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0

 

실내건축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실내건축기사 최신 기출문제

play.google.com

 

 

 

[0]. 다음 중 조닝(zoning)계획에서 존(zone)의 설정 시 고려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사용빈도 ② 사용시간

   ③ 사용행위 ❹ 사용재료

 

[1]. 다음 중 상업공간의 매장 내 진열장(show case) 배치를 계획할 때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은?

   ① 진열장의 수 ② 조명의 조도

   ❸ 고객의 동선 ④ 바닥의 재질

 

[2]. 단독주택에서 부엌의 합리적인 규모 결정 시 고려할 사항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① 작업대의 면적 ② 주택의 연면적

   ❸ 가족구성원의 연령 ④ 작업인의 동작에 필요한 공간

 

[3]. 시스템 가구의 디자인 조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규격화된 디자인으로 한다.

    ② 통일된 디자인으로 조화를 추구한다.

    ③ 안정성 있고 가벼워 이동에 편리하도록 한다.

    ❹ 용도를 단일화하여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4]. 창의 기본적 기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채광 ② 통풍

    ❸ 장식 ④ 환기

 

[5]. 마르셀 브로이어(Marcel Breuer)가 디자인한 의자는?

    ① 흔들 의자(rocking chair)

    ❷ 체스카 의자(Cesca chair)

    ③ 투겐하트 의자(Tugendhat chair)

    ④ 바르셀로나 의자(Barcelona chair)

 

[6]. 다음 중 실내디자인을 평가하는 기준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기능성 ② 경제성

    ③ 심미성 ❹ 주관성

 

[7]. 상점건축에서 쇼윈도우, 출입구 및 홀의 입구부분을 포함한 평면적인 구성요소와 아케이드, 광고판, 사인, 외부장치를 포함한 입체적인 구성요소의 총체를 의미하는 것은?

    ❶ 파사드(facade)

    ② 스테이지(stage)

    ③ 쇼케이스(show case)

    ④ P.O.P(point of purchase)

 

[8]. 주택 거실의 가구 배치 방법 중 소파를 두 벽면에 연결시켜 배치하는 형식으로 시선이 마주치지 않아 안정감이 있는 것은?

    ① 대면형 ② ㄷ자형

    ❸ 코너형 ④ 직선형

 

[9]. 디자인 요소 중 점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면의 한계, 면들의 교차에서 나타난다.

   ❷ 기하학적으로 크기가 없고 위치만 있다.

   ③ 두 점의 크기가 같을 때 주의력은 한 점에만 작용한다.

   ④ 배경의 중심에 있는 점은 동적인 효과를 느끼게 한다.

 

[10]. 공간의 분할 방법을 차단적, 상징적, 지각적(심리적) 분할로 구분할 경우, 다음 중 상징적 분할에 속하는 것은?

   ① 조명에 의한 분할

   ② 고정벽에 의한 분할

   ❸ 식물 화분에 의한 분할

   ④ 마감재의 변화에 의한 분할

[11]. 공동주택의 평면형식 중 계단실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각 세대의 채광 및 통풍이 양호하다.

   ② 각 세대의 프라이버시 확보가 용이하다.

   ❸ 도심지 내의 독신자용 공동주택에 주로 사용된다.

   ④ 통행부 면적이 작은 관계로 건축물의 이용도가 높다.

 

[12]. 공간의 구성요소 중 일반적으로 가장 먼저 인지되는 요소로, 시각적 대상물이 되거나 공간에 초점적 요소가 되기도 하는 것은?

   ① 천장 ② 바닥

   ❸ 벽 ④ 보

 

[13]. 디자인 표현 중에서 반복, 교체, 점진 등을 통해 나타나는 디자인 원리는?

    ① 균형 ② 강조

    ❸ 리듬 ④ 대비

 

[14]. 전시공간의 특수전시 방법 중 사방에서 감상해야 할 필요가 있는 조각물이나 모형을 전시하기 위해 벽면에서 띄어놓아 전시하는 방법은?

    ① 디오라마 전시 ② 파노라마 전시

    ③ 하모니카 전시 ❹ 아일랜드 전시

 

[15]. 사무실의 책상배치 유형 중 면적효율이 좋고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형성에 유리하여 공동작업의 형태로 업무가 이루어지는 시무실에 적합한 유형은?

    ① 동향형 ❷ 대향형

    ③ 자유형 ④ 좌우대칭형

 

[16]. 다음 중 주거공간의 영역 구분(zoning) 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행동의 목적에 따른 구분

    ❷ 공간의 분위기에 따른 구분

    ③ 사용자의 범위에 따른 구분

    ④ 공간의 사용시간에 따른 구분

 

[17]. 사무소 건축의 실단위 계획 중 개방식 배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❶ 독립성과 쾌정성이 우수하다.

    ② 자연채광에 인공조명이 필요하다.

    ③ 전면적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④ 방의 길이나 깊이에 변화를 줄 수 있다.

 

[18]. 다음 중 실내디자인의 평가 시 고려하여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심미성 ② 기능성

   ③ 경제성 ❹ 유행성

 

[19]. 유니버셜 디자인(Universal Design)의 개념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공용화 설계 ② 범용 디자인

   ❸ 독창적 디자인 ④ 모든 사람을 위한 디자인

 

[20]. 실내공간을 수평 방향으로 구획할 때 다음 중 구획의 효과가 가장 큰 방법은?

   ① 바닥 색채를 달리한다.

   ② 천장 장식의 변화를 준다.

   ③ 바닥 마감재료를 달리한다.

   ❹ 바닥면의 높이 차이를 두어 단으로 처리한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0

 

실내건축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실내건축기사 최신 기출문제

play.google.com

 

 

 

[21]. 사무실의 개방식 배치의 한 형식으로 업무와 환경을 경영관리 및 환경적 측명네서 개선한 것으로 사무 업무를 사람의 흐름과 정보의 흐름을 매체로 효율적인 네트워크게 되도록 배치하는 방법은?

   ① 죠닝 ② 매트릭스

   ③ 버블다이어그램 ❹ 오피스 랜드스케이프

 

[22]. 주택의 부엌에서 작업 삼각형(work triangle)의 구성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냉장고 ❷ 배선대

   ③ 가열대 ④ 개수대

 

[23]. 상품의 진열 범위 중 고객의 시선이 자연스럽게 머물고 손으로 잡기에 편리한 높이인 골든스페이스(golden space)의 범위로 알맞은 것은?

    ① 650 ~ 950 mm ② 750 ~ 1050 mm

    ❸ 850 ~ 1250 mm ④ 950 ~ 1350 mm

 

[24]. 사무소 건축의 코어 유형 중 2방향 피난에 이상적이며 방재성 유리한 것은?

    ① 편심코어형 ❷ 양단코어형

    ③ 중심코어형 ④ 독립코어형

 

[25]. 천장을 확산투과 혹은 지향성 투과 패널로 덮고, 천장 내부에 광원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한 것으로, 천장면 전체가 발광면이 되고 균일한 조도의 부드러운 빛을 얻을 수 있는 건축화 조명은?

    ① 루버 조명 ❷ 광천장 조명

    ③ 코니스 조명 ④ 밸런스 조명

 

[26]. 조명의 연출기법 중 수직면과 평행한 광선을 벽에 비추어 벽면 재질감을 강조하며 광선에 의해 벽면에 조개무늬가 형성되는 것은?

    ① 스파클(sparkle) 기법

    ❷ 글레이징(glazing) 기법

    ③ 실루엣(silhouette) 기법

    ④ 빔 플레이(beam play) 기법

 

[27]. 공통주택의 단면형식 중 메조넷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다양한 평면구성이 가능하다.

    ❷ 주로 소규모 주택에 적용된다.

    ③ 각 세대의 프라이버시 확보가 용이하다.

    ④ 통로면적이 감소되어 유효면적이 증가된다.

 

[28]. 다음 중 텍스츄어 선택 시 고려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촉감 ② 스케일

    ❸ 공간의 방향성 ④ 빛의 반사와 흡수

 

[29]. 사무소의 실단위 계획 중 개방식 배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❶ 독립성 및 자연채광조건이 좋다.

   ② 모든 면적을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③ 칸막이 벽이 없는 관계로 공사비가 낮다.

   ④ 공간의 길이나 깊이에 변화를 줄 수 있다.

 

[30]. 다음 중 기능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구성요소의 배치(lay-out)를 행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공간 상호간의 연계성

   ② 출입형식 및 동선체계

   ❸ 색채 및 재료의 유사성

   ④ 인체공학적 치수와 가구 크기

[31]. 수직벽면을 빛으로 쓸어내리는 듯한 효과를 주기 위해 비대칭 배광방식의 조명기구를 사용하여 수직벽면에 균일한 조도의 빛을 비추는 조명의 연출기법은?

    ① 실루엣(silhouette) 기법

    ② 글레이징(glazing) 기법

    ❸ 월 워싱(wall washing) 기법

    ④ 그림자 연출(shadow play) 기법

 

[32]. 다음 중 다의도형 착시의 사례로 가장 알맞은 것은?

    ❶ 루빈의 항아리 ② 펜로즈의 삼각형

    ③ 쾨니히의 목걸이 ④ 포겐도르프 도형

 

[33]. 다음 중 선의 종류별 조형효과로 가장 알맞은 것은?

    ① 사선 - 안정, 침착

    ❷ 곡선 - 유연, 우아함

    ③ 수직선 - 확대, 영원

    ④ 수평선 - 약동감, 속도감

 

[34]. 다음 각 공간의 관계가 주택 평면계획 시 고려되는 인접의 원칙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거실 - 현관 ② 식당 - 주방

    ③ 거실 - 식당 ❹ 침실 - 다용도실

 

[35]. 다음 중 상점 내 진열장 배치계획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사항은?

    ❶ 동선의 흐름 ② 조명의 조도

    ③ 바닥 마감재료 ④ 진열장의 치수

 

[36]. 거실의 가구배치 형식 중 소파를 서로 직각이 되도록 연결해서 배치하는 형식으로, 시선이 마주치지 않아 안정감이 있는 것은?

   ① 대면형 ❷ 코너형

   ③ U자형 ④ 복합형

 

[37]. 조명의 연출기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스파클(sparkle) 기법

   ② 글레이징(glazing) 기법

   ③ 월워싱(wall washing) 기법

   ❹ 패키지 유닛(package unit) 기법

 

[38]. 실내디자인의 계획조건을 외부적 조건과 내부적 조건으로 구분할 경우, 다음 중 외부적 조건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입지적 조건 ❷ 경제적 조건

   ③ 건축적 조건 ④ 설비적 조건

 

[39]. 실내장식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공간을 강조하고 흥미를 높여 주는 효과가 있다.

   ② 주변 물건들과의 조화 등을 고려하여 선택한다.

   ③ 개성을 표현하는 자기 표현의 수단이 될 수 있다.

   ❹ 기능은 없고 미적 효용성을 더해 주는 물품을 말한다.

 

[40]. 뮐러-리어 도형과 관련된 착시의 종류는?

    ① 방향의 착시 ❷ 길이의 착시

    ③ 다의도형 착시 ④ 위치에 의한 착시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0

 

실내건축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실내건축기사 최신 기출문제

play.google.com

 

 

 

[41]. 사무소 건축에서 개방식 배치의 한 형식으로 업무와 환경을 경영관리 및 환경적 측면에서 개선하여 배치를 의사전달과 작업 흐름의 실제적 패턴에 기초를 두는 것은?

    ① 아트리움(atrium)

    ② 싱글 오피스(single office)

    ③ 스마트 시스템 (smart system)

    ❹ 오피스 랜드스케이프(office landscape)

 

[42]. 부엌에서의 작업순서에 따른 작업대의 효율적인 배치순서로 가장 알맞은 것은?

    ① 준비대 - 조리대 - 개수대 - 가열대 - 배선대

    ❷ 준비대 - 개수대 - 조리대 - 가열대 - 배선대

    ③ 준비대 - 배선대 - 개수대 - 조리대 - 가열대

    ④ 준비대 - 조리대 - 개수대 - 배선대 - 가열대

 

[43]. 상점의 디스플레이 기법으로서 VMD(Visual merchandising)의 구성 요소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IP(Item Presentation)

    ② VP(Visual Presentation)

    ❸ SP(Special Presentation)

    ④ PP(Point of sale Presentation)

 

[44]. 상품의 유효진열 범위 내에서 고객의 시선이 편하게 머물고 손으로 잡기에도 가장 편안한 높이인 골든 스페이스의 범위로 알맞은 것은?

   ① 450~850mm ❷ 850~1250mm

   ③ 1300~1500mm ④ 1500~1700mm

 

[45]. 개방식 배치의 일종으로 의사전달의 커뮤니케이션과 작업흐름의 실제적 패턴에 의한 레이아웃을 기초로 하는 것은?

   ① 유니버설 플랜 ② 세포형 오피스

   ③ 복도형 오피스 ❹ 오피스 랜드스케이프

 

[46]. 다음 중 좋은 디자인을 판단하는 기준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재료의 선택 ② 시대성의 반영

   ③ 기능성의 부여 ❹ 상징적 표현의 비율

 

[47]. 다음 중 주택의 실내 치수 계획으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

   ① 현관의 폭 : 1200mm

   ❷ 세면기의 높이 : 550mm

   ③ 부엌 작업대의 높이 : 800mm

   ④ 주택 내부의 복도 폭 : 900mm

 

[48]. 선의 종류별 조형 효과가 옳지 않은 것은?

   ① 수직선 – 위엄, 절대

   ② 사선 – 약동감, 속도감

   ③ 곡선 – 유연함, 미묘함

   ❹ 수평선 – 우아함, 풍요로움

 

[49]. 천장에 매달려 조명하는 조명방식으로 조명기구 자체가 빛을 발하는 악세서리 역할을 하는 것은?

    ① 코브(cove) ② 브라켓(bracket)

    ❸ 펜던트(pendant) ④ 코니스(cornice)

 

[50]. 다음 중 주거공간의 조닝(zoning) 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❶ 융통성에 의한 구분

    ② 주 행동에 의한 구분

    ③ 사용시간에 의한 구분

    ④ 프라이버시 정도에 따른 구분

[51]. 실내디자인 프로세스의 기본계획 단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내부적 요구 분석

    ② 계획의 평가기준 설정

    ❸ 기본계획 대안들의 도면화

    ④ 건축적 요소와 설비적 요소의 분석

 

[52]. 황금비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1 : 1.618의 비율이다.

   ❷ 고대 로마인들이 창안했다.

   ③ 몬드리안의 작품에서 예를 들 수 있다.

   ④ 건축물과 조각 등에 이용된 기하학적 분할 방식이다.

 

[53]. 다음 중 연색성이 가장 우수한 것은?

   ❶ 할로겐전구 ② 고압수은램프

   ③ 고압나트륨램프 ④ 메탈핼라이드램프

 

[54]. 상점의 가구 배치에 따른 평면 유형 중 직렬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부분별로 상품 진열이 용이하다.

    ❷ 협소한 매장에서는 적용이 곤란하다.

    ③ 쇼 케이스를 일직선 형태로 배열한 형식이다.

    ④ 상품의 전달 및 고객의 동선상 흐름이 빠르다.

 

[55]. 의자의 종류 중 필요에 따라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는 간이의자로 크지 않으며 가벼운 느낌의 형태를 갖는 것은?

    ① 카우치 ❷ 풀업 체어

    ③ 체스터필드 ④ 라운지 체어

 

[56]. 주택에서 부엌의 일부에 간단한 식탁을 설치하거나 식당과 부엌을 한 공간에 구성한 형식은?

   ① 독립형 ❷ 다이닝 키친

   ③ 리빙 다이닝 ④ 다이닝 테라스

 

[57]. 다음 중 단독주택의 거실 크기를 결정하는 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가족구성 ② 생활방식

   ❸ 거실의 조도 ④ 주택의 규모

 

[58]. 주거공간을 주행동에 따라 개인공간, 작업공간, 사회적 공간으로 구분할 때, 다음 중 개인공간에 속하는 것은?

   ① 부엌 ❷ 서재

   ③ 창고 ④ 식당

 

[59]. 의자와 디자이너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① 파이미오 의자 - 알바 알토

   ❷ 레드 블루 의자 - 미하엘 토넷

   ③ 체스카 의자 - 마르셀 브로이어

   ④ 바실리 의자 - 마르셀 브로이어

 

[60]. 쉐이드라고도 하며, 창 이외에 간막이 스크린으로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❶ 롤 블라인드 ② 로만 블라인드

   ③ 버티컬 블라인드 ④ 베네시안 블라인드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0

 

실내건축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실내건축기사 최신 기출문제

play.google.com

 

 

 

[61]. 긴 직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각 전시실이 연속적으로 동선을 형성하고 있으며 비교적 소규모 대지에서 효율적인 전시공간의 순회 유형은?

   ① 중정 형식 ② 중앙홀 형식

   ❸ 연속순회 형식 ④ 갤러리 및 복도형식

 

[62]. 창문 전체를 커튼으로 처리하지 않고 반 정도만 친 형태를 갖는 커튼의 종류는?

   ❶ 새시 커튼 ② 글라스 커튼

   ③ 드로우 커튼 ④ 드레퍼리 커튼

 

[63]. 측창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❶ 천창에 비해 채광량이 많다.

    ② 천창에 비해 비막이에 유리하다.

    ③ 편측창의 경우 실내 조도분포가 불균일하다.

    ④ 근린의 상황에 의한 채광 방해의 우려가 있다.

 

[64]. 백화점의 에스컬레이터 배치 유형 중 교차식 배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연속적으로 승강할 수 없다.

    ❷ 점유면적이 다른 유형에 비해 작다.

    ③ 고객의 시야가 다른 유형에 비해 넓다

    ④ 고객의 시선이 1방향으로 한정된다는 단점이 있다.

 

[65]. 특정한 사용목적이나 많은 물품을 수납하기 위해 건축화된 가구를 의미하는 것은?

    ① 유닛가구 ② 모률러가구

    ❸ 붙박이가구 ④ 수납용가구

 

[66]. 사선이 주는 느낌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① 생동감 ❷ 안정감

    ③ 운동감 ④ 약동감

 

[67]. 다음 중 실내공간의 평면계획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은?

    ① 마감재료 ❷ 공간의 동선

    ③ 공간의 색채 ④ 공간의 환기

 

[68]. 업무공간에 칸막이(partition)를 계획할 때 주의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흡음을 고려한 마감재를 사용한다.

    ② 기둥과 보의 위치를 고려해야 한다.

    ③ 창의 중간에 배치되는 것을 피한다.

    ❹ 설비적인 분포에 차별화를 두어야 한다.

 

[69]. 공간의 차단적 구획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커튼 ② 열주

   ❸ 조명 ④ 유리창

 

[70]. 주택 부엌에서 작업삼각형(Work Triangle)의 꼭지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냉장고 ② 가열대

   ❸ 배선대 ④ 개수대

[71]. 사무소 건축에서 유효율(rentable ratio)의 의미로 알맞은 것은?

   ❶ 연면적에 대한 대실면적의 비율

   ② 연면적에 대한 건축면적의 비율

   ③ 대지면적에 대한 바닥면적의 비율

   ④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면적의 비율

 

[72]. 형태의 지각심리 중 불완전한 형을 사람들에게 순간적으로 보여줄 때 이를 완전한 형으로 지각한다는 사실과 관련된 것은?

   ① 근접성 ② 유사성

   ③ 연속성 ❹ 폐쇄성

 

[73]. 펜로즈의 삼각형에서 나타나는 착시의 유형은?

   ① 거리의 착시 ② 크기의 착시

   ❸ 역리도형 착시 ④ 다의도형 착시

 

[74]. VMD(visual merchandising)의 구성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IP ② PP

   ③ VP ❹ POP

 

[75]. 현장감을 실감나게 표현하는 방법으로 하나의 사실 또는 주제의 시간 상황을 고정시켜 연출하는 것으로 현장에 임한 느낌을 주는 특수 전시기법은?

    ① 영상전시 ❷ 디오라마전시

    ③ 아일랜드전시 ④ 하모니카전시

 

[76]. 날개의 각도를 조절하여 일광, 조망 그리고 시각의 차단 정도를 조정하는 수평형 블라인드는?

    ① 롤 블라인드 ② 로만 블라인드

    ③ 버티컬 블라인드 ❹ 베네시안 블라인드

 

[77]. 주거공간을 주행동에 따라 개인공간, 작업공간, 사회적 공간으로 분류할 경우, 다음 중 작업공간에 속하는 것은?

    ① 서재 ② 침실

    ③ 응접실 ❹ 다용도실

 

[78]. 다음 중 실내디자인의 개념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❶ 순수예술 ② 실행과정

    ③ 전문과정 ④ 디자인 활동

 

[79]. 상품의 유효진열범위로서 골든 스페이스(golden space)라고 불리는 높이는?

    ① 300~750mm ② 600~900mm

    ❸ 850~1250mm ④ 900~1400mm

 

[80]. 실내공간을 형성하는 기본요소로 공간을 구성하는 수직적 요소는?

    ❶ 벽 ② 보

    ③ 천장 ④ 바닥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quiz_20

 

실내건축기사 기출문제 - Google Play 앱

실내건축기사 최신 기출문제

play.google.com

 

+ Recent posts