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한국사 조선시대 기대승 기출문제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history 

 

한국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공무원9급 국가직, 지방직, 서울시 한국사 기출문제를 풀어볼 수 있습니다.

play.google.com

 

[문제] 기대승과 8차례 편지를 통해 4단과 7정에 대한 논쟁을 벌였다. 누구인가??
① 퇴계 이황
② 남명 조식

정답:1

 

 


[문제] 아동용 수신서인 동몽선습을 편찬하였다. 누구인가??
① 박세무
② 기대승

정답:1

 

 



[문제] 주자대전의 중요 부분을 발췌하여 주자문록을 편찬하였다. 누구인가??
① 박세무
② 기대승

정답:2

 

 



[문제] [2017 서울시]
이 책의 저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이 책은 왕과 사대부를 위해 왕도정치의 규범을 체계화한 것으로 통설, 수기, 정가, 위정, 성현도통 등으로 구성되어있다. 이 책은 성리학의 정치 이론서인 대학연의 를 보완함으로써 조선의 사상계에 널리 영향을 미쳤다.

① 경과 의를 근본으로 하는 실천적 성리학풍을 강조하였다.
② 기대승과 8차례 편지를 통해 4단과 7정에 대한 논쟁을 벌였다.
③ 이보다 기를 중심으로 세계를 이해하고 노장사상에 개방적이었다.
④ 사림이 추구하는 왕도정치가 기자에서 시작되었다는 평가를 담은 기자실기 를 저술하였다.


정답:4
해설: 이 책은 율곡 이이의 성학집요이다.

 

 

 

공무원 한국사 조선시대 박세무 기출문제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history 

 

한국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공무원9급 국가직, 지방직, 서울시 한국사 기출문제를 풀어볼 수 있습니다.

play.google.com

 


[문제] 아동용 수신서인 동몽선습을 편찬하였다. 누구인가??
① 박세무
② 기대승

정답:1


[문제] 주자대전의 중요 부분을 발췌하여 주자문록을 편찬하였다. 누구인가??
① 박세무
② 기대승

정답:2

공무원 한국사 조선시대 신숙주 기출문제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history 

 

한국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공무원9급 국가직, 지방직, 서울시 한국사 기출문제를 풀어볼 수 있습니다.

play.google.com

[문제] 일본의 동정을 담은 『해동제국기」를 저술하였다. 이 사람은??
① 이황
② 신숙주

정답:2

 

 

[문제] 해동제국기의 저자는??
① 최부
② 신숙주

정답:2

 

 

[문제] 삼국사절요의 저자는??
① 서거정
② 신숙주

정답:1

공무원 한국사 조선시대 이익 기출문제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history 

 

한국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공무원9급 국가직, 지방직, 서울시 한국사 기출문제를 풀어볼 수 있습니다.

play.google.com


[문제] 화폐 제도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폐전론을 주장하였다. 이 사람은??
① 박제가
② 이익

정답:2


[문제] 마을 단위로 토지를 공동 경작하여 분배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 사람은??
① 정약용
② 이익

정답:1

 



[문제] 다음 토지 개혁안을 주장한 실학자는??
국가는 마땅히 한 집의 재산을 헤아려 전(田) 몇 부(負)를 한정하여 1호(戶)의 영업전(永業田)을 삼기를 당나라의 조제(租制)처럼 해야 한다. 그렇다고 해서 많이 소유한 자의 것을 줄이거나 빼앗지 않고, 모자라게 소유한 자라고 해서 더 주지 않는다. 돈이 있어 사고자 하는 자는 비록 천백 결(結)이라도 모두 허가하고, 토지가 많아 팔고자 하는 자도 단지 영업전 몇 부 이외에는 역시 허가한다
① 박지원의 한전론
② 이익의 한전론

정답:2

 



[문제] [2019 서울시]
<보기>의 토지 개혁안을 주장한 조선 후기 실학자를 옳게 짝지은 것은??
<보기>
ㄱ. 지금 농사를 하고자 하는 사람은 토지를 얻고, 농사를 하지 않는 사람은 토지를 얻지 못하도록 한다. 즉 여전(閭田)의 법을 시행하면 나의 뜻을 이룰 수 있을것이다. … 무릇 1여의 토지는 1여의 사람들로 하여금 공동으로 경작하게 하고, 내 땅 네 땅의 구분 없이 오직 여장의 명령만을 따른다. 매 사람마다의 노동량은 매일 여장이 장부에 기록한다. 가을이 되면 무릇 오곡의 수확물을 모두 여장의 집으로 보내어 그 식량을 분배한다. 먼저 국가에 바치는 공세를 제하고, 다음으로 여장의 녹봉을 제하며, 그 나머지를 날마다 일한 것을 기록한 장부에 의거하여 여민들에게 분배한다.
ㄴ. 국가는 마땅히 한 집의 재산을 헤아려 전(田) 몇 부(負)를 한정하여 1호(戶)의 영업전(永業田)을 삼기를 당나라의 조제(租制)처럼 해야 한다. 그렇다고 해서 많이 소유한 자의 것을 줄이거나 빼앗지 않고, 모자라게 소유한 자라고 해서 더 주지 않는다. 돈이 있어 사고자 하는 자는 비록 천백 결(結)이라도 모두 허가하고, 토지가 많아 팔고자 하는 자도 단지 영업전 몇 부 이외에는 역시 허가한다.

① ㄱ:정약용  ㄴ:이익
② ㄱ:박지원  ㄴ:유형원
③ ㄱ:정약용  ㄴ:유형원
④ ㄱ:이익     ㄴ:박지원


정답:1
해설: 
ㄱ:정약용의 여전론
ㄴ:이익의 한전론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