. 인공경관생태의 유형 또는 종류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경작지역 ② 도시화지역

    ③ 조리지역 ❹ 습지 및 산림지역

 

[101]. 도시경관생태를 보전하기 위한 친환경적 계획기법이 아닌 것은?

    ① 비오톱 지도화 ② 경관생태계획

    ③ 인공지반 녹화 ❹ 하천정비와 복구

 

[102]. 도로의 비탈면 녹화를 위한 중요 검토사항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❶ 교통량 ② 사면 형성

    ③ 식생공법 ④ 사면 식재지 구조

 

[103]. 다음 중 갯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모래 갯벌, 펄 갯벌, 사변으로 구분한다.

    ❷ 펄갯벌에서는 갯지렁이류가 우점한다.

    ③ 모래갯벌은 해수의 흐름이 느린 곳에 형성된다.

    ④ 펄갯벌은 펄 함량이 50% 이상인 갯벌을 말한다.

 

[104]. 생태적인 도시계획 및 개발을 위한 지침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오픈스페이스를 연결한다.

    ② 서식지의 다양성을 유지한다.

    ③ 자연과 경관에 대한 침해를 최소화한다.

    ❹ 사람 중심의 식물상과 동물상을 고려한다.

 

[105]. 옥상생태계의 조성효과로 가장 관계가 먼것은?

    ① 녹음효과 ❷ 건강증진

    ③ 환경교육의 장 ④ 동식물의 서식지 제공

 

[106]. 현재 사용 중인 주요 원격탐사 위성자료 중 정지궤도에 있으며, 해상력이 가장 낮은 것은?

    ① SPOT HRV ② IKONOS

    ③ QuickBird ❹ NOAA GOES

 

[107]. 다음은 토지이용에 따른 경관특성변화 요소이다. 이 중 관련성이 가장 적은 것은?

    ① 조각의 크기 ❷ 인공구조물

    ③ 둘레길이 ④ 연결성

 

[108]. 경관생태학에서 경관 요소간의 생물이나 물질, 에너지의 이동 등 이들간의 관련성을 의미하는 것은?

    ❶ 경관의 기능 ② 경관의 구조

    ③ 경관의 변화 ④ 경관의 안정

 

[109]. 항공사진판독의 기술적 수단을 중요시하면서 최초의 경관생태학이라는 용어를 만든 사람은?

    ① 홈볼트(Humbolt) ❷ 트롤(Troll)

    ③ 텐슬러(Tansley) ④ 존벨트(Zonneveld)

 

[110]. 복원생태학과 경관생태학의 차이를 가장 잘 표현하는 개념은?

    ① 생물다양성의 증진여부

    ② 서식지의 복원 및 확충

    ❸ 생태복원 대상의 규모

    ④ 인간의 간섭과의 연관정도

 

[111]. 도서생물지리학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❶ 멸종률은 섬의 위치에 의해 결정된다.

    ② 이입률은 섬과 대륙과의 거리에 반비례한다.

    ③ 도서의 종수는 이입률과 멸종률에 의해 결정된다.

    ④ 도서생물지리학은 MacArthur와 Wilson이 주장했다.

 

[112]. 식물군락조사에서 원격탐사를 이용한 분석이 가능하지 않는 것은?

    ① 식물군락의 현존량 추정 ② 식물 활력상의 추정

    ③ 식물군락과 탄소순환 ❹ 식물군락의 수고

 

[113]. 도로 비탈면의 식생복원 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서식권의 연속성 확보 ❷ 사면붕괴 위험 증진

    ③ 유전적 격리의 해소 ④ 표토의 침식방지

 

[114]. 경관생태학 발달에 최초의 공헌을 한 학문분야는?

    ① 수학 ② 물리학

    ❸ 지리학 ④ 동물분류학

 

[115]. 지리정보체계(GIS)의 5대 요소가 아닌 것은?

    ① 지도자료 ② 소프트웨어

    ❸ 프로세스 ④ 이용자

 

[116]. 다음 중 경관생태 연구의 접근방법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학제간 연구 ② 총체적 관점

    ③ 상호보완적 관계 ❹ 동물 중심적 관점

 

[117]. 도시녹지의 양을 증대하기 위한 방법과 관계가 없는 것은?

    ① 녹지의 수 증가 ② 녹지의 규모 확대

    ❸ 녹지의 종류 증가 ④ 녹지 사이의 거리 축소

 

[118]. 생태적 동태를 고려한 생태계획의 유형을 지칭하는 것은?

    ❶ 적응적 계획 ② 공원녹지 계획

    ③ 지구단위 계획 ④ 경관 계획

 

[119]. 동물의 이동에 대한 예측과 저감 대책 수립 시 도움이 되는 경관생태학적 요소는?

    ① 패치 ❷ 통로

    ③ 바탕 ④ 변화

 

[120]. 파편화의 정도를 측정할 때 고려하는 항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❶ 매트릭스의 형태

    ② 파편화된 패치의 배열

    ③ 파편화된 각 패치의 면적

    ④ 파편화된 각 패치간의 이격거리

 

[121]. 파편화에 민감하여 멸종 가능성이 높은 종이 아닌 것은?

    ❶ 지리적인 분포범위가 넓은 종

    ② 개체군 크기가 작은 종

    ③ 넓은 행동권을 요구하는 종

    ④ 종의 확산이 어려운 종

 

[122]. 경관 파편화의 정도를 측정할 때 고려하지 않는 것은?

    ❶ 파편화된 패치의 색상

    ② 파편화된 패치의 면적

    ③ 파편화된 패치의 이격거리

    ④ 파편화된 패치의 배열

 

[123]. 지난 반세기 동안 네덜란드 북해 연안과 더불어 우리나라의 서해안에서 가장 활발하게 일어났던 훼손으로, 인위적으로 해안경관을 변화시켜 친환경적이지 못하며 자연적인 해안경관을 해치게 된 것은?

    ① 쓰레기 투기 ② 해상 유류 유출 사고

    ❸ 간척 및 매립 ④ 연안의 수많은 양식시설

 

[124]. 개발사업시 동ㆍ식물상 분야에 대한 환경영향평가의 가장 근본적인 목적은?

    ① 미적 경관 향상 ❷ 생물 다양성 보전

    ③ 특정 개체수의 증가 ④ 문화경관 다양성 향성

 

[125]. 생태축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❶ 종의 고립 증대

    ② 도시 미기후의 조절

    ③ 유전자 풀(pool)의 유지와 근교약세의 방지

    ④ 생태계의 연결을 통해 생물 이동의 증진

 

[126]. 옥상녹화(생태계) 조성 효과로 틀린 것은?

    ① 옥상 녹음을 통한 열섬효과 완화

    ② 도시 내 우수유출 지연 및 홍수 완화

    ❸ 옥상녹화를 통한 외래종 확산 방지

    ④ 도시 내 녹지 조성을 통한 경관 향상

 

[127]. 국가적인 차원에서 구성하는 국토생태네트워크 중 백두대간, 국립공원, 4대강, 서남해안, 비무장지대 등 국가적으로 중요한 생태계는 다음 어느 권역에 해당하는가?

    ❶ 핵심생태지역

    ② 생태통로지역

    ③ 생태복원지역

    ④ 접경지역생물권보전지역

 

[128]. 비오톱 유형분류에 필요한 기초 자료의 종류를 가장 바르게 나열한 것은?

    ① 토지이용형태도면, 수질도면, 토양도면

    ② 식생도면, 항공사진, 교통지도

    ❸ 지형도면, 항공사진, 식생도면

    ④ 항공사진, 지적도, 인구분포도면

 

[129]. 특정 목적을 가지고 실세계로부터 공간자료를 추출하여 이를 변환하여 보여주거나 분석하는 강력한 도구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공간자료, 인력 등의 조합을 의미하는 것은?

    ① 원격탐사 ② 측량

    ❸ 지리정보시스템 ④ 범지구측위시스템

 

[130]. 인위적 교란을 지속적으로 받고 있는 농촌경관의 경관생태학적인 복원 및 보전을 위해 반드시 고려되고 반영되어야 할 요소가 아닌 것은?

    ① 경작지 ② 묘지

    ③ 2차 식생 ❹ 주택

 

[131]. 육교형 야생동물 이동통로로 조성 시 중점 고려항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❶ 다양한 편익시설물의 설치

    ② 유도식재용 생울타리 조성

    ③ 소규모 은신처 조성

    ④ 차광식재 또는 차광벽 설치

 

[132]. 경관모자이크 특징을 정량적으로 기술하는 지수들의 유형이 아닌 것은?

    ① 다양성 ② 풍부도

    ❸ 생태적 지위 ④ 균등도

 

[133]. 토지개발에 따른 경관변화 형태와 관계가 먼 것은?

    ① 파편화 ② 축소

    ③ 천공화 ❹ 확대

 

[134]. 다음 적정 패치의 수를 결정하는데 관계성이 높은 요인들 중 관계가 가장 먼 것은?

    ① 패치수와 종풍부도

    ② 패치수와 종집합

    ❸ 패치수와 바람이동

    ④ 패치수와 종의 행동반경

 

[135]. 경관생태학적 관점에서 보았을 때, 다음 중 큰 패치의 장점이 아닌 것은?

    ① 서식처, 네트워크 보호

    ❷ 종 이동을 위한 징검다리 역할

    ③ 자연적인 간섭의 피해 최소화

    ④ 내부종 개체군의 유지

 

[136]. 비오톱을 지속적으로 보전 관리해야 하는 이유중 하나는 그것이 한번 훼손되면 원상태로 재생되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다음의 비오톱 타입 중 훼손 후 재생에 가장 오랜시간이 소요되는 것은?

    ① 빈영양수역의 식물

    ② 부영양수역의 식생

    ③ 빈영양단경초지

    ❹ 동굴에만 서식하는 생물종

 

[137]. 항공 탑재체에 의한 원격탐사 종류가 아닌 것은?

    ① 항공기 ② 기구 및 위성

    ③ 조류탑재기 ❹ 육안관찰

 

[138]. 다음 중 해안사구의 보전을 위한 복원 및 훼손 방지방법이 아닌 것은?

    ① sand-trap fence에 의한 모래 집적 방법

    ② 사구 높이를 인위적으로 높여주는 방법

    ③ 해안 사구 식물의 식재 방법

    ❹ 원활한 해변모래 공급을 위한 해구지형의 준설방법

 

[139]. 울릉도가 독도보다 더 많은 생물종을 갖고 있다면 이는 어느 이론을 설명하는 것인가?

    ❶ 도서생물지리학이론

    ② 메타개체군 이론

    ③ 동태적 보전이론

    ④ 경쟁적 배제의 원리이론

 

[140]. 거시적 측면에서 자연생태경관의 유형으로 볼수 없는 것은?

    ① 자연 산림 경관 ② 해안경관

    ③ 자연보전지역 ❹ 농촌경관

 

[141]. 다음 중 코리더(Corridor)의 기능이 아닌 것은?

    ① 서식처 ② 이통통로

    ③ 여과기능 ❹ 모자이크

 

[142]. 경관조각의 형태적 특성을 결정짓는 요소로 볼수 없는 것은?

    ① 선장성 ② 굴곡성

    ③ 내부면적 ❹ 개체군의 크기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8

 

자연생태복원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자연생태복원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8

 

자연생태복원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자연생태복원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0]. 생태계의 원서식지 면적이 감소되어 원식성을 유지하기 어려울 때의 복구 조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비포장화

    ❷ 가드레일 설치

    ③ 공사위치 변경 또는 우회

    ④ 기존 서식지의 면적 확대

 

[1]. 토양환경분석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정밀 토양도의 축척은?

    ① 1/10000 ❷ 1/25000

    ③ 1/50000 ④ 1/70000

 

[2]. 고체상태 또는 액체상태의 대기오염물질이 식물체의 표면에 부착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흡수 ② 확산

    ③ 희석 ❹ 흡착

 

[3]. 식재용토 토성의 측정, 처리 및 적용기준에서 볼 때 수분함량은 건토증의 몇 %가 존재하는 것이 가장 적정한가?

    ① 10 ~ 20% ② 20 ~ 40%

    ❸ 40 ~ 80% ④ 80% 이상

 

[4]. 자연형 하천복구를 통해 애반딧불이의 서식을 유도할 때 그 유충의 먹이원으로 필요한 수생물종은?

    ❶ 다슬기 ② 깔따구

    ③ 소금쟁이 ④ 왕잠자리

 

[5]. 수질정화 식물과 가장 거리가 먼것은?

    ① 부들, 갈대 ❷ 택사, 돌피

    ③ 부레옥잠, 부들 ④ 개구리밥, 창포

 

[6]. 녹화 식물의 종류를 흡착형 식물과 감기형 식물로 나눌 때 흡착형 식물로만 이루어진 것은?

    ① 칡, 멀꿀, 으름덩굴

    ② 개머루, 으아리, 인동

    ❸ 담쟁이덩굴, 송악, 모람

    ④ 마삭줄, 줄사철나무, 노박덩굴

[7]. 비탈면 녹화를 위한 식생군락외 조성 시 고려해야 할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주변 식생과 동화

    ② 식생의 안정 및 천이

    ③ 비탈면 주변의 생태계를 고려

    ❹ 급속 녹화를 위한 단순식생의 군락 조성

 

[8]. 식생기반재(토양) 분석의 기초이론 중 물리성을 평가하는 항목이 아닌 것은?

    ① 토성 ② 토양 온도

    ③ 토양의 밀도 ❹ 토양의 염기치환용량

 

[9]. 일반적으로 황폐지 또는 황폐산지는 황폐의 정도와 특성에 따라서 다양하게 구분하는데, 가장 초기 단계를 무엇이라 하는가?

    ① 민등산 ❷ 칙암임지

    ③ 황폐이행지 ④ 초기황폐지

 

[10]. 매립지 복원기술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성토법

    ② 사주법

    ❸ Biosolids를 이용한 공법

    ④ 비사방지용 산흙 피복법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8

 

자연생태복원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자연생태복원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11]. 어떤 하천의 수로(유심선)거리가 3km이며, 계곡거리가 1.3km일 경우 만곡도 지수(sinuosity index)와 하천의 종류가 맞게 짝지어진 것은?

    ① 0.43, 직류하천 ② 0.43. 사행하천

    ③ 2.31, 직류하천 ❹ 2.31, 사행하천

 

[12]. 수질정화를 위한 습지의 조성은 3단계 시스템으로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염물질의 유입 이후 3단게 시스템을 잘 나타낸 것은?

    ① 생물다양상 향상 습지→침전습지→오염물질 정화 습지

    ② 침전습지→생물다양성 향상 습지→오염물질 정화 습지

    ③ 오염물질 정화 습지→침전습지→생물다양성 향상 습지

    ❹ 침전습지→오염물질 정화 습지→생물다양성 향상 습지

 

[13]. 비탈(면)식생재녹화공법 중 식물의 자연침입을 촉진하는 식생공법을 총칭하는 것은?

    ① 지오웨브공법 ❷ 식생유도공법

    ③ 식생대녹화공법 ④ 식생반녹화공법

 

[14]. 매립지 복원공법 중 산흙 식재지반 조성 시 하부층이 사질토인 경우에 적용하는 기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❶ 사주법

    ② 성토법

    ③ 치환객토법

    ④ 비사방지용 산흙 피복법

 

[15]. 훼손지 비탈면에 사용되는 식물 줄 형태적으로 근계(根系) 신장이 좋은 식물이 아닌 것은?

    ① 억새 ② 비수리

    ❸ 까치수영 ④ 크리핑레드훼스큐

 

[16]. 토양수분의 유형 중 식물이 주로 사용하는 수분은?

    ① 화합수 ② 흡습수

    ❸ 모관수 ④ 중력수

 

[17]. 야생동물의 이동 목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종족의 번식을 위해

    ② 개체군의 분산을 위해

    ❸ 부모의 궤적을 따르기 위해

    ④ 부적합한 환경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18]. 도로 아래에 이미 설치된 수로박스와 수로관등의 암거수로를 이용하여 생태통로를 만들 때 어떤 보완시설의 설치가 필요한가?

    ① 기둥 ② 비포장 통로

    ③ 울타리 설치 ❹ 선반이나 턱 구조물

 

[19]. 조류와 인간의 거리 중에서 사람이 접근하면 수십 cm에서 수m를 걸어 다니면서 사람과의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려고 하는 거리는?

    ① 경계거리 ❷ 회피거리

    ③ 도피거리 ④ 비간섭거리

 

[20]. 생태공원의 계획 과정과 그 내용이 잘못 연결된 것은?

    ① 목적 및 목표 설정-목표종 및 서식처 특성 설정

    ❷ 현황 조사 및 분석-유지및 관리계획

    ③ 기본구상-프로그램의 기능적 연결

    ④ 기본계획 및 부문별 계획-서식처 계획, 토지이용계획

[21]. 영양단위의 최상위에 위치하는 대형포유류나 맹금류 등 서식에 넓은 면적을 필요로 하고, 이 종을 지키면 많은 종의 생존이 확보된다고 생각되며 생태계 보전 및 복원의 목표가 되는 종군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지표종 ② 핵심종

    ③ 상징종 ❹ 우산종

 

[22]. 야생동물 이동을 위한 생태통로의 기능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천적 및 대형 교란으로부터 피난처 역할

    ② 단편화된 생태계의 연결로 생태계의 연속성 유지

    ③ 야생동물의 이동로 제공

    ❹ 종의 개체수 감소

 

[23]. 반딧불이 서식을 유도하는 자연형 하천복원은 어떤 수생생물종의 서식을 필요로 하는가?

    ① 왕잠자리 ② 소금쟁이

    ③ 깔다구 ❹ 다슬기

 

[24]. 미티게이션에서 식물종을 보호, 보전하는 방법으로서 귀중종을 이식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생활사, 생활환경에 대한 정보 부족

    ② 이식지 선정, 서식환경 정비 정보 부족

    ❸ 귀중종과 일반종의 동시 이식

    ④ 부족한 경험에도 불구하고 이식실패가 허용되지 않음

 

[25]. 대기에 포함된 함량은 0.03%에 지나지 않으며, 물 속 생명체의 운동 및 호흡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은?

    ❶ 이산화탄소 ② 산소

    ③ 질소 ④ 일광

 

[26]. 식물과 곤충과의 관련성을 고려한 분류 체계에서 식물의 잎을 섭식하는 곤충은?

    ① 화분매개충 ② 흡즙곤충

    ❸ 식엽곤충 ④ 위생곤충

 

[27]. 목본식물 중 질소 고정식물이 아닌 것은?

    ① 자귀나무 ② 오리나무

    ③ 소귀나무 ❹ 때죽나무

 

[28]. 식물군락의 순1차생산력은 생태계의 형태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우리나라와 일본의 순1차생 산력의 범위(t/ha/년)는?

    ① 1~5 ❷ 10~15

    ③ 20~25 ④ 25~30

 

[29]. 산림생태계의 산불피해지역에서 그루터기 움싹재생(stump sprouting)을 하지 않는 수종은?

    ❶ 소나무 ② 신갈나무

    ③ 물푸레나무 ④ 참싸리

 

[30]. 생태적으로 바람직한 대체습지 조성 시 고려해야 할 것이 아닌 것은?

    ❶ 면적이 동일해야 한다.

    ② 동일 유역권내에 있어야 한다.

    ③ 기능이 동일해야 한다.

    ④ 가급적 가까운 거리(on-site)에 있어야 한다.

 

[31]. 담수역에 있어서 관수저항이 강한 식물(생존기간 85일간 이하)에 해당하는 것은?

    ❶ 잔디, 골풀, 갈대, 회양목

    ② Kentucky bluegrass, 줄, 줄사철나무

    ③ tall fescue, orchard grass, 돈나무

    ④ perennial ryegrass, 영산흥, 송악

 

[32]. 주야로 차량통행이 많은 산림 계곡부를 지나는 도로 상에 야생동물 이동통로를 조성하는 경우, 이동통로 유형의 적합성에 대한 설명이 맞는 것은?

    ① 육교형이 터널형보다 더 적합하다.

    ❷ 터널형이 육교형보다 더 적합하다.

    ③ 육교형이나 터널형 모두 비슷하다.

    ④ 육교형 이나 터널형 모두 부적합하다.

 

[33]. 파종중량(W)의 산출식으로 옳은 것은? (단, G : 발생기대본수(본/m²), S : 평균입수(입/g), P : 순량률(%), B : 발아율(%))

    ❶ G / S×P×B ② S / G×P×B

    ③ S×P×B / G ④ G×P×B / S

 

[34]. 물에 의한 토양침식의 형태 및 유형 중 빗물침식과 관계가 가장 먼 것은?

    ❶ 복류수침식 ② 빗방울침식

    ③ 면상침식 ④ 누구침식

 

[35]. 복원 계획을 위한 분석 기법 중 계획의 장래효과를 예측하여 복수의 대안을 비교하는 분석방법은?

    ① GAP 분석 ❷ 시나리오 분석

    ③ 행동권 분석 ④ 중첩분석

 

[36]. 생태통로의 사후관리 단계에서 필요한 고려사항이 아닌 것은?

    ① 서식지의 안정성 보장 ❷ 외부간섭 차단

    ③ 통로기능과 효율성 평가 ④ 개선정도 제공

 

[37]. 도시생태계 복원을 위한 절차 중 가장 선행되어야 하는 것은?

    ① 시행, 관리, 모니터링의 실시

    ② 복원계획의 작성

    ③ 복원목적의 설정

    ❹ 대상지역의 여건분석

 

[38]. 자연환경보전지역의 산림에서 5천제곱미터의 채굴사업 훼손 면적이 발생했을 경우 납부해야 할 생태계보전협력급은?

    ❶ 6백만원 ② 1천5백만원

    ③ 2천5백만원 ④ 3천만원

 

[39]. 수관저류는 수관표면이 포화되는데 필요한 최소의 강우량이다. 수관저류 능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만 짝지어진 것은?

    ❶ 엽면적지수, 강우강도, 수종

    ② 엽면적지수, 강우량, 수종

    ③ 낙엽지량, 엽면적지수, 강우강도

    ④ 낙엽지량, 강우량, 수종

 

[40]. 야생동물 이동 통로의 형태 중 훼손 횡단부위가 넓고, 절토 지역 또는 장애물 등으로 동물을 위한 통로설치가 어려운 지역에 만들어지는 통로는?

    ① Culvert ② Shelterbelt

    ③ Box ❹ Overbridge

 

[41]. 옥상녹화의 효과 및 장점 중 생태학적 장점으로서 가장 큰 것은?

    ① 대기정화 기능, 냉난발비 절감

    ❷ 도시 열섬효과 감소

    ③ 단열효과, 옥상파손 방지

    ④ 녹음제공, 부동산 가치 상승

 

[42]. 대규모 건설사업이 생태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생물 서식지의 훼손 및 손실

    ② 생물 서식지의 단절 및 분절

    ❸ 생물종 다양성의 지속적 유지

    ④ 생태계 기능의 변화

 

[43]. 야생동물 이동통로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천적 및 대형 교란으로부터 피난처 역할

    ② 교육적, 위락적 및 심미적 가치 제고

    ❸ 단편화된 생태계의 파편 유지

    ④ 야생동물의 이동 및 서식처로 이용

 

[44]. 해안 사방 망심기의 망 구획 크기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50×50cm ② 100×100cm

    ③ 150×150cm ❹ 200×200cm

 

[45]. 침식방지제 중 화학적 자재에 해당하는 것은?

    ❶ 양생제류 ② 시트류

    ③ 망상류 ④ 화이버류

 

[46]. 서식처의 창출과 같이 새롭게 서식처를 조성해주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① 자연적 형성 ② 서식처 구조형성

    ③ 설계자로서의 서식처 ❹ 경제적 서식처

 

[47]. 물질 및 에너지 순환계통으로 옳은 것은?

    ❶ 무기물→생산자→유기물→소비자→유기물→분해자

    ② 유기물→생산자→무기물→소비자→유기물→분해자

    ③ 무기물→생산자→무기물→소비자→유기물→분해자

    ④ 유기물→생산자→유기물→소비자→무기물→분해자

 

[48]. 생태복원 목표종 선정 시 영양단계의 최상위에 속하는 대형 포유류 및 맹금류와 같이 넒은 서식면적을 필요로 하지만, 지키면 많은 종의 생존이 확보된다고 생각되는 종은?

    ① 희소종 ② 중추종

    ❸ 우산종 ④ 깃대종

 

[49]. 일반적으로 인산이 토양 중에 과다하게 있을 경우 식물에 결핍되기 쉬운 성분은?

    ① 철 ② 마그네슘

    ❸ 아연 ④ 칼륨

 

[50]. 생태네트워크 계획의 과정에서 보전, 복원, 창출해야 할 서식지 및 분단장소를 설정하는 과정은?

    ① 조사 ❷ 분석ㆍ평가

    ③ 실행 ④ 계획

 

[51]. 행동권(home range) 분석을 위한 GPS 시스템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데이터의 신뢰성이 높다

    ② 장비의 가격이 중ㆍ고가 이다.

    ❸ 24시간 추적이 불가능하다.

    ④ 배터리의 크기 및 성능에 따라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52]. 소하천에서 어류의 자유로운 계류 통행을 위해서 피해야하는 것은?

    ① 잡초가 많다.

    ② 바닥에 크고 작은 돌이 있다.

    ❸ 계류에 낙차를 크게 둔다.

    ④ 나무로 그늘지게 한다.

 

[53]. 농장에서 식물 종자를 파종하여 뗏장으로 키운 후 현지로 운반하여 포설만 하면 시공이 완료되는 공법은?

    ❶ 식생매트공법

    ② 식생자루공법

    ③ 식생구멍심기공법

    ④ 식생기반재 뿜어붙이기공법

 

[54]. 면적 300 m²인 하천 호안에 규격이 30 x 30 cm 인 갈대뗏장(sod)을 입히는데 필요한 매수는?

    ① 약 333매 ② 약 3030매

    ❸ 약 3334매 ④ 약 3950매

 

[55]. 일반적으로 생태계 중 단위면적당 가장 많은 생물다양성을 보유할 수 있는 것은?

    ① 삼림 ② 사막

    ③ 초지 ❹ 습지

 

[56]. 생태복원 대상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주변 지역을 조사하여, 복원 예정 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은?

    ❶ 지역적 맥락(regional context)의 조사

    ② 역사적 자료의 조사

    ③ 원형(prototype)의 조사

    ④ 생태적 기반 조사

 

[57]. 최대 침투능이 100㎜/hr인 지역에 강우강도 90㎜/hr로 비가 왔을 때, 지표유출량이 30㎜/hr이었다면 투수능(㎜/hr)은?

    ① 70 ❷ 60

    ③ 30 ④ 10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8

 

자연생태복원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자연생태복원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58]. 부레옥잠, 개구리밥과 같이 물속으로 뻗는 뿌리줄기가 항상 수면을 떠다니는 식물은?

    ① 정수식물 ② 부엽식물

    ③ 침수식물 ❹ 부유식물

 

[59]. 산림은 자연에 적응하면서 거기에 적합한 형태의 산림으로 구성된 후 안정된다. 이때 안정 상태로의 진입형태로 볼 수 있는 산림형태는?

    ① 아까시나무림 ❷ 참나무림

    ③ 잣나무림 ④ 전나무림

 

[60]. 비탈다듬기 공사에 사용되는 토사량 산출식은? (단, V:토사량(m³), A:A의 단면적, A :A1의 단면적, L:A와 A1의 거리(m)이다.)

    ① V=(A+A1)/2L ② V=2L/(A+A1)

    ③ V=2(A+A1)/L ❹ V=(A+A1)L/2

 

[61]. 광산지역의 복원계획 수립 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❶ 대규모 자연림 조성 계획

    ② 서식처의 복원 계획

    ③ 채광 계획

    ④ 지형복구 및 표토 활용 계획

 

[62]. 키가 큰 수목 위주의 식물군락 복원과 주위 재래종의 침입이 가능하며, 식물 생육이 양호하고, 피복이 완성되면 표면침식은 거의 없는 비탈면의 기울기는?

    ① 60도 이상 ② 45~60도

    ③ 35~40도 ❹ 30도 이하

 

[63]. 관수저항 일수가 가장 긴 녹화용 식물은?

    ① 갈대 ② 큰부들

    ❸ 속새 ④ 송악

 

[64]. 식물종자에 의한 유전자 이동의 방법 중 동물에 의한 산포방법이 아닌 것은?

    ❶ 기계형산포 ② 부착형산포

    ③ 피식형산포 ④ 저식형산포

 

[65]. 매립지 복원공법의 하나로 하부층(세립 미사질 토층)에 파일을 박아 하단부 투수층까지 연결한 후 파일 파이프 안에 모래, 사질양토, 자갈 등을 넣어 배수를 원활히 하는 방법은?

    ❶ 사주법 ② 사구법

    ③ 전면객토법 ④ 대상객토법

 

[66]. 비오톱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요소들이 고려될 수 있다. 비오톱을 구분하는 항목과 거리가 먼 요소가 포함된 것은?

    ① 식생, 비생물 자연환경 조건, 면적

    ② 주변 서식지와의 연결성, 주변효과

    ③ 인위적 영향, 서식지에서의 종간관계

    ❹ 서식지내 개체군의 크기, 외래종의 서식현황

 

[67]. 다음 중 도시화 지역과 같이 서식처가 단편화된 육상 지역의 식물 번식 방법으로 가장 유리한 방법은?

    ❶ 풍산포 ② 수산포

    ③ 기계산포 ④ 저식형산포

 

[68]. 옥상녹화 유지보수 확보방안으로 저탄소녹색 기술을 가장 유용하게 적용한 것은?

    ① 저배수관 활용으로 우수저장

    ② 기후에 적응하는 식물종 식재

    ③ 종수를 이용한 점적관수시스템

    ❹ 태양발전시스템을 이용한 우수재활용시스템

 

[69]. 포유류의 멸종위기종 증식 및 복원을 위한 기술 중에서 사육시설 개발, 인공 증식 시스템 확립, 병리학적 위기 관리 체계 등이 속하는 분야는?

    ❶ 인공 증식 연구 ② 개체군 변동 연구

    ③ 서식지 특성 연구 ④ 자연으로의 복원 연구

 

[70]. 도시림의 공익적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❶ 목재생산 기능 ② 토사유출방지 기능

    ③ 레크레이션 기능 ④ 자연학습장소 기능

 

[71]. 토양수분을 보존하는 방법 중 증산억제책에 해당하는 것은?

    ① 객토

    ② 토양개량제 사용

    ❸ 인공피복자재 사용

    ④ C/N율이 높은 유기물 사용

 

[72]. 한 종의 개체군이 공간적으로 불연속적인 아개체군들로 구성될 때, 아개체군들의 집합 즉, 개체군의 최상위 집단으로서 개체군의 유형은?

    ❶ 메타개체군 ② 서브개체군

    ③ 지역개체군 ④ 국지개체군

 

[73]. 도시생태계의 특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이입종의 정착 ❷ 양치식물의 증가

    ③ 고차소비자의 부재 ④ 난지성종의 증가

 

[74]. 자기설계적 복원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① 수동적 복원이라고도 한다.

    ❷ 공학적인 식재 전략을 선호한다.

    ③ 시간의 흐름을 존중하는 접근이다.

    ④ 생태계의 능력과 잠재력을 강조하는 접근이다.

 

[75]. 육역과 수역, 수림과 초원 등 서로 다른 경관요소가 접하는 장소에 생기는 지역은?

    ① 패치(patch) ② 코리더(corridor)

    ③ 매트릭스(matrix) ❹ 에코톤(ectone)

[76]. 훼손지환경녹화 공사용 재료인 석재로서 형상은 재두각추체에 가깝고, 전면은 거의 평면을 이루며 대략 정사각형으로서 뒷길이, 접폭면의 폭, 뒷면 등이 규격화된 쌓기용 석재는?

    ① 마름돌 ② 각석

    ❸ 견치돌 ④ 야면석

 

[77]. 생태연못 조성 위치상 잘못 된 곳은?

    ① 가급적 지하수위가 높은 곳

    ② 야생동물들의 접근이 용이한 곳

    ❸ 건물이나 기존 수목 등에 의해 그늘이 많은곳

    ④ 인근 생물 서식처로부터 생물종 유입이 용이한 곳

 

[78]. 생태복원 시 식물종 선정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자생식물종을 선정한다.

    ② 목표종이 필요로 하는 식물종을 선정한다.

    ❸ 단층구조 형성에 유리한 식물종을 선정한 다.

    ④ 복원할 지역의 환경 조건에 적합한 식물종을 선정한다.

 

[79]. 우리나라의 석재 중에서 가장 많은 것은?

    ① 현무암 ② 안산암

    ❸ 화강암 ④ 응회암

 

[80]. 다음 중 천이의 최상위에 해당하는 것은?

    ① 나대지 ❷ 내음성 교목림

    ③ 관목림 ④ 다년생 수목

 

[81]. 수변에서 식생의 기능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뿌리의 물 저장과 질소, 인 제거효과

    ② 다양한 미기후 형성으로 물고기의 산란처

    ③ 수생생물에 알맞은 생육조건 제공

    ❹ 홍수시 제방의 훼손으로 재해의 원인

 

[82]. 다음의 토양수분상태 중에서 수분장력이 가장 높은 것은?

    ① 중력수 ② 모세관수

    ❸ 흡습수 ④ 포장용수량

 

[83]. 야생동물 이동로의 계획 및 설계시, 필요한 생태계의 악영향에 대한 경감방법을 계획할 때 적용하은 원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규모는 클수록 좋다.

    ② 기존연결로를 최대한 활용한다.

    ③ 가능한 많은 생물종을 대상으로 한다.

    ❹ 다양한 형태보다는 대표적 형태의 연결로를 제공한다.

 

[84]. 식물의 생활사 중 개화와 종자생산에 의한 번식, 구근에 의한 영양번식을 함으로써 차세대를 생산 하는 시기는?

    ① 실생기 ② 생육기

    ❸ 성숙기 ④ 과숙기

 

[85]. 복원하고자 하는 대상지역에 대해 훼손되기 이전의 상태와 훼손되는 원인과 과정을 거치면서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조사하는 방법은?

    ① 지역적 맥락의 조사 ❷ 역사적 맥락의 조사

    ③ 생태기반환경의 조사 ④ 생태환경의 조사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8

 

 

자연생태복원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자연생태복원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86]. 훼손될 습지와 대체하려는 습지의 유형이 같은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❶ in kind wetland ② out of kind wetland

    ③ off site wetland ④ on site wetland

 

[87]. 생태적 회랑(생태통로)의 부정적 효과가 아닌 것은?

    ① 포식기회의 증대

    ❷ 동물의 안전한 이동

    ③ 동물의 접촉 감염 등에 의한 질병의 전엽

    ④ 본래 일어나지 않을 유전적 교류의 조장

 

[88]. 다음 중 동물산포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① 부착형 산포 ② 피식형 산포

    ❸ 기계산포 ④ 저식형산포

 

[89]. 환경포텐셜 유형 중에서 기후, 지형, 수환경, 토양 등의 토지적 조건이 특정생태계의 성립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것은?

    ① 종의 공급 포텐셜 ② 종간 관계포텐셜

    ❸ 입지 포텐셜 ④ 천이 포텐셜

 

[90]. 수고 7~12m 정도의 교목을 식재하고자 할때 자연토의 적합한 유효 토심의 깊이는?

    ① 상층 60cm, 하층 90㎝ ❷ 상층 60㎝, 하층 20㎝

    ③ 상층 30㎝, 하층 20㎝ ④ 상층 20㎝, 하층 20㎝

 

[91]. 광산의 복원기법 중에서 자연화 방법과 콜로니화 방법은 무슨 공법에 해당하는가?

    ① 녹화공법 ❷ 생태적 공법

    ③ 결합 Hybrid ④ 산림표토층 이용공법

 

[92]. 수신기와 야기안테나를 이용하여 2~3곳에서 동시에 발신기로부터의 방위각을 측정한 후 삼각측량의 원리를 이용하여 추적동물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은?

    ❶ VHF 방식 ② GSM 방식

    ③ CDMA 방식 ④ Stored on board 방식

 

[93].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습지를 조성하고자 할 경우, 개방수면의(open water)의 적정 비율은?

    ① 15% ② 20%

    ❸ 50% ④ 100%

 

[94]. 발아력이 뛰어나고 초기성장이 왕성하며 균질한 종자를 대량 입수할 수 있어 절개사면의 녹화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식물만으로 구성된 것은?

    ① 톨훼스큐, 위핑러브그래스, 원추리

    ❷ 쑥, 억새, 비수리

    ③ 호장근, 사초과 식물, 갈대

    ④ 억새, 곰취, 쇠별꽃

 

[95]. 자연형 하천복원 시 적용할 수 있는 다음의 저수로 호안공법 중 수충부에 적합한 것은?

    ① 돌심기 공법

    ② 녹색마대. 공법

    ③ 욋가지덮기 공법

    ❹ 사석버드나무설단 공법

 

[96]. 생태계 복원을 위한 재료선정 기준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자생수목 및 자생초화류의 사용

    ❷ 피복효과가 낮은 식물 위주로 사용

    ③ 번식이 용이하고, 교육적 가치가 높은 식물 사용

    ④ 식생이외의 재료는 가급적 자연재료를 사용

[97]. 추이대(ecotone)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① 종 다양성이 높다.

    ② 생태적으로 중요하다.

    ③ 여러 개의 유사한 군집들로 이루어져 있다.

    ❹ 고지대 산림이 가장 대표적인 추이대 이다.

 

[98]. 녹화식물 재료로서 덩굴식물이 압도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녹화의 효과도 뛰어난 공간은?

    ① 옥상녹화 ❷ 벽면녹화

    ③ 사면녹화 ④ 생울타리

 

[99]. 생물다양성의 종류로 분류되기 어려운 것은?

    ❶ 천이의 다양성 ② 서식처의 다양성

    ③ 유전자의 다양성 ④ 생몰종의 다양성

 

[100]. 토양수분의 유형 중 식물이 이용 가능한 유효수분은?

    ① 화합수 ② 흡습수

    ❸ 모관수 ④ 중력수

 

[101]. 식생기반재(토양) 분석의 기초이론 중 물리성을 평가하는 항목이 아닌 것은?

    ❶ 염기치환용량 ② 토성

    ③ 토양의 밀도 ④ 토양온도

 

[102]. 하부연안대에서 육지에서 호수쪽을 향하여 분포하고 있는 수생식물의 순서로 적합한 것은?

    ① 부엽식물 침수식물 → 부수식물 → 추수(정수) 식물

    ② 부엽식물 → 침수식물 → 추수(정수)식물 → 부수식물

    ③ 추수(정수)식물 → 침수식물 → 부엽식물ᅳ → 부수식물

    ❹ 추수(정수)식물 → 부엽식물 → 침수식물 → 부수식물

 

[103]. 훼손지녹화용 수목의 선택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종자의 확보가 용이하여야 한다.

    ② 건조에 견디는 힘이 강해야 한다.

    ③ 번식력과 생장력이 왕성해야 한다.

    ❹ 세근보다 직근의 발달이 우세하여햐 한다.

 

[104]. 환경문제 해결에 부응하는 콘크리트가 아닌것은?

    ❶ 한중 콘크리트 ② 식생 콘크리트

    ③ 조습성 콘크리트 ④ 자원순환 콘크리트

 

[105]. 가로나 주차장 및 광장 등의 식수대 안에 식재할 때 사용되는 방법으로 현지 토양을 굴착하여 객토로 바꿔 넣는 공법은?

    ① 경운공 ❷ 객토치환공

    ③ 객토성토공 ④ 경운객토성토공

 

[106]. 내염성이 약한 수종으로만 알맞게 짝지어진 것은?

    ❶ 삼나무, 왜금송 ② 주목, 편백

    ③ 녹나무, 꽝꽝나무 ④ 돈나무, 금목서

 

[107]. 침수성 식물로만 맞게 짝지어진 것은?

    ❶ 검정말, 물수세미, 거머리말, 말

    ② 가래, 마름, 순채, 수련, 개연꽃

    ③ 갈대, 줄, 부들, 애기부들, 창포

    ④ 오리나무, 버드나무류, 들메나무, 낙우송

 

[108]. 야생동물 이동 통로의 형태 중 훼손 횡단부위가 넓고, 절토 지역 또는 장애물 등으로 동물을 위한 통로설치가 어려운 지역에 만들어지는 통로는?

    ① Culvert ② Shelterbelt

    ③ Box ❹ Overbridge

 

[109]. 다음 중 기능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❶ 수림대- 강풍의 통과

    ② 가로수- 녹음수 역할

    ③ 콘크리트벽면녹화- 일광반사 방지

    ④ 녹지 조성- 도시기후 완화

 

[110]. 자연환경보전지역의 산림에서 5천제곱미터의 채굴사업 훼손 면적이 발생했을 경우 생태보전협력금은?

    ❶ 6백만원 ② 1천5백만원

    ③ 2천5백만원 ④ 3천만원

 

[111]. 생태복원용 교목 및 아교목의 식재가 가능한 사면의 경사는?

    ❶ 25% 이하 ② 45% 이하

    ③ 66% 이하 ④ 75% 이하

 

[112]. 종자가 붙은 식물 개체를 녹화할 장소에 이식하여 그곳으로부터 자연스럽게 파종하는 것으로서 주위에 개체수를 늘리는 식물종 조달 방법은?

    ❶ 소스이식 ② 표토채취

    ③ 매트이식 ④ 근주이식

 

[113]. 부유식물에 해당하는 습지식물은?

    ① 애기부들 ② 마름

    ❸ 생이가래 ④ 물수세미

 

[114]. 비탈면녹화를 위한 식생군락의 조성 시 고려해야 할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주변 식생과 동화

    ② 식생의 안정 및 천이

    ③ 비탈면 주변의 생태계를 고려

    ❹ 급속 녹화를 위한 단순식생의 군락 조성

 

[115]. 유속(m/sec)을 나타낸 관계식으로 맞는 것은? (단, Q:유량, A:유적, P:윤변, R:경심)

    ① V= Q/P ② V= Q/R

    ❸ V= Q/A ④ V= QㆍA

 

[116]. 비탈다듬기 공사를 하고 뜬 흙을 정리 후 흩어뿌리기할 때 참억새와 혼파조합으로 양호한 것은?

    ❶ 참싸리 ② 비수리

    ③ 매듭풀 ④ 차풀

 

[117]. 생태복원 시 식재할 수 있는 질소고정 식물로만 구성된 것은?

    ① 개나리, 이팝나무, 보리수나무

    ② 개나리, 조팝나무, 삼나무

    ❸ 보리수나무, 자귀나무, 다릅나무

    ④ 낙상홍, 주엽나무, 피나무

 

[118]. 반딧불이 서식환경조성의 주안점으로 가장 우선시 되는 것은?

    ① 반딧불이 서식지의 이해

    ② 조성 대상지 환경의 이해

    ❸ 반딧불이 종류별 생활사의 이해

    ④ 반딧불이 관련한 먹이사슬의 이해

 

[119]. 다음 중 내충성이 강한 수종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느티나무 ❷ 아까시나무

    ③ 밤나무 ④ 떡갈나무

 

[120]. 조류와 인간의 거리 중에서 인간이 접근하면 수십 cm에서 수 m를 걸어 다니면서 인간과의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려고 하는 거리는?

    ① 비간섭거리 ② 경계거리

    ❸ 회피거리 ④ 도피거리

 

[121]. 생태복원사업시 시공 후 관리방법 중 가장 합리적인 방법은?

    ① 운영관리 ❷ 순응관리

    ③ 적응관리 ④ 하자관리

 

[122]. 다음의 습지식물 중 침수(侵水) 식물종은?

    ① 개구리밥(Spirosdela polyrhiza)

    ② 골풀(Juncus effusus var. decipiens)

    ③ 부들(Typha orientalis)

    ❹ 물수세미(Myriophyllum uerticillatum)

 

[123]. 토양에 서식하는 생물 중 토양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생물은?

    ① 거미 ❷ 지렁이

    ③ 메뚜기 ④ 달팽이

 

[124]. 다음 중 조류의 식이식물로 도입하기 가장 부적합한 수종은?

    ❶ 느티나무(Zelkoua serrata)

    ② 팽나무(Celtis sinensis)

    ③ 쉬나무(Euosia daniellii)

    ④ 멀구슬나무(Melia azedarach)

 

[125]. 이식할 수목의 뿌리돌림을 사전에 실시하는 근본적인 목적은?

    ① 운반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② 이식구덩이 크기를 축소하기 위해

    ③ 이식을 위한 굴취를 쉽게 하기 위해

    ❹ 이식력이 약한 수목을 이식하기 위해

 

[126]. 생태복원 관련한 공사의 순공사원가 계산을 구성하는 3가지 비목으로만 구성된 것은?

    ① 재료비, 일반관리비, 이윤

    ② 재료비, 일반관리비, 경비

    ③ 재료비, 노무비, 이윤

    ❹ 재료비, 노무비, 경비

 

[127].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 잔공재율, 잔골재의 입도, 반죽질기 등에 따르는 마무리하기 쉬운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성형성(plasticity)

    ② 반죽질기(consistency)

    ③ 워커빌리티(workability)

    ❹ 피니셔빌리티(finishability)

 

[128]. 대사에 포함된 함량은 0.03%에 지나지 않으며, 물 속의 생명체의 방향결정, 운동 및 호흡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은 무엇인가?

    ❶ 이산화탄소 ② 산소

    ③ 질소 ④ 일광

 

[129]. 국지개체군이 존속하기 위해서 최소한으로 확보해야 하는 개체군의 크기는?

    ① 초기개체수 ❷ 존속가능최소개체수

    ③ 절멸확률 개체수 ④ 메타개체군

 

[130]. 담수역에 있어서 관수저항이 강한 식물(생존기간 85일간 이하)에 해당하는 것은?

    ❶ 들잔디, 골풀, 갈대, 회양목

    ② Kentucky bluegrass, 줄, 줄사철나무

    ③ tall fescue, orchard grass, 돈나무

    ④ perennial ryegrass, 영산홍, 송악

 

[131]. 생태계복원의 근본개념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① 생물과 인간의 공존방법 구축

    ② 생물종다양성의 확대

    ③ 생물생황과 생태계의 파악

    ❹ 생태계 단수화의 촉진

 

[132]. 인간의 간섭정도에 의한 생태계 종류 중 다른 하나는?

    ① 삼림생태계 ② 하천생태계

    ❸ 경작지생태계 ④ 호소생태계

 

[133]. 생물자원이 인류 공동의 자산에서 국가 부의 원천으로 패러다임이 변화하면서 세계각국의 생물자원의 확보경쟁이 국제적 이슈로 등장하였다. 이와 관련된 국가적 협약은?

    ① 람사르 협약 ❷ 나고야 의정서

    ③ 교토 의정서 ④ 리우데자네이루 협약

 

[134]. 다음 중 옥상 생물서식공간으로 조성할 지역을 선정할 때 일반적으로 가장 중요한 기준이 되는 것은?

    ① 홍보효과 ② 조기 녹화 가능성

    ❸ 건축물의 위치와 높이 ④ 지역민의 접근성

 

[135]. 지붕에 식생을 재배하는 것은 다양한 혜택을 준다. 생태적 가치를 높일 뿐 아니라 도시지역 등에서 우수 관리에 큰 도움을 준다. 이런 옥상 녹화시 1차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지붕구조 ② 방수방근시스템

    ③ 식생기반토양층 ❹ 서식가능 동물

 

[136]. 한국 하천습지에 생육하는 수생식물 중 부엽식물이 아닌 것은?

    ① 노랑어리연꽃 ② 마름

    ③ 자라풀 ❹ 개구리밥

 

[137]. 다음의 습지식물 중 정수 식물종은?

    ❶ 매자기 ② 붕어마름

    ③ 부레옥잠 ④ 물수세미

 

[138]. 훼손지비탈면녹화용 식물로 구비하여야 할 요건이라 볼 수 없는 것은?

    ① 건조에 강하다 ❷ 양분요구가 크다

    ③ 척박지에 잘 자란다 ④ 번식이 용이하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8

 

자연생태복원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자연생태복원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8

 

자연생태복원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자연생태복원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0]. 생태계의 생물다양성과 관련이 없는 것은?

    ① 유전적 다양성 ② 종 다양성

    ③ 생태계 다양성 ❹ 작물의 다양성

 

[1]. 도시지역의 녹지지역 세분화에 해당하지 않는 지역은?

    ❶ 전용녹지지역 ② 보전녹지지역

    ③ 생산녹지지역 ④ 자연녹지지역

 

[2]. 도시지역과 그 주변 지역의 무질서한 시가화를 방지하고 계획적.단계적인 개발을 도모하기 위하여 대통령령이 정하는 일정기간동안 시가화를 유보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하여 지정하는 구역은?

    ① 시가화관리구역 ❷ 시가화조정구역

    ③ 시가화유보구역 ④ 시가화예정구역

 

[3]. 사회기반형성 차원에서의 환경계획의 내용과 거리가 먼 것은?

    ❶ 소음방지

    ② 에너지계획

    ③ 환경교육 및 환경감시

    ④ 시민참여의 제도적 장치

 

[4]. 자연입지적 토지이용유형에서 자연자원 유형이 아닌 것은?

    ❶ 역사·문화환경 ② 해안환경

    ③ 하천·호수환경 ④ 산림·계곡환경

 

[5]. 생태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원리 중 형태에 따른 분류가 아닌 것은?

    ① 점(Point)형 ② 선(Line)형

    ③ 면(Area)형 ❹ 징검다리(Stepping stone)형

 

[6]. 백두대간의 무분별한 개발행위로 인한 훼손을 방지함으로써 국토를 건전하게 보호하고, 쾌적한 자연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백두대간 보호지역을 지정 구분한 것은?

    ① 핵심구역, 전이구역

    ❷ 핵심구역, 완충구역

    ③ 완충구역, 전이구역

    ④ 핵심구역, 완충구역, 전이구역

 

[7]. 한반도의 생태축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백두대간 생태축

    ② 남해안 도서보전축

    ③ 남북접경지역 생태보전축

    ❹ 수도권 개발제한구역 환상녹지축

 

[8]. 환경용량 개념에 대한 생태학적 측면과 관계없는 것은?

    ① 지역의 수용용량

    ② 생태계 자정능력

    ❸ 지역의 경제적 개발수용력

    ④ 자연 자원의 지속가능한 생산

 

[9]. 생태도시의 설계지표 설정 시 고려해야할 사항이 아닌 것은?

    ① 정보수집이 용이해야 한다.

    ❷ 단기간에 걸친 경향을 보여주어야 한다.

    ③ 개별적, 종합적으로 의미가 있어야 한다.

    ④ 정책, 서비스, 생활양식 등의 변화를 유발해야 한다.

 

[10]. 경관을 이루는 기본단위인 경관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Patch ② Corridor

    ③ Matrix ❹ View point

[11]. 일정한 지역에서 환경의 질을 유지하고 환경오염 또는 환경훼손에 대하여 환경이 스스로 수용ㆍ정화 및 복원 할 수 있는 한계를 말하는 것은?

    ❶ 환경용량 ② 환경훼손

    ③ 환경오염 ④ 환경파괴

 

[12]. 환경계획의 주요 개념과 이론이 아닌 것은?

    ① 환경경제이론 ② 환경용량개념

    ③ 환경공간이론 ❹ 환경사회시스템론

 

[13]. SCOPE의 환경 지표세트 체계를 순자원역경지표, 종합오염지표, 생태계위험지표, 인간생활에의 영향지표로 구분할 때 다음 중 생태계위험지표에 해당되는 것은? (단, SCOPE는 환경문제과학위원회(Scientific Committee on Problem of the Environment)이다.)

    ❶ 인구 분포

    ② 대기오염의 영향

    ③ 산성화를 유발하는 물질

    ④ 어업자원과 어장환경의 소모

 

[14]. 1971년 유네스코가 설립한 MAB(Man and the Biosphere Programme)에서 지정한 생물권보전지역을 구분하는 세 가지 기본요소가 아닌 것은?

    ① 완충지역 ② 핵심지역

    ③ 전이지역 ❹ 관리지역

 

[15]. 생태도시 계획에 있어서 생태적 원칙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순환성 ② 다양성

    ❸ 개별성 ④ 안정성

 

[16]. 생태공원 조성을 위한 기본 원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지속가능성 확보 ② 생물적 다양성 확보

    ③ 생태적 건전성 확보 ❹ 관리인력 수요 창출

 

[17]. 생태도시에 적용할 수 있는 계획요소로서 관련이 가장 적은 것은?

    ❶ 관광 분야 ② 물ㆍ바람 분야

    ③ 에너지 분야 ④ 생태 및 녹지 분야

 

[18]. 녹지네트워크의 구성요소를 점요소, 선요소, 면적요소로 구분할 때 면적요소에 해당하는 것은?

    ① 화분 ② 가로수

    ③ 생태통로 ❹ 서울의 남산

 

[19].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용도지역에서 건폐율의 최대한도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녹지지역 : 20퍼센트 이하

    ❷ 농림지역 : 40퍼센트 이하

    ③ 생산관리지역 : 20퍼센트 이하

    ④ 계획관리지역 : 40퍼센트 이하

 

[20]. 식생군락을 측정한 결과, 빈도(F)가 20, 밀도(D)가 10이었을 때 수도(abundance) 값은?

    ① 10 ② 25

    ❸ 50 ④ 200

[21]. 일정 토지의 자연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식생과 토지의 이용현황에 따라 녹지공간의 상태를 등급화한 것은?

    ① 생태자연도 ❷ 녹지자연도

    ③ 국토환경성평가도 ④ 수관밀도

 

[22]. 생태건축 계획의 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❶ 중앙난방 계획

    ② 기후에 적합한 계획

    ③ 적절한 건축재료 선정

    ④ 에너지 손실 방지 및 보존 고려

 

[23]. 환경피해에 대한 다툼과 환경시설의 설치 또는 관리와 관련된 다툼인 환경분쟁을 조정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❶ 협상 ② 조정

    ③ 재정 ④ 알선

 

[24]. 생태공원 조성의 기본 이념이 아닌 것은?

    ① 지속 가능성

    ② 생태적 건전성

    ❸ 생물적 단일성

    ④ 인위적 에너지 투입 최소화

 

[25]. 생태네트워크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생물다양성의 시점이다.

    ② 광역네트워크의 시점이다.

    ③ 환경복원•창조의 시점이다.

    ❹ 토지경제성의 시점이다.

 

[26]. 현대적 환경관 중 자원개발을 통한 경제성장을 추구, 인간의 효용증진을 위한 양적성장을 추구하는 환경관에 해당하는 경우는?

    ❶ 낙관론자 ② 조화론자

    ③ 환경보호론자 ④ 절대환경론자

 

[27]. 자정능력의 한계를 초과하는 과다한 오염물질이 유입되면 환경은 자정작용을 상실하여 훼손되기 이전의 본래 상태로 돌아가기 어렵게 되는데 이와 같은 환경의 특성은?

    ① 상호관련성 ② 광역성

    ③ 시차성 ❹ 비가역성

 

[28]. 비정부기구로 생물다양성과 환경위협에 관심을 가지며 기후변화 방지, 원시림 보존, 해양보존, 유전공학연구의 제한,핵확산 금지 등을 위해 활동하는 국제민간협력기구의 명칭은?

    ❶ 그린피스(Greenpeace)

    ② 세계자연보호기금(WWF)

    ③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④ 지구의 친구(Friends of the Earth)

 

[29]. 환경부장관이 국가차원의 환경보전을 위해 수립하는 '국가환경종합계획'의 수립 주기는?

    ① 5년 ② 10년

    ❸ 20년 ④ 30년

 

[30]. 환경용량을 평가할 때 사용되는 지표 중의 하나로 재화와 용역의 생산에 필요한 에너지 측면의 가치를 과학적으로 측정한 것은?

    ① 생태적 발자국 ❷ 에머지

    ③ 에너지 지수 ④ 에너지환경지표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8

 

자연생태복원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자연생태복원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31]. 하천 및 호수환경의 친환경적인 관리지침에 대한 제안으로 부적합한 것은?

    ① 하안선, 호안선 관련 개발금지구역의 설정

    ② 주요 조망점으로부터 시각회랑 확보

    ❸ 건축물 허가 기준의 완화

    ④ 환경오염 규제 기준의 강화

 

[32]. 야생동물 이동통로 설계 시 중요하게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항목은?

    ① 야생동물 이동능력

    ❷ 조성 비용의 타당성

    ③ 인간에 의한 간섭 여부

    ④ 연결되어야 할 보호지역 사이의 거리

 

[33]. 생태건축계획에서 기본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내용으로 맞지 않는 것은?

    ① 기후에 적합한 건축

    ② 에너지 손실 방지 및 보존을 고려

    ③ 물질 순환 체제 고려

    ❹ 토지자원 외 절약

 

[34]. 지구온난화 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해수면의 상승

    ② 세계적인 기상이변의 빈도가 증가

    ❸ 동식물 종의 다양성 증대

    ④ 개발도상국의 농업생산력 저하

 

[35]. 1971년 2월 이란에서 채택된 정부간 협약으로 자연자원의 유용과 보존에 관한 내용을 담은 국제 정부간 협의는?

    ❶ 람사협약 ② 생물다양성협약

    ③ 사막화방지협약 ④ 기후변화협약

 

[36]. 자연적 또는 인위적 위협요인으로 개체수가 현저하게 감소되고 있어 위협요인이 제거되거나 완화되지 아니할 경우 가까운 장래에 멸종위기에 처할 우려가 있는 야생동ㆍ식물로서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환경부령이 정하는 종은?

    ① 멸종위기야생동ㆍ식물 Ⅰ급

    ❷ 멸종위기야생동ㆍ식물 Ⅱ급

    ③ 멸종위기야생동ㆍ식물 Ⅲ급

    ④ 국제적멸종위기종

[37]. 도시관리게획의 경관지구를 세분한 것이 아닌 것은?

    ① 자연경관지구 ② 수변경관지구

    ❸ 해안경관지구 ④ 시가지경관지구

 

[38]. GIS를 활용한 자연환경전보의 내용이 아닌 것은?

    ① 대상지 규모 ② 토지피복/이용

    ③ 산림 및 산지 ❹ 오염물질 종류

 

[39]. 국토의 난개발을 방지하고 개발과 보전의 조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토지의 토양, 입지, 활용가능성 등에 따라 토지의 보전 및 이용가능성에 대한 등급을 분류하여 토지용도 구분의 기초를 제공하는 제도는?

    ❶ 토지적성평가 ② 토지환경성평가

    ③ 토지이용계획 ④ 용도지역지구제

 

[40]. 생태 네트워크계획에서 고려할 사항으로 우선순위가 가장 낮은 것은?

    ❶ 재해방지 및 미기상조절을 위한 녹지의 확보

    ② 생물의 생식, 생육공간이 되는 녹지의 생태적 기능 향상

    ③ 인간성 회복의 장이 되는 녹지 확보

    ④ 환경학습의 장으로서 녹지 활용

 

[41]. 환경계획이나 설계의 패러다임 중 자연과 인간의 조화, 유기적이고 체계적 접근, 상호 의존성, 직관적 통찰력 등을 특징으로 하는 패러다임은?

    ① 데카르트적 패러다임

    ❷ 전체론적 패러다임

    ③ 직관적 패러다임

    ④ 뉴어버니즘적 패러다임

 

[42]. OECD의 환경지표 설정을 위한 PSR구조에서 대응(response)에 해당하는 것은?

    ① 에너지, 운송, 제조업, 농업

    ❷ 행정, 기업, 국제사회

    ③ 대기, 토양, 자연자원

    ④ 학교, 민간단체, 군대

 

[43]. 도로, 댐, 수중보, 하구언 등으로 인하여 야생생물의 서식지가 단편화되거나 훼손 또는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고 야생생물의 이동을 돕기 위하여 설치하는 인공구조물, 식생 등의 생태적 공간을 가리키는 것은?

    ① 대체자연 ❷ 생태통로

    ③ 자연유보지역 ④ 완충지역

 

[44]. 계획은 사회의 보편적 가치를 토대로 한 집합적 의사결정 시스템으로 존재하는 동시에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적 해결책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에 기초해 논의되는 토지이용계획의 역할로 틀린 것은?

    ① 난개발의 방지

    ②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토지의 보전기능

    ③ 세부 공간환경설계에 대한 지침 제시

    ❹ 토지이용현황의 적합성 판단과 규제 수단 제시

 

[45]. 훼손된 자연을 회복시키고자 하는 세가지 단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복원(restoration) ② 복구(rehabilitation)

    ③ 대치(replacement) ❹ 개발(development)

 

[46]. 환경수용능력의 산정기준이 아닌 것은?

    ① 환경자본 ② 환경 이슈와 지표

    ③ 환경용량 기준 ❹ 환경적 개발방식

 

[47]. GIS로 파악이 가능한 자연환경정보의 내용이 아닌 것은?

    ① 대상지 규모 ❷ 오염물질 종류

    ③ 산림 및 산지 ④ 토지 피복/이용

 

[48]. 환경문제의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것은?

    ① 도시화 ② 산업화

    ③ 인구증가 ❹ 주민참여 증대

 

[49]. 야생동물 이동통로 설계 시 중요하게 고려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야생동물 이동능력

    ❷ 주변의 기후ㆍ기상

    ③ 이동통로에서 인간에 의한 간섭 여부

    ④ 연결되어야 할 보호지역 사이의 거리

 

[50]. 생물지역계획의 실행 방향에 있어 분절된 토지를 연계해 에너지 흐름과 동ㆍ식물의 이동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계획은?

    ① 건축계획적 기법 ❷ 경관생태학적 방법

    ③ 경관미학적 계획 ④ 도시설계적 기법

 

[51]. 도시 및 단지 차원의 환경계획이 아닌것은?

    ① 생태 네트워크 계획 ② 생태마을과 퍼머컬처

    ❸ 생태건축 ④ 지속가능도시

 

[52]. 환경친화적인 하천정비계획의 기본방향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① 하천의 제반기능이 조화된 체계적인 하천관리

    ② 수환경 및 하천공간과의 일체화된 정비

    ③ 친수성회복과 지역사회에 부응하는 하천정비

    ❹ 특정 구간의 친수성 회복을 위해 단기적으로 집중정비

 

[53]. 경관 조각 모양의 특성을 설명하는 주요 속성이 아닌 것은?

    ① 굴곡 ② 신장

    ❸ 연결성 ④ 둘레

 

[54]. 생물종의 감소를 방지하고 생물자원의 합리적 이용을 위해 1992년 6월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채택된 협약은?

    ① 람사협약 ❷ 생물다양성협약

    ③ 사막화방지협약 ④ 기후변화협약

 

[55]. 환경의 자정능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변화에 적응하고 균형을 유지한다.

    ② 수질, 대기, 토양분야에 주로 적용된다.

    ③ 생태계의 자정능력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

    ❹ 오염물질의 배출 초과와는 관련이 없다.

 

[56]. 도시지역에서 비오톱의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도시민의 휴식 공간

    ② 환경교육을 위한 실험지역

    ❸ 난개발방지를 위한 개발 유보지

    ④ 도시생물종의 은신처 및 이동통로

 

[57]. OECD에서 채택한 환경지표 설정을 위한 요소로 인간과 환경의 대응 관계에 대한 3가지 구조요소에 해당하지않는 것은?

    ❶ 계획(plan) ② 환경상태(state)

    ③ 대책(response) ④ 환경에의 부하(pressure)

 

[58]. 토지관련 주제도 중 전 국토를 대상지역으로 하지 아니하고 주로 도시화지역을 대상으로 구축하는 주제도는?

    ❶ 토지특성도 ② 토지이용현황도

    ③ 생태자연도 ④ 토지피복지도

 

[59]. 생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① 핵심지역 ❷ 개발지역

    ③ 완충지역 ④ 생태적 코리더

 

[60]. 환경계획의 입지선정 요소 중 중요하게 활용되고 있는 경사도 100%의 도수로 적당한 것은?

    ❶ 45도 ② 30도

    ③ 15도 ④ 10도

 

[61]. 환경문제의 특성에 해당되지 않는 사항은?

    ❶ 엔트로피 감소 ② 상호관련성

    ③ 광역성 ④ 시차성

 

[62]. 가렛 하딘(garrett hardin)의 「공유지의 비극」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개인의 이익을 극대화하려고 한다.

    ② 각각의 목장주에게 할당된 가축이 있다.

    ③ 공공재의 중요성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❹ 자연자원은 무한하므로 관리가 필요하지 않다.

 

[63]. 어떤 일정한 생명집단 및 사회 속에서 3차원적이고 지역적으로 다른 것들과 구분되는 생명공간 단위에 해당하는 것은?

    ❶ 비오톱(biotope) ② 식생(vegetation)

    ③ 종(species) ④ 개체군(population)

[64]. 훼손된 자연을 회복시키고자 하는 세 가지 단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복구 ② 복원

    ❸ 보호 ④ 재배치

 

[65]. 환경용량의 개념을 생태학적 관점에서 세가지 측면으로 살펴볼 수 있다. 다음 중 세가지 측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환경의 자정능력 ② 지역의 수용용량

    ③ 자원의 지속가능성 ❹ 생태적 안정성

 

[66]. 생태도시계획시 고려해야 될 생태적 원리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다양성 ❷ 위계성

    ③ 순환성 ④ 자립성

 

[67]. 1992년 브라질 리우 지구정상회의에서 채택된 생물다양성협약의 주요 목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생물다양성의 보존

    ② 다양한 생물다양성의 지속가능한 이용

    ③ 유전자원이 이용에 의해 발생되는 이익의 공정한 배분

    ❹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생물에 대한 상업적 국제거래 규제

 

[68]. 교토의정서에 규정된 온실가스의 짝으로 틀린 것은?

    ①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② 아산화질소(n2o), 수소부로하탄소(hfcs)

    ③ 과불화탄소(pfcs), 육불화항(sf6)

    ❹ 일산화탄소(co), 이산화항(so2)

 

[69]. 하천유역의 면적,지형 등 하천유역의 특성에 따라 수계영향권을 구분하며, 이에 따라 구분된 대권역별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을 위한 기본계획은 몇 년 마다 수립되어야 하는가?

    ① 3년 ② 5년

    ❸ 10년 ④ 20년

 

[70]. 생태네트워크 유형분류 중 공간특성에 따른 분류가 아닌 것은?

    ① 지역적 차원 ❷ 사회적 차원

    ③ 국가적 차원 ④ 국제적 차원

 

[71]. 높이 10m 이상 되는 벽면의 녹화에서 식물의 신장량을 고려할 때 적용하기 가장 적합한 것은?

    ① 개다래 ❷ 등수국

    ③ 으아리 ④ 으름덩굴

 

[72]. 현존 식생 조사결과가 논 10ha, 과수원 10ha, 잣나무 조림지 10ha, 20년 미만의 신갈나무 군집 20ha로 조사되었다. 이 조사결과에서 녹지자연도 3등급에 해당하는 지역의 면적 비율(%)은?

    ① 10% ❷ 20%

    ③ 30% ④ 40%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8

 

자연생태복원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자연생태복원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73]. 생태건축계획에서 수동적 에너지 손실 방지 및 보존을 고려하기 위한 내용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지형을 고려한 입지 선정 ② 건물의 형태와 연결성

    ③ 건물의 방향 ❹ 건물 사용자

 

[74]. 다음 중 생태 관광의 기본원칙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자연환경의 보전

    ❷ 관광객 편의성의 증진

    ③ 관광갱의 호나경인식 제고

    ④ 지연주민의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편익의 보장 및 증대

 

[75]. 도시지역 비오톱의 생태적 기능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자연학습교육 및 체험장

    ② 도시민의 여가 및 휴식공간

    ③ 환경오염에 대한 생태적 지표

    ❹ 난개발 방지를 위한 개발유보지

 

[76].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도시지역내 주거지역에서 100평의 땅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필로티가 없는 건축물을 신축한다면 법상 한도 내에서 가능한 건축물은?

    ① 바닥면적 60평의 10층 건축물

    ② 바닥면적 60평의 9층 건축물

    ③ 바닥면적 70평의 10층 건축물

    ❹ 바닥면적 70평의 7층 건축물

 

[77]. 환경문제의 원인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① 대기오염과 산성비 ② 수질오염

    ③ 생태계 파괴 ❹ 인구의 감소

 

[78]. 다음 용도지역 중 최대 건폐율 한도가 다른 지역은?

    ① 녹지지역 ❷ 계획관리지역

    ③ 보전관리지역 ④ 자연환경보존지역

 

[79]. 환경특성을 짝지은 것으로 틀린 것은?

    ① 상호관련성, 광역성 ② 광역성, 시차성

    ③ 탄력성, 비가역성 ❹ 엔트로피 감소, 지역성

 

[80]. 우리나라 난개발의 주요원인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❶ 사전협의나 사전환경성 평가체계의 구축

    ② 환경친화적 계획 및 개발기법의 취약

    ③ 지역별 개발용량을 고려하지 않음

    ④ 녹지에 대한 계획기준이 없음

 

[81]. 도시를 하나의 유기적 복합체로 보아 다양한 도시활동과 공간구조가 생태계의 속성인 다양성, 자립성, 순환성, 안정성 등을 포함하는 인간과 자연이 공존할 수 있는 환경 친화적인 도시는?

    ① 메가도시티(Mega city)

    ❷ 생태도시티(Eco city)

    ③ 압축도시티(Compact city)

    ④ 스마트시티(Smart city)

 

[82]. 과거 준도시지역과 준농림지역을 합한 지역으로 도시주변에서 장래의 개발을 수용하기 위해 설정된 지역은?

    ① 녹지지역 ② 계획지역

    ③ 보전지역 ❹ 관리지역

 

[83]. 다음 중 토지이용계획의 역할이 아닌 것은?

    ❶ 도시의 무계획적인 확산

    ② 정주환경의 현재와 장래의 공간구성

    ③ 세부공간 환경설계에 대한 지침제시

    ④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토지의 보전

 

[84]. 국토환경보전계획의 3대 목표중 하나인 개발과 조화된 국토환경보전체계 구축을 위한 주요 추진전략 및 과제가 아닌 것은?

    ① 국토 환경 정보망 구축

    ❷ 국토환경지표개발

    ③ 지역특성을 교려한 국토환경보전 방안 마련

    ④ 국토환경성평가 및 평가지도 작성

 

[85]. 하천의 주요기능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이수기능 ❷ 위락기능

    ③ 치수기능 ④ 환경기능

[86]. 환경가치를 추정하는 데 가장 널리 이용되는 방법으로, 사람들이 환경에 부여하는 가치 혹은 환경개선에 대한 지불용의액을 사람들에 직접물어보는 방법은?

    ❶ 조건부가치추정방법 ② 여행비용방법

    ③ 속성가격기법 ④ 대체비용법

 

[87]. 국토환경성평가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평가항목을 등가중치법에 의해 평가항목별 가중치를 고려하지 않고, 최소 지표법을 이용하여 종합화한다. 최소지표법의 장법이 아닌 것은?

    ① 보전가치에 최고 가중치 부여

    ② 보전가치판단에 대한 자의성 방지

    ❸ 가치에 따른 점수화로 용도간 경쟁시 유리

    ④ 토지가 가진 환경가치를 최우선적으로 반영

 

[88]. 자연환경보전법의 규정에 따란 산ㆍ하천ㆍ습지ㆍ호소ㆍ농지ㆍ도시ㆍ해양 등에 대하여 자연환경을 생태적 가치, 자연성, 경관적 가치등으로 등급화하여 작성된 지도는?

    ❶ 생태ㆍ자연도 ② 녹지자연도

    ③ 국토생태현황도 ④ 자연환경현황도

 

[89]. S.R. Arnstein(1969)은 시민의 영향력을 기준으로 참여수준을 3분류 8단계로 구분하였다. 다음 중 가장 효율적인 단계의 시민참여는?

    ① 치료 ② 회유, 상담

    ❸ 시민통제/자치 ④ 정보제공, 교육

 

[90]. 생태계보전협력금의 부과 상한액은? (단, 대통령령이 정하는 국방목적의 사업은 제외한다.)

    ❶ 50억 ② 70억

    ③ 100억 ④ 150억

 

[91]. 환경부장관이 습지보호지역 중 습지의 훼손이 심화되었거나 심화될 우려가 있는 지역 또는 습지생태계의 보전상태가 불량한 지역 중 인위적인 관리 등을 통하여 개선할 가치가 있는 곳에 지정할 수 있는 지역은?

    ❶ 습지개선지역 ② 습지복원지역

    ③ 습지관리지역 ④ 습지복구지역

 

[92]. 국토환경보전계획의 목표와 가장 거리가 먼것은?

    ① 환경 친화적 개발 유도ㆍ지원

    ❷ 자연생태계보전지역의 지정

    ③ 국토환경보전정책의 추진기반 강화

    ④ 개발과 조화된 국토환경보전체계를 구축

 

[93]. 생태도시건설을 위한 계획요소가 아닌 것은?

    ① 보행자 공간 네트워크화

    ❷ LPG, LNG 사용의 최소화 방안

    ③ 오픈스페이스 확보를 위한 건물배치

    ④ 주민참여에 의한 지역사회 활동 및 도시관리 유지방안

 

[94]. 특별시ㆍ광역시ㆍ특별자치시ㆍ특별자치도ㆍ시 또는 군의 관할 구역에 대하여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장기발전방향을 제시하고, 그 내용이 사회 경제적 측면까지 포함하는 장기종합계획이며, 5년마다 관할 구역의 타당성 여부를 전반적으로 재검토하여 이를 정비하는 계획은?

    ❶ 도시ㆍ군 기본계획 ② 광역도시계획

    ③ 도시ㆍ군 관리계획 ④ 지구단위 계획

 

[95]. 야생동물의 이동 중 공간규모에 따른 이동통로의 유형이 아닌 것은?

    ❶ 가장자리 규모 ② 울타리 규모

    ③ 경관모자이크 규모 ④ 광역적 규모

 

[96]. 야생동물이 면종위기에 처하게 되는 이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서식지의 파괴 ❷ 향토수종 확대

    ③ 환경오염 ④ 과도한 이용

 

[97]. 환경계획의 영역적 분류 중 내셔널 트러스트 운동과 가장 깊은 관련을 가진 분야는?

    ① 오염관리계획 ❷ 환경자원관리계획

    ③ 환경시설계획 ④ 생태건축계획

 

[98]. 유엔환경계획의 환경범주 중에서 인간환경 범주에 포함하지 않는 것은?

    ① 생물생산체계

    ② 평화안전 및 환경

    ③ 환경교육과 공공인식

    ❹ 생물적 환경 (생산자, 소비자, 분해자)

 

[99]. 유네스코(UNESCO)는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고 지역사회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생물권 보전지역을 지정하고 있다. 생물권 보전지역으로 지정되지 않은 곳은?

    ① 설악산 ② 광릉숲

    ③ 신안 다도해 ❹ 지리산

 

[100]. 수도권의 인구와 산업을 적정하게 배치하기 위하여 권역을 구분하고 지정하고자 한다. 다음중 수도권정비계획법상 지정 불가능한 권역은?

    ① 과밀억제권역 ② 성장관리권역

    ❸ 유보관리권역 ④ 자연보전권역

 

[101]. 오늘날 야기되는 대표적인 환경문제가 아닌것은?

    ❶ 이산화탄소의 감소 ② 대기오염

    ③ 지구온난화 ④ 자원고갈

 

[102]. 1991년부터 환경분쟁조정위원회가 설치되어 환경오염으로 인한 국민의 건강과 재산상의 피해를 행정기관에 의해 신속, 공정한 분쟁조정으로 구제할 수 있는 제도가 시행되고 있는 바, 다음 중 우리나라에서 시행되는 분쟁조정 종류가 아닌 것은?

    ① 알선 ❷ 화의

    ③ 조정 ④ 재정

 

[103]. 생태네트워크 공간구성원리의 지역구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핵심지역 ② 완충지역

    ③ 코리도 ❹ 특수지역

 

[104]. 도시생태학적 접근방법 중 하나인 도시 내 토지이용 형태를 결정하는 이론으로 도시의 성장과정은 중심업무지구, 점이지대, 근로자 주택지대, 중산층 주택지대, 통근자 지대인 5대지대로 구성된다는 버제스(Ernest W. Burgess)의 이론은?

    ① 선상 이론 ② 지대 이론

    ③ 다핵실 이론 ❹ 동심원 이론

 

[105]. 습지보전법상 습지보전기본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단, 기타사항 등은 제외한다.)

    ① 습지조사에 관한 사항

    ❷ 습지보호지역 지정에 관한 계획

    ③ 습지보전을 위한 국제협력에 관한 사항

    ④ 습지의 분포 및 면적과 생물다양성의 현황에 관한 사항

 

[106].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류에서 국토는 토지의 이용실태 및 특징, 장래의 토지이용방향 등을 고려하여 용도지역으로 지정하는 데 다음중 그 구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관리지역 ❷ 경관지역

    ③ 도시지역 ④ 자연환경보전지역

 

[107]. 도시환경성 평가의 과정으로 맞는 것은 ?

    ① 토지적성 평가 ② 사전환경성 평가

    ❸ 환경적합성 분석 ④ 생태적수용력 분석

 

[108]. 자연공원법 중 공원관리청은 관련 규정에 따라 허가를 받아 공원시설을 관리하는 자로부터 점용료 또는 사용료를 징수 할 수 있는데, 건축물 기타 공작물의 신축에 따른 기준요율(인근 토지 임대료 추정액 기준)은?

    ① 100분의 10이상 ② 100분의 20이상

    ③ 100분의 30이상 ❹ 100분의 50이상

 

[109]. 생태네트워크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① 핵심지역 ② 완충지역

    ❸ 경계지역 ④ 생태적 코리더

 

[110]. 생태공원 조성의 기본 이념이 아닌 것은?

    ① 지속 가능성

    ② 생태적 건전성

    ❸ 생물적 단일성

    ④ 인위적 에너지 투입 최소화

 

[111]. 자연자원을 관리하는 방법 중 생태계가 지속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과정 및 유형의 영구화를 목적으로 생태계를 관리하는 것은?

    ❶ 적응적 생태계 관리 ② 지속적 생태계 관리

    ③ 생태적 생태계 관리 ④ 영구적 생태계 관리

 

[112]. 환경영향평가를 설명하는 것으로 틀린 것은?

    ① 환경영향의 사전 예측

    ② 의사결정의 참고 수단

    ③ 환경관리기능의 수행

    ❹ 사업계획과 독립된 분석ㆍ평가 절차

 

[113].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용도지구 중 중분류 지역으로만 묶여진 것은?

    ❶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

    ② 주거지역, 상업지역, 관리지역, 농림지역

    ③ 관리지역, 공업지역, 농림지역, 자연환경보전지역

    ④ 도시지역, 관리지역, 농림지역, 자연환경보전지역

 

[114]. 환경친화적 주거단지계획의 기본목표에 맞지 않는 것은?

    ① 자연 생태적 오픈 스페이스의 창출

    ❷ 주민 공동시설의 확충

    ③ 쾌적한 단지 분위기의 창출

    ④ 적정한 물순환의 유지

 

[115]. 농촌이 고유하게 지닌 자연 및 문화, 공동체 유산 등 농촌에 산재한 부존자원의 중요성을 재발견하고 이를 지속가능한 농촌사회를 만드는 기틀로 삼으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농촌의 다원기능과 어메니티의 차이점 중 어메니티의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공세적(적극적) 개념

    ❷ 개발도상국이 선호하는 논리

    ③ 공익의 바탕 위에 사익과도 공존

    ④ 자생적 발전을 도모하는 농촌 내부의 논리

 

[116]. 생물공동체의 서식처, 어떤 일정한 생물집단 및 입체적으로 다른 것들과 구분될 수 있는 생물집단의 공간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는 환경계획의 공간 차원은?

    ❶ 비오톱 ② 생태공원

    ③ 산림 ④ 지역사회

 

[117]. 국토의 난개발을 방지하고 개발과 보전의 조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도시관리 계획의 기초조사로서 토지의 토성, 입지, 활용 가능성, 보존 필요성 등을 평가하는 제도는?

    ❶ 토지적성평가 ② 토지환경성평가

    ③ 사전환경성 검토 ④ 환경영향평가

 

[118]. 주거단지에서 녹지가 가지는 기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미기후 조절 ② 소음방지

    ③ 대기전화 ❹ 폐기물처리

 

[119]. 다음 중 환경계획단계의 내용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자연생태계 보전

    ② 자원 및 에너지절약

    ③ 수자원 및 수질, 용수공급 및 처리

    ❹ 환경정보시스템, 환경정보 공개

 

[120]. 환경교육의 특성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환경교육은 종합적이고 학제적인 접근을 필요로 한다.

    ② 환경교육은 생활화를 통한 실천성이 강조되어야 한다.

    ❸ 환경교육은 학교 교육만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④ 환경교육은 계속적으로 이어지는 연속적이어야 한다.

 

[121]. OECD의 환경지표 설정을 위한 PSR구조에서 대응(response)에 해당되는 것은?

    ① 에너지, 운송, 제조업 ❷ 행정, 기업, 국제사회

    ③ 대기, 토양, 자연자원 ④ 학교, 민간단체, 군대

 

[122]. 자연공원의 용도지구에 해당하지 않는 지구는?

    ① 공원자연보존지구 ② 공원자연환경지구

    ③ 공원문화유산지구 ❹ 자연생태보전지구

 

[123]. 한반도의 생태축은 田자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 중 한반도의 생태축에 해당하지 않은 경우는?

    ① 백두대간 생태축

    ❷ 한강 생태축

    ③ 남해안 도서보전축

    ④ 남북접경지역 생태보전축

 

[124]. 자연환경보전계획의 목표 및 추진과제로서 자연환경 관리기반 구축의 중점과제와 거리가 먼 것은?

    ❶ 전국토 생태네트워크 구축

    ② 법령ㆍ제도 등 관리체계 정비

    ③ 자연환경조사 및 정보체계 구축

    ④ 자연환경보전 업무능력 향상

 

[125]. 다음 중 하천의 기능으로 모두 알맞은 것은?

    ① 치수기능, 지원기능, 보호기능

    ② 정화기능, 친수기능, 배수기능

    ❸ 이수기능, 친수기능, 환경기능

    ④ 친수기능, 자정기능, 발전기능

 

[126].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상용도지구의 분류 중 하나인 경관지구는 다시 세가지 종류의 지구로 세분화하여 구분하고 있다. 다음중 경관지구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자연경관지구 ② 수변경관지구

    ③ 시가지경관지구 ❹ 해안경관지구

 

[127]. 퍼머컬쳐의 기본원리가 되는 자연생태계의 특성이 아닌 것은?

    ① 다양성 ② 순환성

    ③ 안정성 ❹ 종속성

 

[128].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상 관리지역의 세분화된 용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❶ 일반관리지역 ② 계획관리지역

    ③ 보전관리지역 ④ 생산관리지역

 

[129]. 다음 중 훼손된 자연을 회복시키고자 하는 세가지 단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복원 ② 복구

    ③ 대치 ❹ 개발

 

[130]. 다음 중 재생가능한 자원(renewable natural resources)이 아닌 것은?

    ① 식물 ② 물

    ③ 동물 ❹ 석유

 

[131]. 옥상녹화 및 벽면 녹화로 인한 기대효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에너지 절약

    ② 도시환경 개선

    ③ 소동물들의 서식처 제공

    ❹ 도시의 부족한 농업생산 공간 확보

 

[132]. 자연환경보전의 기본계획을 위하여 지방차지단체에서 제시할 수 있는 시책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❶ 지역내 국립공원 보전 대책 추진

    ② 도시 내 구릉지 보전 대책 추진

    ③ 비오톱, 습지의 보전 대책 추진

    ④ 개발제한구역(Green Belt)의 합리역 보전 대책 추진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8

 

자연생태복원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자연생태복원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8

 

자연생태복원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자연생태복원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0]. 천이(succession)는 시간에 따라 어떤 지역에 있는 종들의 방향적이고 계속적인 변화를 의미 한다. 수십 년이나 수백 년이 지난 다음에 종조성에서의 중요한 변화가 발생 하지 않는 안정된 군집은?

   ❶ 극상군집 ② 수관교체

   ③ 사구천이 ④ 개척군집

 

[1]. 질소를 고정할 수 있는 생물이 아닌 것은?

   ① Nostoc과 같은 남조류

   ❷ Nitrobacter와 같은 질산화 세균

   ③ Rhodospirillum과 같은 광영양 혐기세균

   ④ Desulfovibrio와 같은 편성 혐기성 세균

 

[2]. 중금속에 오염된 어느 늪지에 다음의 생물이 살고 있다. 생물농축이 일어날 경우 생체 내 중금속 농도가 가장 높은 생물은?

   ❶ 배스 ② 피라미

   ③ 하루살이 ④ 식물성 조류

 

[3]. 지구온난화를 유발하는 이산화 탄소의 양을 감축하여 온실가스에 대한 대비책 마련을 위해 채택된 것으로 기후변화협약과 관련 된 것은?

   ❶ 교토 의정서 ② 워싱턴 의정서

   ③ 제네바 의정서 ④ 몬트리올 의정서

 

[4]. 식물과 곤충간의 관련성으로 고려한 분류체계에서 화분매개충이 아닌 것은?

    ① 나비 ❷ 매미

    ③ 꿀벌 ④ 꽃등에

 

[5]. 군집의 구조적 측면에서 같은 표징종을 포함하는 식물의 군집은?

    ❶ 군락 ② 우점종

    ③ 부수종 ④ 지표종

 

[6]. "지구 생물다양성 전략"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국제적으로 권장되고 있는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생물다양성협상을 이행한다.

    ② 국제적 실행기구를 만든다.

    ③ 생물다양성의 중요성을 국가계획 수립 시 고려한다.

    ❹ 지구자원에 대한 전략적이고 활발한 개발을 보장한다.

 

[7]. 적조발생의 원인으로 틀린 것은?

    ① 질소, 인과 같은 영양물질이 유입될 때

    ❷ 바닷물의 염분농도가 높아졌을 때

    ③ 바닷물 온도가 섭씨 25℃ 이상일 때

    ④ 철, 코발트 등 미량금속류가 첨가되었을 때

 

[8]. 한 종개체군과 다른 종개체군 사이에서 두 개체군이 모두 이익을 얻으며 서로 상호 작용을 하지 않으면 생존하지 못하는 관게는?

    ❶ 상리공생 ② 상조공생

    ③ 편리공생 ④ 내부공생

 

[9]. 종개체군 사이의 상호작용 중 서로 피해를 주는 관계로 옳은 것은?

    ① 중립 ❷ 경쟁

    ③ 공생 ④ 공존

 

[10]. 군집 수준의 생물종 다양성을 결정짓는 두 가지 요소는?

   ① 균등도(evenness), 변이도(variety)

   ② 생물량(biomass), 유사도(similarity)

   ③ 우점도(dominance), 중요치(importance value)

   ❹ 종 풍부도(species richness), 균등도(evenness)

[11]. 물이 깨끗하고 적은 개체수의 수서 생물이 살고 있는 호수에 인근지역의 가축분뇨와 생활하수 등이 유입되면서 호수 생태계가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이 때 호수 영양상태의 경과된 변화는?

   ① 부영양화→소택지 ② 소택지→빈영양화

   ❸ 빈영양화→부영양화 ④ 부영양화→빈영양화

 

[12]. 환경변화에 대한 생물체의 반응(response)이 아닌 것은?

   ❶ 압박(stress) ② 치사(lethal)

   ③ 차폐(masking) ④ 조절(controlling)

 

[13]. 생물군집의 특성이 아닌 것은?

   ❶ 비중 ② 우점도

   ③ 종의 다양성 ④ 개체군의 밀도

 

[14]. 부분순환호(meromictic lake)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하층은 무산소 상태이다.

   ❷ 상하층이 동질적인 환경이다.

   ③ 하층이 상층보다 밀도가 높다.

   ④ 상하층의 물이 섞이지 않아 층형성이 계속 유지된다.

 

[15]. 두 가지 다른 생물의 관계에서 편리공생의 예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개미와 아카시아

   ❷ 열대우림과 난초류

   ③ 리기테다소나무와 균근

   ④ 콩과식물과 뿌리혹박테리아

 

[16]. 수질의 부영양화 현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❶ 생물농축 ② 적조현상

    ③ 용존산소의 고갈 ④ N.P의 과량 유입

 

[17]. 생태계의 포식상호작용에서 피식자가 포식자로부터 피식되는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의태(mimicry) ② 방위(defense)

    ③ 위장(camouflage) ❹ 상리공생(mutualism)

 

[18]. 질소고정 방법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산업적 질소고정

    ② 번개에 의한 질소고정

    ③ 미생물에 의한 질소고정

    ❹ 생태계 천이에 의한 질소고정

 

[19]. 시간에 따른 군집의 변화를 무엇이라 하는가?

    ① 항상성 ② 다양성

    ❸ 생태적 천이 ④ 생명부양시스템

 

[20]. 생물의 사체나 배설물로부터 에너지 흐름이 시작되는 먹이사슬은?

    ① 방목 먹이사슬 ❷ 부니 먹이사슬

    ③ 육상 먹이사슬 ④ 해상 먹이사슬

 

[21]. 생태계의 생물적 구성요소 중의 하나인 생산자(producer)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남조류 ② 속씨식물

    ③ 광합성 세균 ❹ 종속영양성 식물

 

[22]. 생태계에서 순환하는 물질로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인 ② 탄소

    ③ 질소 ❹ 우라늄

 

[23]. E.P. Odum의 결합법칙에 해당하는 것은?

   ① 열역학 제1법칙 + 열역학 제2법칙

   ② 독립의 법칙 + 분배의 법칙

   ❸ 최소량의 법칙 + 내성의 법칙

   ④ 우열의 법칙 + 일정성분비의 법칙

 

[24]. 두 생물 간에 상리공생(mutualism) 관계에 해당하는 것은?

   ❶ 관속 식물과 뿌리에 붙어 있는 균근균

   ② 호도나무와 일반 잡초

   ③ 인삼 또는 가지과 작물의 연작

   ④ 복숭아 과수원의 고사목 식재지에 보식한 복숭아 묘목

 

[25]. '개체군내에는 최적의 생장과 생존을 보장하는 밀도가 있다. 관소 및 과밀은 제한요인으로 작용한다.'가 설명하고 있는 원리는?

   ❶ Allee의 원리 ② Gause의 원리

   ③ 적자생존의 원리 ④ 항상성의 원리

 

[26]. 지구자전, 해류의 흐름, 지형 등의 요인으로 처층의 수괴가 상층으로 유입되어 형성되며 생산력이 높은 어장이 발생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은?

   ① 저탁류(turbidky current)

   ② 원심력(centrifugal force)

   ❸ 용승류(upwelling)

   ④ 적도해류(Equatorial current)

 

[27]. 식물에서는 종자의 전파양식이나 무성번식에 의해 일어나며 동물은 사회적 행동에 의해 서로 비슷한 종끼리 유대관계를 형성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개체군의 공간분포양식은?

   ① 규칙분포(unifoim distribution)

   ❷ 집중분포(clumped distribution)

   ③ 기회분포(random distribution)

   ④ 공간분포(space distribution)

 

[28]. 생태적 천이에 나타나는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성숙단계로 갈수록 순군집생산량이 낯다.

   ② 성숙단계로 갈수록 생물체의 크기가 크다.

   ③ 성숙단계로 갈수록 생활사이클이 길고 복잡하다.

   ❹ 성숙단계로 갈수록 생태적 지위의 특수화가 넓다.

 

[29]. 1980년대 들어서 일반의 관심을 끌게 된 것으로 트리클로로에틸렌, 사염화탄소, 벤젠 등의 매립에 의해 발생한 오염은?

    ① 호수오염 ② 해저오염

    ❸ 지하수오염 ④ 대기오염

 

[30]. 영양구조 및 기능을 함께 볼 수 있는 것으로 생태적 피라미드의 모형을 이용하는데, 다음 중 개체의 크기에 따라 역피라미드의 구조 등 변수가 많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은 생태적 피라미드는?

    ❶ 개체수 피라미드(pyramid of numbers)

    ② 생체량 피라미드(biomass pyramid)

    ③ 에너지 피라미드(pyramid of energy)

    ④ 생산력 피라미드(pyramid of productivity)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8

 

자연생태복원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자연생태복원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31]. 생태계에서 무기물과 에너지의 흐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무기물과 에너지는 모두 순환한다.

    ② 무기물과 에너지는 모두 소모된다.

    ❸ 무기물은 순환하지만 에너지는 소모된다.

    ④ 에너지는 순환하지만 무기물은 소모된다.

 

[32]. 호수에서 수온구배에 따른 성층을 나타내는 용어가 아닌 것은?

    ① 중수층(Metalimnion) ② 표수층(Epilimnion)

    ❸ 저수증 (Bottom) ④ 심수층(Hypolimnion)

 

[33]. 몬트리올 의정서는 어떤 물질의 사용을 금지하기 위한 것인가?

    ① 이산화탄소 ② 메탄

    ③ 질소산화물 ❹ 프레온가스

 

[34]. 개체군의 크기를 측정하는 방법 중 개체수 밀도를 측정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① 선차단법 ② 측구법

    ③ 대상법 ❹ 표비교법

 

[35]. 총 단위 공간당의 개체수로 정의되는 것은?

    ❶ 조밀도 ② 고유밀도

    ③ 생태밀도 ④ 분산밀도

 

[36]. 생물체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원소로서 지구상의 모든 생물들은 이것을 기본으로 유기체를 구성하고 있으며 주로 녹색식물에 이해 유기물로 합성되는 원소는?

   ① 산소 ② 수소

   ③ 황 ❹ 탄소

 

[37]. 황산암모늄, 황산칼륨, 염화칼륨 등의 비료 성분이 가져올 수 있는 토양환경의 변화는?

   ① 토양 부영양화 ❷ 토양 산성화

   ③ 토양 건조화 ④ 토양 사막화

 

[38]. 농약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아닌 것은?

   ① 생물 체내 농약 잔류

   ❷ 천적의 증가

   ③ 해충의 살충제에 대한 저항성 증가

   ④ 토양 및 수질오염

 

[39]. 조간대 지역은 조석의 주기에 따라 대기에 노출되고, 환경변화에 따라 서식 생물의 종류가 다르게 나타나게 된다. 해수면의 수평높이에 따라 달라지는 조간대 생물의 분포를 나타내는 용어는?

   ❶ 대상분포 ② 임계분포

   ③ 평형분포 ④ 규칙분포

 

[40]. 광합성 과정 중 산화ㆍ환원반응에 적합하게 구성된 과정은?

   ① CO₂+H₂O+태양에너지 = glucose+O₂

   ❷ CO₂+2H₂A→ (CH₂O)+H₂O+2A

   ③ 2H₂A → 4H+2A

   ④ 4H+CO₂→ (CH₂O)+H₂O

[41]. 자연 생태계 보전에 관한 대표적인 국제기관은?

   ❶ IUCN ② UNESCO

   ③ OECD ④ FAO

 

[42]. 대기권 중에서 오존층이 위치한 곳은?

   ① 대류권 ❷ 성층권

   ③ 전리권 ④ 외기권

 

[43]. 북반구의 육상생태계 중 짧은 여름기간 동안 증가하는 생물량에 의해 이동성 물새의 번식이 주로 이뤄지는 지역은?

    ① 팜파스 ❷ 툰드라

    ③ 차파렐 ④ 열대우림

 

[44]. 식물이 이용할 수 있는 질소 형태부터 질소의 순환을 올바른 순서로 설명하고 있는 것은?

    ① 유기질소 → 아질산염 → 암모니아 → 질산염

    ❷ 질산염 → 원형질 → 암모니아 → 아질산염

    ③ 아미노산 → 원형질 → 암모니아 → 아질산염

    ④ 아질산염 → 아미노산 → 암모니아 → 원형질

 

[45]. 생물다양성의 범주에 포함하는 개념이 아닌 것은?

    ① 종 다양성 ② 유전적 다양성

    ③ 군집 및 생태계 다양성 ❹ 환경 다양성

 

[46].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는 생물종간의 상호작용의 형태가 아닌 것은?

    ① 경쟁 ② 기생

    ❸ 포획 ④ 공생

 

[47]. ‘엔트로피의 증가’가 의미하는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유기에너지의 상태로 바뀌는 현상

    ② 잠재적 에너지의 상태로 바뀌는 현상

    ③ 오염된 에너지의 상태로 바뀌는 현상

    ❹ 사용 불가능한 에너지의 상태로 바뀌는 형상

 

[48]. 호소의 유역으로부터 유입되는 인의 배출원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비료 ② 가축분요

    ❸ 하수 처리장 ④ 생활하수

 

[49]. 대기 중의 질소를 고정할 수 있는 생물이 아닌 것은?

    ① 자유 생활은 하는 Azotobacter

    ② 콩과 식물에 공생하는 뿌리혹박테리아

    ③ 일부 남조류

    ❹ 수중의 원생동물

 

[50]. 빨판상어와 상어의 관계와 같이 다른 한쪽은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 경우를 가리키는 것은?

   ① 종간경쟁 ② 편해공생

   ❸ 편리공생 ④ 상리공생

 

[51]. 대기오염물질의 중요한 제한 요인 중 육상 생태계의 교란을 일으키는 원인이 아닌 것은?

   ① 빛의 조사량과 광도

   ❷ 생물들의 내성 한계

   ③ 온도상승에 따른 기후변화

   ④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량의 변동

 

[52]. 수은(Hg)을 함유하는 폐수가 방류되어 오염된 바다에서 잡은 어패류를 섭취함으로서 발생하는 병은?

   ① 이따이이따이병 ❷ 미나마타병

   ③ 피부흑색병 ④ 골연화증

 

[53]. 생물이 생태계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신분으로서 생태계 기능상의 위치를 의미하는 것은?

   ❶ niche ② biotop

   ③ habitat ④ ecosystem

 

[54]. 환경 중 암석에 저장소를 가지며 생명의 DNA와 RNA에 주요 구성물질을 이루고 있는 것은?

   ❶ 인 ② 황

   ③ 철 ④ 질소

 

[55]. 두 개체군 상호간에 불이익을 초래하는 관계는?

    ① 기생 ② 포식

    ③ 편리공생 ❹ 경쟁

 

[56]. 호소 내 수생식물의 구성종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① 침수식물: 검정말, 붕어마름

    ② 정수식물: 부들, 골풀

    ❸ 소택관목식물 : 버드나무, 굴참나무

    ④ 부유식물 : 개구리밥, 생이가래

 

[57]. 실내 오염물 중 유해한 물질 중의 하나이며,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방사성 가스로서 가공 석재물이 많은 지하철에서 많이 검출되는 것은?

    ① 황화수소 ② 네온

    ③ 아르곤 ❹ 라돈

 

[58]. 갈매기가 비행할 때 기류의 에너지를 이용하는 경우처럼 생물이 외부환경에너지를 이용하는 것은?

    ① 에너지생산 ❷ 에너지보조

    ③ 에너지흐름 ④ 에너지배출

 

[59]. 어떤 특정 시간에 특정 공간을 차지하는 같은 종류의 생물집단은?

    ① 생태군 ❷ 개체군

    ③ 우점군 ④ 분류군

 

[60]. 개체군의 상호관계에 있어 상리공생이 아닌 것은?

    ❶ 게 - 강장동물

    ② 흰 개미 - 편모충

    ③ 식물뿌리 - 균근

    ④ 질소고정박테리아 - 콩과 식물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8

 

자연생태복원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자연생태복원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61]. 연안지역을 육지화 시키는 간척(reclamation)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① 지역 활성화

    ② 농경지 또는 산업용지 확보

    ③ 도로와 연안 교통망 개설 등 교통개선

    ❹ 간척지 개발에 의한 해양오염 감소

 

[62]. 리우환경선언과 관련하여 채택된 것이 아닌 것은?

    ① 기후변화협약 ❷ 세계자연헌장

    ③ 생물다양성협약 ④ 의제21(Agenda)

 

[63]. 생태계의 생물군집은 주위의 무기적인 환경과 끊임없이 물질의 순환이 일어나고 있다. 대표적인 물질순환이 아닌 것은?

    ① 물순환 ❷ 공기순환

    ③ 탄소순환 ④ 질소순환

 

[64]. 생물군집에서 여러 다른 종들 사이에 일어날 수 있는 상호관계가 아닌 것은?

   ① 공생 ② 기생

   ❸ 호흡 ④ 경쟁

 

[65]. 극상군집과 관련된 설명이 아닌 것은?

   ① 방해극상 ② 다극상설

   ❸ 개척군집 ④ 단극상설

 

[66]. 남아메리카의 팜파스(pampas), 아프리카의 벨트(veldt)와 사바나(savanna)로 대표되는 육상 생태계의 종류는?

   ❶ 초원 ② 사막

   ③ 열대우림 ④ 온대 낙엽수림

 

[67]. 생태계는 영양적(Trophic)인 입장에서 두 개의 구성요소를 갖는다. 이중 무기물을 사용하여, 복잡한 유기물질의 합성을 주로 하는 것은?

   ❶ 독립영양부분(autotrophic component)

   ② 종속영양부분(heterotrophic component)

   ③ 대형소비자(macroconsumers)

   ④ 섭식영양자(phagotrophs)

 

[68]. 수소 순환에서 수소 소비에 관여하는 미생물은?

   ① Oxygenic photosynthetic bacteria

   ② budding bacteria

   ③ Nitrifying bacteria

   ❹ Homoacetogenic bacteria

 

[69]. 농약을 사용하지 않는 해충구제 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생물학적 조절

   ② 유전적 조절

   ③ 호르몬과 페로몬 이용법

   ❹ 유기인제의 살포

 

[70]. 토양침식의 주된 원인이 아닌 것은?

   ① 과도한 목축 ② 과도한 경작

   ❸ 간벌 ④ 산림제거

[71]. 생물상이 다양하며 담수생물과 육상생물의 서식처로서의 양면성을 가지는 생태계는?

    ① 연안 ❷ 습지

    ③ 육수 ④ 정수

 

[72]. 생태계의 에너지 흐름 과정의 순서가 옳은 것은?

    ① 열에너지 → 화학에너지 → 빛에너지

    ❷ 빛에너지 → 화학에너지 → 열에너지

    ③ 빛에너지 → 열에너지 → 화학에너지

    ④ 화학에너지 → 열에너지 → 빛에너지

 

[73]. 생물학적 체제에서 가장 상위계급은?

    ① 분자 ② 조직

    ❸ 군집 ④ 개체

 

[74]. 온대지역의 조간대 가장자리에 한시적으로 높은 밀도의 해조류 군집이 우점하는 계절은?

    ① 봄철 ② 여름철

    ③ 가을철 ❹ 겨울철

 

[75]. 생물 개체군은 어떤 특정 공간을 점유하는 동일한 종으로 구성된 집합체로서 통계적인 몇 가지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밀도 및 분산 ② 출생율과 사망율

    ③ 연령분포 ❹ 생활형

 

[76]. 개체군의 구조 유형 중에서 자연환경조건이 균일하지만 서로 모이기를 싫어하는 개체군들에서 나타나는 분포형은?

    ① 규칙분포(uniform distribution)

    ❷ 임의분포(random distribution)

    ③ 집중분포(clumped distribution)

    ④ 고립분포(isolated distribution)

 

[77]. 생태조사의 기본목적과 거리가 먼 것은?

   ① 생태계의 보전 ② 생태계의 보존

   ③ 생태계의 복원 ❹ 생태계의 대체

 

[78]. 다음에서 한 종이 다른 종을 먹이로 이용하는 영양상의 상호작용이 아닌 것은?

   ❶ 중립 ② 초식

   ③ 기생 ④ 포식

 

[79]. UNESCO의 MAB(Man and Biosphere Reserve)의 평가기준에서 “희귀종, 고유종, 멸종위기종이 많은 곳”으로 구분한 이지역은?

   ① 완충지역 ② 전이지역

   ③ 가치지역 ❹ 핵심지역

 

[80]. 질소고정이 가능한 생물이 아닌 것은?

   ① Anabaena ② Nostoc

   ③ Rhizobium ❹ chlorella

 

[81]. 하천은 발원지 상류에서부터 하류인 하구에 이르기까지 생물상이 단계적으로 변하는데, 이때 종의 수평구조가 나타난다. 또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서식지나 생물상이 변하게 된다. 이와같은 현상은?

   ① 천이계열 ❷ 지리적 천이

   ③ 지사적 천이 ④ 타발천이

 

[82]. 적도를 중심으로 남위와 북위 각각 10°이내의 지역으로 남미의 아마존, 서부아프리카와 인도네시아 등의 지역에 나타나는 식생대는?

   ① 사막식생 ② 툰드라

   ③ 온대 초원 ❹ 열대우림

 

[83]. 생태계의 제한 요인에서 식물의 생산성은 가장 많이 결핍된 단일원소의 양에 의해 결정된다는 법칙은?

   ① Shelford 제한법칙

   ② Bergmann의 최소량의 법칙

   ❸ Liebig의 최소량의 법칙

   ④ Cause의 제한법칙

 

[84]. 생물종의 다양성이 감소하는 원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인구의 증가, 오염, 외래종의 유입

   ② 남용, 오염, 서식지의 물리적 변화

   ❸ 서식지의 파괴, 습지의 보전, 토종의 유지

   ④ 인구의 증가, 외래종의 유입, 서식지의 외형적 변화

 

[85]. 호소의 산성화와 어류의 개체수 감소를 초래하는 것은?

   ❶ 산성비 ② 지구온난화

   ③ 온실효과 ④ 방사는 동위원소

 

[86]. 유기물이 분해되는 퇴비화 과정에 주로 관여하는 생물체는?

    ❶ 호기성미생물 ② 혐기성미생물

    ③ 정수성식물 ④ 원생조류

 

[87]. 우리나라에서 부영양화를 판정하는 기준으로 사용하는 블렌바이더의 영양상태 부류 방법 중 극빈영양상태를 나타내는 총인(mg/L)의 기준은?

    ① < 0.20mg/L ❷ < 0.05mg/L

    ③ 0.005~0.01mg/L ④ > 0.10mg/L

 

[88]. 흰개미 내장의 미생물(Trychonympha 속)과 흰개미와의 관계는?

    ① 경쟁 ❷ 상리공생

    ③ 기생 ④ 포식

 

[89]. 해양오염의 가장 큰 원인은?

    ① 해상교통 ❷ 육지로부터의 오염원 유입

    ③ 직접적인 해상투기 ④ 심해개발

 

[90]. 생태계 군집 구조를 측정하는 생물지수가 아닌 것은?

    ① 균등도 ② 종풍부도

    ③ 종다양도 ❹ 종포화도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8

 

자연생태복원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자연생태복원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91]. 먹이그물의 상위단계에 있는 생물이 높은 독성물질을 첸에 축적하기 쉽다. 먹이연쇄단계를 거치면서 확산 희석되지 않고 오히려 농축되는 현상은?

    ① 영양단계농축 ❷ 생물농축

    ③ 물질농축 ④ 독성농축

 

[92]. 식물의 개화 강도가 일장 시간에 둔감하여 광주기와 상관없이 꽃을 피우는 식물은?

    ① 단일식물 ❷ 중일식물

    ③ 물질농축 ④ 독성농축

 

[93]. C. Darwin이 주장한 개체군의 크기를 제한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닌 것은?

    ① 타 생물의 피식 ② 기생충과 질병

    ③ 물리적 제한요인 ❹ 타 생물과의 공생

 

[94]. 더 나은 생존을 위해 특정한 두 종이 서로를 필요로 하는 생물종 간의 상호관계를 무엇이라 하는가?

    ① 편리공생 ② 상존공생

    ❸ 상리공생 ④ 영양공생

 

[95]. 중금속에 오염된 토양을 완전히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는 방법으로 택할 수 있는 것은?

    ① 흡착 또는 특이식물 재배

    ❷ 흙갈이 객토

    ③ 갈아엎기

    ④ 혼층갈이

 

[96]. 포유류 조사 중 족적, 배설물, 식흔 등에 의한 종 확인방법에 해당되는 것은?

   ❶ field sign ② sand track

   ③ snap trap ④ point census

 

[97]. 국제 사회는 생물종의 감소에 대처하기 위하여 생물다양성을 보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고, 그 결과 생물다양성 협약을 1992년 5월 나이로비에서 채택하였다. 우리나라가 이 협약에 가입한 연도는?

   ① 1992년 ❷ 1994년

   ③ 1998년 ④ 2000년

 

[98]. 어느 개체 또는 집단이 생존하고 증식하는 것이 여러 환경조건들이 조합되어 나타나는 결과라는 결합법칙을 주장한 사람은?

   ① Liebig ❷ Odum

   ③ Shelford ④ F. Muller

 

[99]. 해양생태계에서 조류(Algea)에 의해 분해 생성되며 분해 시 부산물과 함께 미생물의 주요 탄소원 및 성장원이 되는 유기 황 화합물은?

   ① Carbon disulfide ② Hydrogen sulfide

   ③ Methane sulfonic acid ❹ Dimethyl sulfide

 

[100]. 육수생태계의 영향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영양상태지표(Trophic Status Index : TSI, 1971, Carlson이 제안)는 생태계에 영향을 주는 3가지 요인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0~100의 범위내로 구분하고 있다. 이러한 영양상태지표 3가지 요인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인 ② 클로로필

    ③ 투명도 ❹ 질소

[101]. 토양, 퇴적물 등의 물질로부터 미량성분을 추출하는데 다양한 방법들을 사용한다. 추출 방법 중 HNO₃, HCI, HCIO₄ 등을 혼함해서 사용하거나 단일 시약으로 100℃ 또는 그 이상에서 1~2시간 동안 시료를 처리하는 방법은?

    ① 휘발법 ② 융융법

    ③ 약산추출법 ❹ 강산추출법

 

[102]. 개체군간의 상호작용 결과 형태로 서로 이익을 주고받는 작용은?

    ① 포식 ② 기생

    ❸ 상리공생 ④ 편리공생

 

[103]. 생태계 계층구조를 작은 단위에서 큰단위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❶ 개체-군집-생물군계-생물권

    ② 군집-개체군-생태계-생물권

    ③ 경관-개체군-생물지리적지역-생물권

    ④ 생물권-개체-개체군-지구환경

 

[104]. 밀도가 다른 두 수층의 경계면에 파랑이 생기는대 이를 내부파(internal wave)라고 한다. 이 내부파의 영향이 아닌 것은?

    ❶ 두 수층의 수직혼합을 일으킴

    ② 저층의 영양염을 상층에 공급

    ③ 표층의 식물 플랑크톤 생산을 증가시킴

    ④ 용승류가 일어남

 

[105]. 개체군 집합의 정도에 있어 과소는 과밀과 마찬가지로 생존에 대한 제한 요인이 된다는 것은 어떤 원리인가 ?

    ❶ Allee의 원리 ② Bergmann의 원리

    ③ Gause의 원리 ④ Liebig의 원리

 

[106]. 원자력 발전소 주변에서 일어날 수 있는 생태환경의 변화가 아닌 것은?

    ① 열오염 ② 반무현상

    ③ 생물학적 농축 ❹ 수중생물의 질식

 

[107]. 다음 중 해안사구의 보전을 위한 복원 및 훼손 방지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것은?

    ① 해안 사구식물의 식재 방법

    ② 사구 높이를 인위적으로 높여주는 방법

    ③ Sand-trap fence에 의한 모래 집적방법

    ❹ 해변모래 공급을 위한 해구지형의 준설방법

 

[108]. 녹색식물 광합성 작용의 생화학적 공식은?

   ① H₂O + CO₂ + 일광에너지 → (CH₃O)ₙ + O₂

   ② H₂O + CO₂ + 일광에너지 → (CH₃O)ₙ + O₃

   ❸ H₂O + CO₂ + 일광에너지 → (CH₂O)ₙ + O₂

   ④ H₂O + CO₂ + 일광에너지 → (CH₂O)ₙ + O₃

 

[109]. 대기 중에서 1차 오염물질이 광화학 반응에 의해서 생성시키는 2차 오염물질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① 케톤(ketone) ② 알데히드(aldehyde)

   ❸ 아세트산(acetic acid) ④ 질산과산화아세틸(PAN)

 

[110]. 질소고정 박테리아는 질소의 순환과정에 깊이 관여하고 있다. 다음 중 질소고정 박테리아로 널리 알려져 있는 것은?

   ❶ Rhizobium ② Nitrobacter

   ③ Nitrosomonas ④ Micrococcus

 

[111]. DDT의 환경생태학적 영향이 아닌 것은?

   ① 생물학적 농축 능력을 가진다.

   ② 지방이나 지질에 높은 용해도룔 가진다.

   ③ 현재 대부분의 선진국은 사용하지 않는다.

   ❹ 먹이사슬의 하위단계 생물에서 고농축 된다.

 

[112]. 다음 중 화분 매개충이 아닌 것은?

    ① 나비 ❷ 매미

    ③ 꿀벌 ④ 꽃등에

 

[113]. 개체군(population)의 출생률과 사망률 모두에 특히 영향을 주는 중요한 개체군의 특징은?

    ❶ 연령 분포(age distribution)

    ② 수용 능력(carrying capacity)

    ③ 생식 잠재력(reproductive potential)

    ④ 환경 저항(environmental resistance)

 

[114]. 식물정화법(phytoremediation)의 처리원리 중 '식들에 의한 추출'에 의하여 중금속류를 처리할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식물 종은?

    ❶ 해바라기 ② 버드나무

    ③ 포플러나무 ④ 수생 서양 가새풀

 

[115]. 서로 떨어져 있을 때에는 생장이 일어나지 못하나 특정한 두 종이 반드시 서로를 필요로 하는 관계는?

    ❶ 상리공생 ② 상조공생

    ③ 편리공생 ④ 내부공생

 

[116]. 환경호르몬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❶ 쉽게 분해된다.

    ② 잔류기간이 길다.

    ③ 안정된 물질이다.

    ④ 농축되는 특성을 갖는다.

 

[117]. 연안(coast)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연안생태계는 육상식생을 포함한다.

    ② 육지와 해양 사이의 생태적 전이대이다.

    ❸ 연안은 해안의 농경지 생태계와 무관하다.

    ④ 해양기후 변화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118]. 군집을 어떤 일정한 방향으로 영구적으로 변화시키지 못하는 비방향성 변화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변동 ❷ 진화

    ③ 계절변화 ④ 교체변화

 

[119]. 삼림의 제거로 인하여 나타나는 환경 변화가 아닌 것은?

    ① 토양침식의 중가

    ② 서식지의 전환에 따른 종 다양성의 감소

    ③ 탄소동화작용의 감소로 인한 지구온난화

    ❹ 영양염류 축적으로 인한 토양의 비옥도 중가

 

[120]. 미생물 또는 화산활동 및 번개의 방전 등에 의해 생태계에 유입되는 물질을 생성하는 생물지화학적 순환(biogeochemical cycle)은?

   ① 산소순환 ❷ 질소순환

   ③ 인순환 ④ 황순환

[121]. 극지대나 고산지대의 나무가 없고 평평하거나 기복이 완만한 곳으로서 높은 산의 수목한계선(tree line) 바로 위에 존재하며, 가장 넓은 곳은 티벳고원과 그 주변이고, 북미에서는 서부산악 지대와 멕시코의 높은 산으로 이들 지역의 식생은?

   ① 열대우림 ② 온대초원

   ❸ 고산툰드라 ④ 고산낙엽수림

 

[122]. 생물군집의 시간적 변천과정을 생태적 천이라고 하는데, 다음 중 육상식물의 천이과정을 바르게 표현한 것은?

   ① 나지→관목→다년생 초본류→광엽수림

   ❷ 나지→일년생 초본류→관목→광엽수림

   ③ 일년생 초본류→광엽수림→관목→나지

   ④ 관목→다년생 초본류→나지→광엽수림

 

[123]. 생태계 내에 개체군의 포식(predation) 상호작용에서 피식자(prey)가 포식자(predator)로부터 피식되는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의태(mimicry) ② 위장(camouflage)

    ③ 방위(defense) ❹ 상리공생(mutualism)

 

[124].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방사성 동위원소가 아닌것은?

    ① Uranium-238 ② Strontium-90

    ③ Potassium-40 ❹ Carbon-12

 

[125]. 식물체 또는 그 일부분에서 합성된 화학물질들이 외부로 배출되어 타식물에게 영향을 주는 작용을 타감작용(allelopathy)이라 한다. 다음 중 타감작용으로 인한 화학물질의 효과가 아닌 것은?

    ① 기피제 ② 탈출제

    ❸ 페로몬 ④ 생육억제제

 

[126]. 하대기생태계에 대한 설명 중 대류를 층화(stratification)에 의해 나누었을 때, 기상현상과 대류현상이 일어나는 권역은?

    ❶ 대류권 ② 성층권

    ③ 중간층 ④ 전리층

 

[127]. 적조에 의한 어패류 폐사의 원인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적조의 점성질에 의한 질식

    ② 플랑크톤에 포함된 독물질

    ❸ 무척추동물에 의한 피해

    ④ 세균에 의한 피해

 

[128]. 다음 중 생물군집의 특성이 아닌 것은?

    ① 다양성 ② 우점도

    ❸ 비중 ④ 밀도

 

[129]. 육상생태계에서 식물플랑크톤의 이상증식으로 인하여 일어나는 부영양화는 어떤 영양염류의 과잉유입으로 인하여 발생하는가?

   ❶ 질소, 인 ② 인, 이산화탄소

   ③ 이산화탄소, 단백질 ④ 단백질, 질소

 

[130]. 수생식물의 생활형 특성 중 정수식물(추수식물)로만 구성된 것은?

   ❶ 부들, 갈대 ② 줄, 수련

   ③ 연꽃, 고랭이 ④ 어리연꽃, 자라풀

 

[131]. 생태계의 구성요소 중 생물적 요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❶ 영양적 지위 ② 소비자

    ③ 생산자 ④ 분해자

 

[132]. 해안군집의 유형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갯벌 ② 하구

    ③ 암반해안 ❹ 건초지

 

[133]. 생물이 생태계에 차지하는 구조적, 기능적 역할을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개념은?

    ❶ 생태적 지위 ② 길드

    ③ 지위유사종 ④ 주행성

 

[134]. 초본식물들이 주종을 이루고 키가 낮은 종려나무, 아카시아가 우점하며 옥시솔토양이 우세한 지역은?

    ① 초원 ❷ 열대사바나

    ③ 툰드라 ④ 열대우림

 

[135]. 육상개발과 관련하여 해양으로 유입된 토사가 연안생태계에 미치는 피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❶ 식물의 1차 생산력 증가

    ② 동물의 질식

    ③ 독성물질의 증가

    ④ 저서동물권의 구조변화

 

[136]. 엘리뇨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열대 남미 페루연안까지 영향을 미치는 현상이다.

    ❷ 해수면의 온도가 평년보다 낮아지는 현상이다.

    ③ 무역풍이 약해지는 경우 발생한다.

    ④ 인도네시아, 필리핀에서는 대체로 가뭄이 발생하곤 한다.

 

[137]. 야생동물의 이동 통로의 계획 및 설계 단계에서 고려될 사항이 아닌 것은?

    ❶ 모니터링 계획 수립

    ② 위치의 선정

    ③ 목표종의 선정

    ④ 충돌방지 및 유도방안 마련

 

[138]. 다음 중 에너지 효율이 가장 높은 것은?

    ① 토끼풀 ❷ 뱀

    ③ 개구리 ④ 메뚜기

 

[139]. 습지 인식을 위한 습지의 중요 구성요소 3가지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습지 수문 ❷ 습지 동물

    ③ 습지 식물 ④ 습윤 토양

 

[140]. 수계생태계를 이루고 있는 생물적 부분을 생활형에 따라 구분한 것으로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부유생물 ❷ 척추동물

   ③ 유영동물 ④ 저서생물

 

[141]. 수서곤충을 비롯한 저서성 무척추동물군의 군집변화를 계량화하여 분석하는 방법에는 군집지수와 생물지수가 있다. 다음 중 생물지수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① 생물지수는 단순하다.

   ② 생물지수는 객관적이다.

   ③ 생물지수는 전통적 방법이다.

   ❹ 생물지수는 가중치를 부여한다.

 

[142]. 어린 개체가 많은 집단으로 장차 개체군이 커질 수 있는 개체군 연령 분포형태는?

    ① 쇠퇴형 ② 안정형

    ❸ 발전형 ④ 표주박형

 

[143]. 호소의 중심부로부터 육상까지 일정한 경사를 가진 경우에 형성되는 식생이 아닌 것은?

    ① 정수식생 ② 부유식생

    ③ 부엽식생 ❹ 해안식생

 

[144]. 물속의 칼슘이나 마그네슘 등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산을 함유한 첨가제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❶ 연수제(軟水劑) ② 산화제(酸化劑)

    ③ 환원제(還元劑) ④ 첨가제(添加劑)

 

[145]. 다음 중 개체군 변동의 유형이 아닌 것은?

   ① 주기형 ❷ 생활형

   ③ 평편형 ④ 급변형

 

[146]. 사막은 열대, 온대, 한 대 어느 지역에도 존재하며, 사막은 낮과 밤의 온도차가 30℃에 이를 정도로 기온차가 심한 지역이다. 이러한 사막의 연간 강수량에 대한 표현 중 맞는 것은?

   ① 연간 강수량이 50mm 미만인 지역

   ② 연간 강수량이 150mm 미만인 지역

   ❸ 연간 강수량이 250mm 미만인 지역

   ④ 연간 강수량이 500mm 미만인 지역

 

[147]. 중금속에 오염된 어느 늪지에 다음의 생물이 살고 있다. 생물농축이 일어날 경우 생체 내 중금속 농도가 가장 높은 생물은?

   ① 하루살이 ② 피라미

   ❸ 배스 ④ 식물성 조류

 

[148]. 두 개체군 상호간에 불이익을 초래하는 관계는?

   ① 기생 ② 포식

   ③ 편리공생 ❹ 경쟁

 

[149]. 지구온난화 및 온실효과의 원인이 되는 가스가 아닌것은?

   ① 아산화질소(N₂0) ② 메탄(CH₄)

   ❸ 아황산가스(SO₂) ④ 염화불화탄소(CFCs)

 

[150]. 다음 중 세계의 열대우림 지역이 아닌 곳은?

   ① 아마존 분지 ② 서부 아프리카

   ③ 인도네시아 ❹ 북아메리카

 

[151]. 지구온난화를 유발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감축하여 온실가스에 대한 대비책 마련을 위해 채택된 기후변화 협약과 관련된 것은?

   ① 몬트리올 의정서 ② 워싱턴 의정서

   ③ 제네바 의정서 ❹ 교토 의정서

 

[152]. 나사말처럼 뿌리를 물 밑 바닥에 고착시키고 잎과 줄기를 물속에 잠기도록 하여 생활하는 식물은?

    ① 정수식물 ② 부생식물

    ③ 부엽식물 ❹ 침수식물

 

[153]. 어떤 식물이 충분히 빛이 쪼이는 곳에서 생육 할 때보다 그늘에서 생육하는 경우에 토양 속의 아연 요구량이 적게 필요하다고 가정한다면, 이 내용에 적합한 법칙은 다음 중 무엇인가?

    ① Allen의 법칙 ② Bergmann의 법칙

    ③ Gause의 경쟁배타 법칙 ❹ Liebig의 최소량 법칙

 

[154]. 호수에서 남조류(blue-green algae) bloom을 주도 하는 인자가 아닌 것은?

    ① 낮은 N/P 비율

    ② 풍부한 동물성플랑크톤

    ❸ 20℃ 이하의 낮은 수온

    ④ 움직임이 별로 없는 조용한 물의 상태

 

[155]. 종다양성지수는 Shannon Index(H)=∑Pi log Pi로 나타내곤 하는데 여기서 Pi란 무엇인가?

    ① i번째 종의 상대적 균등도

    ② i번째 종의 절대적 우점도

    ③ i번째 종의 절대적 생물량

    ❹ i번째 종의 상대적 풍부도

 

[156]. 점이대 또는 추이대(ecotone)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갑작스런 변화가 일어나는 지점이다.

    ② 가장자리 효과(edge effect)가 나타난다.

    ❸ 생물다양성이 감소하는 양상이 나타난다.

    ④ 해변의 조간대가 점이대의 좋은 예이다.

 

[157]. 다음 중 생태계 구성요소와 그 역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❶ 생산자 : 녹색식물을 먹는 초식동물을 말한다.

    ② 소비자 : 종속영양생물로 육식동물을 말한다.

    ③ 무기환경 : 빛, 공기, 물 등을 말한다.

    ④ 분해자 : 낙엽, 동물사체 등을 분해하는 생물을 말한다.

 

[158]. 호수로 유입되는 영양물질의 부하를 줄이는 방법이 아닌 것은?

    ❶ 비료의 양을 늘려 농작물의 생산량을 늘린다.

    ② 유역 유입하천에 하수처리장을 건설한다.

    ③ 하수처리장에서 질소와 인의 제거율을 높인다.

    ④ 가정에서는 무린 세제를 사용한다.

 

[159]. 자연계의 생산과 분해에 있어서 광합성 세균 중 무산소성 광합성 세균이 아닌 것은?

    ❶ 적색황세균 : Frankia

    ② 자색 비유황세균 : Ehodospirllum

    ③ 녹색황세균 : Chlorobium

    ④ 녹색 비유황세균 : Chiorflexus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8

 

자연생태복원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자연생태복원기사 최신 기출문제입니다.

play.google.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